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슈리역 |
슈리역(일본어: 首里駅, しゅりえき)은 일본 오키나와현 나하시에 있는 오키나와 도시 모노레일의 철도역으로, 2019년 9월 30일까지 유이레일의 종점이었고 이후엔 데다코우라니시역까지 연장 되었다. 역 번호는 15이다. |
wikipedia |
6.잘못된 제목 |
|
wikipedia |
7.쓰보가와역 |
쓰보가와역(일본어: 壺川駅 쓰보가와에키[*])는 일본 오키나와현 나하시에 있는 모노레일 철도역이다. |
wikipedia |
8.나하공항역 |
나하공항역[1](일본어: 那覇空港駅, なはくうこうえき)은 일본 오키나와현 나하시에 있는 모노레일 철도역이며, 일본 최서단의 철도 역사이다. |
wikipedia |
9.후루지마역 |
후루지마역(일본어: 古島駅 후루지마에키[*])는 일본 오키나와현 나하시에 있는 모노레일 철도역이다. |
wikipedia |
10.마키시역 |
마키시역(일본어: 牧志駅 마키시에키[*])는 일본 오키나와현 나하시에 있는 모노레일 철도역이다. 국제 거리의 북쪽 입구에 해당하는 복합 상업 시설 사이온 스퀘어 건물과 갑판에서 직결된다. |
wikipedia |
11.미에바시역 |
미에바시역(일본어: 美栄橋駅 미에바시에키[*])는 일본 오키나와현 나하시에 있는 모노레일 철도역이다. |
wikipedia |
12.우라소에마에다역 |
우라소에마에다역(일본어: 浦添前田駅)은 일본 오키나와현 우라소에시에 있는 오키나와 도시 모노레일의 철도역[2]으로, 역 번호는 18이다. 2019년 10월 1일에 개통한 유이레일의 역 중 우라소에시에 속한 3역 중 하나이다. 우라소에시 중심부에 가장 가까운 역이기도 하다. |
wikipedia |
13.교즈카역 |
교즈카역(일본어: 経塚駅)은 일본 오키나와현 우라소에시에 있는 오키나와 도시 모노레일의 철도역[2]으로, 역 번호는 17이다. ’우라소에시로 이어지는 첫 모노레일 역’(浦添市へ続く初めてのモノレール駅)[3]이다. |
wikipedia |
14.데다코우라니시역 |
데다코우라니시역(일본어: てだこ浦西駅)은 일본 오키나와현 우라소에시에 있는 오키나와 도시 모노레일의 철도역[2]으로, 역 번호는 19이다. 2019년 10월 1일에 개통한 유이레일의 역 중 우라소에시에 속한 3역 중 하나이며 종착역이다. 역명은 연장노선 내 다른 3역과 더불어 공개모집으로 결정되었다.[3] 역명에 들어간 '데다코'(てだこ(日子))는 오키나와 방언으로 '태양의 자식'이라는 의미로, 현재의 우라소에 지역에서 출생했다 일컬어지는 류큐왕국의 에소(英祖, 영조)의 다른 명칭인 '에소노테다코'(英祖日子, えそのてだこ)와 관련이 있다.[4] 역명 결정전까지는 가명으로 '우라니시역'이 사용되었다.[5] |
wikipedia |
15.아카미네역 |
아키미네역(일본어: 赤嶺駅 아카미네에키[*], 슈리어 : あかんみ(아칸미))는 일본 오키나와현 나하시에 있는 모노레일 철도역이다. 이 역은 현재 북위 26도 11분 36초에 위치해 있어, 현재까지 일본의 최남단 역으로 인증되어 있다. |
wikipedia |
16.아사토역 |
아사토역(일본어: 安里駅 아사토에키[*])는 일본 오키나와현 나하시에 있는 모노레일 철도역이다. |
wikipedia |
17.아사히바시역 |
아사히바시역(일본어: 旭橋駅 아사히바시에키[*])는 일본 오키나와현 나하시에 있는 모노레일 철도역이다. |
wikipedia |
18.이시미네역 |
이시미네역(일본어: 石嶺駅)은 일본 오키나와현 나하시에 있는 오키나와 도시 모노레일의 철도역으로, 역 번호는 16이다. |
wikipedia |
19.오노야마공원역 |
오노야마공원역[1](일본어: 奥武山公園駅 오노야마코엔에키[*])은 일본 오키나와현 나하시에 있는 모노레일 철도역이다. |
wikipedia |
20.오모로마치역 |
오모로마치역(일본어: おもろまち駅 오모로마치에키[*])는 일본 오키나와현 나하시에 있는 모노레일 철도역이다. |
wikipedia |
