멋진 검색 일본

나가사키현

클릭 -> 항목
1.나가사키현
나가사키현(일본어: 長崎県)은 일본 규슈 지방의 서쪽 끝에 있는 현이다. 고토 열도(五島列島), 쓰시마섬(対馬), 이키섬(壱岐島)을 포함한다.
인구:1,279,871(2023-1-1)면적:4,130.88km2
wikipedia  

나가사키현:

1.잘못된 제목
wikipedia    세부 사항  
2.바이린지 (쓰시마시)
바이린지(일본어: 梅林寺)는 나가사키현 쓰시마시 미쓰시마정에 위치하고 있는 조동종의 사원이다. 그러나 쓰시마 불상 도난 사건 당시 표적이 되는 사원 중의 하나로 손을 꼽히고 있다.
wikipedia    세부 사항  
3.반쇼인
반쇼인(万松院)은 나가사키현 쓰시마시 이즈하라정에 위치하고 있는 사찰이다. 그래서 천태종의 사찰로도 유명하며 1615년에 세워진 건축물이다. 교통편으로는 이즈하라항에서 도보로 약 15분 소요된다. 한 때 이 건축물은 화재로 소실된 적이 있다. 소재지는 나가사키현 쓰시마시 이즈하라정 히가시리 192번지에 위치하고 있다.
wikipedia    세부 사항  

나가사키현:신사

4.와타즈미 신사
와타즈미 신사(일본어: 和多都美神社(わたづみじんじゃ))는 일본 나가사키현(長崎県) 쓰시마시(対馬市)에 있는 신사(神社)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5.가이진 신사
가이진 신사(일본어: 海神神社)는 나가사키현 쓰시마시 미네마치키사카에 위치하고 있는 사찰이다. 지금은 신사본청의 별표신사로 이루어져 있으며, 2012년에 있었던 쓰시마 불상 도난 사건으로 피해를 본 사찰 중의 하나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6.고모다하마 신사
고모다하마 신사(小茂田浜神社 (こもだはまじんじゃ) 고모다하마진쟈[*])는 나가사키현 쓰시마시에 자리잡고 있는 진좌이자 신사이다. 위치는 대략적으로 볼 때 쓰시마섬의 서남부 해안에 위치하여 있어 원구 (분에이의 역)의 제에 원나라와 고려의 연합군이 합심하여 상륙하게 된 영토에 해당되며, 1274년(분에이 11년)에 창건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사격 등은 현사(県社)이며, 본전의 양식은 유조(流造)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7.스와 신사 (나가사키시)
진제이 대사 스와 신사(鎮西大社諏訪神社 (ちんぜいたいしゃすわじんじゃ))는 간단히 스와 신사(諏訪神社 (すわじんじゃ) 스와진자[*])로 잘 알려진 일본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에 있는 신사이다. 스와 신사는 1945년 8월 9일 나가사키 원자폭탄 투하에서 타격을 입지 않았으며, 스와 신사의 사제들은 나가사키의 재건에 적극적으로 참여했다.
wikipedia    세부 사항  

나가사키현:

8.가네이시성
가네이시성(일본어: 金石城)는 일본 나가사키현 쓰시마시 이즈하라 정에 있는 성으로, 북동쪽에 인접한 산바라 성과 합쳐 이즈하라 성으로도 불리고 있다. 가네이시 성은 임진왜란 때 축성된 시미즈 산성의 기슭에 위치한 평성으로 쓰시마 후추 번주 소 가문의 거성이다. 기네이시노야카타(金石屋形)로 불리는 거관이지만, 조선통신사를 맞이하기 위해 근세 성곽으로 개축되었다고 한다. 석벽과 해자가 조성되었지만, 천수는 세우지 않고, 오테 문에 2층의 망루를 세워 천수 대용으로 삼았다. 현재는 다이쇼 시대 해체된 오테 문이 고 사진과 문헌을 토대로 목조로 복원되었고, 1988년 태풍으로 도파된 산바라 성의 오테 문(통칭 고라이 문)이 이축 복원되어 있다. 성터는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으며, 성터에 조성된 정원이 국가 명승지로 지정되어 있다.
wikipedia    세부 사항  
9.가네다성
가네다성(金田城)은 일본 나가사키현(長崎県) 쓰시마시(対馬市) 미쓰시마 정(美津島町) 구로세(黒瀬)의 조산(城山)에 위치한 일본의 고대 산성(古代山城, 조선식 산성. 특히 백제식 산성[1][2])이다. 성터는 현재 일본의 특별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wikipedia    세부 사항  
10.시마바라성
시마바라성(일본어: 島原城, しまばらじょう)은 일본 나가사키현 시마바라시에 있는 연곽식 평성이다. 다른 이름으로는 모리타케 성(森岳城)이라고 불린다.
wikipedia    세부 사항  
11.시미즈 산성
시미즈 산성(清水山城)은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에 축조한 성으로, 이 산성의 위치는 나가사키현 쓰시마시 이즈하라마치에 소재하고 있는 시미즈산(清水山, 해발 206m)에 위치한다. 그래서 이 산성은 통상적으로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는 상태이지만, 교통편으로는 이즈하라항에서 도보로 약 20분 소요된다.
wikipedia    세부 사항  
12.히라도성
히라도성(일본어: 平戸城 히라도조[*])은 일본 나가사키현 히라도시에 있는 제곽식 평산성이다. 에도 시대 히라도번 마쓰라씨의 거성이었다. 다른 이름으론 가메오카성(亀岡城)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나가사키현:박물관

