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홋카이도 신궁 | ||||||
홋카이도 신궁(일본어: 北海道神宮)은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에 있는 신사로, 구 사격은 관폐대사이며 현재는 별표신사이다. 교통편은 삿포로 지하철 도자이선 마루야마고엔역에서 진입하면 된다. | ||||||
2.다이다라봇치 | ||||||
다이다라봇치(ダイダラボッチ)는 일본 각지에서 전승되는 거인이다. 산과 호수를 만들었다는 전승이 많아, 원래 창조 신화의 신에 대한 거인 신앙이 다이다라봇치 전승이 되었다고 생각된다. | ||||||
3.고료카쿠 | ||||||
고료카쿠(일본어: 五稜郭)는 에도 시대 말기에 세워진 지금의 홋카이도 하코다테시에 있는 요새이다. 당시 일본에서 건축되었던 별 모양의 성곽을 부르는 통칭이기도 하며, 나가노현 사쿠시의 다쓰오카 성도 고료카쿠로 불렸으나, 일반적으로는 하코다테에 있는 요새를 가리킨다. 당시의 명칭은 가메다야쿠쇼토루(亀田役所土塁: 가메다 관청 성루)으로, 혹은 류야 성(柳野城)으로도 불렸다. 일본의 국가 지정 특별 사적이며, '고료카쿠와 하코다테 전쟁의 유구'라는 이름으로 홋카이도 유산으로 선정되었다. | ||||||
4.잘못된 제목 | ||||||
5.벤텐다이바 | ||||||
벤텐다이바(일본어: 弁天台場)는 에도 시대 말기 홋카이도 하코다테시에 축조된 다이바이다. 벤텐 곶 다이바(弁天岬台場), 벤텐 포대(弁天砲台)라고도 불렸다. 설계는 고료카쿠의 설계를 담당했던 다케다 아야사부로가 하였다. | ||||||
6.마쓰마에성 | ||||||
마쓰마에성(일본어: 松前城, まつまえじょう)은 홋카이도 오시마 종합진흥국 마쓰마에정에 있는 평산성으로, 후쿠야마 성으로도 불린다. | ||||||
7.아이잔역 | ||||||
아이잔역(한국어: 애산역; 일본어: 愛山駅)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군 아이베쓰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호쿠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40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8.아이베쓰역 | ||||||
아이베쓰역(일본어: 愛別駅)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군 아이베쓰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호쿠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38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9.안타로마역 | ||||||
안타로마역(일본어: 安足間駅)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군 아이베쓰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호쿠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41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나카아이베쓰역 | ||||||
나카아이베쓰역(한국어: 중애별역; 일본어: 中愛別駅)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군 아이베쓰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호쿠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39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아카비라역 | ||||||
아카비라역(일본어: 赤平駅)은 일본 홋카이도 아카비라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 일본화물철도 네무로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T23이며, 단선 · 섬식의 구조를 합친 복합 철도 역사이다. | ||||||
12.모시리역 | ||||||
모시리역(일본어: 茂尻駅)은 일본 홋카이도 아카비라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네무로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T24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13.아사히카와요조역 | ||||||
아사히카와요조역(일본어: 旭川四条駅)은 일본 홋카이도 아사히카와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A29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가지는 고가역이다. | ||||||
14.가구라오카역 | ||||||
가구라오카역(일본어: 神楽岡駅,かぐらおか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아사히카와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역이다. 1면 1선의 지상역으로 직원이 근무하지 않는 역이다. | ||||||
15.기타아사히카와역 | ||||||
기타아사히카와역(일본어: 北旭川駅)은 일본 홋카이도 아사히카와시에 있는 일본화물철도의 철도역이다. 소야 본선 소속이며, 3면 6선의 컨테이너 승강장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화물열차의 운행으로선 기타아사히카와 역이 최북단이다. | ||||||
16.기타나가야마역 | ||||||
기타나가야마역(일본어: 北永山駅)은 일본 홋카이도 아사히카와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W32이며, 단선 승강장 구조의 철도 역사이다. | ||||||
17.사쿠라오카역 | ||||||
사쿠라오카역(일본어: 桜岡駅)은 일본 홋카이도 아사히카와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호쿠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34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8.신아사히카와역 | ||||||
신아사히카와역(일본어: 新旭川駅)은 일본 홋카이도 아사히카와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일본화물철도의 역이다. 역 번호는 A30이다. 소야 본선과 세키호쿠 본선이 상호 운행되는 접속역이다. 단선 승강장과 섬식 승강장이 합쳐진 복합 형태의 철도 역사이다. 현재, 일본화물철도의 역은 화물 취급의 임시 화물역이 되고 있다. 화물 열차의 발착은 없고, 화물선이나 접속하는 전용선도 없다. | ||||||
19.지카부미역 | ||||||
지카부미역(일본어: 近文駅 치카부미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아사히카와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 일본화물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A27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20.지요가오카역 | ||||||
지요가오카역(일본어: 千代ヶ岡駅)은 일본 홋카이도 아사히카와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후라노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F35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1.나가야마역 (홋카이도) | ||||||
나가야마역(일본어: 永山駅)은 일본 홋카이도 아사히카와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W31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가지는 지상역이다. | ||||||
22.니시카구라역 | ||||||
니시카구라역(일본어: 西神楽駅)은 일본 홋카이도 아사히카와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후라노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F33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3.니시고료역 | ||||||
니시고료역(일본어: 西御料駅)은 일본 홋카이도 아사히카와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후라노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F31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4.니시세이와역 | ||||||
니시세이와역(일본어: 西聖和駅)은 일본 홋카이도 아사히카와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후라노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F34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5.니시미즈호역 | ||||||
니시미즈호역(일본어: 西瑞穂駅)은 일본 홋카이도 아사히카와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후라노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F32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6.히가시아사히카와역 | ||||||
히가시아사히카와역(일본어: 東旭川駅)은 일본 홋카이도 아사히카와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호쿠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32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7.미나미나가야마역 | ||||||
미나미나가야마역(일본어: 南永山駅)은 일본 홋카이도 아사히카와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호쿠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31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8.아시베쓰역 | ||||||
아시베쓰역(일본어: 芦別駅)은 일본 홋카이도 아시베쓰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네무로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T26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29.가미아시베쓰역 | ||||||
가미아시베쓰역(일본어: 上芦別駅)은 일본 홋카이도 아시베쓰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네무로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T27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30.노카난역 | ||||||
노카난역(일본어: 野花南駅)은 일본 홋카이도 아시베쓰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네무로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T28이며, 단선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31.앗케시역 | ||||||
앗케시역(일본어: 厚岸駅)은 일본 홋카이도 앗케시 군 앗케시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다. | ||||||
32.오보로역 | ||||||
오보로역(일본어: 尾幌駅)은 일본 홋카이도 앗케시 군 앗케시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33.가미오보로역 | ||||||
가미오보로역(일본어: 上尾幌駅)은 일본 홋카이도 앗케시 군 앗케시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네무로 본선 (하나사키 선)의 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지상역이다. | ||||||
34.몬시즈역 | ||||||
몬시즈역(일본어: 門静駅)은 일본 홋카이도 앗케시 군 앗케시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35.하마아쓰마역 | ||||||
하마아쓰마역(일본어: 浜厚真駅)은 일본 홋카이도 유후쓰 군 아쓰마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히다카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6.아바시리역 | ||||||
아바시리역(일본어: 網走駅,あばしりえき)은 홋카이도 아바시리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일본 최북단 환승 철도역이다. | ||||||
37.가쓰라다이역 | ||||||
가쓰라다이역(일본어: 桂台駅 かつらだい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아바시리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센모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B79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8.기타하마역 (홋카이도) | ||||||
기타하마역(일본어: 北浜駅 きたはま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아바시리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센모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B76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9.마스우라역 | ||||||
마스우라역(일본어: 鱒浦駅 ますうら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아바시리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센모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B78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0.모코토역 | ||||||
모코토역(일본어: 藻琴駅 もこと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아바시리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센모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B77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1.요비토역 | ||||||
요비토역(일본어: 呼人駅)은 일본 홋카이도 아바시리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호쿠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68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2.아비라역 | ||||||
아비라역(일본어: 安平駅 あびら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유후쓰 군 아비라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3.오이와케역 (홋카이도) | ||||||
오이와케역(일본어: 追分駅 おいわけ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유후쓰 군 아비라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무로란 본선의 소속역이며, 세키쇼 선까지 더해 2개의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역 번호는 K15이며, 혼합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4.도아사역 | ||||||
도아사역(일본어: 遠浅駅 とあさ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유후쓰 군 아비라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5.하야키타역 | ||||||
하야키타역(일본어: 早来駅 はやきた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유후쓰 군 아비라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6.이케다역 (홋카이도) | ||||||
도시베쓰역(일본어: 利別駅)은 일본 홋카이도 나카가와 군 이케다 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역이다. 역 번호는 K36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다. | ||||||
47.쇼에이 신호장 | ||||||
쇼에이 신호장(일본어: 昭栄信号場)은 일본 홋카이도 나카가와 군 이케다 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네무로 본선의 신호장이다. | ||||||
48.도시베쓰역 | ||||||
도시베쓰역(일본어: 利別駅)은 일본 홋카이도 나카가와 군 이케다 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역이다. 역 번호는 K35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49.이와미자와역 | ||||||
이와미자와역(일본어: 岩見沢駅 이와미자와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이와미자와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역이다. 역 번호는 A13이며, 모든 특급 · 쾌속 열차가 정차한다. 하코다테 본선과 무로란 본선의 2개 노선이 상호 운행하고 있다. 이 역에서는 무로란 본선의 종점역이다. | ||||||
50.가미호로무이역 | ||||||
가미호로무이역(일본어: 上幌向駅 카미호로무이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이와미자와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A12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가진 지상역이자 교상역이다. | ||||||
51.구리오카역 | ||||||
구리오카역(일본어: 栗丘駅 くりおか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이와미자와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52.구리사와역 | ||||||
구리사와역(일본어: 栗沢駅 くりさわ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이와미자와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53.시분역 | ||||||
시분역(일본어: 志文駅 しぶん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이와미자와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54.호로무이역 | ||||||
호로무이역(일본어: 幌向駅 호로무이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이와미자와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A11이며, 섬식 승강장과 상대식 승강장을 합친 복합 형태의 철도 역사이다. | ||||||
55.아쓰나이역 | ||||||
아쓰나이역(일본어: 厚内駅)은 일본 홋카이도 도카치 군 우라호로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역이다. 역 번호는 K42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다. | ||||||
56.우라호로역 | ||||||
우라호로역(일본어: 浦幌駅)은 일본 홋카이도 도카치 군 우라호로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역이다. 역 번호는 K40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57.가미아쓰나이역 | ||||||
가미아쓰나이역(일본어: 上厚内駅)은 일본 홋카이도 도카치 군 우라호로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역이었다. 역 번호는 K41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58.신요시노역 | ||||||
신요시노역(일본어: 新吉野駅)은 일본 홋카이도 도카치 군 우라호로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역이다. 역 번호는 K39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다. | ||||||
59.쓰네토요 신호장 | ||||||
쓰네토요 신호장(일본어: 常豊信号場)은 일본 홋카이도 도카치 군 우라호로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네무로 본선의 신호장이다. 2선을 가진 단선 엇갈림 형태의 신호장이다. 상하로 본선이 나뉘고 있어, 교행으로 되어 있다. | ||||||
60.에니와역 | ||||||
에니와역(일본어: 恵庭駅)은 일본 홋카이도 에니와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10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1.삿포로비루테이엔역 | ||||||
삿포로비루테이엔역(일본어: サッポロビール庭園駅 サッポロビールていえん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에니와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지토세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11이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2.시마마쓰역 | ||||||
시마마쓰역(일본어: 島松駅)은 일본 홋카이도 에니와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 일본화물철도 지토세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08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3면 4선의 복합 승강장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3.메구미노역 | ||||||
메구미노역(일본어: 恵み野駅)은 일본 홋카이도 에니와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09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4.에베쓰역 | ||||||
에베쓰역(일본어: 江別駅 에베쓰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에베쓰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A09이며, 단선 승강장과 섬식 승강장, 절결식 승강장 등 복합 형태의 철도 역사이다. | ||||||
65.오아사역 | ||||||
오아사역(일본어: 大麻駅 오오아사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에베쓰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A06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가진 지상역이다. | ||||||
66.다카사고역 (홋카이도) | ||||||
다카사고역(일본어: 高砂駅 타카사고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에베쓰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A08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가지는 지상역이다. | ||||||
67.도요호로역 | ||||||
도요호로역(일본어: 豊幌駅 토요호로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에베쓰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A10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가지는 지상역이다. | ||||||
68.놋포로역 | ||||||
놋포로역(일본어: 野幌駅 놋포로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에베쓰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A07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가지는 고가역이다. | ||||||
69.이쿠타하라역 | ||||||
이쿠타하라역(일본어: 生田原駅)은 일본 홋카이도 몬베쓰 군 엔가루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호쿠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53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2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70.엔가루역 | ||||||
엔가루역(일본어: 遠軽駅)은 일본 홋카이도 몬베쓰 군 엔가루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호쿠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50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4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71.시라타키역 | ||||||
시라타키역(일본어: 白滝駅)은 일본 홋카이도 몬베쓰 군 엔가루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호쿠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45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72.세토세역 | ||||||
세토세역(일본어: 瀬戸瀬駅)은 일본 홋카이도 몬베쓰 군 엔가루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호쿠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49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3.마루셋푸역 | ||||||
마루셋푸역(일본어: 丸瀬布駅)은 일본 홋카이도 몬베쓰 군 엔가루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호쿠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48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4.야스쿠니역 | ||||||