21.오로쿠역 |
오로쿠역(일본어: 小禄駅 오로쿠에키[*])은 일본 오키나와현 나하시에 있는 모노레일 철도역이다. |
wikipedia |
22.기보역 |
기보역(일본어: 儀保駅 기보에키[*])은 일본 오키나와현 나하시에 있는 모노레일 철도역이다. |
wikipedia |
23.현청앞역 (오키나와현) |
현청앞역[1][2], 또는 겐초마에역(일본어: 県庁前駅 켄쵸마에에키[*])은 일본 오키나와현 나하시에 있는 오키나와 도시 모노레일의 철도역이다. |
wikipedia |
33.아구니섬 |
아구니섬(일본어: 粟国島, あぐにじま 아구니지마[*])은 오키나와 제도의 섬이다. 오키나와현 시마지리군 아구니촌에 속해 있다. 나하시에서 북서쪽으로 약 60km 지점에 위치하며 주위는 약 12 km, 면적은 7.63km2이다. 주변에 섬은 없으며 농업과 어업을 주로 하는 곳이다. |
wikipedia |
34.이에섬 |
이에섬(일본어: 伊江島 이에지마[*])은 일본 류큐열도에 속하는 섬이다. 이 섬은 오키나와섬의 서쪽에 위치하고 있다. 면적은 22.73 km2이다. 이 섬은 온난 다습하기 때문에 코코넛, 야자, 사탕수수, 국화, 커피, 카카오 등이 생산된다. 기후는 온난 습윤 기후 중에서 온난한 편이며 겨울에도 10도 아래로 내려가는 일이 없다. |
wikipedia |
35.이오토리섬 |
이오토리섬(일본어: 硫黄鳥島)은 일본 류큐 열도의 섬이다. 오키나와현의 최북단 섬으로, 오키나와현 내에서 유일하게 활화산이 있는 섬이다. 1967년 이후 사실상 무인도이다. 이오섬이랑 이름이 비슷하여 오인을 받기도 한다. 가고시마현과 가까우며 화산 2개를 띄고 있다. 14세기 후반, 이오토리섬이 류큐국 소유였던 당시 명나라에선 유황이 유행하고 있었고 유황이 많이 매장되어 있던 이오토리섬을 눈여겨 보고 있었다. 눈여겨 보고 있었던 명나라는 결국 류큐국에게 조공을 바치라 하였고, 조공을 바치는 행위는 청나라 때도 이어졌다. 그러나 1879년 일본 제국이 류큐국을 멸망시키면서 이오토리섬은 일본 제국 소유의 섬이 되었고, 1903년 일본 제국은 뒤늦게 유황 채굴을 시작했다. 그러나 1959년 화산 분화로 주민들이 하나둘씩 섬을 떠나갔고, 1967년 유황 채굴 지휘자를 끝으로 무인도가 되었다. 현재까지도 이오토리섬에 거주하는 사람은 없다. |
wikipedia |
36.구니가미 |
구니가미(일본어: 国頭, 국두)는 일본 오키나와 제도의 지명으로, 북쪽이 있는 지역을 말한다. |
wikipedia |
37.구메섬 |
구메섬(일본어: 久米島)은 오키나와현 나하시에서 서쪽으로 약 100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면적 59.11 제곱 킬로미터, 인구 1만 명 미만의 섬이다. 행정상으로는 섬 전체가 구메지마정에 포함된다. 관광 산업이 유명한데, 특히 다이빙 레저가 유명하다. JAL계와 ANA계가 리조트 호텔을 운영하고 있으며, 해안에는 민박 등도 많이 위치해 있다. |
wikipedia |
38.시마지리 |
시마지리(島尻)는 오키나와 본섬의 남서부 지역이다. 오키나와 본섬은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구니가미, 나카가미, 시마지리로 3등분 된다. 중심 도시는 나하시다. |
wikipedia |
39.나카가미 |
나카가미(中頭)는 일본 오키나와 본섬의 중부 지역이다. 오키나와 본섬은 북동쪽에서 남서쪽으로 구니가미·나카가미· 시마지리로 3분되어 나카가미는 그 중 하나이다. 중심 도시는 오키나와시다. |
wikipedia |
40.게라마 제도 |
게라마 제도(일본어: 慶良間諸島)는 오키나와현 나하시(오키나와섬 남부)의 서쪽 약 40km의 동중국해상에 흩어져있는 20개 남짓의 섬들로 이루어진 군도이다. 행정상으로 도카시키섬을 중심으로 하는 도카시키촌과 자마미섬을 중심으로 하는 자마미촌의 2개의 촌으로 나뉘어 있다. 도카시키 섬 서부의 해역 120ha와 자마미섬과 아카지마섬 사이의 무인도를 포함한 해역 233ha가 게라마 제도 해역이라는 명칭으로 2005년 11월, 람사르 협약 등록지가 되었다. 세계에서도 유수한 투명도를 자랑하는 바다는 다이빙이나 고래관찰 장소로서 인기가 높다. 또 게라마지카는 게라마 제도의 고유한 사슴으로 여기에서 밖에 생식하지 않는다. |