13.시카이로
시카이로(四海樓)는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에 본사를 두고, 여러 곳에 점포를 둔 중화요리점이다. 천핑순이 창업하였으며, 짬뽕과 사라우동 발상의 가게로 알려져있다.
wikipedia    세부 사항  
14.데지마
데지마(일본어: 出島)란 1636년 에도 막부의 쇄국정책 일환으로 나가사키에 건설한 인공섬이다. 부채꼴 모양 섬으로, 전체 넓이는 약 1.3ha정도다. 1641년에서 1859년 사이 대 네덜란드 무역은 오직 이곳에서만 독점적으로 허용되었으며, 쇄국일본 시기 서양과 교류라는 숨통을 터놓았던 상징적인 장소다. 당시 일본은 1년에 한 번 쇼군에게 국제 흐름을 설명한 네덜란드 상인들을 통해 서양을 이해했다. 일본이 네덜란드 상인들에게만 교류를 허락한 이유는 네덜란드 상인들 관심사는 일본과 무역으로 이익을 남기는 것이지, 전도(傳道)가 아니었기 때문이다.[1]
wikipedia    세부 사항  
15.나가사키 원폭 자료관
나가사키 원폭 자료관(일본어: 長崎原爆資料館 나가사키 겐바쿠 시료칸[*])은 나가사키 원폭에 관한 자료를 다룬 나가사키 시립 자료관이다.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에 있다.
wikipedia    세부 사항  
16.나가사키 펭귄 수족관
나가사키 펭귄 수족관(일본어: 長崎ペンギン水族館)는 일본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 슈쿠초에 있는 수족관이다. 1959년에 개관한 나가사키 수족관을 전신으로 한다. 나가사키 수족관은 1998년 3월 31일에 폐관했지만, 2001년 4월 22일에 나가사키 펭귄 수족관으로 개관했다. 2015년 기준으로, 9종류의 펭귄을 사육하고 있으며, 이름 그대로 펭귄 사육을 주요 목적을 둔 수족관이다. 다른 어류 및 갑각류 등도 다수 사육하고 있다.
wikipedia    세부 사항  
17.일본 26 성인 기념관
일본 26 성인 기념관(日本二十六聖人記念館)은 일본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에 있는 일본 26위 성인을 기리기 위한 목적으로 가톨릭 교회에 의해 설립된 박물관이다. 나가사키현 사적 니시자카 언덕이 있는 니시자카 공원에 인접하고 있다.[1] 디자인은 이마이 겐지의 철근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3층이다.[1] 일본 26위 성인의 시성 100주년이 되는 1962년에 개관하였다.[1][2]
wikipedia    세부 사항  

나가사키현:미술관

18.나가사키현 미술관
나가사키현 미술관(長崎県美術館)은 일본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에 있는 미술관이다. 외교관인 스마 야키치로가 기증한 컬렉션을 기초로 한 스페인 미술품이 특징이다. 1965년 개관한 나가사키 현립 미술관이 전신이다. 나가사키 현립 미술관은 2002년에 폐관하였으며, 2005년 4월 23일, 나가사키 현립 미술관의 박물관 기능과 스페인 미술품을 계승하는 형태로, 나가사키 수변의 숲 공원에 인접한 장소에 개관하였다.
wikipedia    세부 사항  

나가사키현:인물기념관

19.시보루토 기념관
시보루토 기념관(シーボルト記念館)은 일본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에 있는 박물관이다. 1989년 문을 열었으며, 필리프 프란츠 폰 지볼트를 기념하기 위해 세워졌다. 벽돌로 지어졌으며, 네덜란드 라이덴 시에 있는 지볼트의 구 저택을 모티프로 하여 지어졌다.
wikipedia    세부 사항  

나가사키현:

20.이와마쓰역
이와마쓰역(일본어: 岩松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오무라시에 위치한 규슈 여객철도 오무라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21.오무라역 (나가사키현)
오무라역(일본어: 大村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오무라시에 위치한 규슈 여객철도 오무라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22.오구시고역
오구시고역(일본어: 小串郷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히가시소노기군 가와타나정에 위치한 규슈 여객철도 오무라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23.가와타나역
가와타나역(일본어: 川棚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히가시소노기군 가와타나정에 위치한 규슈 여객철도 오무라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24.고다역 (큐슈여객철도)
고다역, 또는 코다역(일본어: 高田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니시소노기군 나가요정에 있는 큐슈여객철도 나가사키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25.스와역
스와역(일본어: 諏訪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오무라시에 위치한 규슈 여객철도 오무라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26.소노기역
소노기역(일본어: 彼杵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히가시소노기군 히가시소노기정에 위치한 규슈 여객철도 오무라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27.다케마쓰역
다케마쓰역(일본어: 竹松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오무라시에 위치한 규슈 여객철도 오무라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28.다비라히라도구치역
다비라히라도구치역(일본어: たびら平戸口駅 다비라히라도구치에키[*])(다비라히라도 입구역)은 일본 나가사키현 히라도시 다비라 정 야마우치멘에 위치한 마쓰우라 철도의 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29.지와타역
지와타역(일본어: 千綿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히가시소노기군 히가시소노기정에 위치한 규슈 여객철도 오무라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30.나가요역
나가요역(일본어: 長与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니시소노기군 나가요정에 있는 규슈 여객철도 나가사키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31.혼카와치역
혼카와치역(일본어: 本川内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니시소노기군 나가요정에 있는 규슈 여객철도 나가사키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32.이사하야역
이사하야역(일본어: 諫早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이사하야시에 있는 규슈 여객철도 · 시마바라 철도의 역이다. 규슈 여객철도의 나가사키 본선과 오무라 선, 이 역을 기점으로 하는 시마바라 철도선 등 3개 노선이 상호 운행되고 있다. 이사하야 시의 중심역이며, 3면 5선의 승강장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33.이치누노역
이치누노역(일본어: 市布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이사하야시에 있는 규슈 여객철도 나가사키 본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34.오에역 (나가사키현)
오에역(일본어: 小江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이사하야시에 있는 규슈 여객철도 나가사키 본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35.오쿠사역
오쿠사역(일본어: 大草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이사하야시에 있는 규슈 여객철도 나가사키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36.기키쓰역
기키쓰역(일본어: 喜々津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이사하야시에 있는 규슈 여객철도 나가사키 본선의 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37.고나가이역
고나가이역(일본어: 小長井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이사하야시에 있는 규슈 여객철도 나가사키 본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38.도이자키 신호장
도이자키 신호장(일본어: 土井崎信号場)은 일본 나가사키현 이사하야시에 있는 규슈 여객철도 나가사키 본선의 신호장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39.나가사토역
나가사토역(일본어: 長里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이사하야시에 있는 규슈 여객철도 나가사키 본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40.니시이사하야역
니시이사하야역(일본어: 西諫早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이사하야시에 있는 규슈 여객철도 나가사키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41.히가시이사하야역
히가시이사하야역(일본어: 東諌早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이사하야시에 있는 규슈 여객철도 나가사키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42.히가시소노역
히가시소노역(일본어: 東園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이사하야시에 있는 규슈 여객철도 나가사키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43.히젠나가타역
히젠나가타역(일본어: 肥前長田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이사하야시에 있는 규슈 여객철도 나가사키 본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44.유에역
유에역(일본어: 湯江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이사하야시에 있는 규슈 여객철도 나가사키 본선의 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45.사세보역
사세보역(일본어: 佐世保駅)은 나가사키현 사세보시 미우라 정에 있는, 큐슈여객철도(JR 큐슈)/마쓰우라 철도의 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46.다이토역 (나가사키현)
다이토역(일본어: 大塔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사세보시에 위치한 규슈 여객철도 사세보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47.나카자토역
나카자토역(일본어: 中里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사세보시에 있는 마쓰우라 철도 니시큐슈 선의 철도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48.하이키역
하이키역(일본어: 早岐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사세보시에 위치한 규슈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사세보 선의 소속역이며, 이 역을 기점으로 하는 오무라 선 등 2개의 노선이 운행 중이다.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49.하우스텐보스역
하우스텐보스역(일본어: ハウステンボス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사세보시에 있는 철도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50.하에노사키역
하에노사키역(일본어: 南風崎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사세보시에 위치한 규슈 여객철도 오무라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51.히우역
히우역(일본어: 日宇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사세보시에 위치한 규슈 여객철도 사세보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52.미카와치역
미카와치역(일본어: 三河内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사세보시에 위치한 규슈 여객철도 사세보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53.우쓰쓰가와역
우쓰쓰가와역(일본어: 現川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에 있는 규슈 여객철도 나가사키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54.우라카미역
우라카미역(일본어: 現川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에 있는 규슈 여객철도 · 나가사키 전기 궤도의 역이다. 이 본문에서는 나가사키 전기 궤도의 우라카미에키마에역에 대해서도 기술한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가진 지상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55.나가사키역
나가사키역(일본어: 長崎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 오노우에마치에 있는 큐슈여객철도(JR 큐슈)・일본화물철도(JR 화물)・나가사키 전기 궤도의 역이다. 나가사키 전기 궤도의 역명은 「역 앞」도 정식 정류장명에 들어가 나가사키 역 앞 정류장(長崎駅前停留場)이며, 이 항목에서는 나가사키 전기 궤도의 노면전차 정류장과 나가사키 역 앞 버스 터미널도 함께 서술한다.
wikipedia    세부 사항  
56.니시우라카미역
니시우라카미역(일본어: 西浦上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에 있는 규슈 여객철도 나가사키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57.히젠코가역
히젠코가역(일본어: 肥前古賀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에 있는 규슈 여객철도 나가사키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58.히젠미카와 신호장
히젠미카와 신호장(일본어: 肥前三川信号場)은 일본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에 있는 규슈 여객철도 나가사키 본선의 신호장이다. 2선을 가진 단선 구간 열차 교환형이자 교행 방식의 신호장이다. 나가사키 터널 안에 위치해 있으며, 규슈에서는 터널 내의 유일한 신호장이다. 특급 '가모메'나 쾌속 '시사이드 라이너'를 시작으로, 다수의 열차가 통과하기 때문에, 이 신호장으로 교행을 하는 열차는 없다. 선로는 나가사키 역 쪽을 향해서 좌측이 본선, 우측이 대피선이다. 장내에는 비상전화가 복수 설치되어 있다.
wikipedia    세부 사항  
59.미치노오역
미치노오역(일본어: 道ノ尾駅)은 일본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에 있는 규슈 여객철도 나가사키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나가사키현:공원