야스쿠니역(일본어: やすくにえき, 安国駅)은 일본 홋카이도 몬베쓰군 엔가루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호쿠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51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2선의 복합 승강장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5.니시메만베쓰역 | ||||||
니시메만베쓰역(일본어: 西女満別駅)은 일본 홋카이도 아바시리 군 오조라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호쿠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66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6.메만베쓰역 | ||||||
메만베쓰역(일본어: 女満別駅)은 일본 홋카이도 아바시리 군 오조라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호쿠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67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7.오샤만베역 | ||||||
오샤만베역(일본어: 長万部駅 오샤만베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야마코시 군 오샤만베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무로란 본선의 기점역이며, 하코다테 본선과 무로란 본선이 만나는 역이다. | ||||||
78.기타토요쓰역 | ||||||
기타토요쓰역(일본어: 北豊津駅 키타토요츠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야마코시 군 오샤만베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79.군누이역 | ||||||
군누이역(일본어: 国縫駅 쿤누이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야마코시 군 오샤만베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현재는 폐선된 세타나 선이 접속했었다. | ||||||
80.시즈카리역 | ||||||
시즈카리역(일본어: 静狩駅)은 일본 홋카이도 야마코시 군 오샤만베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46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81.나카노사와역 | ||||||
나카노사와역(일본어: 中ノ沢駅 나카노사와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야마코시 군 오샤만베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82.후타마타역 (홋카이도) | ||||||
후타마타역(일본어: 二股駅 후타마타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야마코시 군 오샤만베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83.아사리역 (홋카이도) | ||||||
아사리역(일본어: 朝里駅 아사리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오타루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84.오타루역 | ||||||
오타루역(일본어: 小樽駅 오타루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오타루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85.오타루칫코역 | ||||||
오타루칫코역 또는 오타루 축항역(일본어: 小樽築港駅 오타루칫코우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오타루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86.시오야역 (홋카이도) | ||||||
시오야역(일본어: 塩谷駅 시오야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오타루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시오야는 아이누 어로 바위 기슭을 뜻하는 쇼야에서 유래되었다. | ||||||
87.제니바코역 | ||||||
제니바코역(일본어: 銭函駅 제니바코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오타루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88.미나미오타루역 | ||||||
미나미오타루역(일본어: 南小樽駅 미나미오타루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오타루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89.란시마역 | ||||||
란시마역(일본어: 蘭島駅 란시마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오타루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란시마는 아이누 어로 내리막의 뒤쪽에 있는 강을 뜻하는 란오시마크나이에서 유래되었다. | ||||||
90.오사시마역 | ||||||
오사시마역(일본어: 筬島駅)은 일본 홋카이도 나카가와 군 오토이넷푸촌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W62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91.오토이넷푸역 | ||||||
오토이넷푸역(일본어: 音威子府駅은 일본 홋카이도 나카가와 군 오토이넷푸촌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W61이며, 단선, 섬식 구조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 형태의 지상역이다. | ||||||
92.삿쿠루역 | ||||||
삿쿠루역(일본어: 咲来駅)은 일본 홋카이도 나카가와 군 오토이넷푸촌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W60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가진 지상역이자 무인역이다. | ||||||
93.데시오가와온센역 | ||||||
데시오가와온센역(일본어: 天塩川温泉駅)은 일본 홋카이도 나카가와 군 오토이넷푸촌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W59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가진 지상역이자 무인역이다. | ||||||
94.오비히로역 | ||||||
오비히로역(일본어: 帯広駅,おびひろえき)은 홋카이도 오비히로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네무로 본선의 철도역이다. 오비히로 시를 포함한 도카치 지청의 중심역으로, 시호로 선과 히로오 선의 기점역이기도 하였으나 1987년 일본국철 분할 민영화 즈음에 모두 폐선되었다. | ||||||
95.오비히로 화물역 | ||||||
오비히로 화물역(일본어: 帯広貨物駅)은 일본 홋카이도 오비히로시에 있는 일본화물철도 네무로 본선의 화물전용역이다. 2011년 3월 12일 개정에 의해, 오비히로 역부터 개칭되었다. | ||||||
96.니시오비히로역 | ||||||
니시오비히로역(일본어: 西帯広駅)은 일본 홋카이도 오비히로시에 있는 역이다. 홋카이도 여객철도가 운연하는 이 역의 번호는 K29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지상역이다. | ||||||
97.하쿠린다이역 | ||||||
하쿠린다이역(일본어: 柏林台駅)은 일본 홋카이도 오비히로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역이다. 역 번호는 K30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고가역이다. | ||||||
98.가미카와역 | ||||||
가미카와역(일본어: 上川駅)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군 가미카와 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호쿠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43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99.가미코시 신호장 | ||||||
가미코시 신호장(일본어: 上越信号場)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군 가미카와 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호쿠 본선의 신호장이다. 2개의 노선 열차 교환이 가능하다. 양 방향에 출발 신호기가 있어, 같은 방향으로 향하는 열차 종류의 추월이 가능한 구조이다. 오쿠시라타키 쪽으로 향하는 측선이 1개 있어, 분기점은 스노 쉘터로 되어 있다. | ||||||
100.나카코시 신호장 | ||||||
나카코시 신호장(일본어: 中越信号場)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군 가미카와 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호쿠 본선의 신호장이다. 3개 선로 열차 교환이 가능하다. 예전에는, 나카코시 역으로서 영업하고 있었지만, 부근의 주민이 전부 살고 있지 않았었지만, 2001년 7월 1일에 폐역이 되어, 신호장이 되었다. | ||||||
101.가미후라노역 | ||||||
가미후라노역(일본어: 上富良野駅)은 일본 홋카이도 소라치 군 가미후라노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후라노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F39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2.이즈미사와역 | ||||||
이즈미사와역(일본어: 泉沢駅, いずみさわ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이소 군 기코나이정에 있는 도난 이사리비 철도 도난 이사리비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 ||||||
103.가마야역 (홋카이도) | ||||||
가마야역(일본어: 釜谷駅, かまや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이소 군 기코나이정에 있는 도난 이사리비 철도 도난 이사리비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 ||||||
104.기코나이역 | ||||||
기코나이역(일본어: 木古内駅, きこない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이소군 기코나이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홋카이도 신칸센과 가이쿄선, 도난 이사리비 철도 도난 이사리비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가이쿄 선 개업 이전에는 마쓰마에선의 접속역이었다. | ||||||
105.사쓰카리역 | ||||||
사쓰카리역(일본어: 札苅駅, さつかり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이소 군 기코나이정에 있는 도난 이사리비 철도 도난 이사리비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 ||||||
106.기타히로시마역 | ||||||
기타히로시마역(일본어: 北広島駅)은 일본 홋카이도 기타히로시마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지토세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07이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7.아이노나이역 | ||||||
아이노나이역(일본어: 相内駅)은 일본 홋카이도 기타미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호쿠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57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2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108.이토시노역 | ||||||
이토시노역(일본어: 愛し野駅)은 일본 홋카이도 기타미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호쿠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62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9.가네하나 신호장 | ||||||
가네하나 신호장(일본어: 金華信号場)은 일본 홋카이도 기타미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호쿠 본선의 신호장이다. | ||||||
110.기타미역 (홋카이도) | ||||||
기타미역(일본어: 北見駅)은 일본 홋카이도 기타미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호쿠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60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111.단노역 | ||||||
단노역(일본어: 端野駅)은 일본 홋카이도 기타미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호쿠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63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2.니시키타미역 | ||||||
니시키타미역(일본어: 西北見駅)은 일본 홋카이도 기타미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호쿠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59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3.니시루베시베역 | ||||||
니시루베시베역(일본어: 西留辺蘂駅)은 일본 홋카이도 기타미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호쿠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56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4.하쿠요역 | ||||||
하쿠요역(일본어: 柏陽駅)은 일본 홋카이도 기타미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호쿠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61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 ||||||
115.히우시나이역 | ||||||
히우시나이역(일본어: 緋牛内駅)은 일본 홋카이도 기타미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호쿠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64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6.히가시아이노나이역 | ||||||
히가시아이노나이역(일본어: 東相内駅)은 일본 홋카이도 기타미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호쿠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58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2선의 복합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7.루베시베역 | ||||||
루베시베역(일본어: 留辺蘂駅)은 일본 홋카이도 기타미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호쿠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56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118.고자와역 | ||||||
고자와역(일본어: 小沢駅 코자와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이와나이 군 교와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예전에는 급행 니세코와 라이덴 등이 정차했던 적이 있었으며, 이와나이 선이 접속했었다. 굿찬역에서 관리하는 무인역이다. | ||||||
119.기요사토초역 | ||||||
기요사토초역(일본어: 清里町駅)은 일본 홋카이도 샤리 군 기요사토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센모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0.삿쓰루역 | ||||||
삿쓰루역(일본어: 札弦駅)은 일본 홋카이도 샤리 군 기요사토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센모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1.미도리역 (홋카이도) | ||||||
미도리역(일본어: 緑駅)은 일본 홋카이도 샤리 군 기요사토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센모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B67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2.오타노시케역 | ||||||
오타노시케역(일본어: 大楽毛駅)은 일본 홋카이도 구시로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역이다. 역 번호는 K50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123.온베쓰역 | ||||||
온베쓰역(일본어: 音別駅)은 일본 홋카이도 구시로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 일본화물철도 네무로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K45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124.구시로역 (홋카이도) | ||||||
구시로역(일본어: 釧路駅)은 홋카이도 구시로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125.신오타노시케역 | ||||||
신오타노시케역(일본어: 新大楽毛駅)은 일본 홋카이도 구시로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역이다. 역 번호는 K51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126.신후지역 (홋카이도) | ||||||
신후지역(일본어: 新富士駅)은 일본 홋카이도 구시로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역이다. 역 번호는 K52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이 곳에 있는 일본화물철도의 역은, 구시로 화물역으로 칭한다. | ||||||
127.히가시쿠시로역 | ||||||
히가시쿠시로역(일본어: 東釧路駅,ひがしくしろえき)은 홋카이도 구시로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128.무사역 (홋카이도) | ||||||
무사역(일본어: 武佐駅)은 일본 홋카이도 구시로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129.구시로시쓰겐역 | ||||||
구시로시쓰겐역(일본어: 釧路湿原駅,くしろしつげんえき)은 홋카이도 구시로 군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구시로 습원에 위치한 무인역으로 역 주변엔 습지와 산뿐이며, 거의 대부분의 승객이 습지를 탐방하는 관광객이다. 광대한 습지와 산 밖에 존재하지 않는 대자연 중간에 역. 많은 승객이 관광 목적이다. | ||||||
130.도야역 (구시로정) | ||||||
도야역(일본어: 遠矢駅)은 일본 홋카이도 구시로 군 구시로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센모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B55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31.벳포역 | ||||||
벳포역(일본어: 別保駅)은 일본 홋카이도 구시로 군 구시로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132.호소오카역 | ||||||
호소오카역(일본어: 細岡駅)은 일본 홋카이도 구시로 군 구시로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센모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B57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33.굿찬역 | ||||||
굿찬역(일본어: 倶知安駅)은 일본 홋카이도 아부타 군 굿찬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예전에는 급행 니세코와 라이덴 등이 정차했던 적이 있었으며, 이부리 선이 접속했었다. | ||||||
134.히라후역 | ||||||
히라후역(일본어: 比羅夫駅 히라후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아부타 군 굿찬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굿찬역에서 관리하고 있는 무인역이다. | ||||||
135.구리야마역 | ||||||
구리야마역(일본어: 栗山駅 くりやま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유바리 군 구리야마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36.구로마쓰나이역 | ||||||
구로마쓰나이역(일본어: 黒松内駅, Kuromatsunai-Eki)은 일본 홋카이도 슷쓰 군 구로마쓰나이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137.넷푸역 | ||||||
넷푸역(일본어: 熱郛駅 넷푸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슷쓰 군 구로마쓰나이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138.겐부치역 | ||||||
겐부치역(일본어: 剣淵駅)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군 겐부치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W39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139.아이노사토쿄이쿠다이 | ||||||
140.아이노사토코엔역 | ||||||
아이노사토코엔역(일본어: あいの里公園駅)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기타구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삿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G11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41.아쓰베쓰역 | ||||||
아쓰베쓰역(일본어: 厚別駅 아츠베츠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아쓰베쓰구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A04이며, 단선 승강장과 섬식 승강장을 가진 복합 형태의 역사이다. | ||||||
142.이나즈미코엔역 | ||||||
이나즈미 공원역 또는 이나즈미코엔역(일본어: 稲積公園駅 이나즈미코우엔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데이네구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143.이나호역 | ||||||
이나호역(일본어: 稲穂駅 이나호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데이네구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144.오야치역 (홋카이도) | ||||||
오야치역(일본어: 大谷地駅)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아쓰베쓰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 ||||||
145.가미놋포로역 | ||||||
가미놋포로역(일본어: 上野幌駅)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아쓰베쓰구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지토세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06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146.간조도리히가시역 | ||||||
간조도리히가시역(일본어: 環状通東駅)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히가시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 ||||||
147.기타13조히가시역 | ||||||
기타13조히가시역(일본어: 北13条東駅)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히가시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도호 선에서는 유일하게 역명에 아라비아 숫자가 들어간 역으로 이것은 전국적으로도 드물며 "기타"와 "히가시"라는 방위명이 2개나 들어간 역명이기도 하다. | ||||||
148.신삿포로역 | ||||||
신삿포로역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아쓰베쓰구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와 삿포로 시 교통국의 철도역이다.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신삿포로역(일본어: 新札幌駅)과 삿포로 시 교통국의 신삿포로역(일본어: 新さっぽろ駅) 모두 아쓰베쓰 구에 위치하고 있다. | ||||||
149.신도히가시역 | ||||||
신도히가시역(일본어: 新道東駅)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히가시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 ||||||
150.신린코엔역 (홋카이도) | ||||||
신린코엔역(일본어: 森林公園駅 신린코우엔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아쓰베쓰구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151.쓰키사무추오역 | ||||||
쓰키사무추오역(일본어: 月寒中央駅)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도요히라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 ||||||