wikipedia |
41.자마미섬 |
자마미섬(일본어: 座間味島)은 게라마 제도에 속하는 섬으로 오키나와현 시마지리군 자마미촌에 속한다. 후루자마미 해변이나 아마 해변 등 아름다운 해변이 있어 많은 관광객이 이 섬을 방문한다. 또 섬내의 산이나 곶에 있는 전망대에서의 전망도 아름답다. 신석기 시대부터 자마미섬에 사람들이 이주하여 살았던 것으로 추정된다.[1] 자미미섬은 옛날부터 해상 교통 요충지로서 류큐 왕국과 중국 여러 왕조의 무역 중심지였다.[2] |
wikipedia |
42.도카시키섬 |
도카시키섬(일본어: 渡嘉敷島)은 게라마 제도에 속하는 섬으로 오키나와현 시마지리군 도카시키촌에 속한다. 도카시키촌의 촌사무소가 놓여져있는 게라마 제도의 중심지이지만 같은 게라마 제도의 자마미섬이나 근접하는 아구니 제도로의 직행편은 존재하지 않는다. 면적은 15.29km2, 둘레 약 25km, 최고점은 227m이며 인구는 약 700명이다. |
wikipedia |
43.우오쓰리섬 |
우오쓰리섬(일본어: 魚釣島 우오츠리지마[*]) 또는 댜오위섬(중국어: 釣魚島)은 센카쿠 제도 또는 댜오위다오에서 가장 큰 섬이다. 현재는 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도이다. 나라하라산(중국명 가오화봉)과 뵤부산(중국명 선눙봉)이 있다. |
wikipedia |
44.오키노키타 암 |
오키노키타 암(일본어: 沖の北岩 오니코키타이와[*]) 또는 베이얀(중국어: 北岩)은 일본 오키나와현 이시가키시 또는 중국 타이완성의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에 있는 무인도이다. |
wikipedia |
45.오키노미나미 암 |
오키노미나미 암(일본어: 沖の南岩 오키노미나미이와[*]) 또는 난얀(중국어: 南岩)은 일본 오키나와현 이시가키시 또는 중국 타이완성의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에 있는 무인도이다.[출처 필요] |
wikipedia |
46.기타코섬 |
기타코섬(일본어: 北小島 기타코지마[*]) 또는 베이샤오섬(중국어: 北小島)은 센카쿠 또는 댜오위다오에 있는 무인도이다. |
wikipedia |
47.기타코섬 (구바섬 부근) |
기타코섬(일본어: 北小島 기타코지마[*]) 또는 상후야섬(중국어: 上虎牙岛)은 센카쿠 또는 댜오위다오의 구바섬(중국명: 황웨이섬) 북쪽에 위치한 무인도이다. |
wikipedia |
48.구바섬 |
구바섬(일본어: 久場島 구바지마[*]) 또는 황웨이섬(중국어: 黄尾嶼)은 센카쿠 제도 또는 댜오위다오에 있는 무인도이다.지토세산(중국명 황마오봉)이 있다. |
wikipedia |
49.다이쇼섬 |
다이쇼섬(일본어: 大正島 다이쇼지마[*]) 또는 츠웨이섬(중국어: 赤尾嶼)은 일본 오키나와현 이시가키시 또는 중국 타이완성의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에 있는 무인도이다. |
wikipedia |
50.도비세 |
도비세(일본어: 飛瀬 도비세[*]) 또는 페이자오얀(중국어: 飛礁岩)은 일본 오키나와현 이시가키시 또는 중국 타이완성의 센카쿠 열도(중국명 댜오위다오)에 있는 무인도이다. |
wikipedia |
51.호쿠세이코섬 |
호쿠세이코섬(일본어: 北西小島 호쿠세이코지마[*]) 또는 하이툰섬(중국어: 海豚岛)은 센카쿠 또는 댜오위다오의 섬인 구바섬(중국명: 황웨이섬)의 북서쪽에 위치한 무인도이다. |
wikipedia |
52.호쿠토코섬 |
호쿠토코섬(일본어: 北東小島 호쿠토코지마[*])) 또는 샤후야섬(중국어: 下虎牙岛)은 센카쿠 또는 댜오위다오의 구바섬(중국명: 황웨이섬) 북동쪽에 위치한 무인도이다. |