60.이키 쓰시마 국정공원
이키 쓰시마 국정공원(Iki-Tsushima Quasi-National Park, 壱岐対馬国定公園)은 일본 나가사키현의 이키섬과 쓰시마섬 일대를 섬과 바다의 유역을 사이에 두고 있는 국정공원이다. 1968년 7월 22일 정식으로 발족되었고, 넓이는 119.5㎢로, 안면도의 면적과 거의 비슷하다. 이와 같이 이키, 쓰시마 양쪽 지역 모두 천혜의 청정 자원으로 이루고 있어, 해안선의 굴곡이 심한 도서 지역이라는 공통점을 가진다.
wikipedia    세부 사항  
61.구라바엔
구라바엔(일본어: グラバー園) 또는 글로버 가든(영어: Glover Garden)은 일본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 미나미야마테에 있는 관광지이다. 1859년 나가사키 개항 후 나가사키에 상륙한 영국인 상인 토머스 블레이크 글로버, 링거, 올트의 전 거주지가 있던 부지에 나가사키 시내에 남아 있던 역사적 건축물을 이축한 야외 박물관처럼 만들어져 있다.
wikipedia    세부 사항  
62.사이카이 국립공원
사이카이 국립공원(일본어: 西海国立公園)은 일본 나가사키현 서북부에 위치하는 국립공원이다. 1955년 3월 16일에 일본에서 18번째로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총 면적은 246.36 km2이다. 리아스식 해안과 200개 남짓의 섬으로 이루어진 구주쿠섬을 포함해 크고 작은 400개에 이르는 섬들이 펼쳐진 다도해 경관을 특징으로 한다.
wikipedia    세부 사항  
63.평화공원 (나가사키시)
평화공원(일본어: 平和公園)은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 마쓰야마 정에 위치한 공원이다. 1945년 8월 9일에 투하된 원자 폭탄 낙하 중심지와 그 북쪽의 언덕 위를 포함한 지역에 평화를 위해 마련됐다. 입장은 무료이며, 면적은 약 18.6 헥타르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64.이키섬
이키섬(일본어: 壱岐島 이키노시마[*])은 규슈와 쓰시마섬 사이에 있는 섬이다. 나가사키현에 속하며, 섬 전체가 이키시에 해당한다. 주위에 21개의 부속섬(유인도 4, 무인도 17)이 있으며, 합쳐서 이키 제도(壱岐諸島)라고 한다. 보통은 부속섬을 합쳐 이키 섬이라고 부르며, 이키섬만 한정하여 별도로 표현될 경우 이키 본섬(壱岐本島)이라고도 한다. 그래서 이 섬의 일대이자 전역이 이키 쓰시마 국정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wikipedia    세부 사항  
65.쓰시마섬
쓰시마섬(일본어: つしまじま)은 한반도와 규슈 사이의 대한해협 가운데에 있는 일본의 섬이다. 대한민국에서는 한국 한자식인 대마도(對馬島)라는 이름으로 많이 불린다.
wikipedia    세부 사항  
66.아소만
아소만(일본어: 浅茅湾)은 일본 나가사키현 쓰시마시에 위치한 섬인 쓰시마섬을 두군데로 갈라진 형태를 띈 피오르이다. 또한, 리아스식 해안을 이루고 있는 해안선이 있어, 가까운 지역을 주위에 발견되어 있는 수 많은 섬 지역이 산재하고 있고, 이와 더불어 이키 쓰시마 국정공원의 일부이기도 하다. 이 수역 주변에는 만제키세토와 미우라만이 각각 가운데에 놓여 있으며, 쓰시마 해협으로 통하는 길이 있다. 다만 해당 해협은 1895년에서 1904년 사이에 걸쳐 일본 제국 해군에 의해 절개하게 된 상태로 드러난다.
wikipedia    세부 사항  

나가사키현:

67.이나사산
이나사산(稲佐山 (いなさやま))은 일본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에 있는 해발 333 미터의 산이다. 재단법인 나가사키 로프웨이 · 수족관이 나가사키시의 위탁을 받아 관리 및 운영한다. 나가사키 시가지의 서쪽에 위치하고 있으며, 정상 (전망대)은 관광지로 잘 알려져 있다. 고도가 낮지만, 나가사키항을 내려다 보는 위치에 있기 때문에 정상 (전망대)에서 보이는 경치가 좋아서 야경 명소로 알려져 있다. 하코다테시의 하코다테산, 고베시의 마야산과 함께 일본 3대 야경으로 불린다. 또한, 이나사산 정상에는 나가사키 로프웨이를 사용하여 오르는 것이 가능하다.
wikipedia    세부 사항  
68.운젠산
운젠산(일본어: 雲仙岳)은 일본 규슈 나가사키현 운젠시에 있는 해발 1,483m의 활화산이다. 성층 화산과 종상 화산이 합쳐진 복합 화산이며, 1991년 분화하였다. 대체로 분화할 경우에는 화산쇄설류가 발생하여 피해를 입는다. 옛날에는 강력한 폭발이 있었는데, 이 화산 주변에 있는 마을이 파뭍히기도 했다. 현재 운젠 화산피해마을을 보존해놓았다. 화산쇄설류가 발생할 경우에는 대체로 산꼭대기가 조금식 무너지면서 발생한다.
wikipedia    세부 사항  

나가사키현:해안

69.구주쿠섬
구주쿠섬(일본어: 九十九島)은 일본 나가사키현 기타마쓰우라반도의 서해안에 놓여있는 군도이다. 이 섬들은 사세보시, 히라도시, 시카마치정에 속하고 있다. 섬들의 개수는 현재 공식적으로 208개인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지역 전체는 사이카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wikipedia    세부 사항  

나가사키현:다리

70.메가네교 (나가사키시)
메가네교(眼鏡橋 메가네바시[*])는 일본 나가사키현 나가사키시 나카시마 강에 가설된 석조 아치교이다. 가교 당시 류큐 왕국이었던 덴뇨 교를 제외하면 일본 최초의 석조 아치 교량이다.[1][2] 1960년에 국가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었다.[3]
wikipedia    세부 사항  

나가사키현:

71.이키쓰키섬
이키쓰키섬은 일본 규슈 나가사키현에 위치해 있는 섬이다. 이 섬은 히라도섬의 북쪽에 위치해 있다. 이 섬 주변에는 여러 유인도, 무인도로 깔려 있다. 이 섬은 대교로 히라도섬에 연결되어 있다. 이 섬의 남서쪽에는 고토 열도가 위치해 있다.
wikipedia    세부 사항  
72.우쿠지마섬
우쿠지마섬(宇久島)은 일본 규슈 나가사키현 고토 열도의 북부에 위치해 있는 섬이다. 이 섬 주변에는 오지카섬, 마다라섬, 노자키섬 등이 위치해 있다. 이 섬의 사람들은 모두 가톨릭 신자이다. 이 섬은 히라도섬의 서쪽에 위치해 있다. 이 섬은 온난한 온난 습윤 기후가 나타나 겨울에도 그다지 춥지 않다.
wikipedia    세부 사항  
73.우니섬
우니섬(일본어: 海栗島 우니지마)은 일본 나가사키현 쓰시마시에 속하는 쓰시마섬의 북쪽에 위치하는 섬이다. 넓이는 약 129.766 제곱미터이며, 해안선의 길이는 총 4km정도이다. 우니 섬이라는 이름은 좋은 품질의 성게(우니)가 잡히는데서 유래되었다. 섬의 전 구역이 군사구역-항공자위대 서부방면대 서부항공경계단 제 19경계단 소속의 우니 섬 주둔기지(레이다 기지)-으로, 기본적으로 민간인 출입이 통제된다. 섬 내부의 민간인 주거구역은 없다. 쇼와 시대 초기에 쓰시마 요새정비의 일환으로서 15cm 캐논포 4문이 설치되었다. 한국전쟁후 한동안 미군기지로 사용되었으나, 1959년 해상자위대 제 9056부대에 관할이동되었다. 이후 항공자위대 기지로 사용되고 있다.
wikipedia    세부 사항  
74.오지카섬
오지카섬(일본어: 小値賀島 오지카지마[*]→소치하도)은 규슈 본토에서 서쪽으로 약 50 km 떨어진 고토 열도의 북부에 있는 섬이다. 섬 전체가 나가사키현 기타마쓰우라군 오지카정에 속한다. 2005년 인구 조사에 의하면 2,758명이 거주하고 있다.
wikipedia    세부 사항  
75.나가사키 공항
나가사키 공항(일본어: 長崎空港, IATA: NGS, ICAO: RJFU)은 일본 나가사키현 오무라시에 있는 국제공항이다. 1975년 5월 1일 개항하였다.
wikipedia    세부 사항  
76.나카도리섬
나카도리섬(中通島)은 일본 규슈 본토로부터 약 50km 떨어진 동중국해에 떠있는 고토 열도를 구성하는 섬의 하나이다. 고토 열도 내에서는 와카마쓰섬의 동쪽에 있고 섬 전체가 나가사키현 미나미마쓰우라군 신카미고토정에 속한다. 면적은 168.34km2로 고토 열도에서는 후쿠에섬에 이어 2번째로 큰 섬이며 인구는 24,992명(2000년)이다. 고토 열도의 다른 섬들처럼 리아스식 해안으로 해안선이 복잡하다. 남서쪽의 와카마쓰섬과는 와카마쓰 대교로 연결되어있고 동쪽의 가시라가섬과는 가시라가시마 대교로 연결되어 있다.
wikipedia    세부 사항  
77.나루섬
나루섬(奈留島)은 일본 고토 열도의 섬 중 하나로 나가사키현 고토시의 일부이다. 규슈 본토에서는 50km 떨어진 동중국해상에 있으며 고토 열도 내에서는 히사카섬과 와카마쓰섬 사이에 있다. 면적은 23.80km2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78.노자키섬
노자키섬(野崎島)은 일본 나가사키현의 고토 열도의 북동부에 있는 섬이다. 섬 전체가 나가사키현 기타마쓰우라군 오지카정에 속한다. 현재는 무인도이다. 고토 열도의 오지카섬 동쪽으로 약 2km 떨어진 곳에 위치한다. 섬 전체가 자연림으로 덮여 있으며, 면적은 약 7.10km2의 남북으로 가늘고 긴 섬으로, 섬 중앙을 사이에두고 북쪽과 남쪽에 높은 산이 있다. 조몬 시대부터 중세까지의 유적이 발견되며, 해발고도 350m의 섬 최고봉 근처에는 〈오에이시〉(王位石) 라는 거석이 있다. 1955년 무렵, 인구는 약 650명이었지만, 1970년대에는 매우 인구가 감소했다. 섬의 중앙부에는 나가사키현에 의해 지정된 문화재인 〈노구비(野首)천주당〉이라는 교회도 있었지만, 1971년에 기독교의 주민이 다른 곳으로 이주해, 교회는 사용을 안 하게 되고, 그 후 1990년대에는 모든 주민이 이주해 무인도가 되었다. 현재 섬에는 야생 사슴이 700 마리 이상 서식하고 있다.
wikipedia    세부 사항  
79.히사카섬
히사카섬(久賀島)은 일본 고토 열도의 섬 중 하나로 나가사키현 고토시의 일부이다. 나가사키 항으로부터 약 90km 떨어진 동중국해상에 있다. 면적은 37.35km2으로 고토 열도 안에서는 후쿠에섬, 나카도리섬에 이어 세 번째로 큰 섬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80.히라도섬
히라도섬(平戶島)은 일본 나가사키현 서북부에 있는 섬이다. 히라도 섬 주변에 수 많은 섬이 있으며, 남서쪽에는 고토 열도가 있다. 이 섬은 이키쓰키대교로 규슈 본토와 연결되어 있다. 이 섬의 면적은 약 163.52km2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81.후쿠에섬
후쿠에섬(福江島)은 일본 고토 열도의 가장 큰 섬이자 최남단에 있는 섬으로 나가사키현 고토시의 일부이다. 일본 국내에서는 11번째로 면적이 큰 섬이다. 2004년 8월 1일 이전에는 후쿠에 시와 토미에 정, 타마노라 정, 미이라쿠 정, 키시쿠 정의 1시4정으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2004년 8월 1일의 시정촌 합병에 의해 섬 전역이 고토시의 일부가 되었다.
wikipedia    세부 사항  
82.와카마쓰섬
와카마쓰섬(若松島)은 일본 고토 열도의 섬 중 하나로 나가사키현 신카미고토정의 일부이다. 규슈 본토로부터 약 50km 떨어진 동중국해상에 있고 고토 열도 내에서는 나카도리섬의 남서쪽, 나루섬의 북동쪽에 위치한다. 면적은 30.99km2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83.와라비코섬
와라비코섬(蕨小島)은 일본 규슈 나가사키현 고토 열도의 섬이다. 이 섬의 면적은 0.03km2이다. 이 섬은 동중국해에 위치해 있는 섬이며 이 섬의 주민들은 모두 가톨릭 신자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나가사키현:

84.아리마강
아리마강(일본어: 有馬川 아리마가와[*])은 시마바라반도 남부에서 동쪽으로 흐르고, 아리아케해로 흐르는 하천이다. 유역은 나가사키현 미나미시마바라시에 속하지만, 원류부는 운젠시에 속한다.
wikipedia    세부 사항  
85.니타천
니타천(仁田川)은 쓰시마섬의 가미쓰시마의 중앙부를 서쪽으로 흘러갈 수 있도록 하는 니타만(仁田湾, 부산해협)을 연결시켜 주는 2급 하천이다. 이 하천의 유역은 나가사키현 쓰시마시에 속하고 있다. 이 하천이 가미쓰시마 일대를 가로지르는 쓰시마섬에서 가장 큰 하천으로, 유역의 면적은 총합 79.9제곱킬로미터이다. 그러나 니타천은 나가사키현의 주요 하천 중 혼묘천, 사자천, 가와타나천 다음으로 네 번째로 긴 하천이기도 하다. 또한 총 연장은 12.9km, 수원의 최고 고도는 343m로 비교적 높은 축에 속하게 된다. 주요 하천 시설에는 메호로댐과 니타댐으로 구분된다. 두 댐들 중에서 니타댐은 1978년에 축조된 것이고, 메호로댐은 1999년에 축조된 것으로 드러나고 있다.
wikipedia    세부 사항  