152.데이네역 | ||||||
데이네역(일본어: 手稲駅)은 홋카이도 삿포로시 데이네구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이시카리시, 오타루시 등지로 연결되는 삿포로 시의 주요 교통 결절점 중 하나로, 홋카이도 내에서 삿포로역 다음으로 이용객이 많다. | ||||||
153.도요히라코엔역 | ||||||
도요히라코엔역(일본어: 豊平公園駅)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도요히라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 ||||||
154.니주욘켄역 | ||||||
니주욘켄역(일본어: 二十四軒駅)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니시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 ||||||
155.하치켄역 | ||||||
하치켄역(일본어: 八軒駅)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니시구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삿쇼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G03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56.핫사무역 | ||||||
핫사무역(일본어: 発寒駅 핫사무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니시구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157.핫사무추오역 | ||||||
핫사무추오역(일본어: 発寒中央駅 핫사무추오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니시구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158.핫사무미나미역 | ||||||
핫사무미나미역(일본어: 発寒南駅)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니시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 ||||||
159.히가시쿠야쿠쇼마에역 | ||||||
히가시쿠야쿠쇼마에역(일본어: 東区役所前駅)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히가시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 ||||||
160.히라기시역 (삿포로시) | ||||||
히라기시역(일본어: 平岸駅, ひらぎし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도요히라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 ||||||
161.후쿠즈미역 | ||||||
후쿠즈미역(일본어: 福住駅)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도요히라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삿포로 돔과 가장 가까운 역이다. | ||||||
162.호시오키역 | ||||||
호시오키역(일본어: 星置駅 호시오키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데이네구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163.호시미역 | ||||||
호시미역(일본어: ほしみ駅 호시미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데이네구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164.미소노역 | ||||||
미소노역(일본어: 美園駅)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도요히라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 ||||||
165.미나미히라기시역 | ||||||
미나미히라기시역(일본어: 南平岸駅)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도요히라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 ||||||
166.미야노사와역 | ||||||
미야노사와역(일본어: 宮の沢駅 (さわ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니시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 ||||||
167.모토마치역 (홋카이도) | ||||||
모토마치역(일본어: 元町駅)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히가시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 ||||||
168.시카베역 | ||||||
시카베역(일본어: 鹿部駅)은 일본 홋카이도 가야베 군 시카베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사와라 지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N68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169.이소분나이역 | ||||||
이소분나이역(일본어: 磯分内駅)은 일본 홋카이도 가와카미 군 시베차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센모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B62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70.가야누마역 | ||||||
가야누마역(일본어: 茅沼駅)은 일본 홋카이도 가와카미 군 시베차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센모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B59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71.시베차역 | ||||||
시베차역(일본어: 標茶駅)은 일본 홋카이도 가와카미 군 시베차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센모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B61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172.도로역 (홋카이도) | ||||||
도로역(일본어: 塘路駅)은 일본 홋카이도 가와카미 군 시베차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센모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B58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73.시베쓰역 | ||||||
시베쓰역(일본어: 士別駅)은 일본 홋카이도 시베쓰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W42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이 철도 역사이다. | ||||||
174.다요로역 | ||||||
다요로역(일본어: 多寄駅)은 일본 홋카이도 시베쓰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W44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175.미즈호역 | ||||||
미즈호역(일본어: 瑞穂駅)은 일본 홋카이도 시베쓰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W45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176.시무캇푸역 | ||||||
시무캇푸역(일본어: 占冠駅)은 일본 홋카이도 유후쓰 군 시무캇푸촌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K21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177.도마무역 | ||||||
도마무역(일본어: トマム駅 トマム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유후쓰 군 시무캇푸촌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K22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78.시레토코샤리역 | ||||||
시레토코샤리역(일본어: 知床斜里駅 しれとこしゃり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샤리 군 샤리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센모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B72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179.나카샤리역 | ||||||
나카샤리역(일본어: 中斜里駅)은 일본 홋카이도 샤리 군 샤리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센모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B71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80.기타요시하라역 | ||||||
기타요시하라역(일본어: 北吉原駅)은 일본 홋카이도 시라오이 군 시라오이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81.고조하마역 | ||||||
고조하마역(일본어: 虎杖浜駅)은 일본 홋카이도 시라오이 군 시라오이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27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82.샤다이역 | ||||||
샤다이역(일본어: 社台駅 しゃだい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시라오이 군 시라오이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22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83.시라오이역 | ||||||
시라오이역(일본어: 白老駅 しらおい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시라오이 군 시라오이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23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184.다케우라역 | ||||||
다케우라역(일본어: 竹浦駅)은 일본 홋카이도 시라오이 군 시라오이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26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185.하기노역 | ||||||
하기노역(일본어: 萩野駅)은 일본 홋카이도 시라오이 군 시라오이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 일본화물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186.쇼로역 | ||||||
쇼로역(일본어: 庶路駅)은 일본 홋카이도 시라누카 군 시라누카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역이다. 역 번호는 K49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187.시라누카역 | ||||||
시라누카역(일본어: 白糠駅 )은 일본 홋카이도 시라누카 군 시라누카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네무로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K47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다. | ||||||
188.니시쇼로역 | ||||||
니시쇼로역(일본어: 西庶路駅)은 일본 홋카이도 시라누카 군 시라누카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역이다. 역 번호는 K48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189.히가시쇼로 신호장 | ||||||
히가시쇼로 신호장(일본어: 東庶路信号場)은 일본 홋카이도 시라누카 군 시라누카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네무로 본선의 신호장이다. | ||||||
190.후루세역 | ||||||
후루세역(일본어: 古瀬駅)은 일본 홋카이도 구시로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역이다. 역 번호는 K46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191.신카리카치 신호장 | ||||||
신카리카치 신호장(일본어: 新狩勝信号場)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군 신토쿠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네무로 본선의 신호장이다. | ||||||
192.신토쿠역 | ||||||
신토쿠역(일본어: 新得駅)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군 신토쿠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역이다. 역 번호는 K23이며, 2면 3선 복합 구조의 지상역이다. | ||||||
193.니시신토쿠 신호장 | ||||||
니시신토쿠 신호장(일본어: 西新得信号場)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군 신토쿠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네무로 본선의 신호장이다. 양쪽의 분기기를 쓰리 쉘터로 놓였던 2개 선을 가진 단선 교차형의 신호장이다. 1선 교행화는 되지 않고, 건물 쪽의 1번선을 상행열차, 2번선을 하행 열차가 사용한다. | ||||||
194.히로우치 신호장 | ||||||
히로우치 신호장(일본어: 広内信号場)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군 신토쿠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네무로 본선의 신호장이다. 양쪽의 분기기를 쉘터로 놓였던 3개 선의 신호장으로, 교환 및 상·하행 열차와도 추월이 가능하다. 1선 교행되지 않고, 건물과 반대쪽의 3번선이 하행 본선, 2번선이 상행 본선으로, 1번선이 상·하행 대피선으로 되어 있다. | ||||||
195.스나가와역 | ||||||
스나가와역(일본어: 砂川駅 스나가와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스나가와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A20이며, 2면 3선의 상대식 승강장 · 섬식 승강장을 합친 복합 형태의 철도 역사이다. | ||||||
196.도요누마역 | ||||||
도요누마역(일본어: 豊沼駅 토요누마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스나가와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A19이며, 상대식 승강장의 구조를 가진 지상역이다. | ||||||
197.에베오쓰역 | ||||||
에베오쓰역(일본어: 江部乙駅 에베오츠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다키카와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A22이며, 단선 · 섬식의 구조를 합친 복합 철도 역사이다. | ||||||
198.다키카와역 | ||||||
다키카와역(일본어: 滝川駅 타키카와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다키카와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 일본화물철도의 역이다. 역 번호는 A21이며, 하코다테 본선을 소속으로 하고 있어, 이 역을 기점으로 하는 네무로 본선을 더해서 상호 운행하고 있다. 단선 · 섬식을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다. | ||||||
199.히가시타키카와역 | ||||||
히가시타키카와역(일본어: 東滝川駅)은 일본 홋카이도 다키카와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네무로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T22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200.우스역 | ||||||
우스역(일본어: 有珠駅)은 일본 홋카이도 다테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40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201.기타후나오카역 | ||||||
기타후나오카역(일본어: 北舟岡駅)은 일본 홋카이도 다테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37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02.고가네역 (홋카이도) | ||||||
고가네역(일본어: 黄金駅)은 일본 홋카이도 다테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35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2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203.다테몬베쓰역 | ||||||
다테몬베쓰역(일본어: 伊達紋別駅)은 일본 홋카이도 다테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38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204.나가와역 | ||||||
나가와역(일본어: 長和駅)은 일본 홋카이도 다테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39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205.마렛푸역 | ||||||
마렛푸역(일본어: 稀府駅)은 일본 홋카이도 다테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36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206.기타칫푸베쓰역 | ||||||
기타칫푸베쓰역(일본어: 北秩父別駅)은 일본 홋카이도 우류 군 짓푸베쓰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루모이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07.짓푸베쓰역 | ||||||
짓푸베쓰역(일본어: 秩父別駅)은 일본 홋카이도 우류 군 짓푸베쓰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루모이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08.오사쓰역 | ||||||
오사쓰역(일본어: 長都駅)은 일본 홋카이도 지토세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지토세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12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09.신치토세 공항역 | ||||||
신치토세쿠코역 또는 신치토세 공항역(일본어: 新千歳空港駅,しんちとせくうこうえき 신치토세쿠우코오에키[*], 영어: New Chitose Airport Station[주 1])은 일본 홋카이도 지토세시 비비에 위치한 홋카이도여객철도(JR 홋카이도) 지토세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P15로, JR 홋카이도에서 역 번호 알파벳으로 유일하게 “AP”를 사용하는 역이며, 동시에 역 번호에 알파벳이 두 글자 들어가는 유일한 역이다. 전보 약호는 “シセ”(시세)이다. 사무관 코드는 ▲131431이다. | ||||||
210.지토세역 (홋카이도) | ||||||
지토세역(일본어: 千歳駅)은 일본 홋카이도 지토세시에 위치하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지토세 선의 철도역이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11.비비역 | ||||||
비비역(일본어: 美々駅)은 일본 홋카이도 지토세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지토세 선의 철도역이었다. 역 번호는 H15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었다. | ||||||
212.미나미치토세역 | ||||||
미나미치토세역(일본어: 南千歳駅)은 일본 홋카이도 지토세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지토세 선의 소속역이며, 이 역을 기점으로 하여 신치토세 공항까지 잇는 지선과 세키쇼 선 등 3개의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역 번호는 H14이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춘 선상역사 형태의 철도역이다. | ||||||
213.가와유온센역 | ||||||
가와유온센역(일본어: 川湯温泉駅)은 일본 홋카이도 가와카미 군 데시카가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센모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B66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14.비루와역 | ||||||
비루와역(일본어: 美留和駅)은 일본 홋카이도 가와카미 군 데시카가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센모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B65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15.마슈역 | ||||||
마슈역(일본어: 摩周駅,ましゅうえき)은 홋카이도 가와카미 군의 데시카가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216.도베쓰역 | ||||||
도베쓰역(일본어: 当別駅)은 일본 홋카이도 이시카리군 도베쓰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삿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G13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17.후토미역 (홋카이도) | ||||||
후토미역(일본어: 太美駅)은 일본 홋카이도 이시카리군 도베쓰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삿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G12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18.홋카이도이료다이가쿠 | ||||||
219.ROYCE' Town역 | ||||||
ROYCE' Town역(일본어: ロイズタウン駅)은 일본 홋카이도 이시카리 군 도베쓰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삿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G11-1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20.이카우시역 | ||||||
이카우시역(일본어: 伊香牛駅)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군 도마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호쿠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37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21.도마역 (홋카이도) | ||||||
도마역(일본어: 当麻駅)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군 도마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호쿠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35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22.기타이리에 신호장 | ||||||
기타이리에 신호장(일본어: 北入江信号場)은 일본 홋카이도 이부리 지청 아부타 군 도야코정에 있는 신호장이다. | ||||||
223.도야역 (도야코정) | ||||||
도야역(일본어: 洞爺駅, とうや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이부리 지청 아부타 군 도야코정에 있는 철도역이다. | ||||||
224.아오바역 | ||||||
아오바역(일본어: 青葉駅 あおば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도마코마이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19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25.이토이역 | ||||||
이토이역(일본어: 糸井駅 いとい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도마코마이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20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26.우에나에역 | ||||||
우에나에역(일본어: 植苗駅)은 일본 홋카이도 도마코마이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지토세 선 상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16, 전보 약호는 우나(일본어: ウナ)이다. 무인역으로서 Kitaka(키타카) 카드용 간이 개찰기가 설치되어 있어 IC카드를 사용할 수 있지만 승차권이나 카드의 판매를 위한 창구나 자동판매기가 설치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열차 내에서 승차권을 구입해야 한다. 인근의 비비역과 함께 일부 보통열차는 정차하지 않고 통과한다. | ||||||
227.도마코마이역 | ||||||
도마코마이역(일본어: 苫小牧駅 とまこまい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도마코마이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무로란 본선의 소속역이며, 이 역을 기점으로 하고 있는 히다카 본선과 직결 운행되는 지토세 선 등 3개의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역 번호는 H18이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28.니시키오카역 | ||||||