wikipedia |
53.미나미코섬 |
미나미코섬(일본어: 南小島 미나미코지마[*]) 또는 난샤오섬(중국어: 南小島)은 센카쿠 또는 댜오위다오에 있는 무인도이다. |
wikipedia |
54.다이토 제도 |
다이토 제도(일본어: 大東諸島 だいとう しょとう[*])는 일본 류큐 열도의 동쪽에 있는 태평양의 제도이다. 기타다이토섬, 미나미다이토섬, 오키다이토섬으로 구성되어 있다. 행정구역상 기타다이토섬 및 오키다이토섬이 오키나와현 시마지리군 기타다이토촌, 미나미다이토섬이 미나미다이토촌에 속해 있다. 오키나와섬의 동쪽, 약 340 km의 태평양상에 위치한다. 열대 몬순 기후가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다. 메이지 시대에 다른 지역에서 사람들이 이주해오기 전까지는 무인도였다. 1885년에 일본 영유가 확정되었다. 접안이 어려워 개척이 쉽지 않았으나, 1899년 다마오키(玉置半右衛門)가 이끄는 하치조섬(八丈島)에서 온 개척 이민 22명이 상륙, 정착에 성공했다. 그 이후 시정촌은 설치되지 않은 채 다마오키(玉置) 상회, 이어 대일본제당(大日本製糖)이 행정운영을 대신해 오다가 제2차 세계대전 이후 미군정 아래에서 미나미다이토촌(南大東村)과 기타다이토촌(北大東村)이 설치되었다.[1] |
wikipedia |
55.오키다이토섬 |
오키다이토섬(일본어: 沖大東島) 또는 라사섬(일본어: ラサ島)은 일본 오키나와현 남동쪽의 다이토 제도에 있는 무인도이다. 나하시에서 남동쪽으로 408km, 미나미다이토섬에서 남쪽으로 약 150km 떨어진 태평양상에 있는 융기 산호초 섬이다. 일본은 1900년 이래로 이 섬의 영유권을 주장하였다. 1911년에 "라사섬 인광합자회사"(현 라사 공업)가 설립되었고 오랫동안 많은 인광석이 채굴되었다. 미나미다이토섬이나 기타다이토섬과 달리 현재에도 여전히 라사 공업의 사유지이다. 일찍이 일본 제국 해군의 기상대가 있어 1945년에 공습으로 소실될 때까지 일본 태풍 관측상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었다. |
wikipedia |
56.기타다이토섬 |
기타다이토섬(일본어: 北大東島)은 일본 다이토 제도 섬의 하나로 시마지리군 기타다이토촌에 속한다. 면적은 11.94km2이고 해안선의 길이는 18.3km, 최고 높이는 74m이다. 기타다이토섬은 오키나와섬에서 동쪽으로 360km 떨어져있다. 섬의 특징은 모래 사장이나 접근 가능한 자연 항구가 없다는 것이다. 식료품은 매주 한 번 배로 운반된다. 어업은 주민들의 주요 음식 공급원이자 취미 활동이다. 기타다이토 공항이 섬의 주요 교통 수단 역할을 한다. 이 공항은 1971년 4월에 비상 착륙의 목적으로 만들어졌다. 메이지 시대에 일본의 다른 지역에서 사람들이 이주해오기 전까지는 무인도였다. |
wikipedia |
57.오키나와 요리 |
오키나와 요리(Okinawa料理, 오키나와어: うちなーりょうり 우치나료리, 일본어: 沖縄料理 오키나와료리[*])는 일본 오키나와현 고유의 음식을 가리킨다. 류큐 요리(Ryukyu料理, 오키나와어: るーちゅーりょうり 루추료리, 일본어: 琉球料理 류쿠료리[*])라고도 부르는데, 이 경우엔 류큐 왕국 시절의 궁중요리를 가리키는 경우로 별도의 의미로 쓰이는 일이 많다. 오키나와현의 요리는 일본 타지역과는 다르게 사계절이 불분명한 기후로서 본토에서 일반적인 음식자재를 구할 수 없는(재배불가) 경우가 많은 한편, 오키나와만의 식자재도 보이며 여기에 사용되는 채소류가 본토와 조금 달라서 버섯류의 사용이 적다. 또한 일본 본토보다는 향신료를 많이 쓰지만, 일반적인 열대 도서지역보다는 향신료를 적게 쓰는 편이다. 바다에 둘러싸인 다도현(多島縣)이긴 하지만 그에 비례하여 생선요리가 그다지 발달되어 있지 않은 점도 특징중 하나이다. 이에 반해 본토에서 불교 철학에 기반한 왕명으로 19세기 말까지 1200년간 금지된 육식이 오키나와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아, 돼지고기 요리가 널리 발달해왔다. |