나가사키현:명산품

86.참서대
참서대(Dover sole)는 가자미목 참서대과의 물고기이다. 몸길이는 30cm 정도이고 눈이 몹시 작다. 눈은 몸의 왼쪽에 몰려 있고 가슴지느러미가 없다. 비늘은 둥근 비늘이고, 왼쪽 뒤쪽에 빗비늘이 약간 있다. 몸빛깔은 오른쪽은 적갈색, 왼쪽은 흰색이다. 연안의 모래바닥에 산다. 산란기는 6-7월 무렵이며, 맛이 좋고 지방이 적어 미용 식품으로 좋다. 특히 여름철에 맛이 있다. 한반도 황해와 남해, 일본 중부 이남·타이완·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wikipedia    세부 사항  
87.샛돔
샛돔은 농어목 샛돔과의 바닷물고기이다. 이 물고기는 30cm로 성장할 수 있고 일본 근처 서태평양, 대만 해협과 동중국해에서 발견된다. 샛돔은 열대 바다를 선호한다. 이것은 홍콩 근처의 바다에서 발견된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370m의 표층에서 서식한다. 성체는 주로 대륙붕에 살지만 밤에는 먹이를 찾기 위해 표층으로 이동한다.
wikipedia    세부 사항  
88.가쿠니
가쿠니(Kakuni, 角煮)는 일본식 돼지고기 찜 요리로, 글자 그대로 "사각형 조림"을 의미한다.[1] 가쿠니는 규슈, 특히 나가사키의 인기 있는 지역 요리이다. 이 특별한 요리는 유명한 중국 요리인 동포 돼기고기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육즙이 원래의 것보다는 덜하지만 일본식 중국 요리의 한 형태로 인정된다.[2] 명나라와 송나라 때 항저우와 규슈 사이에 주요 청일 교역로가 존재했다. 많은 중국인들이 나가사키와 같은 규슈의 주요 항구 도시들에 살았고, 마찬가지로 많은 일본인들이 항저우에 살았다. 그래서, 돼지고기는 규슈의 주요 도시에서 대중화되었다.
wikipedia    세부 사항  
89.가라스미
가라스미(일본어: カラスミ)는 일본에서 숭어 등의 생선알을 소금을 절인 후 말려 건조시킨 것이다. 일본에서는 숭어를 이용하여 나가사키현에서 생산된 것이 유명하지만, 가가와현에서는 삼치나 고등어를 사용한다. 일본 이외에서도 타이완과 이탈리아의 사르데냐, 스페인, 이집트 (보타르가)에서도 만들어진다.
wikipedia    세부 사항  
90.싯포쿠
싯포쿠(卓袱)는 중국 요리의 영향을 많이 받은 일본 요리 스타일이다. 유럽, 중국, 일본 요리의 요소를 결합한 퓨전 요리이자 '하이브리드 요리'로 설명되어 왔다. 싯포쿠 요리에 사용되는 고기에는 가금류, 생선, 수렵육이 포함된다. 사케는 일반적으로 싯포쿠 요리와 함께 제공된다. 싯포쿠 스타일의 서비스에는 일반적으로 전체 식사를 구성하는 여러 개의 작은 요리가 포함된다. 싯포쿠 요리는 1603년부터 1868년까지의 에도 시대에 일본 나가사키로 이주한 중국인으로부터 유래되었다. 나가사키는 '쇄국의 세기' 동안 외국인(포르투갈인, 네덜란드인, 중국인)이 거주하도록 허용된 일본 유일의 장소였다. 18세기 일본에서는 일본 지식인들 사이에서 중국 요리의 인기가 높아졌고, 중국 요리의 영향을 받은 채식 요리인 싯포쿠 요리와 후차 요리를 중심으로 한 음식점이 등장했다.
wikipedia    세부 사항  
91.여주 (식물)
여주(문화어: 유자, 영어: momordica charantia) 또는 비터 멜론(영어: bitter melon, bitter gourd, bitter squash)은 박과에 딸린 한해살이풀, 또는 그 열매를 말한다. 고과(苦瓜)라고도 한다. 열대 아시아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어 기른다. 줄기는 덩굴손으로 물체를 감으며 잎은 5~7개로 크게 갈라진다. 덩굴손과 잎이 마주난다. 7~8월에 피는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하나씩 달리는데 노란색이다. 열매가 특이한데, 길이 7~9 센티미터 정도 되는 길둥근 모양으로 조그만 혹 모양 돌기가 열매 가득 돋아 있으며 익으면 갈라져 붉은색 육질에 싸여 있는 씨가 드러난다.
wikipedia    세부 사항  
92.덴푸라
덴푸라(일본어: 天ぷら)는 일본의 튀김 요리이다. 해산물이나 채소 등에 밀가루 튀김옷을 입혀 기름에 튀겨 내는 음식으로, 16세기 후반 경 포르투갈 선교사에 의해 전해진 서양 요리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다. 에도막부가 식용유 증산을 주도한 후 튀김요리가 널리 보급되면서 현대들어서는 일본의 국민 음식 가운데 하나로 자리잡게 되었다. 180도 정도의 고온으로 뜨거워진 기름에 단시간 내에 음식을 익힘으로 인해 영양가 손실이 적고 식재료 본연의 맛이 살아 있으며 기름으로 인해 고소한 맛을 더한다. 더운 날씨에 냉장 보관하지 않아도 쉽게 상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튀김옷이나 식재료에 지방이 흡수되어 칼로리가 높은 음식으로 변한다.
wikipedia    세부 사항  
93.도루코라이스
도루코라이스(일본어: トルコライス) 또는 도루코후 라이스(일본어: トルコ風ライス→터키풍 라이스)는 일본 나가사키현 요리로, 주로 나가사키를 중심으로 한 요리이다. 한 접시에 여러 가지 반찬이 담아진 서양식 퓨전 요리이다. 오사카시, 고베시에도 도루코라이스가 존재하지만 내용물은 지역마다 다르다. 또한 규슈에서는 나가사키현 이외에서는 거의 볼 수 없다. 가장 일반적인 것은 필라프, 나폴리탄, 드미글라스가 곁들어진 돈카쓰라는 조합이다.[1]
wikipedia    세부 사항  
94.거북복과
거북복과(Ostraciidae)는 복어목에 속하는 조기어류 물고기과의 하나이다.[1] 참복류, 쥐치류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8개의 현존 속에 약 24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뿔복, 거북복, 코거북복, 노랑거북복 등을 포함하고 있다.
wikipedia    세부 사항  
95.참바리아과
참바리(grouper; groper [ɡruːpə][*])는 농어목 바리아목 바리과 참바리아과(Epinephelinae 에피네펠리나에[*])에 속하는 물고기들을 총칭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96.멘보샤
멘보샤는 작은 정사각형 모양으로 자른 식빵 사이에 잘게 다진 새우를 넣어서 샌드위치나 토스트처럼 만든 다음에 기름에 튀겨서 만드는 중국 요리이다. 한국에서는 중국 산둥성 출신 화교들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고 세계 각지에 위치한 중국 음식점에서도 가끔 만들기도 한다.
wikipedia    세부 사항  
97.밀크셰이크
밀크셰이크(Milk Shake)는 우유와 아이스크림, 또는 얼린 우유로 만든 시원하고 달콤한 음식이다. 맛을 낼 때는 버터스카치, 캐러멜 소스, 과일 시럽이나 초콜릿 시럽을 사용한다. 밀크셰이크는 보통 긴 유리 잔에 빨대와 함께 나오며, 휩트 크림(생크림을 거품 낸 크림)을 곁들여 나오는 경우도 있다. 인기 있는 밀크셰이크 종류로는 바닐라, 초콜릿, 딸기, 바나나 등이 있다. 미국의 일부 뉴 잉글랜드 지방과 영국 연방 지역에서는 밀크셰이크를 아이스크림 없이 만든다. 음식점, 음료수 판매 코너, 간이식당 등에서는 퍼낸 아이스크림과 우유를 스테인리스강으로 된 컵에 담아 블렌더나 믹서를 사용하여 직접 섞는다. 대부분의 패스트 푸드 식당은 일부를 제외하고는 아이스크림을 직접 섞어서 만들지 않고, 대신에 자동 밀크셰이크 기계를 이용하여 우유와 감미료, 농후제를 혼합하여 미리 얼려 만든 밀크셰이크를 판매한다. 데어리 퀸과 같은 일부 패스트 푸드 식당에서는 소프트 아이스크림 (또는 얼린 우유)과 감미료, 초콜릿 시럽이나 과일 시럽, 우유를 섞은 밀크셰이크를 제공한다. 또한 운동을 목적으로 마실 때에는 저지방우유에 단백질 분말을 넣어서 단백질 셰이크로 먹기도 한다. 밀크셰이크는 음료보다는 후식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wikipedia    세부 사항  