니시키오카역(일본어: 錦岡駅 にしきおか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도마코마이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21이며, 혼합식 승강장 2면 3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29.누마노하타역 | ||||||
누마노하타역(일본어: 沼ノ端駅 ぬまのはた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도마코마이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무로란 본선의 소속역이며, 이 역을 기점으로 하는 지토세 선 등 2개의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혼합식 승강장 2면 3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30.유후쓰역 | ||||||
유후쓰역(일본어: 勇払駅)은 일본 홋카이도 도마코마이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히다카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31.오키시역 | ||||||
오키시역(일본어: 大岸駅)은 일본 홋카이도 아부타 군 도요우라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43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2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232.고보로역 | ||||||
고보로역(일본어: 小幌駅)은 일본 홋카이도 아부타 군 도요우라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45이며, 보통열차도 일부만 정차한다. | ||||||
233.도요우라역 | ||||||
도요우라역(일본어: 豊浦駅)은 일본 홋카이도 아부타 군 도요우라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42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234.레분역 | ||||||
레분역(일본어: 礼文駅)은 일본 홋카이도 아부타 군 도요우라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44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235.도후쓰역 | ||||||
도후쓰역(일본어: 十弗駅)은 일본 홋카이도 나카가와 군 도요코로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역이다. 역 번호는 K37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236.도요코로역 | ||||||
도요코로역(일본어: 豊頃駅)은 일본 홋카이도 나카가와 군 도요코로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역이다. 역 번호는 K38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237.가부토누마역 | ||||||
가부토누마역(일본어: 兜沼駅)은 일본 홋카이도 데시오 군 도요토미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W76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38.도요토미역 | ||||||
도요토미역(일본어: 豊富駅)은 일본 홋카이도 데시오 군 도요토미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W74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39.나이에역 | ||||||
나이에역(일본어: 奈井江駅 나이에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소라치 군 나이에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A18이며, 2면 3선 구조의 교상역이다. | ||||||
240.사쿠역 | ||||||
사쿠역(일본어: 佐久駅)은 일본 홋카이도 나카가와 군 나카가와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속의 소야 본선의 역이다. 2면 2선 (상대식 승강장)의 지상 역이다. 역무원이 근무하지 않는 무인역이다. | ||||||
241.데시오나카가와역 | ||||||
데시오나카가와역(일본어: 天塩中川駅)은 일본 홋카이도 나카가와 군 나카가와 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W64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42.시카우치역 | ||||||
시카우치역(일본어: 鹿討駅)은 일본 홋카이도 소라치 군 나카후라노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후라노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F43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43.나카후라노역 | ||||||
나카후라노역(일본어: 中富良野駅)은 일본 홋카이도 아사히카와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후라노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F42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44.니시나카역 | ||||||
니시나카역(일본어: 西中駅)은 일본 홋카이도 소라치 군 나카후라노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후라노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F40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45.라벤더바타케역 | ||||||
라벤다바타케역(일본어: ラベンダー畑駅 ラベンダーばたけ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소라치 군 나카후라노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후라노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F41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이 역은 임시 승강장 형태이다. | ||||||
246.오나카야마역 | ||||||
오나카야마역(일본어: 大中山駅 오오나카야마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가메다 군 나나에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247.오누마역 | ||||||
오누마역(일본어: 大沼駅 오오누마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가메다 군 나나에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248.오누마코엔역 | ||||||
오누마 공원역 또는 오누마코엔역(일본어: 大沼公園駅 오오누마코우엔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가메다 군 나나에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249.조시구치역 | ||||||
조시구치역(일본어: 銚子口駅)은 일본 홋카이도 가메다 군 나나에정에 있던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 (사와라 지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N69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250.나나에역 | ||||||
나나에역(일본어: 七飯駅 나나에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가메다 군 나나에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251.니야마역 | ||||||
니야마역(일본어: 仁山駅 니야마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가메다 군 나나에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252.지에분역 | ||||||
지에분역(일본어: 智恵文駅)은 일본 홋카이도 나요로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역이다. | ||||||
253.지호쿠역 | ||||||
지호쿠역(일본어: 智北駅)은 일본 홋카이도 나요로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역이다.역 번호는 W52이다. | ||||||
254.나요로역 | ||||||
나요로역(일본어: 名寄駅)은 일본 홋카이도 나요로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 일본화물철도 소야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W48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다. 일본화물철도의 나요로 역은 컨테이너 화물(JR 규격 12ft 컨테이너만)을 취급한다. 컨테이너 배치기지인 나요로 오프레일 스테이션(나요로ORS)이 역사 북쪽에 병설되어 있으며, 화물열차 대행 트럭 편이 기타아사히카와역과의 사이에 하루 5회 왕복 운행되고 있다. 덧붙여, 일본화물철도의 역으로서는 최북단에 위치하고 있다. 예전에는 1면 2선의 컨테이너 승강장이 있었지만, 화물열차의 발착이 폐지되었던 1996년 9월 이후, 하역선은 사용되지 않는 승강장만 컨테이너 기지로 사용되었다. 화물열차의 발착이 없어 자동차 대행역이 된 후, 2006년 4월의 화물역 명칭정리 때에, '나요로 오프레일 스테이션'이 되었다. | ||||||
255.나요로고등학교역 | ||||||
나요로고등학교역(일본어: 名寄高校駅)은 일본 홋카이도 나요로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W47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1956년 9월 20일에 히가시후렌역(일본어: 東風連駅)이라는 이름으로 개업했다. 2022년 3월 12일에 왓카나이역 방면으로 1.5km 정도 이설되면서 나요로고등학교역으로 이름을 바꿨다. | ||||||
256.닛신역 (홋카이도) | ||||||
닛신역(일본어: 日進駅)은 일본 홋카이도 나요로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W49이다. | ||||||
257.후렌역 | ||||||
후렌역(일본어: 風連駅)은 일본 홋카이도 나요로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W46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258.긴잔역 (홋카이도) | ||||||
긴잔역(일본어: 銀山駅 킨잔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요이치 군 니키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인근의 상점에서 승차권을 취급하고 있는 간이위탁역으로, 6시부터 20시까지 운영된다. | ||||||
259.시카리베쓰역 | ||||||
시카리베쓰역(일본어: 然別駅 시카리베쓰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요이치 군 니키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시카리베쓰는 아이누 어로 자신을 도는 강을 뜻하는 시카리베츠에서 유래되었다. | ||||||
260.니키역 | ||||||
니키역(일본어: 仁木駅 니키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요이치 군 니키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261.니세코역 | ||||||
니세코역(일본어: ニセコ駅 니세코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아부타 군 니세코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예전에는 급행 니세코와 라이덴 등이 정차했던 적이 있었다. 일본 최초로 역명에 가타카나만 사용된 역이다(1968년). | ||||||
262.이시카리누마타역 | ||||||
이시카리누마타역(일본어: 石狩沼田駅)은 일본 홋카이도 우류 군 누마타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루모이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63.앗토코역 | ||||||
앗토코역(일본어: 厚床駅)은 일본 홋카이도 네무로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네무로 본선의 역이다. 2면 2선 구조의 승강장을 가지고 있는 지상역이다. | ||||||
264.오치이시역 | ||||||
오치이시역(일본어: 落石駅)은 일본 홋카이도 네무로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네무로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265.곤부모리역 | ||||||
곤부모리역(일본어: 昆布盛駅)은 일본 홋카이도 네무로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네무로 본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266.니시와다역 | ||||||
니시와다역(일본어: 西和田駅)은 일본 홋카이도 네무로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네무로 본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267.네무로역 | ||||||
네무로역(일본어: 根室駅,ねむろえき)은 홋카이도 네무로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네무로 시의 대표역으로, 네무로 본선의 종점이자, 일본열도 최동단에 위치한 역이다. | ||||||
268.히가시네무로역 | ||||||
히가시네무로역(일본어: 東根室駅,ひがしねむろえき)은 홋카이도 네무로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동경 145도 36분 05초에 위치한 일본 최동단 철도역이다. | ||||||
269.벳토가역 | ||||||
벳토가역(일본어: 別当賀駅)은 일본 홋카이도 네무로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네무로 본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270.도미우라역 (홋카이도) | ||||||
도미우라역(일본어: 富浦駅)은 일본 홋카이도 노보리베쓰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29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71.노보리베쓰역 | ||||||
노보리베쓰역(일본어: 登別駅)은 일본 홋카이도 노보리베쓰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28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272.호로베쓰역 | ||||||
호로베쓰역(일본어: 幌別駅)은 일본 홋카이도 노보리베쓰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30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273.와시베쓰역 | ||||||
와시베쓰역(일본어: 鷲別駅)은 일본 홋카이도 노보리베쓰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31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74.기쿄역 | ||||||
기쿄역(일본어: 桔梗駅 기쿄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하코다테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275.고료카쿠역 | ||||||
고료카쿠역(일본어: 五稜郭駅)은 일본 홋카이도 하코다테시에 있는 도난 이사리비 철도, 홋카이도 여객철도와 일본화물철도의 철도역이다. 여객역과 화물역은 조금 떨어져 있으며, 화물역은 하코다테 항에 인접해 있는 미나토초 1초메에 있다. 역명은 성곽 요새 유적인 고료카쿠에서 이름을 따왔으나, 실제 유적을 중심으로 조성된 고료카쿠 공원과는 2 km 가까이 떨어져 있다. | ||||||
276.하코다테역 | ||||||
하코다테역(일본어: 函館駅 하코다테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하코다테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하코다테 본선의 기점역이며, 도난 이사리비 철도선으로 직결하는 열차의 실질적 기점역이기도 하다. 이 문서에서는 하코다테 시 교통국의 전차역인 하코다테 역전역(일본어: 函館駅前駅, はこだてえきまええき)에 대해서도 기술한다. | ||||||
277.아네베쓰역 | ||||||
아네베쓰역(일본어: 姉別駅)은 일본 홋카이도 앗케시 군 하마나카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네무로 본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 구조의 지상역이다. | ||||||
278.자나이역 | ||||||
자나이역(일본어: 茶内駅)은 일본 홋카이도 앗케시 군 하마나카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네무로 본선 (하나사키 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의 형태를 지닌 지상역이다. | ||||||
279.하마나카역 | ||||||
하마나카역(일본어: 浜中駅)은 일본 홋카이도 앗케시 군 하마나카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네무로 본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 구조의 지상역이다. | ||||||
280.기타비에이역 | ||||||
기타비에이역(일본어: 北美瑛駅)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군 비에이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후라노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F36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81.비에이역 | ||||||
비에이역(일본어: 美瑛駅, びえい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종합진흥국 가미카와 군 비에이정에 있는 후라노 선의 역이다. 역번호는 F37이다. | ||||||
282.비바우시역 | ||||||
비바우시역(일본어: 美馬牛駅)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군 비에이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후라노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F38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83.핏푸역 | ||||||
핏푸역(일본어: 比布駅)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군 핏푸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W34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가지는 지상역이며, 무인역이다. | ||||||
284.란루역 | ||||||
란루역(일본어: 蘭留駅)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군 핏푸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W36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 구조의 지상역이자 무인역이다. | ||||||
285.고슈나이역 | ||||||
고슈나이역(일본어: 光珠内駅 코우슈나이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비바이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A15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철도 역사이자 무인역이다. | ||||||
286.자시나이역 | ||||||
자시나이역(일본어: 茶志内駅 차시나이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비바이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 일본화물철도의 역이다. 역 번호는 A17이며, 단선 승강장과 섬식 승강장의 형태를 합친 복합 철도 역사이다. | ||||||
287.비바이역 | ||||||
비바이역(일본어: 美唄駅 비바이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비바이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A16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가진 지상역이다. 비바이 시의 대표역이기도 하다. | ||||||
288.미네노부역 | ||||||
미네노부역(일본어: 峰延駅 미네노부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비바이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A14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가지는 지상역이자 무인역이다. | ||||||
289.온네나이역 | ||||||
온네나이역(일본어: 恩根内駅)은 일본 홋카이도 나카가와 군 비후카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W57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가진 지상역이자, 무인역이다. | ||||||
290.도요시미즈 신호장 | ||||||
도요시미즈신호장(일본어: 豊清水信号場)은 일본 홋카이도 나카가와 군 비후카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신호장이다. 역 번호는 W58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가진 지상역이며, 무인역이다. | ||||||
291.하쓰노역 | ||||||
하쓰노역(일본어: 初野駅)은 일본 홋카이도 나카가와 군 비후카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W55이다. 간이 형태의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가진 지상역이자, 무인역이다. | ||||||
292.비후카역 | ||||||
비후카역(일본어: 美深駅)은 일본 홋카이도 나카가와 군 비후카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W54이다.비후카 정의 대표역으로, 특급 "소야", "사로베쓰"가 정차한다. 예전에는 이 역에서 비코 선이 연결됐다. | ||||||
293.비호로역 | ||||||
비호로역(일본어: 美幌駅)은 일본 홋카이도 아바시리 군 비호로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호쿠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65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94.오사무나이역 | ||||||
오사무나이역(일본어: 納内駅 오사무나이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후카가와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A25이며, 상대식 · 섬식의 구조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다. 과거 이 역과 이노 역 사이에 가무이코탄 역이 있었으나 국철 시절에 폐역되었다. | ||||||
295.기타이치얀역 | ||||||
기타이치얀역(일본어: 北一已駅)은 일본 홋카이도 후카가와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루모이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96.후카가와역 | ||||||
후카가와역(일본어: 深川駅 후카가와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후카가와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역이다. 역 번호는 A24이며, 하코다테 본선의 소속역으로서, 이 역을 기점으로 하는 루모이 본선을 더해 2개의 노선이 상호 운행하고 있다. 단선 · 섬식을 합친 구조의 복합 철도 역사이다. 경부선 심천역과 한자가 같다 | ||||||
297.가쿠덴역 (홋카이도) | ||||||
가쿠덴역(일본어: 学田駅)은 일본 홋카이도 후라노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후라노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F44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98.시마노시타역 | ||||||
시마노시타역(일본어: 島ノ下駅)은 일본 홋카이도 후라노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네무로 본선의 역이었다. 역 번호는 T29이며, 단선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299.누노베역 | ||||||
누노베역(일본어: 布部駅)은 일본 홋카이도 후라노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네무로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T31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을 지닌 구조의 지상역이다. 하지만, 단선 방식의 구조로 되어 있다. | ||||||
300.후라노역 | ||||||
후라노역(일본어: 富良野駅)은 일본 홋카이도 후라노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 일본화물철도의 역이다. 역 번호는 T30이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지닌 역이다. 네무로 본선의 소속으로서 이 역을 기점으로 하는 후라노 선 등 2개의 노선이 상호 운행되고 있다. | ||||||
301.야마베역 | ||||||
야마베역(일본어: 山部駅)은 일본 홋카이도 후라노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네무로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T32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302.오시마토베쓰역 | ||||||
오시마토베쓰역(일본어: 渡島当別駅, おしまとうべつ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호쿠토시에 있는 도난 이사리비 철도 도난 이사리비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 ||||||