wikipedia |
58.집오리 |
집오리는 오리과에 속하는 새로, 가압(家鴨)이라고도 한다. 학명은 Anas platyrhynchos domesticus이다. 대부분의 가축화된 집오리는 야생 청둥오리를 길들인 것이다.[1][2] 몸은 청둥오리에 비해 뚱뚱하고 편평한 달걀 모양에 온 몸에 솜 같은 깃털이 빽빽이 자라나 있다. 수컷은 아름답고 목에 흰 띠를 두르고 큰 소리로 운다. 발가락 사이에 물갈퀴가 발달해서 물 속에 잘 들어간다. 곡물·어패·수초 등을 먹고 산다. 루앙종, 인디언러너종 등 25품종 이상으로 개량되어 있다. |
wikipedia |
59.A&W 레스토랑 |
A&W 레스토랑(A&W Restaurants)은 미국 켄터키주 렉싱턴에 본사를 둔 패스트푸드 체인점이다. 이 레스토랑은 1919년에 캘리포니아주 로디에서 설립되었으며, 루트 비어로 유명하다. |
wikipedia |
60.가쿠니 |
가쿠니(Kakuni, 角煮)는 일본식 돼지고기 찜 요리로, 글자 그대로 "사각형 조림"을 의미한다.[1] 가쿠니는 규슈, 특히 나가사키의 인기 있는 지역 요리이다. 이 특별한 요리는 유명한 중국 요리인 동포 돼기고기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육즙이 원래의 것보다는 덜하지만 일본식 중국 요리의 한 형태로 인정된다.[2] 명나라와 송나라 때 항저우와 규슈 사이에 주요 청일 교역로가 존재했다. 많은 중국인들이 나가사키와 같은 규슈의 주요 항구 도시들에 살았고, 마찬가지로 많은 일본인들이 항저우에 살았다. 그래서, 돼지고기는 규슈의 주요 도시에서 대중화되었다. |
wikipedia |
61.콜레르파 렌틸리페라 |
콜레르파 렌틸리페라 또는 바다포도는 인도태평양의 해안가에 서식하는 해조류이며 부드러운 다육질의 질감을 자랑하는 인기 있는 식용 옥덩굴류 중 하나다. 필리핀에서는 바다포도를 양식하여 식용하는데 latô , arosep 등의 다양한 이름으로 불린다. 말레이시아의 사바주에서는 latok으로 불리며 바자우족이 곧잘 먹는다. 일본 오키나와에서는 우미부도(海ぶどう)라고 부르는데 "바다포도"를 의미한다.[1] 베트남에서는 rong nho , rong nho biển라고 불리는데, "포도 조류"나 "바다포도 조류"를 의미한다.[2] 한국에서는 "바다포도"로 알려져있다. 영미권에서는 근연종 콜레르파 라세모사(en:caulerpa racemosa)와 함께 green caviar, sea grapes로 알려져있다.[3] 인도네시아, 특히 발리섬에서는 bulung이라고 불린다. |
wikipedia |
62.줄무늬고등어 |
줄무늬고등어(Rastrelliger kanagurta)는 고등어과의 물고기이다. 인도양과 서부 태평양 및 인근 해역에 분포한다. |
wikipedia |
63.고수 (식물) |
고수(영어: coriander, cilantro) 또는 빈대풀은 미나리과에 딸린 한해살이풀이다. 동유럽 원산이다. |
wikipedia |
64.사탕수수 (종) |
사탕수수(학명: Saccharum officinarum 사카룸 오피키나룸[*])는 벼과의 개사탕수수속의 여러해살이풀이다.[1] |
wikipedia |
65.시콰사 |
시콰사( 일본명 :히라미레몬(平実檸檬), 학명 : Citrus × depressa)는 귤과의 상록식물, 감귤류에 속한다. 일본어 오키나와 방언 에서 '시'는 ' 시다 '[1], '콰사'는 '먹다'라는 의미로[2], '시콰사'라는 명칭은 '식초를 먹다' 라는 의미가 있다[3] . |
wikipedia |
66.날개콩 |