나가사키현:과자

98.사라우동
사라우동(일본어: 皿うどん 사라우동[*]→접시우동)은 나가사키현의 향토 요리이다. 우동의 일종이라고 생각할 수 있지만, 소바에 가까운 음식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99.잔폰
잔폰(일본어: ちゃんぽん, 영어: champon, chanpon)은 돼지고기, 채소, 생선 생산품을 재료로 한 일본의 국수 요리이며, 나가사키 향토 요리로 널리 알려져 있다. 흔히 나가사키 짬뽕(잔폰)이라고 불리는 것이 이 요리다. 잔폰은 1899년, 일본 나가사키에 중식당 시카이로(四海樓)를 개업한 푸젠성(福建省) 출신 화교 천핑순(陳平順)이 고향 음식인 탕육사면(湯肉絲麵)을 참고해 만들었다. 당시 끼니를 거르던 푸젠성 출신 중국인 유학생들을 위해 천핑순이 잔반을 모아 차려 준 간단한 국수 요리가 이후 잔폰이 되었다는 이야기가 전해진다.
wikipedia    세부 사항  
100.로쿠베에
로쿠베에(ろくべえ)는 고구마를 이용한 일종의 국수이며 얇게 썬 고구마를 말려 가루로 만들어서 발효시키는 과정을 반복한 후 센단고를 만듥이것을 다시 가루로 내 물과 함께 반죽하여 강판을 대고 뜨거운 물에 갈아 만든 면이다.
wikipedia    세부 사항  

Back to TOP

회사소개/문의/회사/개인정보취급방침/면책조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