303.가미이소역 | ||||||
가미이소역(일본어: 上磯駅, かみいそ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호쿠토시에 있는 도난 이사리비 철도 도난 이사리비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 ||||||
304.기요카와구치역 | ||||||
기요카와구치역(일본어: 清川口駅, きよかわぐち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호쿠토시에 있는 도난 이사리비 철도 도난 이사리비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 ||||||
305.구네베쓰역 | ||||||
구네베쓰역(일본어: 久根別駅, くねべつ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호쿠토시에 있는 도난 이사리비 철도 도난 이사리비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 ||||||
306.신하코다테호쿠토역 | ||||||
신하코다테호쿠토역(일본어: 新函館北斗駅 신하코다테호쿠토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호쿠토시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홋카이도 신칸센,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2016년 3월 25일까지는 오시마오노 역(일본어: 渡島大野駅 오시마오노에키[*])이라고 불렀으며, 2016년 3월 26일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 이후 역 명칭이 개칭되었다. | ||||||
307.나나에하마역 | ||||||
나나에하마역(일본어: 七重浜駅, ななえはま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호쿠토시에 있는 도난 이사리비 철도 도난 이사리비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 ||||||
308.히가시쿠네베쓰역 | ||||||
히가시쿠네베쓰역(일본어: 東久根別駅, ひがしくねべつ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호쿠토시에 있는 도난 이사리비 철도 도난 이사리비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 ||||||
309.모헤지역 | ||||||
모헤지역(일본어: 茂辺地駅, もへじ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호쿠토시에 있는 도난 이사리비 철도 도난 이사리비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 ||||||
310.야후라이 신호장 | ||||||
야후라이 신호장(일본어: 矢不来信号場, やふらいしんごうじょう 야후라이신고조[*])은 일본 홋카이도 호쿠토시에 있는 도난 이사리비 철도 도난 이사리비 철도선의 신호장이다. 열차 교행용으로 설치된 2선 구조의 신호장으로, 1선을 통과 열차를 위한 선로 배치로 되어있다. 대피선의 일부는 터널에 걸쳐 있으며, 기본적으로 열차의 교행이 없는 경우에는 통과선을 사용한다. 열차의 교행이나 추월이 있는 경우에는 대기 열차가 터널 쪽 대피선을 이용한다. | ||||||
311.오놋푸나이역 | ||||||
오놋푸나이역(일본어: 雄信内駅)은 일본 홋카이도 데시오 군 호로노베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W68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12.시모누마역 | ||||||
시모누마역(일본어: 下沼駅)은 일본 홋카이도 데시오 군 호로노베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W73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13.도이칸베쓰역 | ||||||
도이칸베쓰역(일본어: 問寒別駅)은 일본 홋카이도 데시오 군 호로노베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W66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14.누카난역 | ||||||
누카난역(일본어: 糠南駅)은 일본 홋카이도 데시오 군 호로노베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역이다. | ||||||
315.호로노베역 | ||||||
호로노베역(일본어: 幌延駅)은 일본 홋카이도 데시오 군 호로노베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W72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16.미나미호로노베역 | ||||||
미나미호로노베역(일본어: 南幌延駅)은 일본 홋카이도 데시오 군 호로노베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W70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17.사쓰나이역 | ||||||
사쓰나이역(일본어: 札内駅)은 일본 홋카이도 나카가와 군 마쿠베쓰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역이다. 역 번호는 K32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318.마쿠베쓰역 | ||||||
마쿠베쓰역(일본어: 幕別駅)은 일본 홋카이도 나카가와 군 마쿠베쓰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역이다. 역 번호는 K34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다. | ||||||
319.이쿠토라역 | ||||||
이쿠토라역(일본어: 幾寅駅)은 일본 홋카이도 소라치 군 미나미후라노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네무로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T36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320.오치아이역 (홋카이도) | ||||||
오치아이역(일본어: 落合駅)은 일본 홋카이도 소라치 군 미나미후라노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네무로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T37이며, 2면 3선 복합 구조의 지상역이다. | ||||||
321.가나야마역 (홋카이도) | ||||||
가나야마역(일본어: 金山駅)은 일본 홋카이도 소라치 군 미나미후라노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네무로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T34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322.가미오치아이 신호장 | ||||||
가미오치아이 신호장(일본어: 上落合信号場)은 일본 홋카이도 소라치 군 미나미후라노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쇼 선의 신호장이다. 양 노선의 시설 상의 분기점이 있어, 여기부터 신토쿠역으로는 'S'자의 선로가 부설되어, 급경사를 내려가게 되어 있다. 신카리카치 터널 내의 오치아이 쪽의 입구부터 약 170m의 지점에 있는 2선을 가진 단선 분기형의 신호장이다. 오치아이 쪽으로 네무로 본선과 세키쇼 선이 합류한다. | ||||||
323.시모카나야마역 | ||||||
시모카나야마역(일본어: 下金山駅)은 일본 홋카이도 소라치 군 미나미후라노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네무로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T33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324.히가시시카고에역 | ||||||
히가시시카고에역(일본어: 東鹿越駅)은 일본 홋카이도 소라치 군 미나미후라노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 일본화물철도 네무로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T35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325.무카와역 | ||||||
무카와역(일본어: 鵡川駅)은 일본 홋카이도 유후쓰 군 무카와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히다카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26.사키모리역 | ||||||
사키모리역(일본어: 崎守駅)은 일본 홋카이도 무로란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34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27.진야마치역 | ||||||
진야마치역(일본어: 陣屋町駅)은 일본 홋카이도 무로란시에 있는 일본화물철도의 철도역이다. 이 역은, 임시 차급화물의 취급역으로 되어 있지만, 2008년 3월 15일 다이어 개정에 의해 화물열차의 설정은 폐지되었다. | ||||||
328.히가시무로란역 | ||||||
히가시무로란역(일본어: 東室蘭駅)은 일본 홋카이도 무로란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 일본화물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32이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실제로는 오샤만베역에서 이와미자와역을 연결하는 무로란 본선의 소속역이지만, 이 역에서 무로란역으로 향하는 무로란 본선 지선의 분기점이자 기.종점역이다. | ||||||
329.보코이역 | ||||||
보코이역(일본어: 母恋駅 ぼこい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무로란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35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30.미사키역 (홋카이도) | ||||||
미사키역(일본어: 御崎駅 みさき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무로란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 지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31.무로란역 | ||||||
무로란역(일본어: 室蘭駅 むろらん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무로란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36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32.모토와니시역 | ||||||
모토와니시역(일본어: 本輪西駅)은 일본 홋카이도 무로란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 일본화물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33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화물역은 2014년 5월 29일까지 전용선을 이용한 차급화물을 취급했다. JX 닛코 일본석유에너지 무로란 제유소로 연결되는 전용선이 있어, 철도에 의한 석유 수송의 거점이었다. | ||||||
333.와니시역 | ||||||
와니시역(일본어: 輪西駅 わにし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무로란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 지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34.다이세이역 | ||||||
다이세이역(일본어: 大成駅)은 일본 홋카이도 가사이 군 메무로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역이다. 역 번호는 K28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335.메무로역 | ||||||
메무로역(일본어: 芽室駅)은 일본 홋카이도 가사이 군 메무로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역이다. 역 번호는 K27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지상역이다. | ||||||
336.모세우시역 | ||||||
모세우시역(일본어: 妹背牛駅 모세우시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우류 군 모세우시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A23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337.아카이가와역 | ||||||
아카이가와역(일본어: 赤井川駅 아카이가와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가야베 군 모리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338.이시쿠라역 | ||||||
이시쿠라역(일본어: 石倉駅 이시쿠라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가야베 군 모리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339.이시야역 | ||||||
이시야역(일본어: 石谷駅 이시야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가야베 군 모리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340.오시마사와라역 | ||||||
오시마사와라역(일본어: 渡島砂原駅)은 일본 홋카이도 가야베 군 모리정에 있는 역이다.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사와라 지선)이 지난다. 역 번호는 N66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341.오시마누마지리역 | ||||||
오시마누마지리역(일본어: 渡島沼尻駅)은 일본 홋카이도 가야베 군 모리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사와라 지선)의 역으로, 오누마역이 관리하는 무인역이다. 역 번호는 N67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코마가타케(駒ケ岳) 산기슭에 위치해 있기에 주변에 민가는 5채밖에 없고 대부분 숲과 농경지만 존재한다. 승강장끼리 건널목으로 연결되어 있는 상대식 승강장 지상역 형태이다. | ||||||
342.오시로나이역 | ||||||
오시로나이역(일본어: 尾白内駅)은 일본 홋카이도 가야베 군 모리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사와라 지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N64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343.가카리마역 | ||||||
가카리마역(일본어: 掛澗駅)은 일본 홋카이도 가야베 군 모리정에 있는 역이다.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사와라 지선)이 지난다. 역 번호는 N65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344.고마가타케역 | ||||||
고마가타케역(일본어: 駒ヶ岳駅 코마가타케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가야베 군 모리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345.히가시모리역 | ||||||
히가시모리역(일본어: 東森駅)은 일본 홋카이도 가야베 군 모리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사와라 지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N63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346.히메카와역 (홋카이도) | ||||||
히메카와역(일본어: 姫川駅 히메카와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가야베 군 모리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347.모리역 (홋카이도) | ||||||
모리역(일본어: 森駅 모리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가야베 군 모리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348.오토시베역 | ||||||
오토시베역(일본어: 落部駅 오토시베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후타미 군 야쿠모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349.구로이와역 | ||||||
구로이와역(일본어: 黒岩駅 쿠로이와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후타미 군 야쿠모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350.노다오이역 | ||||||
노다오이역(일본어: 野田生駅 노다오이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후타미 군 야쿠모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351.야쿠모역 | ||||||
야쿠모역(일본어: 八雲駅 야쿠모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후타미 군 야쿠모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이웃한 와시노스 역이 2016년 3월 26일에 신호장으로 격하됨에 따라 야쿠모 역이 홋카이도내 최서단 역이 되었다. | ||||||
352.야마코시역 | ||||||
야마코시역(일본어: 山越駅 야마코시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후타미 군 야쿠모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353.야마사키역 | ||||||
야마사키역(일본어: 山崎駅 야마사키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후타미 군 야쿠모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354.와시노스 신호장 | ||||||
와시노스 신호장(일본어: 鷲ノ巣信号場)은 일본 홋카이도 후타미 군 야쿠모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신호장이다. | ||||||
355.신유바리역 | ||||||
신유바리역(일본어: 新夕張駅)은 일본 홋카이도 유바리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K20이며, 이 역을 기점으로 하는 유바리 지선 등 2개의 노선이 운영중이므로,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56.다키노우에역 | ||||||
다키노우에역(일본어: 滝ノ上駅)은 일본 홋카이도 유바리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K18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357.도미사토 신호장 | ||||||
도미사토역(일본어: 十三里駅)은 일본 홋카이도 유바리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쇼 선의 철도역으로,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신호장이다. 여객 영업을 할 당시의 역 번호는 K19이다. | ||||||
358.가와바타역 | ||||||
가와바타역(일본어: 川端駅)은 일본 홋카이도 유바리 군 유니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세키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K17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359.후루산역 | ||||||
후루산역(일본어: 古山駅 ふるさん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유바리 군 유니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60.미카와역 (홋카이도) | ||||||
미카와역(일본어: 三川駅 みかわ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유바리 군 유니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61.유니역 | ||||||
유니역(일본어: 由仁駅 ゆに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유바리 군 유니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무로란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62.요이치역 | ||||||
요이치역(일본어: 余市駅 요이치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요이치 군 요이치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363.곤부역 | ||||||
곤부역(일본어: 昆布駅 콘부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이소야 군 란코시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굿찬역에서 관리하고 있는 무인역이다. | ||||||
364.메나역 | ||||||
메나역(일본어: 目名駅 메나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이소야 군 란코시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365.란코시역 | ||||||
란코시역(일본어: 蘭越駅 란코시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이소야 군 란코시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철도역이다. | ||||||
366.밧카이역 | ||||||
밧카이역(일본어: 抜海駅)은 일본 홋카이도 왓카나이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W78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 구조의 지상역이다. | ||||||
367.미나미왓카나이역 | ||||||
미나미왓카나이역(일본어: 南稚内駅)은 일본 홋카이도 왓카나이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W79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승강장 구조의 지상역이다. | ||||||
368.유치역 | ||||||
유치역(일본어: 勇知駅)은 일본 홋카이도 왓카나이시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W77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69.왓카나이역 | ||||||
왓카나이역(일본어: 稚内駅, わっかない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왓카나이시에 위치하는 철도역이다. | ||||||
370.시오카리역 | ||||||
시오카리역(일본어: 塩狩駅)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군 왓사무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W37이며, 상대식 승강장 1면 1선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371.왓사무역 | ||||||
왓사무역(일본어: 和寒駅)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군 왓사무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소야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W38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다. | ||||||
372.아사부역 | ||||||
아사부역(일본어: 麻生駅, あさぶ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기타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 ||||||
373.기타12조역 | ||||||
기타12조역(일본어: 北12条駅, きたじゅうにじょう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기타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 ||||||
374.기타18조역 | ||||||
기타18조역(일본어: 北18条駅, きたじゅうはちじょう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기타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과거에는 본 역에서 100m정도 서쪽에 기타18조니시 5초메 다카와도리 위에 삿포로 시 전철 기타 선의 동명의 정류장이 있었다. | ||||||
375.기타24조역 | ||||||
기타24조역(일본어: 北24条駅, きたにじゅうよじょう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기타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 ||||||
376.기타34조역 | ||||||
기타34조역(일본어: 北34条駅, きたさんじゅうよじょう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기타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일본의 철도역에서는 아라비아 숫자가 들어간 역명 중 가장 큰 숫자를 쓰고 있다.2위는 니시28초메역,3위는 다음 역인 기타24조역과 니주욘켄역,4위는 니시18초메역과 기타18조역,난고18초메역,5위는 기타13조히가시역,난고13초메역,6위는 기타12조역,7위는 니시11초메역,꼴지는 난고7초메역이다. | ||||||
377.삿포로역 | ||||||
삿포로역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기타구와 주오구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와 삿포로시 교통국의 철도역이다.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역은 札幌駅(さっぽろえき)로 기타구에 있으며, 삿포로시 교통국의 역은 さっぽろ駅(さっぽろえき)로 주오구에 있다. | ||||||
378.시노로역 | ||||||
시노로역(일본어: 篠路駅)은 홋카이도 여객철도에서 관할하는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기타구에 위치한 역이다. 역 번호는 G08번이다.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의 지상역이다. | ||||||