날개콩, 윙드빈(winged bean), 프소포카르푸스 테트라고놀로부스(Psophocarpus tetragonolobus)는 열대 초본협과식물이다. 뉴기니가 기원인 것으로 추정된다.[1] 남아시아, 동남아시아의 덥고 습기가 있는 국가들에서 잘 성장한다. 동남아시아와 파퓨아뉴기니에서는 잘 알려져 있기는 하지만 소규모로만 경작된다.[2] 날개콩은 다양한 용도와 질병 저항을 목적으로 동아시아의 농부들과 소비자들에게 널리 인식되어 있다. 날개콩은 영양가가 충분하며 모든 식물 부위를 먹을 수 있다. 잎은 시금치처럼 먹을 수 있고 꽃은 샐러드에 사용할 수 있으며 덩이줄기는 날로 먹거나 조리해서 먹을 수 있으며 씨는 대두와 비슷한 방식으로 사용이 가능하다. |
wikipedia |
67.재스민차 |
재스민차(중국어: 茉莉花茶, 병음: mòlìhuā chá, 영어: Jasmine tea)는 중국의 차 종류 중 하나이다. 차 잎에 재스민 꽃 향기를 흡착 시킨 차로, 중국에서 가장 유명한 향기나는 차 중 하나이다.[1] 강한 꽃 향기가 나지만 차 맛을 방해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녹차가 이용되지만 백차나 우롱차를 사용하기도 한다. |
wikipedia |
68.장두 |
장두(長豆) 또는 줄콩은 콩과의 한해살이 덩굴식물인 동부의 재배종이다. |
wikipedia |
69.스팸 |
스팸(SPAM)은 미국 호멜 식품 회사(Hormel Foods Corporation)의 통조림 햄 상표이다. 1937년에 도입된 이후 제2차 세계대전 동안에 널리 판매된 이후 세계적으로 인기를 얻고 있다.[1] 2003년, 스팸은 6개 대륙의 41개국에서 판매되었으며 100여개 국가에서 상표가 등록되었다.(중동 및 북아프리카 제외)[2] 2007년, 스팸은 약 70억 개가 판매되었다.[3] 대한민국에서는 현재 CJ제일제당이 호멜 사와의 기술제휴하에 생산하고 있다. 스팸의 주재료는 돼지고기의 어깻살이다. 어깻살을 사용한 이유는 당시 어깻살은 넓적다리 햄을 만들고 남은 부산물이었으며, 뼈를 발라내기 어렵고 인기가 낮아 버리던 부위였다. 버리는 어깻살을 갈아서 통조림 햄으로 사용한 것이 스팸이다. 여기에 소금, 물, 감자 전분 등이 첨가되고, 보존제로 결합제, 설탕, 아질산나트륨도 추가된다. 생산 과정중 캔 조리 과정에서 천연 젤라틴이 형성된다.[4] 스팸의 지방, 나트륨, 방부제가 많이 들어간 것에 대해 건강 문제로 많은 문제가 제기되기도 하였다. |
wikipedia |
70.스팸 무스비 |
스팸 무스비(スパムむすび, spam musubi)는 일본의 전통 요리인 주먹밥과 태평양 섬 지역에 미군 식량으로 보급된 스팸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음식으로, 하와이에서 일반적으로 경식, 간식으로 먹는다. 스팸 무스비는 저렴하고 간편하기 때문에, 하와이 전역에 있는 편의점에서 쉽게 구입할 수 있다.[1] |
wikipedia |
71.소철 (식물) |
소철(蘇鐵)은 소철속에 속하는 겉씨식물로, 학명은 Cycas revoluta Thunb.이다. 상록수로서, 높이는 1-4m 정도이며 지름은 20-30cm이다. 암수딴그루이고, 줄기는 굵고 검은 빛인데, 온통 비늘모양을 한 잎의 흔적으로 덮여 있다. 그 끝에는 크고 긴 것 모양의 겹잎이 군생하고 있다. 잎은 가늘고 길며, 진한 초록색으로 윤이 난다. 수분기는 6~8월로 줄기 끝의 잎 사이에서 구과가 피어난다. 수구과는 길쭉한 솔방울 모양으로 길이 50-70cm, 폭 10cm 가량이며, 암구과는 손바닥 모양의 대포자엽으로 겹겹이 싸여 피어난다. 종자는 달걀 모양으로 바깥쪽은 적색, 안쪽은 흰색이고, 기름·당분 등을 포함하고 있다. 씨는 식용이나 약용으로 이용되며, 잎은 말려서 광주리 등을 만드는 데 이용한다.[1] |
wikipedia |
72.열대둥근마 |
열대둥근마(熱帶-, greater yam, purple yam 또는 ube, 학명: Dioscorea alata 디오스코레아 알라타[*])는 마과의 덩굴식물이다. 참고로, 둥근마(air potato, 라틴어: Dioscorea bulbifera)는 참마과에 속하는 참마의 일종이다. 아시아, 아프리카, 오세아니아, 북아메리카, 남아메리카에 분포한다.[2] 동남아시아(말레이시아, 미얀마, 베트남, 브루나이, 인도네시아, 타이완, 태국, 필리핀), 남아시아(네팔, 인도), 오세아니아(파푸아뉴기니)가 원산지이다.[2] |