379.신카와역 (홋카이도) | ||||||
신카와역(일본어: 新川駅)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기타구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삿쇼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G04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 ||||||
380.신코토니역 | ||||||
신코토니역(일본어: 新琴似駅)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기타구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삿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G05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 ||||||
381.다이헤이역 | ||||||
다이헤이역(일본어: 太平駅)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기타구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삿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G06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82.다쿠호쿠역 | ||||||
다쿠호쿠역(일본어: 拓北駅)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기타구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삿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G09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83.유리가하라역 | ||||||
유리가하라역(일본어: 百合が原駅)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기타구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삿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G07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84.이시야마도리 정류장 | ||||||
이시야마도리 정류장(일본어: 石山通停留場, いしやまどおりていりゅうじょう)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 교통국(삿포로 시영 전차) 야마하나 선의 정류장이다. 정류장 번호는 SC13이다. | ||||||
385.교케이도리 정류장 | ||||||
교케이도리 정류장(일본어: 行啓通停留場, ぎょうけいどおりていりゅうじょう)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 교통국(삿포로 시영 전차) 야마하나 선의 정류장이다. 정류장 번호는 SC18이다. | ||||||
386.다누키코지 정류장 | ||||||
다누키코지 정류장(일본어: 狸小路停留場, たぬきこうじていりゅうじょう)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 교통국(삿포로 시영 전차) 도심선의 정류장이다. 정류장 번호는 SC24이다. | ||||||
387.니시 4초메 정류장 | ||||||
니시 4초메 정류장(일본어: 西4丁目停留場 니시욘초메테이류조[*])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에 위치한 삿포로시 교통국(삿포로 시영 전차) 이치조 선과 도심선의 정류장이다. 정류장 번호는 SC01이다.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오도리 역이 인근에 위치한다. 삿포로시 최북단의 노면전차 정류장이자, 일본 최북단의 노면전차 정류장이기도 하다. | ||||||
388.니시 8초메 정류장 | ||||||
니시 8초메 정류장(일본어: 西8丁目停留場, にしはっちょうめていりゅうじょう)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 교통국(삿포로 시영 전차) 이치조 선의 정류장이다. 정류장 번호는 SC02이다. 노면 전차가 달리는 미나미1조도리로 니시 8초메 도리와의 교차점에 위치하고 있다. | ||||||
389.니시 15초메 정류장 | ||||||
니시 15초메 정류장(일본어: 西15丁目停留場, にしじゅうごちょうめていりゅうじょう)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 교통국(삿포로 시영 전차) 이치조 선과 야마하나니시 선의 정류장이다. 정류장 번호는 SC04이다. | ||||||
390.니시센6조 정류장 | ||||||
니시센6조 정류장(일본어: 西線6条停留場, にしせんろくじょうていりゅうじょう)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 교통국(삿포로 시영 전차) 야마하나니시 선의 정류장이다. 정류장 번호는 SC05이다. | ||||||
391.니시센11조 정류장 | ||||||
니시센11조 정류장(일본어: 西線11条停留場, にしせんじゅういちじょうていりゅうじょう)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 교통국(삿포로 시영 전차) 야마하나니시 선의 정류장이다. 정류장 번호는 SC07이다. | ||||||
392.니시센14조 정류장 | ||||||
니시센14조 정류장(일본어: 西線14条停留場, にしせんじゅうよじょうていりゅうじょう)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 교통국(삿포로 시영 전차) 야마하나니시 선의 정류장이다. 정류장 번호는 SC08이다. | ||||||
393.니시센16조 정류장 | ||||||
니시센16조 정류장(일본어: 西線16条停留場, にしせんじゅうろくじょうていりゅうじょう)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 교통국(삿포로 시영 전차) 야마하나니시 선의 정류장이다. 정류장 번호는 SC09이다. 평일 아침 러시아워에는 본 정류장과 스스키노 정류장 사이에서 회송 운전이 실시된다. | ||||||
394.야마하나9조 정류장 | ||||||
야마하나9조 정류장(일본어: 山鼻9条停留場, やまはなくじょうていりゅうじょう)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 교통국(삿포로 시영 전차) 야마하나 선의 정류장이다. 정류장 번호는 SC20이다. 야마하나 선을 통해 니시 7초메도리로, 기쿠스이아사히야마코엔도리와의 교차점에 위치한다. 본래 이 주변은 니시소세이 지역으로 야마하나 지구가 아니다. 명칭에 야마하나의 관사는 "야마하나센9조"의 뜻이라고 예상된다. 2004년 4월에 소세이 초등학교 앞 정류장이 시세이칸쇼갓코마에 정류장으로 개명되어 "소세이"의 정류장이 없어진 관계로 인근 주민들에게는 "니시소세이9조 정류장" 등으로 개명을 요구하는 소리도 있었다. | ||||||
395.야마하나19조 정류장 | ||||||
야마하나19조 정류장(일본어: 山鼻19条停留場, やまはなじゅうくじょうていりゅうじょう)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 교통국(삿포로 시영 전차) 야마하나 선의 정류장이다. 정류장 번호는 SC16이다. | ||||||
396.기쿠스이역 | ||||||
기쿠스이역(일본어: 菊水駅)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시로이시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 ||||||
397.난고 7초메역 | ||||||
난고 7초메 역(일본어: 南郷7丁目駅)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시로이시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역 번호는 T14이다.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아라비아 숫자가 들어간 역명 중에서는 가장 작은 수가 사용되었고, 유일하게 한 자릿수의 숫자를 사용하는 역이기도 하다.나머지는 다 11,12,13,18,24,28,34로 분류한다. | ||||||
398.난고 13초메역 | ||||||
난고 13초메 역(일본어: 南郷13丁目駅)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시로이시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이 역부터 히바리가오카역까지 상대식 승강장만 계속된다. | ||||||
399.난고 18초메역 | ||||||
난고 18초메 역(일본어: 南郷18丁目駅)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시로이시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 ||||||
400.히가시삿포로역 | ||||||
히가시삿포로역(일본어: 東札幌駅)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시로이시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 ||||||
401.헤이와역 | ||||||
헤이와역(일본어: 平和駅)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시로이시구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04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02.오도리역 | ||||||
오도리역(일본어: 大通駅, おおどおり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삿포로 시영 지하철 중 유일하게, 난보쿠 선, 도자이 선, 도호 선의 세 노선 모두 만나는 역이다. 삿포로 시영 전차의 니시 4초메 정류장과도 환승이 가능하다. | ||||||
403.스스키노역 | ||||||
스스키노역(일본어: すすきの駅, すすきの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본 문서에서는 삿포로 시영 전차 야마하나 선과 도심 선 정류장인 스스키노 정류장에 대해서도 기술한다. | ||||||
404.소엔역 | ||||||
소엔역(일본어: 桑園駅 소우엔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405.나에보역 | ||||||
나에보역(일본어: 苗穂駅 나에보에키[*])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 일본화물철도 하코다테 본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H02이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가지는 지상역이다. | ||||||
406.나카지마 공원역 | ||||||
나카지마 공원역(일본어: 中島公園駅, なかじまこうえん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 ||||||
407.니시 11초메역 | ||||||
니시 11초메 역(일본어: 西11丁目駅, にしじゅういっちょうめ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오도리 역과 함께 삿포로의 상징인 오도리 공원 아래에 위치한다. | ||||||
408.니시 18초메역 | ||||||
니시 18초메 역(일본어: 西18丁目駅)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역 번호는 T07이다. | ||||||
409.니시 28초메역 | ||||||
니시 28초메 역(일본어: 西28丁目駅)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 ||||||
410.버스센터마에역 | ||||||
버스센터 마에 역(일본어: バスセンター前駅, バスセンターまえ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 ||||||
411.호스이스스키노역 | ||||||
호스이스스키노역(일본어: 豊水すすきの駅, ほうすいすすきの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 ||||||
412.호로히라바시역 | ||||||
호로히라바시역(일본어: 幌平橋駅, ほろひらばし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 ||||||
413.마루야마코엔역 | ||||||
마루야마코엔역(일본어: 円山公園駅, まるやまこうえん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 ||||||
414.지에이타이마에역 | ||||||
지에이타이마에역(일본어: 自衛隊前駅)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미나미구에 있는 삿포로 시 교통국의 역이다. | ||||||
415.스미카와역 | ||||||
스미카와역(일본어: 澄川駅, すみかわ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미나미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 ||||||
416.마코마나이역 | ||||||
마코마나이역(일본어: 真駒内駅, まこまないえき)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미나미구에 위치한 삿포로 시영 지하철의 역이다. 역 번호는 N16이다. 1971년에 개업하고 지금도 난보쿠 선 남쪽의 종착역 역할을 하고 있다. 1920년부터 1969년까지, 본 역의 이북에 조잔케이 철도(현, 조테쓰)의 마코마나이 역이 있었다. | ||||||
417.아칸 국립공원 | ||||||
아칸 국립공원(阿寒国立公園)은 일본 홋카이도 동부에 있는 국립공원이다. 1934년 12월 4일에 다이세쓰 산 국립공원, 닛코 국립공원, 주부 산악 국립공원, 아소 국립공원(현 아소쿠주 국립공원)과 함께 지정된 홋카이도에서 가장 역사가 있는 국립공원이다. 면적 904.81km2이다. 지리적인 특징으로서 화산과 숲과 호수가 풍부하게 존재한다. 호수는 아칸호, 굿샤로호, 마슈호의 3개의 유명한 큰 호수와 온네토, 판케토-, 펜케토-라는 중소 호수와 늪이 지정 지역에 포함된다. 아칸 호는 마리모의 서식지, 홍연어의 원산지로서 유명하다. 공원내에 포함되는 주요 화산은 오아칸 산, 메아칸 산, 아칸후지, 모코토 산, 마슈 산이 있다. 메아칸 산은 활화산이며 최근에도 분화를 반복하고 있다. 화산이 풍부하기 때문에 지정 역내에 온천이 많다. 아칸 호 온천, 카와유 온천, 마슈 온천, 도베쓰 온천 등은, 각각 온천 마을을 형성해 관광객을 모으고 있으며 와코토 온천, 메아칸 온천(노나카 온천) 등, 각지에 온천이 용출하고 있다. | ||||||
418.아칸호 | ||||||
아칸 호(일본어: 阿寒湖 아칸코[*])는 홋카이도 동부의 구시로시에 있는 호수이다. 호수 전체가 아칸 국립공원에 속해 홋카이도 동부의 대표적 관광지이다. 2005년 11월 람사르 협약에 등록된 습지 중 한 곳이다. 홋카이도 동부의 구시로 시 북부에 위치해 있으며, 호수 동쪽에는 오아칸 산이 입지해 있다. 호수는 오아칸 산의 분화로 생성된 폐색호이다. 호수의 둘레는 30km, 면적은 13.28km2, 최대수심은 45m에 이른다. 섬으로는 오시마 섬, 고시마 섬, 주루이 섬, 야이타이 섬이 떠있다. 그중 주루이 섬에는 천연기념물인 마리모 전시관람 센터가 입지해 있다. | ||||||
419.아토사누푸리산 | ||||||
아토사누푸리산(Atosanupuri) 또는 이오 산(유황산, 硫黄山)은 홋카이도 북부에 있는 활화산이다. 이 화산은 마슈호 근처에 위치하고 있고, 유황 연기나 수증기, 그리고 화산가스 등을 지금도 내뿜고 있는 화산이다. 이 화산의 모양은 성층 화산에 종상 화산이 섞인 복합 화산이다. 한국어로는 유황산이라고 부른다. | ||||||
420.굿샤로호 | ||||||
굿샤로 호(일본어: 屈斜路湖 굿샤로코[*])는 홋카이도 동부의 데시카가정에 있는 호수이다. 호수 전역이 아칸 국립공원에 속해있다. 미확인 생명체인 굿시가 목격된 호수로 잠시나마 화제가 된 적이 있다. 모코토 산, 사맛카리누푸리 등을 외륜산으로 해 굿샤로 칼데라 내에 생성된 일본 최대의 칼데라 호이다. 덧붙여 굿샤로 칼레라의 직경은 긴 곳이 26km, 짧은 곳이 20km에 이르는 일본 최대의 칼레라이다. 일본의 호소 중 6번째로 큰 면적을 자랑한다. 주위에 작은 하천이 유입되어 남단에 있는 구시로 강으로 빠져나간다. 호수와 구시로 강이 만나는 상류에는 마을이 있고, 이를 아이누어로〈굿챠로〉라고 부른 데서 유래된 말이다. 아이누어로 굿챠로는“목구멍, 호수가 강으로 빠져나가는 부분”을 의미한다. | ||||||
421.마슈호 | ||||||
마슈 호(일본어: 摩周湖 마슈코[*])는 홋카이도 가와카미 군 데시카가정에 있는 호수이다. 일본에서 가장 맑은 호수로 2001년 홋카이도 유산에 선정되었다. 청색의 빛을 띤 호수인 탓에 호수색은〈마슈 블루〉로 불리고 있다. 홋카이도 동부 아칸 국립공원에 위치해 있다. 일본 호수 중에서 20번째로 넓다. 약 7,000년 전 대규모 분화에 의해 생성된 칼데라 호이다. 아이누어로는 '긴탄·카무이·도'(산신의 호수)라 부른다. 마슈라는 명칭은 여러 설이 있을 뿐 그 기원이 명확하지 않다. 호수 중앙에는 작은 섬인 가무이슈 섬이 있다. 호수 주변으로는 해발 600m 전후로 솟아있는 칼데라 벽과, 남동쪽 끝의 높이 858m 마슈 산이 있다. 마슈 산은 아이누어로 '가무이누푸리'(신의 산)으로 불린다. 호수 내부는 아칸 국립공원의 특별보호지구로 지정되어 개발행위와 우마차, 배의 승선 및 출입을 엄격히 규제하고 있다. | ||||||
422.마슈산 | ||||||
마슈산(일본어: 摩周岳)은 일본 홋카이도의 마슈호 바로 옆에 있는 성층 화산으로, 잠재적인 활화산이다. 이 화산은 붕괴된 성층 화산으로, 정상에 거대한 분화구가 있다. 다른 이름은 가무이누푸리(일본어: カムイヌプリ)로, 이는 신의 산이란 의미를 가지고 있다. 과거 대분화(화산 폭발 지수 5)로 형성된 큰 분화구가 있다. | ||||||
423.메아칸산 | ||||||
메아칸산(일본어: 雌阿寒岳)은 일본 홋카이도에 있는 화산으로, 지금까지 활동하고 있는 활화산이다. 이 화산은 성층 화산으로, 작은 화구호들과 커다랗고 화산가스같은 기체들이 나오는 분화구가 있는데, 이곳에서는 때때로 격렬한 화산가스 분출을 하기도 한다. 이 화산은 아칸후지 산과 붙어있다. 말하자면 이 화산은 복합 화산으로 말할 수 있다. 마지막 분화는 2008년에 있었으며, 2006년 분화 때에는 분화가 잘 관측되었다. 메아칸 산은 현재 분출을 멈추었으나 지금까지도 증기와 화산가스를 내뿜는 활화산이다. | ||||||
424.아바시리호 | ||||||
아바시리 호(일본어: 網走湖 아바시리코[*])는 홋카이도 아바시리시, 아바시리 군 오조라정에 걸쳐 있는 호수이다. 아바시리 국정공원에 속해 있다. 홋카이도 동북부에 위치해 있으며 아바시리 강, 메만베쓰 강 등이 유입되 다시 북동쪽으로 빠지는 아바시리 강으로 흘러 오호츠크해로 빠져나간다. 호수 동쪽에는 요비토 반도가 돌출되어 있다. 호면의 표고는 0m로 만조시 해수가 역류하기 때문에 호수 밑바닥에는 염분 농도가 높아 무산소층을 이루고 있다. 강수량이 많은 시기에는 호면이 해수보다 높아 역수현상이 감소해 호수 밑바닥의 무산소층이 얕아진다. | ||||||
425.사로마호 | ||||||
사로마 호(일본어: サロマ湖 사로마코[*])는 오호츠크해 해안의 기타미시, 도코로 군 사로마정, 몬베쓰 군 유베쓰정에 걸쳐 있는 호수이다. サロマ湖라는 표기 말고도 한자를 차용하여 佐呂間湖나 猿澗湖 등으로도 표기한다. 면적은 약 152km2로 홋카이도 내에서 가장 넓은 호수이고, 비와호, 가스미가우라호에 이어 일본에서 3번째로 넓다. 기수호 중에서는 일본에서 가장 넓은 호수이다. 호수의 명칭은 아이누어 사루오마토에서 유래된 것으로 갈대밭이 있는 호수라는 의미를 지녔다. 홋카이도 북동부에 위치해 있으며, 아바시리 국정공원에 속해 있다. 면적은 151.86km2, 둘레는 87km, 최대수심은 19.6m에 이른다. 사로마 호는 석호로 바다와 맞다아 있으며, 사로마 호와 오호츠크해를 가르는 것이 호수 전방에 위치한 폭 200 ~ 700m의 사취이다. 호수는 동서로 긴 형태이며 남쪽에는 동쪽으로 기운 기무아넷프 곶이 자리잡고 있다. 기무아넷프 곶 부근이 호수 중 얕은 부분에 속한다. 이 기무아넷프 곶을 기준으로 동과 서로 호수분지를 나눌 수 있다. 서쪽의 큰 호수분지에는 하로 강, 게로치 강 등이 흘러 들어와 신호구(新湖口)로 빠져나간다. 동쪽의 작은 호수분지에 흐르는 사로마베쓰 강은 유입하천 중 규모가 가장 큰 강으로 하구의 삼각주에는 시가지가 형성되어 있다. | ||||||
426.노토로호 | ||||||
노토로 호 또는 노토리 호(일본어: 能取湖 노토로코, 노토리코[*])는 홋카이도 아바시리시에 있는 호수이다. 아바시리 국정공원에 포함되어 있다. 홋카이도 동북부에 위치해 있으며, 오호츠크해와 맞닿은 해적호이다. 일본 호소중 13번째로 넓은 호수이다. 이전에는 해수유입부의 호수 입구가 계절적으로 개폐된 기수호였지만, 1973년 호안공사가 진행됨에 따라 호수입구가 고정되어 현재는 기수호보다는 해수호에 가깝다. 호수 남쪽은 퉁퉁마디 군락지가 있어 매년 9월경에는 호수 일면이 적색으로 물든다. 특히 우바라나이 지구(卯原内地区)는 일본 최대규모의 퉁퉁마디 군락지이다. | ||||||
427.오도리 공원 | ||||||
오도리 공원(大通公園)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에 있는 공원이다. 일본의 길 100선, 일본의 도시공원 100선, 도시경관 100선, 일본의 역사 공원 100선에 선정되었다.[1][2][3] 삿포로 중심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동서 약 1.5km, 면적 약 7.8ha의 공원이다. 삿포로의 풍치지구, 경관 계획 중점 구역으로 지정되어 있다.[4][5] 잔디밭과 화단으로 정비되어 있으며, 라일락, 느릅나무, 느티나무를 비롯한 92종, 약 4,700그루의 나무가 있다.[6] 또한, 오도리 공원에서는 삿포로 눈축제, 삿포로 라일락 축제, YOSAKOI 소란 축제, 삿포로 여름 축제, 삿포로 어텀 페스트, 삿포로 화이트 일루미네이션 등 각종 축제나 행사가 개최된다. | ||||||
428.삿포로 예술의 숲 | ||||||
삿포로 예술의 숲(일본어: 札幌芸術の森 삿포로게이쥬쓰노모리[*])은 홋카이도 삿포로시에 있는 공원으로, 예술 관련 시설들이 많이 있다. 삿포로 예술 문화 재단이 운영하고있다. 삿포로 예술의 숲 미술관 등 여러 미술관, 공예 박물관, 아틀리에 등 교육 시설, 아트홀, 야외 무대 등의 시설이 모여 있다. 근처에는 삿포로 시립 대학 예술의 숲 캠퍼스가 위치하고 있다. | ||||||
429.나카지마 공원 | ||||||
나카지마 공원(일본어: 中島公園)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에 있는 공원이다. 오락시설이 있는 어린이 나라와 일본식 정원, 아름다운 백화원, 천문대 등이 있다. 공원 안에 있는 호헤이칸(豊平館)은 1897년에 호텔로 세워진 연푸른 색조의 멋진 신양식 건물이다. 과거에는 귀빈 접대 장소로 사용되었으나 현재는 결혼식장 등으로 이용되고 있다. | ||||||
430.시코쓰토야 국립공원 | ||||||
시코쓰토야 국립공원(支笏洞爺国立公園)은 일본 홋카이도 서부에 있는 국립공원이다. 호수와 화산, 온천이 많은 것이 특징이다. 1949년 5월 16일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면적은 994.73km2이다. 크게 5개의 지역으로 나눌 수 있다. | ||||||
431.아부타군 | ||||||
아부타군(일본어: 虻田郡)은 일본 홋카이도 서부, 이부리 지청과 시리베시 지청의 군이다. 인구 11,596명, 면적 414.38km², 인구밀도 28명/km².(2024년 2월 29일, 주민기본대장인구) 이하 6정 2촌으로 구성된다. | ||||||
432.우스군 | ||||||
우스군(일본어: 有珠郡)은 일본 홋카이도 이부리 지청의 군이다. 인구 2,381명, 면적 205.01km², 인구밀도 11.6명/km².(2024년 2월 29일, 주민기본대장인구) 이하 1정으로 구성된다. 에도 시대에 우스 군역은 동 에조치에 속해 마쓰마에번에 의해서 우스 장소가 설치되어 있었다. 에도 시대 후기에 국방을 위해 우스 군역은 천령이 되었다. 우스 군역에도 걸쳐 있는 우스 산은 예부터 화산활동이 번성했다. 1869년에 우스군이 두어져 홋카이도 이부리국에 포함되었다. | ||||||
433.우스산 | ||||||
우스산(일본어: 有珠山)은 일본의 홋카이도에 있는 성층 화산으로, 현재까지 활동하는 활화산이다. 이곳은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으며, 도야 호수(도야호)옆에 위치해 있다. 이 산은 분화구로 가는 산책로가 있으며, 분화구는 아직도 활동이 활발하다. 이곳은 꽃도 피어서 장관이다. 옆에는 측화산인 쇼와신 산이 있으며 쇼와신 산은 1943년에 최종 분화를 일으켰다. 우수 산은 2000년에 분화하였으며 용암 분출은 없었지만 화산재가 발생하였다. 이렇게 해서 사람들은 도야호 옆에서 사진촬영을 하였다. 그때 화산재는 아주 높이 치솟았다. 2000년때의 분화는 나무들 주변에서 발생하였다. 지금은 케이블카까지 설치해 놓아 산 정상까지 편하게 올라갈 수 있게 되었다. | ||||||
434.에니와시 | ||||||
에니와시(일본어: 恵庭市)는 홋카이도 중부 (도오지방) 이시카리 지청의 시이다. | ||||||
435.오타키촌 (홋카이도) | ||||||
오타키촌(大滝村)은 홋카이도의 서남부에 위치했던 촌이다 현재는 다테시가 되었다. 마을 이름은 마을의 명소인 미카타키 폭포에서 유래했다. 다테시와 합병협의를 진행한 결과 합의에 이르렀고, 양 지자체는 2005년 3월 24일 합병 신청서를 제출하여 2006년 3월 1일 다테시에 편입되었다. 소베쓰정을 사이에 두고 있어 월경지가 되어, 오타키촌 지역은 다테시의 지역 자치구 '오타키구'가 되었다. | ||||||
436.기모베쓰정 | ||||||
기모베쓰정(일본어: 喜茂別町)은 일본 홋카이도 시리베시 지청 관내의 아부타 군에 속한 정이다. 지명은 아이누어의 ‘김오펫’(キム・オ・ペッ, 산에 있는 강)으로부터 바뀐 것이다. | ||||||
437.교고쿠정 | ||||||
교고쿠정(일본어: 京極町)은 일본 홋카이도 시리베시 지청 관내의 요테이 산 기슭에 있는 정이다. | ||||||
438.굿찬정 | ||||||
굿찬정(일본어: 倶知安町)은 일본 홋카이도 서부 시리베시 종합진흥국(구 시리베시 지청) 아부타 군에 있는 정이다. 시리베시 종합진흥국의 진흥국 소재지이다. 지명은 아이누어에서 유래하며, 남쪽에 인접한 니세코정과 함께 스키의 명소로 유명하며, 대규모 스키장인 니세코 마운틴 리조트 그랜드 히라후가 있다. | ||||||
439.삿포로시 | ||||||
삿포로시(일본어: 札幌市)는 일본 홋카이도의 도오지방에 위치하고 이시카리 진흥국에 속한, 홋카이도의 정치, 경제의 중심 도시다. 일본의 정령지정도시 (196만명) 중 하마마쓰시, 시즈오카시 다음으로 면적이 넓고 일본 도시 중 다섯 번째로 인구가 많다. 10개의 행정구가 있다. | ||||||
440.시코쓰호 | ||||||
시코쓰 호(일본어: 支笏湖 시코쓰코[*])는 홋카이도 지토세시에 있는 호수로 시코쓰토야 국립공원에 속해있다. 일본 최북단의 얼음이 얼지 않는 부동호로 알려져 있다. 호수의 명칭 시코쓰는 아이누어의 시콧에서 유래한 것으로 “크게 움푹 패어 웅덩이가 된 땅”을 의미한다. 덧붙여 옛 홋카이도 있었던 마쓰마에번에서는 도마코마이시까지를 시코쓰라고 불렀으며 지고진(志古津)라고 표기했다・ 홋카이도 남서부에 위치한 호수로 평균수심 265m, 최대수심 363m에 이르며 아키타현의 다자와호에 이어 두 번째로 물이 깊다. 면적으로는 일본에서 8번째로 넓으며, 칼데라 호로서는 굿샤로호에 이어 두 번째로 넓다. 호수 북쪽에는 에니와 산이 있고, 남쪽으로는 훗푸시 산, 다루마에 산이 있다.[1][2] | ||||||
441.쇼와신산 | ||||||
쇼와신산(일본어: 昭和新山 쇼와신잔[*])은 일본 홋카이도에 우스군에 있는 종상 화산이다. 해발고도가 조금 낮은 편으로 화산체 아래에는 사람들이 많이 찾아든다. 정상에는 나무가 하나도 없지만 아래에는 있다. 현재 일본의 특별 명승이자 천연기념물이다. 1943년 12월 28일부터 1945년 12월까지 화산이 분화해 산이 됐다. 처음에는 강한 지진이 이 일대를 덮쳤고, 그 후 보리밭이 융기되면서 산이 됐다. 용암이 산의 표면을 뚫고 나와 현재의 봉우리가 만들어졌다. 꼭대기는 약 398m이고, 현재도 정상에서 증기가 나오고 있는 활화산이다. | ||||||