wikipedia |
73.타코라이스 |
타코라이스(일본어: タコライス)는 타코랑, 치즈, 양상추, 토마토를 쌀밥 위에 올린 오키나와 요리이다. 밥을 아래에다 깔고 타코맛의 분쇄된 소고기를 올려두며, 여기에 잘게 썬 치즈나 양상추, 토마토, 살사를 곁들이곤 한다.[1][2] |
wikipedia |
74.찹 수이 |
찹 수이(영어: Chop suey, 광둥어: 雜碎 잡서이, 중국어 간체자: 杂碎, 정체자: 雜碎, 병음: zá suì 짜쑤이[*], 한자음: 잡쇄)는 미국식 중국 요리의 일종이다. 정통 중화요리는 아니고, 미국에서 화교들에 의해 만들어진 것으로 한국의 짜장면과 같은 위치에 있다. 고기(닭고기, 생선, 소고기, 새우류, 돼지고기 등 무엇이든 가능), 계란과 함께 콩나물, 양배추, 셀러리 등 채소들을 마구 섞어서 빠르게 볶아친 뒤 걸죽한 녹말 소스로 간해서 만들고, 밥이나 차오몐과 함께 먹는다. 찹 수이는 미국, 필리핀, 캐나다, 독일, 인도, 폴리네시아 등지에서 흥하는 중화요리이다. 인도네시아에서는 고기보다 채소 비중이 훨씬 큰 찹 수이를 만들어 먹는데, 찹 차이(雜菜), 즉 잡채라고 부른다. |
wikipedia |
75.찬푸루 |
찬푸루(일본어: チャンプルー, 영어: chanpurū)는 채소와 두부 등을 볶은 동남아에서 영향 받은 오키나와 요리이다. |
wikipedia |
76.번행초 |
번행초는 번행초과의 여러해살이풀로 학명은 Tetragonia tetragonioides이다. 주로 동남아시아와 남아메리카 등지에 분포한다. 풀 전체에 털은 없고 다육질이며, 빽빽하게 낱알 모양의 돌기가 있다. 줄기의 기부는 지상으로 뻗어나가고, 윗부분은 많이 분지하며 길이 40-80cm이다. 잎은 1-2cm의 자루가 있고 어긋나며, 달걀 모양의 삼각형이고 두껍다. 여름부터 가을에 걸쳐 잎겨드랑이에 꽃자루가 매우 짧은 1-2개의 꽃이 핀다. 열매는 견과이고 거꿀달걀 모양이며 윗부분에 4-5개의 돌기가 있고, 속에 여러 개의 씨를 가지고 있으나 벌어지지 않는다. 어린순은 나물로 먹는다. |
wikipedia |
77.말라바시금치 |
말라바시금치(Malabar---, 학명: Basella alba 바셀라 알바[*])는 비름과의 여러해살이 덩굴식물이다.[3] 낙규(落葵), 황궁채(皇宮菜), 목이채(木耳菜), 덩굴지치, 인디언시금치(Indian---) 등으로도 부른다. 원산지는 동남아시아와 남아시아이다.[2][4] |
wikipedia |
78.여주 (식물) |
여주(문화어: 유자, 영어: momordica charantia) 또는 비터 멜론(영어: bitter melon, bitter gourd, bitter squash)은 박과에 딸린 한해살이풀, 또는 그 열매를 말한다. 고과(苦瓜)라고도 한다. 열대 아시아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어 기른다. 줄기는 덩굴손으로 물체를 감으며 잎은 5~7개로 크게 갈라진다. 덩굴손과 잎이 마주난다. 7~8월에 피는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하나씩 달리는데 노란색이다. 열매가 특이한데, 길이 7~9 센티미터 정도 되는 길둥근 모양으로 조그만 혹 모양 돌기가 열매 가득 돋아 있으며 익으면 갈라져 붉은색 육질에 싸여 있는 씨가 드러난다. |
wikipedia |
79.털머위 |
털머위(문화어: 말곰취)는 국화과의 늘푸른 여러해살이풀이다. |
wikipedia |
80.족발 (부위) |
족발은 각을 뜬 돼지의 발이다.[1] |
wikipedia |
81.톱날꽃게속 |
톱날꽃게속(Scylla)은 4종의 꽃게를 포함하고 있는 게의 속이다.[1] 가장 널리 분포하는 종은 남방톱날꽃게이다. 인도-서태평양 전역에서 발견된다.[2] 네 가지 종은 다음과 같다.[3][1] |