442.시라오이군 | ||||||
시라오이군(일본어: 白老郡)은 일본 홋카이도 이부리 종합진흥국 관할로 둔 군이다. 인구 15,399명, 면적 425.64km², 인구밀도 36.2명/km².(2024년 2월 29일, 주민기본대장인구) 이하 1정으로 구성된다. 에도 시대에 시라오이 군역은 동 에조치에 속해, 마쓰마에번에 의해 시라이 장소와 아요로 장소가 설치되어 있었다. 에도시대 후기, 국방을 위해 시라오이군역은 천령이 되었다. 1869년 8월 15일부로 시라오이군이 두어져 홋카이도 이부리국에 포함되었다. | ||||||
443.시라오이정 | ||||||
시라오이정(일본어: 白老町)은 일본 홋카이도 이부리 지청 관내의 시라오이 군에 위치한 정이며 노보리베쓰시, 도마코마이시에 끼어 있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시라워이’(シラウオイ, 등에가 많은 곳)이다. | ||||||
444.소베쓰정 | ||||||
소베쓰정(일본어: 壮瞥町)은 일본 홋카이도 이부리 지청의 서부에 위치한 정이다. 도야호의 남동쪽 기슭에 접하고, 우스 산·쇼와신 산과 같은 화산이 있는 정이다. 눈싸움의 국제 대회가 개최되는 정으로도 알려져 있다. | ||||||
445.다테시 (홋카이도) | ||||||
다테시(일본어: 伊達市)는 홋카이도 이부리 종합진흥국(구 이부리 지청) 관내에 있는 일본의 시이다. 2006년 3월, 다테 시와 오타키 촌이 합병했다. | ||||||
446.다루마에산 | ||||||
다루마에산(樽前山)은 일본 홋카이도의 시코쓰호 남쪽에 있는 성층 화산으로, 활화산이다. 이 화산은 성층 화산인데 위에 용암 돔(종상 화산)이 있어서 복합 화산이라고 불린다. 겨울이 되면 눈이 쌓이며, 현재도 분화 조짐을 보이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다루마이(Tarumai)라고 불리기도 한다. | ||||||
447.지토세시 | ||||||
지토세시(일본어: 千歲市)는 홋카이도 중부 (도오지방) 이시카리 지청의 시이다. | ||||||
448.도야호 | ||||||
도야 호(일본어: 洞爺湖)는 일본 홋카이도 아부타 군 도야코정과 우스 군 소베쓰정에 걸쳐 있는 호수이다. 시코쓰토야 국립 공원에 속해 있고, 2007년 4월 23일에 2008년에 G8 정상회담 개최지로 결정되었다. 이전에 일본 내에서 제26회 G8 정상회담 개최지였던 규슈·오키나와에 이은 것이다. 도야 호는 아이누어로 키문토라고 불리는데, 아이누어로 산속에 있는 호수라는 뜻이다. 메이지 시대에 일본인 탐험가들이 "호수 주변의 땅"을 의미하는 아이누어 토야(To ya)라는 표현을 따서 도야호로 명명했다. | ||||||
449.도야코정 | ||||||
도야코정(일본어: 洞爺湖町)는 일본 홋카이도 이부리 지청 아부타 군에 속해 있는 정이다. | ||||||
450.도마코마이시 | ||||||
도마코마이시(일본어: 苫小牧市)는 홋카이도 남서쪽에 위치하는 시이다. 삿포로시에서 남쪽으로 차로 1시간 반 정도의 거리에 위치하고, 무로란시와 함께 홋카이도를 대표하는 공업도시·항만 도시이다. 또 주변부에서는 자연 경관도 풍부하고 우토나이 호를 시작으로 하는 습지대가 동쪽에 위치해 있다. 메이지 시대부터 제지업이 발전했고 전후에는 일본 최초의 내륙 항인 도마코마이 항(니시코)이 쌓아 올려졌다. 고도 경제성장기에 들어가면 동부로 대규모 공업 기지가 건설되어 1984년에는 자동차 부품 제조 공장이 조업을 개시했다. 신치토세 공항이나 고속도로의 인터체인지에도 가깝다. | ||||||
451.도요히라강 | ||||||
도요히라강(豊平川)은 일본 홋카이도의 강이다. 길이는 72.5 km이고 유역 면적은 959 km2이다. 이시카리강의 지류이다. 강이 형성한 충적 평야에 세워진 홋카이도의 중심 도시인 삿포로의 수원이다. 도요히라강 상류에 위치한 조잔케이는 인기있는 온천 관광지이다. 도요히라강은 오이자리산에서 발원하여 북쪽의 조잔호(定山湖)로 흐른다. 이 호수는 호헤이쿄 댐의 건설로 생성된 것이다. 강은 협곡을 통과한다. 협곡을 빠져나온 강은 몇 개의 강과 합류하여 동쪽으로 방향을 바꾼다. 삿포로 교외로 들어가기 전의 도요히라강에는 두 개의 작은 댐이 있다. 강은 삿포로 시의 도요히라구를 통과해 북쪽과 동쪽으로 흐른다. 강은 삿포로시와 에베쓰시 사이의 경계를 형성하며 이시카리강과 합류한다. | ||||||
452.니세코정 | ||||||
니세코정(일본어: ニセコ町)은 일본 홋카이도 시리베시 지청 관내의 아부타군에 있는 정이다. 스키장을 중심으로 하는 관광을 주요 산업으로 한다. 근년에는 오스트레일리아로부터의 스키객이 증가하고 있어, 일본내의 투자가 활발하게 되었다. 또한 한국을 중심으로 하는 동아시아로부터의 관광객도 증가하고 있다. | ||||||
453.노보리베쓰 온천 | ||||||
노보리베쓰 온천(登別温泉)은 일본 홋카이도 노보리베쓰시에 있는 온천이다. 에도 시대부터 온천의 존재가 알려져 메이지 시대에 온천 여관이 마련된 후로는 관광지로 유명세를 떨치고 있다. 일본의 온천 100선에서는 매년 상위 랭킹을 차지하고 있는 유명 온천이다. | ||||||
454.노보리베쓰시 | ||||||
노보리베쓰시(일본어: 登別市)는 홋카이도의 태평양 기슭에 위치하는 시이다. 시의 북동부에는 관광지로서 노보리베쓰 온천, 카르르스 온천을 포함한다. 남서부는 무로란시에서 이어지는 공업지대의 일부이며, 무로란시의 위성 도시이다. | ||||||
455.맛카리촌 | ||||||
맛카리촌(일본어: 真狩村)은 일본 홋카이도 시리베시 지청 관내의 아부타 군에 있는 촌이다. | ||||||
456.미나미구 (삿포로시) | ||||||
미나미구(일본어: 南区)는 삿포로시의 남서부 일대를 차지하는 구이다. 구역 면적은 657.23 km2으로 시 전체의 6할에 달하지만 많은 부분이 산림이다. 정령지정도시의 행정구 중에서도 시즈오카시 아오이구, 하마마쓰시 덴류구에 이어 3번째의 크기이다. | ||||||
457.요테이산 | ||||||
요테이산(일본어: 羊蹄山)은 일본 홋카이도의 도야호 북쪽에서 기모베쓰정하고 루스쓰촌 사이에 위치해 있는 눈덮힌 1,898m의 성층 화산으로, 잠재적인 활화산이다. 이곳은 후지산하고 매우 비슷하게 생겨, 작은 후지산이라는 별명을 갖고 있다. 일반적으로 후지산의 경우 7~8월 동안만 일반인들의 출입이 허용되는 반면 이곳은 기상특보시를 제외하면 언제든지 등산이 가능하며, 후지산보다 등반이 훨씬 수월한 편이다. 정상에는 화구호가 생기는 경우도 있는데, 그것은 만년설이 녹아서 생기는 것으로 추측된다. 이곳은 예조-후지산이라고 불릴 정도로 후지산보다 더 유명한 곳이다. | ||||||
458.구시로 습원 국립공원 | ||||||
구시로 습원 국립공원(釧路湿原国立公園)은 홋카이도 동부에 있는 국립공원이다. 1987년 7월 31일에 지정되었다. 일본에서 제28번째의 국립공원이다. 구시로 습원은 면적이 193.57km2에 이르는 일본에서 제일 큰 습원이다. 1980년 일본이 람사르 협약에 가맹할 때에 최초로 등록한 습지이다. 일부가 농지화되는 등 개발도 행해졌지만 1967년 습원 그 자체가 일본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출입이 어렵게 제한되고 있으며 홋카이도에서 가장 개발이 진행되기 전의 홋카이도다운 경관을 유지하고 있다. 국립공원의 면적은 268.61km2이다. | ||||||
459.시레토코 국립공원 | ||||||
시레토코 국립공원(일본어: 知床国立公園, しれとここくりつこうえん)은 홋카이도 동부 시레토코반도 주변에 위치한 국립공원이다. 1964년에 지정되었고 2005년에 주변 해역까지 공원구역을 확장하여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었다. 육지 면적은 38,633 헥타르이고, 주변 해역을 포함하면 관리 면적은 6만 헥타르가 넘는다. 샤리 군 샤리정과 메나시 군 라우스정에 걸쳐 있다. 시레토코 오호와 시레토코 곶, 시레토코 고개, 후레페 폭포(처녀의 눈물), 가무이왓카 온천폭포 등이 유명하다. 1월부터 3월에 사이에는 주변 해안이 유빙으로 가득차는 광경을 볼 수 있다. 인간의 손길이 거의 닿지 않은 원시림 지대로 에조사슴, 북방여우, 큰곰과 같은 들짐승과 참수리, 흰꼬리수리, 섬올빼미 등의 야생조류, 점박이물범, 큰바다사자, 향고래, 범고래와 같은 바다짐승 등 다양한 종류의 생물이 서식하는 곳이다. 시레토코라는 지명은 아이누어로 "땅의 끝자락"이라는 뜻인 "시레톡(sir-etok)"으로 불린 데서 유래한다. | ||||||
460.다이세쓰산 국립공원 | ||||||
다이세쓰산 국립공원(일본어: 大雪山国立公園)은 일본 홋카이도 북부에 위치한 국립공원이다. 일본에서 가장 먼저 설립된 국립공원일 뿐만 아니라 2,267.64 km2의 면적으로 가장 넓다. 연간 방문자는 6백만명이며, 일본에서 얼마 남지 않는 큰곰과 고산식물의 보고지이다. 활화산이 위치해 있다. | ||||||
461.후키다시공원 | ||||||
후키다시 공원(ふきだし公園)은 일본 홋카이도 아부타군 교고쿠정 아자카와니시에 있는 공원이다. 요테이산의 복류수가 솟아나는 구획을 공원으로 정비하고 약수터를 만들었다. 1973년 3월 30일 홋카이도에서 분출 환경 녹지 보호 지구로 지정됐다. | ||||||
462.홋카이도 | ||||||
홋카이도(일본어: 北海道, ほっかいどう, 아이누어: アィヌモシㇼ 아이누모시리, 문화어: 혹까이도, 듣기 (도움말·정보))는 일본의 홋카이도 지방에 있는 도(道)이자 일본 열도를 이루는 4개 주요 섬(홋카이도, 혼슈, 시코쿠, 규슈) 가운데 하나로서 일본 북단에 있는 큰 섬이다. 도청소재지는 삿포로시다.[1] 동쪽과 북동쪽에는 러시아가 관할하는 사할린섬과 쿠릴 열도가 있다. 16세기 이후 일본인들이 섬의 남쪽 끝에 정착지를 세우기 시작했는데, 당시까지도 홋카이도는 아이누족으로 알려진 섬 원주민이 거주하는 외국 영토로 여겼다. 에도 시대에 도쿠나이 모가미, 린조 마미야 등 지리학자가 섬을 탐험하기도 했으나 일본의 통치는 17세기까지 오시마반도에 국한했다. 17세기에 일본인 정착민이 홋카이도로 이주하기 시작했고, 이로 말미암아 일본인과 아이누인 사이 종종 충돌과 반란이 일어났다. 1869년 메이지 유신 이후 에조는 일본에 공식적으로 병합되었고 홋카이도(北海道)로 개칭했다. 이후 일본이 홋카이도를 본격적으로 식민화하면서 아이누인들은 땅을 빼앗기고 순식간에 일본에 동화되어 사라져 갔다. | ||||||
463.하코다테시 | ||||||
하코다테시(일본어: 函館市, はこだてし, 문화어: 하꼬다떼 시)는 일본 홋카이도 남부에 있는 시다. 홋카이도에서는 삿포로시, 아사히카와시에 이어 3번째로 인구가 많으며, 중핵시로 지정되어 있다. 비교적 온난한 기후로 인해 교통의 요충지로서 발전했고, 홋카이도 남부 행정·경제·문화의 중심으로서 발전했다. 어업과 관광을 겸하고 있다. | ||||||
464.오타루시 | ||||||
오타루시(일본어: 小樽市)는 홋카이도 서부 시리베시 종합진흥국 관내에 있는 시이다. 이시카리 만(石狩湾)에 접해 있으며 예전부터 항만도시로 발전했을 뿐만 아니라 역사적인 건조물들이 많고 전국 유수의 관광 도시로도 인기가 높다. 삿포로시에서 JR 쾌속 열차로 30분되는 거리에 위치해 있다. 시내의 운하가 유명한데 도시 발전 초기에는 활발히 이용됐으나 현재는 관광명소로 자리잡았다. 오르골당이 유명하며, 그 앞에 증기시계가 있다. 만화 《미스터 초밥왕》의 무대로도 쓰였다. | ||||||
465.아사히카와시 | ||||||
아사히카와시(일본어: 旭川市, 문화어: 아사히까와 시)는 홋카이도에 있는 시이며, 일본 최대의 국립공원 다이세쓰 산 국립공원의 관문이다. 일본 제국 시절에는 육군 제7 사단이 배치되어 이 지역이 발전했으며, 지금도 가미카와 지청이 설치되어 도호쿠(道北) 지방의 중심지로서 발전했다. 2000년 4월 1일에 중핵시로 지정되었고, 홋카이도 내에서 인구가 삿포로시에 이어 두 번째이다. | ||||||
466.무로란시 | ||||||
무로란시(일본어: 室蘭市, むろらんし)는 일본 홋카이도(北海道) 남부에 위치한 항구 도시로, 이부리 지청의 소재지이다. 철광과 화학 공업이 발달되어 있으며, 홋카이도 유일의 공업 지역으로서 1872년 개항하였다. 천연의 항구를 살려 철강업 (신일본제철과 일본제강소의 기업 도시, 흔히 "철의 마을 무로란"으로 불려 왔다)을 중심으로, 조선, 석탄의 선적, 석유 정제 등으로 발전한, 홋카이도를 대표하는 중화학 공업 도시이다. 무로란의 이름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모루에라니(작은 언덕길을 내려가는 곳)이다. 메이지 시대의 호칭은 모루란(モルラン)이다. 관광 사업 역시 활발히 진행되고 있는데, 산과 바다가 한 도시에 함께 있다는 특징으로 절경이 발달해있다. 무로란 시에서는 지구곶, 금병풍 등 자연적인 볼거리 8가지를 모아 무로란 8경(室蘭八景)이라는 호칭으로 홍보하고 있다.[1] | ||||||
467.구시로시 | ||||||
구시로시(일본어: 釧路市)는 일본 홋카이도 동남부 해안에 있는 시이다. 부근의 어업 자원과 삼림 자원을 바탕으로 수산물 가공업과 제지 공업이 발달하였고, 과거에는 탄광이 있어 관련 산업도 활발하였다. 아칸호 등의 아름다운 호수가 있는 아칸 국립공원과 넓은 습지로 유명한 구시로 습원 국립공원이 있어 관광지로도 알려져 있다. 구시로 종합진흥국(구 구시로 지청) 진흥국 소재지이며, 홋카이도 동부 최대의 도시이다. | ||||||
468.오비히로시 | ||||||
오비히로시(일본어: 帯広市)는 일본 홋카이도 도카치 종합진흥국(구 도카치 지청)의 진흥국 소재지이다. 오비히로의 이름의 유래는 아이누어 '오페레페레케프'(オペレペレケプ, 강어귀가 몇 개로 갈라지는 곳)이다.' | ||||||
469.기타미시 | ||||||
기타미시(일본어: 北見市, きたみし)는 일본 홋카이도 오호츠크 종합진흥국 관내에 있는 시로 오호츠크 관내에서 가장 많은 인구를 가지고 있다. 2006년 합병으로 도내 8위의 인구가 되었지만, 면적이 넓은 만큼 인구밀도는 낮게 나타난다. 여름과 겨울의 기온 차이가 심하여, 8월에 최고 영상 37도에 달한 기록이 있는 한편 겨울에는 최저 영하 31도에 달하기도 했다. | ||||||
470.유바리시 | ||||||
유바리시(일본어: 夕張市)는 일본 홋카이도 소라치 종합진흥국에 위치한 도시이다. 홋카이도의 중앙부에 위치하고 있으며, 한때 이시카리 탄전의 중심도시로 번영했었다. 시목(市木)은 벚나무, 시화는 진달래며, 유바리 멜론의 산지로도 유명하다. 2006년의 심각한 재정난 여파로 2007년 3월 6일, 재정 재건 단체로 지정되어 사실상 파산했다. 지명은 아이누어의 ‘유파로(ユーパロ, 광천이 솟아나는 장소)’에서 유래하였다. | ||||||
471.이와미자와시 | ||||||
이와미자와시(일본어: 岩見沢市, いわみざわし)는 홋카이도 소라치 지청 남부의 시이자 소라치 지청의 소재지이다. 하코다테 본선·무로란 본선을 중심으로 석탄 수송의 중심지로 발전했지만, 폐광이 많아지면서 현재는 삿포로의 주택 지역의 역할을 맡고 있다. 비바이시·미카사시·쓰키가타정을 포함한 시정촌 합병을 검토하고 있었지만 이와미자와 시는 협의 과정에서 이와미자와 시를 중심으로 한 흡수 합병을 주장한 것 등으로 인해 합병이 결렬되었다. 그 후 문제가 계속되었지만 결국은 2006년 3월 27일에 구리사와 정·기타 촌을 편입한다고 하는 형태로 결정했다. | ||||||
472.아바시리시 | ||||||
아바시리시(網走市/あばしりし)는 홋카이도 동부에 있는 시이며, 오호츠크 종합진흥국의 소재지이다. 도시의 이름은 아이누어의 ‘아파시리’(ア・パ・シリ, 우리가 찾은 땅) 또는 ‘아바시리’(アパ・シリ, 들어가는 땅)에서 유래된 것이다. | ||||||
473.루모이시 | ||||||
루모이시(일본어: 留萌市)는 홋카이도 북서부에 위치하는 시이며, 루모이 지청의 소재지이다. 시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루루몹페’(ルルモッペ, 조수가 깊숙하게 들어가는 강)로부터 유래되었다. 주된 산업은 무역 외에도 상업, 토목업, 수산가공업이며, 이 도시는 공무원의 비율이 가장 높다. | ||||||
474.왓카나이시 | ||||||
왓카나이시(일본어: 稚内市, わっかないし, 아이누어: Yam Wakka Nay, 문화어: 왁가나이 시)는 홋카이도 북부 소야 지청 관내에 있는 시이고, 지청 소재지이다. 일본 최북단에 위치한 도시로, 북부에 일본 최북단 지점인 소야곶이 있으며 러시아의 사할린섬과도 가깝다. 냉동한 낙지를 얇게 잘라서 샤부샤부로 만든 ‘다코샤브’가 유명하다. | ||||||
475.비바이시 | ||||||
비바이시(일본어: 美唄市)는 홋카이도 중앙부의 시로 소라치 종합진흥국에 속한다. 시명은 아이누어로 ‘까마귀 조개가 많이 서식하는 늪’을 의미하는 ‘피파오이’(ピパ・オ・イ, pipa-o-i)에서 유래한다. | ||||||
476.아시베쓰시 | ||||||
아시베쓰시(일본어: 芦別市, 아이누어: Aspet)는 일본 홋카이도 소라치 종합진흥국 중부의 소라치 강 유역에 위치하는 시이다. 시 면적이 넓고, 일찍이 석탄 산업으로 인구는 7만을 넘었지만, 폐광이 많아지면서 인구가 격감했다. 지역경제의 재건을 위해 관광 산업에 힘을 쏟고 있다. | ||||||
477.에베쓰시 | ||||||
에베쓰시(일본어: 江別市, えべつし, Ebetsu)는 홋카이도 중부 (도오지방) 이시카리 지청의 시이다. | ||||||
478.아카비라시 | ||||||
아카비라시(일본어: 赤平市, あかびらし)는 일본 홋카이도 소라치 종합진흥국 중부 소라치 강 유역에 있는 시이다. 일찍이 석탄 산업으로 번영했고 59,430명의 인구(1960년)의 도시였지만 석탄 생산의 쇠퇴로 인해 현재의 인구는 격감했다. 지역 경제의 재건에 임해서 관광 산업에 힘쓰고 있다. | ||||||
479.몬베쓰시 | ||||||
몬베쓰시(일본어: 紋別市)는 홋카이도 북동부의 아바시리 지청 관내에 있는 시이다. 지명은 아이누어로 조용한 강이란 뜻으로 ‘모우펫트’(モウペット)로부터 유래되었다. 히다카 지청의 몬베쓰 정과 거의 비슷하기 때문에 ‘오호츠크해의 몬베쓰’(オホーツク紋別)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다. | ||||||
480.시베쓰시 | ||||||
시베쓰시(일본어: 士別市, 아이누어: Sipet)는 홋카이도 가미카와 지청내에 있는 시이다. 마지막 둔전병 마을이고 농업 생산지로 성장했다. 시베쓰역 부근에는 농업 창고가 위치해 있고, 지금도 사용되고 있다. | ||||||
481.나요로시 | ||||||
나요로시(일본어: 名寄市, 아이누어: Nay Oro)는 홋카이도 가미카와 지청 북부에 있는 시이다. | ||||||
482.미카사시 | ||||||
미카사시(일본어: 三笠市)는 홋카이도의 소라치 종합진흥국 남부에 있는 시이다. 탄광으로 번창하고 있었지만 잇따른 폐광으로 인구가 격감했다. 홋카이도의 석탄과 철도, ‘홋카이도 민요’의 발상지이며 미카사 멜론으로 유명하다.지명은 메이지 시대에 존재한 소라치 집치감의 건물의 뒷산이 나라의 미카사 산과 비슷하게 보이는 것에서 유래했다. | ||||||
483.네무로시 | ||||||
네무로시(일본어: 根室市, 아이누어: Ni mu oro)는 일본 홋카이도의 최동단에 있는 시로, 네무로 지청 관할 구역이다. | ||||||
484.다키카와시 | ||||||
다키카와시(일본어: 滝川市)는 일본 홋카이도 중앙부 소라치 종합진흥국(구 소라치 지청)에 있는 시이다. 홋카이도의 중앙부에 위치한다. 1890년 홋카이도 내륙 개척 주둔지로 건설되었고, 1910년 다키카와 정이 되었으며, 1958년 시로 승격되었다. 아사히카와와 삿포로를 연결하는 철도인 하코다테 본선과 홋카이도 동부로 향하는 네무로 본선이 분기하는 교통 요지로 발전하였다. 과거에는 탄광지대의 중심지였고, 최근에는 부근에서 생산되는 농산물의 집산지이자 새로운 관광 명소로 알려지고 있다. | ||||||
485.스나가와시 | ||||||
스나가와시(일본어: 砂川市)는 일본 홋카이도 소라치 종합진흥국 관내에 있는 시이다. 예전에는 석탄산업으로 번창했고, 현재는 시내에 과자가게가 많은 것에서 ‘스나가와 스위트 로드’로서 홍보하고 있다. 시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오타·우시·나이’(オタ・ウシ・ナイ, 모래사장에 붙어있는 강)을 의역한 것인데, 덧붙여 이것을 음역한 지명이 ‘우타시나이’이다. 시의 녹화에 힘을 써 시민 한 명당 도시 공원 면적은 일본 제일(2006년 3월 기준으로, 189평방미터)이다. | ||||||
486.우타시나이시 | ||||||
우타시나이시(일본어: 歌志内市, うたしないし)는 홋카이도 소라치 종합진흥국 중부의 시이다. | ||||||
487.후카가와시 | ||||||
후카가와시(일본어: 深川市)는 홋카이도 소라치 종합진흥국(구 소라치 지청) 관내에 있는 중심도시이다. | ||||||
488.후라노시 | ||||||
후라노시(일본어: 富良野市)는 홋카이도 가미카와 지방 남부에 있는 시이다. | ||||||
489.기타히로시마시 | ||||||
기타히로시마시(일본어: 北広島市)는 일본 홋카이도 이시카리 지청의 있는 시이다. 농촌으로서 발전하였으나, 뉴타운이 개발되고 삿포로 도시권의 베드타운으로서 인구가 증가하였다. | ||||||
490.이시카리시 | ||||||
이시카리시(일본어: 石狩市, いしかりし, 아이누어: Iskarun)는 홋카이도 중앙부의 이시카리 지청 관내에 있는 시이다. 이시카리강(石狩川)의 하구에 위치하는 어촌이었으나 삿포로시 북쪽에 인접하므로 1980년대 이후 위성 도시로서 인구가 급증했으며 1996년에 시로 승격했다. 2005년 10월 1일에는 북쪽에 위치한 아쓰타 촌(厚田村), 하마마스 촌(浜益村)을 편입하여 남북으로 넓은 행정 구역을 갖게 되었다. | ||||||
491.호쿠토시 (홋카이도) | ||||||
호쿠토시(일본어: 北斗市)는 홋카이도 남부의 오시마 지청에 속하는 시이다. 2006년 2월 1일, 가미이소 군(上磯郡) 가미이소 정(上磯町)와 가메다 군(亀田郡) 오노 정(大野町)이 통합하여 인구 약 5만 명의 시로서 발족했다. 하코다테시와 인접하고 있으므로 위성 도시로서 발전하고 있으며 인구는 오시마 지청 관내에서 하코다테 시 다음으로 많다. | ||||||
492.도베쓰정 | ||||||
도베쓰정(일본어: 当別町)은 일본 홋카이도 이시카리 지청 관내 북부에 있는 정이다. ‘트우베트’(トウベツ)는 아이누어로 ‘늪으로부터 오는 강’을 의미해 도베쓰 강을 가리켰다. 삿포로시 도심으로부터 15~25km 거리이다. 자연이 풍부한 정으로 꽃과 쌀의 생산이 활발하다. | ||||||
493.신시노쓰촌 | ||||||
신시노쓰촌(일본어: 新篠津村)은 일본 홋카이도 이시카리 지청 북부에 있는 관내 유일의 촌이다. 촌명은 모촌이었던 시노쓰 촌(현 에베쓰시)에서 유래한다. ‘시노쓰’는 아이누어의 ‘시리놋’(シリノッ, 뚫고 나온 턱)의 뜻이다. | ||||||
494.마쓰마에정 | ||||||
마쓰마에정(일본어: 松前町)은 일본 홋카이도 오시마 종합진흥국 마쓰마에 군에 소속된, 오시마반도 남서부에 위치한 정이다. 일찍이 마쓰마에번의 거점이 있던 곳으로 홋카이도에서 유일한 조카마치이다. | ||||||
495.후쿠시마정 | ||||||
후쿠시마정(일본어: 福島町)은 일본 홋카이도 오시마 지청의 정이다. 오시마반도 남서부에 위치한다. | ||||||
496.시리우치정 | ||||||
시리우치정(일본어: 知内町)은 일본 홋카이도 오시마 지청 남부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치리·오치’(チリ・オチ, 새가 있는 곳)이다. | ||||||
497.기코나이정 | ||||||
기코나이정(木古内町)은 일본 홋카이도 오시마 종합진흥국 중부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리코나이’(リコナイ, 높은 곳의 근원이라는 뜻), 또는 ‘리로나이’(リロナイ, 조수가 들어오는 강이라는 뜻)로부터 온 것이다. | ||||||
498.나나에정 | ||||||
나나에정(일본어: 七飯町)은 일본 홋카이도 오시마 지청 중부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남나이’(ナムナイ, 차가운 강이라는 뜻)이다. | ||||||
499.시카베정 | ||||||
시카베정(일본어: 鹿部町)은 일본 홋카이도 오시마 지청 중부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시케르페’(シケルペ, 키하다가 있는 곳이라는 뜻)이다. 한 때 야생 매가 많아 ‘다카마치’(鷹待)로 불리며 매가 막부로의 헌상품이었던 시기도 있었다. | ||||||
500.모리정 (홋카이도) | ||||||
모리정(모리마치)(일본어: 森町)은 일본 홋카이도 오시마 지청 중부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오니우시’(オニウシ, 수목이 많은 곳이라는 뜻)의 의역이다. | ||||||
501.야쿠모정 | ||||||
야쿠모정(일본어: 八雲町)은 일본 홋카이도 오시마 지청의 정이다. 낙농과 어업의 번성한 정이다. 목각곰의 발상지이며, 버터엿의 원조이기도 하다. 2005년 10월 1일, 히야마 지청 관내의 구마이시 정과 지청을 넘어 합병했다. 신설 합병으로 새로운 정명은 야쿠모 정이 되었고 동시에 후타미 군이 신설되었다. 구 구마이시 정 구역이 오시마 지청에 편입되면서, 히야마 지청은 두 개로 분단되었다. | ||||||
502.오샤만베정 | ||||||
오샤만베정(일본어: 長万部町)은 일본 홋카이도 오시마 지청 북부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오사맘페트’(オサマムペツ, 강어귀의 측면) 혹은 ‘오·샤만베’(オ・シャマンベ, 넙치가 있는 곳이라는 뜻)이다. | ||||||
503.에사시정 (히야마 관내) | ||||||
에사시정(일본어: 江差町)은 일본 홋카이도 히야마 지청 중부에 있는 동해에 접한 정이다. 히야마 지청의 소재지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로 곶을 의미하는 ‘에사시’(esasi)이며 소야 지청의 에사시 정도 같은 어원이다. | ||||||
504.가미노쿠니정 | ||||||
가미노쿠니정(일본어: 上ノ国町)은 일본 홋카이도 서남부, 히야마 지청 최남단에 있는 정이다. 동해에 면하는 농어업의 도시이며, 홋카이도에서는 얼마 안되는 중세의 사적·문화재를 가지는 역사의 도시이기도 하다. | ||||||
505.앗사부정 | ||||||
앗사부정(일본어: 厚沢部町)은 일본 홋카이도 남서부, 히야마 지청 남동부에 있는 농·입업을 주산업으로 하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로, ‘앗사무’(アッ・サム, 유피(楡皮)의 근처), 또는 ‘하차무’(ハチャム, 앵두나무 섬) 등 여러 가지 설이 있다. | ||||||
506.오토베정 | ||||||
오토베정(일본어: 乙部町)은 일본 홋카이도 남서부, 히야마 지청 중부에 있는 동해에 면하는 정이다. 정의 이름은 아이누어의 ‘오트운페’(オトウンペ, 하구에 늪이 있는 강)에서 유래한다. | ||||||
507.오쿠시리정 | ||||||
오쿠시리정(일본어: 奥尻町)은 일본 홋카이도 히야마 지청 관내의 오쿠시리 군 오쿠시리 섬에 있는 정이다. 비행기로 하코다테까지 40분, 페리로 에사시 정까지 2시간 10분이 걸린다. 정명은 아이누어로, ‘이크슨 시리’(イクスン・シリ, 저 너머의 섬)에서 유래한다. | ||||||
508.이마카네정 | ||||||
이마카네정(일본어: 今金町)은 일본 홋카이도 남서부, 히야마 지청 북부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초기의 개척자인 今村藤次郎과 金森石郎의 앞 글자를 따온 것이다. | ||||||
509.세타나정 | ||||||
세타나정(일본어: せたな町)은 일본 홋카이도 히야마 지청 구도 군의 정이다. | ||||||
510.시마마키촌 | ||||||
시마마키촌(일본어: 島牧村)은 일본 홋카이도 시리베시 지청 관내 남부에 있는 촌이다. | ||||||
511.슷쓰정 | ||||||
슷쓰정(일본어: 寿都町)은 일본 홋카이도 시리베시 지청 관내의 슷쓰 군에 속하는 정이다. 지명은 아이누어로 ‘슈프키페트’(シュプキペツ, 모(茅)가 많은 강)이 전와 한 것이라고 한다. | ||||||
512.구로마쓰나이정 | ||||||
구로마쓰나이정(일본어: 黒松内町)은 일본 홋카이도 시리베시 지청 관내의 남단에 있는 정으로 슷쓰 군에 속한다. 지명은 아이누어의 ‘크루·마트·나이’(クル・マツ・ナイ, 일본인 여자가 있는 늪)에서 유래한다. | ||||||
513.란코시정 | ||||||
란코시정(일본어: 蘭越町)은 일본 홋카이도 시리베시 지청 관내의 이소야 군에 속한 정이다. 지명은 아이누어의 ‘란코·소’(ランコ・ウシ, 계수나무가 많은 곳)로부터 바뀐 것이다. | ||||||
514.루스쓰촌 | ||||||
루스쓰촌(일본어: 留寿都村)은 일본 홋카이도 시리베시 지청 관내의 아부타 군에 속한 촌이다. 지명은 아이누어의 ‘르 스트’(ル・スツ, 길이 산의 기슭에 있다는 의미)에서 유래했다. | ||||||