wikipedia |
82.참바리아과 |
참바리(grouper; groper [ɡruːpə][*])는 농어목 바리아목 바리과 참바리아과(Epinephelinae 에피네펠리나에[*])에 속하는 물고기들을 총칭이다. |
wikipedia |
83.히라야치 |
히라야치(ヒラヤーチー)는 오키나와 요리 중 하나이다. 부침개와 비슷한 얇고 매우 단순한 오키나와 팬케이크 같은 요리이다. 기본적으로는 "부추를 넣은 맛있는 오키나와 크레이프"이며, "오키나와풍 오코노미야키"라고도 불린다. 이름은 오키나와어로 "튀김"을 의미한다. 집에서 직접 요리를 하기 때문에 오키나와에는 오코노미야키 가게가 거의 없고 히라야치를 파는 곳도 없다. 재료는 계란, 밀가루, 소금, 후추, 파로 구성되어 팬에 약간의 기름을 두르고 볶는다. |
wikipedia |
84.근대 (식물) |
근대 또는 비트(영어: beetroot 또는 beet)는 비름과의 두해살이풀이다. 유럽 남부 원산으로 밭에 심는 채소식물이다. |
wikipedia |
85.수세미오이 |
수세미오이 또는 수세미(smooth luffa)는 박과에 딸린 한해살이풀, 또는 그 열매를 말한다. 열대 아시아 원산이며, 심어 기르는 덩굴식물이다. 참고로, 표준어는 수세미외다. |
wikipedia |
86.미소시루 |
미소시루(일본어: 味噌汁)는 일본식 전통 된장국이다. 미소시루는 요리사나 시루 스타일에 따라 여러 방법으로 조리할 수 있다. 멸치는 내장을 떼어 내고, 다시마는 깨끗이 손질한다. 냄비에 물과 멸치, 다시마를 넣고 끓인다. 끓기 시작하면 다시마는 건져 내고, 국물은 약한 불에서 7-8분 다시 끓인다. 이 때 뚜껑은 덮지 않으며, 거품이 생기면 건져 낸다. 국물에 된장을 풀어 한소금 끓인 후 화학 조미료로 맛을 내고, 사방 0.8cm로 썬 두부를 넣어 한소끔 끓인다. 파를 아주 얇게 송송 썰어 국그릇에 담고, 두부가 끓어 오르면 불을 끄고 그릇에 담는다. |
wikipedia |
87.염소 (동물) |
염소(domestic goat, 학명: Capra aegagrus hircus)는 들염소를 가축화한 동물로서, 가축이 된 지 수천년이 지났으나 산악지대에 서식하던 야생의 성질은 그대로 남아 있다. 특히 혹한이나 혹서의 기후에서도 잘 자라며, 질병에 걸리는 일이 적고 기후 풍토에 적응성이 강한 강건한 체질이다. 또 식성이 까다롭지 않아 거친 먹이에도 잘 견딘다. 활발하며, 몸집도 작아 사육하기가 쉬운 편이다. |
wikipedia |
88.공심채 |
공심채(空心菜, 空芯菜, Ipomoea aquatica 또는 water spinach)는 잎채소로 자라는 반수생적 열대 식물이다. 옹채(壅菜), 죽협채(竹葉菜), 통심채(通心菜), 등채(藤菜)라고도 한다. |
wikipedia |
89.염교 |
염교는 중국이 원산지인 부추속 식물이다.[1] 일본어 랏쿄(辣韮)를 음차한 락교로 부른다.[2] |
wikipedia |
90.런천미트 |
런천미트(영어: luncheon meat)는 햄의 일종이다. 익히거나 염지한 고기를 얇게 저민 것이다. 따뜻하거나 차게 내며, 샌드위치에 넣어 먹기도 한다. 미리 썰어 진공포장해 판매하기도 하며, 정육점 등이 그 자리에서 저며 팔기도 한다. |
wikipedia |
91.링구이사 |
링구이사(포르투갈어: linguiça)는 포르투갈어권의 소시지이다.[1] 돼지고기, 새고기, 양고기, 쇠고기 또는 생선이나 해산물로 만들며, 양파, 마늘, 파프리카가루 등을 넣어 간한다. 만들어 바로 섭취하거나, 염지와 훈제를 통한 보존 과정을 거친다. |
wikipedia |
92.루트 비어 |
루트비어(root beer)는 새서프래스(sassafras)를 비롯한 식물의 뿌리로 만드는 갈색 빛깔의 미국식 탄산 음료이다. 이 음료는 알코올 성분이 없다. |
wikipedia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