515.교와정 | ||||||
교와정(일본어: 共和町)은 일본 홋카이도 시리베시 지청 관내의 서부, 이와나이 군에 속한 정이다. 시가지는 이와나이정과 연결되어 있다. | ||||||
516.이와나이정 | ||||||
이와나이정(일본어: 岩内町)은 일본 홋카이도 시리베시 지청 관내의 이와나이 군에 속한 정이다. | ||||||
517.도마리촌 | ||||||
도마리촌(일본어: 泊村)은 일본 홋카이도 시리베시 지청 관내의 후루우 군에 속한 촌이다. 홋카이도에서 유일한 원자력 발전소가 있기 때문에 촌의 재정은 풍부하다. 촌의 이름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헤모이·트마리’(Хэмои Тмaри, 준 정박지)가 생략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 ||||||
518.가모에나이촌 | ||||||
가모에나이촌(일본어: 神恵内村)은 일본 홋카이도 시리베시 지청 관내의 후루우 군에 속한 촌이다. 어업을 중심으로 메이지 시대부터 발전해 온 마을이다. 촌의 이름의 유래는 아이누어로 ‘캄이나이’(カムイナイ, 아름다운 신비로운 늪)로부터 왔다. | ||||||
519.샤코탄정 | ||||||
샤코탄정(일본어: 積丹町)은 일본 홋카이도 시리베시 지청 관내의 샤코탄 군에 속한 정이다. 니세코 샤코탄 오타루 해안 국정공원의 일부를 이루고, 홋카이도에서 유일한 해양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샤코탄 반도 끝에는 홋카이도 유산인 가무이 곶이 있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로 ‘샤크’(シャク, 여름)와 ‘코탄’(コタン, 마을 혹은 향토)의 두 단어를 합한 것으로 의미는 ‘샤크코탄’(シャクコタン, →여름의 장소)이 된다. | ||||||
520.후루비라정 | ||||||
후루비라정(일본어: 古平町)은 일본 홋카이도 서부, 샤코탄반도 북동쪽에 위치한 정이다. 시리베시 지청 후루비라 군에 속한다. 정명은 아이누어의 ‘후레피라’(hure-pira, 붉은·벼랑), ‘후르-피라’(hur-pira, 언덕·벼랑)등 유래에 대해서는 정내의 지형에 근거한 여러 설이 있다. | ||||||
521.니키정 | ||||||
니키정(일본어: 仁木町)은 일본 홋카이도 시리베시 지청 북부에 위치한 정이다. 과수 재배가 활발하다. | ||||||
522.요이치정 | ||||||
요이치정(일본어: 余市町)은 일본 홋카이도 시리베시 지청의 요이치 군에 속한 정이다. 샤코탄반도의 밑부분에 위치하고 요이치 강 상류를 중심으로 예부터 발전해 온 정이다. 북쪽으로 동해, 동쪽으로 오타루시와 접한다. 또, 남쪽으로 접하는 니키정과 아카이가와촌, 서쪽으로 접하는 후루비라정, 한층 더 서쪽에 있는 샤코탄정과 함께 ‘북시리베시 5정촌’(北後志五町村)으로 불리고 인구 2만 여명의 요이치 정이 지구의 과반의 인구를 차지한다. 에도 시대부터 다이쇼 시대에 걸쳐 동해에서 융성 한 청어잡이의 주요항의 하나이며, 메이지 시대에는 일본에서 처음으로 민간의 농가가 사과의 재배에 성공하는 등, 현재에도 어업과 농업(특히 과수 농업)이 함께 번성한 땅이다. | ||||||
523.아카이가와촌 | ||||||
아카이가와촌(일본어: 赤井川村)은 일본 홋카이도 시리베시 지청 관내의 요이치 군에 속한 촌이다. 면적의 대부분이 산지의 삼림으로서, 북서의 칼데라 분지에 마을의 중심과 농지가 펼쳐진다. 촌의 이름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후레·벳’(フレ・ベッ, 붉은 강)의 의역이다. | ||||||
524.난포로정 | ||||||
난포로정(일본어: 南幌町)은 일본 홋카이도 소라치 지청 관내 남부에 있는 정이다. 오랫동안 과소 지역으로 지정되어 있었지만 1990년대에 삿포로시의 베드타운화가 진행되어 인구가 5000명대로부터 9,000명대까지 급증했다. 지명의 유래는 원래는 아이누어의 ‘포로모이’(ポロモイ, 만곡해 완만하게 흐르는 곳)로부터 온 것이다. 당시는 한자로 ‘호로무이’(幌向)라고 표기되고 있었지만 현재의 이와미자와시에 같은 지명이 있어 혼동하기 쉽기 때문에 정으로 승격될 때 현재의 ‘난포로’가 되었다. | ||||||
525.나이에정 | ||||||
나이에정(일본어: 奈井江町)은 일본 홋카이도 소라치 지청 중부에 위치한 정이다. 일찍이 석탄산업으로 번창했지만, 폐광과 함께 인구가 격감했다. 농업·공업의 진흥을 도모하는 한편 복지정책에 역점을 두고 있다. 지명은 정내를 흐르는 나이에 강에서 유래한다. 나이에란 ‘나이’가, 아이누어로 ‘그 강’(その川)을 뜻한다는 설이 있지만 정설은 아직 없다. | ||||||
526.가미스나가와정 | ||||||
가미스나가와정(일본어: 上砂川町)은 일본 홋카이도 소라치 지청에 있는 정이다. 가미스나가와 탄전이 있어 일찍이 탄광 도시로서 다른 소라치 탄전의 도시와 함께 일본의 자본주의 경제를 지지했다. 면적은 39.91km2이고 인구는 2016년 9월 30일 기준으로 3,278명이다. 가미스나가와정은 스나가와시를 모태로 탄생했다. 그 때문에 스나가와시에서 이시카리강과 합류하는 판케우타시나이강의 상류에 있는 것에서 ‘가미스나가와’라고 명명되었다. | ||||||
527.유니정 | ||||||
유니정(일본어: 由仁町)은 일본 홋카이도 소라치 지청 관내의 유바리 군에 있는 정이다. 삿포로시에서 동쪽으로 약 42km 지점에 위치한다. | ||||||
528.나가누마정 | ||||||
나가누마정(일본어: 長沼町)은 일본 홋카이도 소라치 지청 관내 남부에 있는 정이며 기타히로시마시의 동쪽으로 인접한다. 정명은 개척 전에 정역에 있던 우각호의 기다란 늪에서 유래한다. 아이누어로 ‘탄네·토’(tanne-to, 기다란 늪)로 불리고 있었다. | ||||||
529.구리야마정 | ||||||
구리야마정(일본어: 栗山町)은 일본 홋카이도 소라치 지청 관내 남부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얌니우시’(ヤムニウシ)로, ‘얌니·소’(ヤムニ・ウシ, 밤나무가 많은 곳)의 의역이라고 한다. 옛 정명 가쿠타(角田)는 개척자의 출신지 센다이번 가쿠타에게 빼앗겼다. | ||||||
530.쓰키가타정 | ||||||
쓰키가타정(일본어: 月形町)은 일본 홋카이도 소라치 지청 관내에 있는 정이다. | ||||||
531.우라우스정 | ||||||
우라우스정(일본어: 浦臼町)은 일본 홋카이도 소라치 지청 관내에 있는 정이다. 우라우스는 아이누어로 ‘우라이·소·나이’(ウライ・ウシ・ナイ, 그물을 말리는 곳의 강)로부터 전와 한 것으로 여겨진다. 혹은 ‘우라시’(ウラシ, 조릿대가 많은 곳)에서 유래한다는 설도 있다. | ||||||
532.신토쓰카와정 | ||||||
신토쓰카와정(일본어: 新十津川町)은 일본 홋카이도 소라치 지청 중부에 있는 정이다. 지명의 유래는 1889년에 일어난 나라현 요시노군 도쓰카와촌에서의 도쓰가와 수해의 재해민이 이곳으로 이주 해 신토쓰카와 촌이라고 칭한 것이 시작이다. | ||||||
533.모세우시정 | ||||||
모세우시정(일본어: 妹背牛町)은 일본 홋카이도 소라치 지청 관내 북부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모세우시’(モセウシ)로 ‘모세·우시·이’(モセ・ウシ・イ, 쐐기풀이 많이 자라는 곳)가 전와 한 것이라고 한다. 당초에는 '望畝有志'라고 표기되었지만, 1898년에 현행 표기 '妹背牛'로 변경되었다. | ||||||
534.짓푸베쓰정 | ||||||
짓푸베쓰정(일본어: 秩父別町)은 일본 홋카이도 소라치 지청 관내 북부에 있는 정이다. 짓푸베쓰는 아이누어의 ‘치크시베트’(チクシベツ, 통로가 있는 강)로부터 전와 한 것이다. | ||||||
535.우류정 | ||||||
우류정(일본어: 雨竜町)은 일본 홋카이도 소라치 지청 관내에 있는 정이다. 쇼칸베쓰 산 동쪽에 있는 우류누마 습원이 유명하다. | ||||||
536.호쿠류정 | ||||||
호쿠류정(일본어: 北竜町)은 일본 홋카이도 소라치 지청 관내 북부에 있는 정이다. 정명은 호쿠류 정이 생성 이전에 속해 있었던 우류정의 북부에 인접하는 것에 의한다. 해바라기의 작부 면적은 일본 제일을 자랑해, 해바라기를 중심으로 한 정 만들기를 실시하고 있다. | ||||||
537.누마타정 | ||||||
누마타정(일본어: 沼田町)은 일본 홋카이도 소라치 종합진흥국 관내 북부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마을의 개척자인 누마타 기사부로의 성에 의한다. | ||||||
538.호로카나이정 | ||||||
호로카나이정(일본어: 幌加内町)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종합진흥국 관내 서부에 있는 정이다. 원래는 옛 소라치 지청 관할이었으나, 인접하는 가미카와 관내와의 관계가 깊어 2010년 4월 1일에 진흥국이 설치되면서 가미카와 종합진흥국 관할로 이동했다. 정명은 정의 남부를 흐르는 호로카나이 강에서 유래하였다. 호로카나이 강은 아이누어의 호로카나이(horka-nay, 모강(母江)의 방향과는 역방향으로 흐르는 강)의 뜻으로 여겨진다(호로카나이강의 모강은 우류 강). 홋카이도에서 가장 인구가 적은 정이며, 인구밀도가 일본에서 제일 낮은 정이다. 시정촌 전체에서도 히노에마타촌에 이어 밑에서 2위이다. | ||||||
539.다카스정 | ||||||
다카스정(일본어: 鷹栖町)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지방 중부, 이시카리국 가미카와 군에 있는 정이다. 아사히카와시의 북쪽으로 인접하고 있다. 일찍이 솔개나 매가 많아 아이누어로 ‘치카프니’(チカプニ, 큰 새가 사는 곳)로 불리고 있던 것을 의역해 ‘다카스’로 이름이 지어졌다. | ||||||
540.히가시카구라정 | ||||||
히가시카구라정(일본어: 東神楽町)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지방 중부, 이시카리국 가미카와 군에 있는 정이다. 아사히카와 공항의 소재지이다. 근년에는 아사히카와시의 베드타운으로서 크게 발전해 도내 굴지의 인구증가율을 자랑하고 있다. 정민이 꽃을 정내에 심는 운동을 해 왔기 때문에 ‘꽃의 정’(花の町)으로서도 알려져 있다. 정명은 한 때의 가구라 촌(神楽村, 현 아사히카와 시)[1]의 동쪽에 있던 것으로부터 유래한다. | ||||||
541.도마정 | ||||||
도마정(일본어: 当麻町)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지방 중부, 이시카리국 가미카와 군에 있는 정이다. 아사히카와시의 동쪽으로 인접하고 있다. 홋카이도를 대표하는 우량미의 산지이며 홋카이도 농협미 대책 본부에 의한 쌀 랭킹에서는 도마 정이 7년 연속 1위의 평가를 받고 있다. | ||||||
542.핏푸정 | ||||||
핏푸정(일본어: 比布町)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지방 중부, 가미카와 군에 있는 정이다. | ||||||
543.아이베쓰정 | ||||||
아이베쓰정(일본어: 愛別町)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지방 중부, 이시카리국 가미카와 군에 있는 정이다. 버섯의 일대 생산지로서 유명하다. 정명은 아이누어의 ‘아이펫’(화살, 혹은 가시·강)으로부터 유래된 것으로 여겨지며 토지의 경사가 급하기 때문에 흐름이 화살과 같이 빠른 강(아이베쓰 강)이 있어 그 강의 이름이 정명이 되었다는 설이 있다. 그러나 아이베쓰 강은 그 정도로 급류는 아니고 또 ‘아이’(アイ)는 가시가 있는 것으로부터 쐐기풀도 가리켜 그 의미를 ‘쐐기풀·강’(イラクサ・川), ‘화살의 원료가 되는 나무가 있는 강’이라는 설도 있다. | ||||||
544.가미카와정 (홋카이도) | ||||||
가미카와정(일본어: 上川町)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지방 중앙, 이시카리국 가미카와 군에 있는 정이다. 다이세쓰 산 중 하나인 구로다케의 등산구에는 홋카이도 유수의 온천 마을인 소운쿄 온천이 있다. 다이세쓰 고원 온천의 가을 단풍은 ‘일본 제일의 단풍’으로서 알려져 단풍 시기에는 교통 규제가 이루어질 만큼 혼잡하다. 라면 일본 제일의 정으로서 ‘가미카와 라면’에도 힘을 쓰고 있다. | ||||||
545.히가시카와정 | ||||||
히가시카와정(일본어: 東川町)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지방 중부, 이시카리국 가미카와 군에 있는 정이다. 홋카이도 최고봉인 아사히다케가 정역에 있어 그 등산구에 해당하는 아사히다케 온천가와 덴닌쿄 온천은 여름과 단풍의 가을에 몹시 활기찬다. 수공예품의 정으로서 유명하고, 정내에는 목공 제품의 공방이나 세련된 찻집이 점재한다. 또 전원 풍경이 아름다워 홋카이도에서 처음으로 ‘경관 행정단체’로 지정되어 대도시로부터의 이주자도 많다. | ||||||
546.비에이정 | ||||||
비에이정(일본어: 美瑛町)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지방 중앙, 이시카리국 가미카와 군에 있는 정이다. 주변의 후라노시와 함께 홋카이도를 대표하는 관광지로서 알려져 있다. 구릉 풍경과 꽃의 풍경이 인기로, 홋카이도외로부터의 이주자도 많다. 세계 유산 시라카와 향이 있는 기후현 시라카와촌, 구로가와 온천이 있는 구마모토현 미나미오구니정 등과 함께 ‘일본에서 가장 아름다운 마을 연합’에 가맹하고 있고 그 사무국이 비에이 정에 놓여져 있다. | ||||||
547.가미후라노정 | ||||||
가미후라노정(일본어: 上富良野町)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지방 남부에 위치하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후라노 강의 상류에 해당하는 것으로부터 온 것이다. | ||||||
548.나카후라노정 | ||||||
나카후라노정(일본어: 中富良野町)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지방 남부에 위치하는 소라치 군의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후라노 지구의 중부에 위치하는 것으로부터 왔다. 후라노 지구를 대표하는 라벤더 정원인 팜 도미타가 있다. | ||||||
549.미나미후라노정 | ||||||
미나미후라노정(일본어: 南富良野町)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지방 남부에 있는 정이다. 가나야마 호가 있어 낚시 외에 카누나 리프팅 등의 야외 활동을 체험할 수 있는 정으로서 유명하다. 이쿠토라역은 영화 《철도원》의 촬영지가 되어 지금도 영화로 사용된 의상이나 소도구 등을 전시하고 있다. 정명의 유래는 후라노시의 남부에 인접하는 것으로부터 왔다. | ||||||
550.시무캇푸촌 | ||||||
시무캇푸촌(일본어: 占冠村)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지방 최남부에 위치한 촌이다. 촌명의 유래는 아이누어로 ‘시모카프’(シモカプ, 조용하고 평화로운 강의 상류)이다. | ||||||
551.왓사무정 | ||||||
왓사무정(일본어: 和寒町)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지방 북부, 가미카와 군 (데시오 국)에 있는 정이다. 스키의 크로스 컨트리가 번성하고 수많은 일본 정상급 선수들을 배출해 왔다. | ||||||
552.겐부치정 | ||||||
겐부치정(일본어: 剣淵町)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지방 북부, 가미카와 군 (데시오 국)에 있는 정이다. | ||||||
553.시모카와정 | ||||||
시모카와정(일본어: 下川町)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지방 북부의 가미카와 군 (데시오 국)에 있는 정이다. 지명은 아이누어로 정내를 흐르는 나요로 강의 지류의 시모카와판케 강의 기슭을 ‘판케·누카난’(パンケ・ヌカナン, 강 하류의 누카난 강)으로 칭했던 것에서 유래한다. 이전에는 농림업 및 광업(미쓰비시계 동광, 미쓰이계 금광)으로 번창해 한창 때인 1960년에는 인구가 15,555명에 이르렀지만, 산업구조의 변화와 함께 인구는 감소하고 있다. 스키 점프가 유명하고 교외에는 4개의 점프대가 있다. | ||||||
554.비후카정 | ||||||
비후카정(일본어: 美深町)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지방 북부에 위치한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로 ‘피우카’(ピウカ, 돌이 많은 장소)의 뜻이다. | ||||||
555.오토이넷푸촌 | ||||||
오토이넷푸촌(일본어: 音威子府村)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지방 북부에 위치하는 촌이다. 2010년 기준으로, 홋카이도내에서 가장 인구가 적은 자치체이며 유일하게 인구가 1,000명 이하인 지방공공단체이다. ‘숲과 장인의 마을’을 표방해, 풍부한 삼림 자원을 살린 공예에 의한 마을 일으키기를 추진하고 있다. 오토이넷푸라는 지명은 아이누어의 ‘오·트이네·프’(オ・トイネ・プ, 하구·흙으로 더러워져 있는·것)에서 유래하고, 오토이넷푸 강이 데시오강에 합류하는 지점이 진흙으로 탁해지고 있던 것에서 명명된 것으로 여겨진다. | ||||||
556.나카가와정 (홋카이도) | ||||||
나카가와정(일본어: 中川町)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지방 최북단에 있는 정이다. 메이지 시대부터 암모나이트의 화석이 발굴되어 ‘화석의 마을’로서 정의 부흥을 실시하고 있다. | ||||||
557.마시케정 | ||||||
마시케정(일본어: 増毛町)은 일본 홋카이도 북서부, 루모이 관내 남부에 있는 정이다. 동해의 아름다움을 볼 수 있는 오후유 해안과 쇼칸베쓰테우리야기시리 국정공원의 일부인 쇼칸베쓰 산이 유명하다. 역사는 오래되었고 정내에는 홋카이도 유산으로 선정된 고풍스런 건물들이 나란히 서있다. 또, 새우의 어획고가 일본 제일이며 유명하다. 양질의 물을 이용해 양조도 행해지고 있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마슈키니’(マシュキニ) 또는 ‘마슈케’(マシュケ), 곧 '갈매기가 많은 곳'이다. | ||||||
558.오비라정 | ||||||
오비라정(일본어: 小平町)은 일본 홋카이도 서해안에 있는 정으로 루모이 군에 속한다. 정명의 어원은 아이누어의 ‘오피랏펫’(o-pira-us-pet, 하구에 벼랑이 있는 강)으로 정의 중앙을 흐르는 오비라시베 강의 이름에서 유래한다. 오비라시베 강 중상류 유역은 백악기의 화석의 산지이다. 여름은 해수욕객으로 활기찬다. 예전에는 루모이 탄전을 포함하는 탄전으로 1947년경에는 그 최성기를 맞이했다. 철로도 루모이 본선 루모이역으로부터 루모이 탄광 철도, 하보로선, 탓푸 삼림철도 등이 연결되어 있어 1960년대까지는 활황을 보였지만 폐산 후에 쇠퇴했다. | ||||||
559.도마마에정 | ||||||
도마마에정(일본어: 苫前町)은 일본 홋카이도, 루모이 관내 중부에 위치한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트마오마이’(toma-oma-i, 왜현호색이 있는 곳)이다. 풍력 발전이 활발하고 국도 232호선에서 보이는 홋카이도 최대급의 풍력 발전 풍차군은 잡지 등에서 다루어지는 일도 많다. | ||||||
560.하보로정 | ||||||
하보로정(일본어: 羽幌町)은 일본 홋카이도 북부, 서해안에 있는 반농반상의 정으로 루모이 관내 중부의 중심 도시이다. 예전에는 도내 유수의 탄광 도시이기도 했다. 석양이 아름다운 도시로서도 알려져 있다. 쇼칸베쓰테우리야시가리 국정공원의 일부인 데우리 섬·야기시리 섬도 하보로 정에 속하고 있어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고 있을 뿐만 아니라 여름에는 해수욕객이 많다. 북쪽분홍새우의 양식으로도 알려진다. .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하호로벳’(ハホロぺツ, 유출이 많은 강)이다. | ||||||
561.쇼산베쓰촌 | ||||||
쇼산베쓰촌(일본어: 初山別村)은 일본 홋카이도 북서부, 루모이 관내에 있는 촌이다. 촌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소·산·페트’(ソー・サン・ペツ, 폭포가 내리는 강)이다. 일본 최북의 천문대인 쇼산베쓰 천문대가 있다. | ||||||
562.엔베쓰정 | ||||||
엔베쓰정(일본어: 遠別町)은 일본 홋카이도 북서부, 루모이 관내 북부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웬펫’(wen pet, 나쁜 강)이며 일본의 벼농사의 북쪽 한계지이다. | ||||||
563.데시오정 | ||||||
데시오정(일본어: 天塩町)은 일본 홋카이도 북부의 서해안에 위치한 정이다. 홋카이도에서 2번째로 긴 강인 데시오강의 하구에 위치하고 있으며 큼직한 가막조개의 산지로서 유명하다. 정명은 데시오강에서 유래한다. 강의 이름이기도 한 ‘데시오’는 아이누어의 ‘테시·오’(テシ・オ, 대들보가 있다)로부터 유래했다. 데시오강의 중류(나카가와군 비후카정 온네나이 부근)에 일찍이 대들보 모양의 바위가 강을 횡단하고 있었던 것에서 유래한다. | ||||||
564.호로노베정 | ||||||
호로노베정(일본어: 幌延町)은 일본 홋카이도 북부, 소야 관내 중부의 서해안에 위치한 정이다. 예전에는 루모이 지청의 관할 구역이었지만 왓카나이시와 도요토미정을 중심으로 한 구 소야 지청 관내의 자치체와의 관계가 강한 것으로부터 2010년 4월 시행된 홋카이도 종합진흥국 및 진흥국 설치 조례에 따라 소야 종합진흥국으로 관할이 이동했다. | ||||||
565.사루후쓰촌 | ||||||
사루후쓰촌(일본어: 猿払村)은 일본 홋카이도 소야 지방 북부에 위치하는 촌이다. 홋카이도를 대표하는 가리비의 산지로서 유명하다. 촌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사라·프트’(サラ・プツ, 갈대밭의 하구)이다. | ||||||
566.하마톤베쓰정 | ||||||
하마톤베쓰정(일본어: 浜頓別町)은 일본 홋카이도 최북단의 소야 지방 동부에 위치한 정이다. 정내에 있는 굿차로호는 들새가 많이 모여 람사르 협약의 보호구로 지정되어 있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로 ‘토·운·펫’(トー・ウン・ペッ, 호수로부터 나오는 강)이다. | ||||||
567.나카톤베쓰정 | ||||||
나카톤베쓰정(일본어: 中頓別町)은 일본 홋카이도 소야 지방 남부에 위치한 정이다.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로 ‘토·운·펫’(トー・ウン・ペッ, 호수로부터 나오는 강)으로부터 돈베쓰 강의 중류에 위치하기 때문에 ‘中’이 붙었다. | ||||||
568.에사시정 (소야 관내) | ||||||
에사시정(일본어: 枝幸町)은 일본 홋카이도 최북단 소야 종합진흥국 관내 남부에 있는 정이다. 털게의 어획고가 일본 제일이다. 털게의 철인 매년 여름에는 에사시에서 축제가 개최되어 많은 사람들로 활기찬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로 ‘esausi’(에사우시)[1]이다. | ||||||
569.도요토미정 | ||||||
도요토미정(일본어: 豊富町)은 일본 홋카이도 소야 지방 위치하는 정이다. 리시리레분사로베쓰 국립공원의 일부인 사로베트 원야가 펼쳐지고, 일본 최북단의 온천 마을 ‘도요토미 온천’이 유명하다. | ||||||
570.레분정 | ||||||
레분정(일본어: 礼文町)은 일본 홋카이도 소야 지방 서부에 위치하는 정이다. | ||||||
571.리시리정 | ||||||
리시리정(일본어: 利尻町)은 일본 홋카이도 최북단의 소야 지방, 리시리 섬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로 ‘리이·시리’(リイ・シリ, 높은 섬)이다. | ||||||
572.리시리후지정 | ||||||
리시리후지정(일본어: 利尻富士町)은 일본 홋카이도 최북단의 소야 지방, 리시리 섬에 있는 정이다. 지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리·시리’(リー・シリ, 높은 섬)에서 유래하는 리시리 산의 통칭인 ‘리시리후지’이다. | ||||||
573.비호로정 | ||||||
비호로정(일본어: 美幌町)은 일본 홋카이도 오호츠크 종합진흥국 관내에 있는 정이다. 정명은 아이누어의 ‘피포로’(ピポロ, 물이 많고, 커다란 곳)에서 유래한다. 홋카이도(특히 도토)의 정촌 중에서는 희소한 비과소 지역이다(육상 자위대의 주둔지가 있는 것, 자연이 풍부하고 강설이나 재해가 적으며 공항이 가까운 것으로부터 도외로부터의 이주자가 많기 때문에). | ||||||
574.쓰베쓰정 | ||||||
쓰베쓰정(일본어: 津別町)은 일본 홋카이도 오호츠크 종합진흥국 관내의 아바시리 군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트펫’(トゥペッ)으로,‘두 개의 강’ 또는 ‘산에서 나와 통하는 강’을 의미한다. | ||||||
575.샤리정 | ||||||
샤리정(일본어: 斜里町)은 일본 홋카이도 오호츠크 종합진흥국(구 아바시리 지청) 관내의 샤리 군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샤리’(シャリ, 갈대가 자라는 곳)이다. 샤리 군의 중심이 되는 정이며 세계유산인 시레토코가 있어 여름에는 많은 관광객이 방문한다. | ||||||
576.기요사토정 | ||||||
기요사토정(일본어: 清里町)은 일본 홋카이도 오호츠크 종합진흥국(구 아바시리 지청) 관내의 샤리 군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맑고 깨끗한 마을’(清らかな里)의 뜻이다. 또 고시미즈 촌(현 고시미즈정)·샤리정으로부터 분촌 한 경위를 역사에 남기기 위해 양정촌으로부터 한 글자씩 받았다는 뜻도 있다. | ||||||
577.고시미즈정 | ||||||
고시미즈정(일본어: 小清水町)은 일본 홋카이도 오호츠크 종합진흥국(구 아바시리 지청) 관내의 샤리 군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로 ‘폰·야원펫’(pon-ya-wa-an-pet, 작은 내륙쪽의 강, 즉 얀베쓰 강의 지류)이 ‘폰·얌펫’(pon-yam-pet, 작은 차가운 강)으로 오해받아 그것이 의역된 것에 의한다. | ||||||
578.군넷푸정 | ||||||
군넷푸정(일본어: 訓子府町)은 일본 홋카이도 오호츠크 종합진흥국(구 아바시리 지청) 관내의 도코로 군에 있는 정이다. 이름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쿠네프’(검은 곳, 습지 강의 검은 물로부터)이다. | ||||||
579.오케토정 | ||||||
오케토정(일본어: 置戸町)은 일본 홋카이도 오호츠크 종합진흥국(구 아바시리 지청) 관내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오케트운나이’(オケトウンナイ, 사슴의 가죽을 말리는 곳)이다. | ||||||
580.사로마정 | ||||||
사로마정(일본어: 佐呂間町)은 일본 홋카이도 오호츠크 종합진흥국(구 아바시리 지청) 관내의 도코로 군에 있는 정이다. | ||||||
581.엔가루정 | ||||||
엔가루정(일본어: 遠軽町)은 일본 홋카이도 오호츠크 종합진흥국(구 아바시리 지청) 관내의 중앙에 위치한 상업·임업·농업이 번성한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정의 상징인 간보 암(瞰望岩)을 가리키는 아이누어로 ‘인가르시’(インガルシ, 전망이 좋은 곳)이다. 2005년 10월 1일, 이쿠타하라 정·마루셋푸 정·시라타키 촌과 합병해 새로운 엔가루 정이 탄생했다. 이 합병에 의해 비호로정을 제치고 오호츠크 관내 최대의 정이 되었다. 근년에는 초가을에 1,000만개의 꽃들이 한창 피는 일본 최대급의 코스모스 공원을 조성해 관광에도 힘을 쏟고 있다. 9월 상순부터 하순에 걸쳐가 볼만하다. | ||||||
582.가미유베쓰정 | ||||||
가미유베쓰정(일본어: 上湧別町)은 일본 홋카이도 아바시리 지청 관내 중부의 몬베쓰 군에 존재했던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옛 유베쓰 촌의 분할시에 유베쓰 강의 상류측의 위치에 있던 것으로부터 지어졌다. 2009년 10월 5일에 유베쓰 정과 신설 합병해, 새롭게 유베쓰정으로서 발족했다. | ||||||
583.유베쓰정 | ||||||
유베쓰정(일본어: 湧別町)은 일본 홋카이도 오호츠크 종합진흥국(구 아바시리 지청) 관내 중부, 오호츠크해 연안에 위치하는 정이다. 2009년 10월 5일에 인접하고 있던 가미유베쓰 정과 종래의 유베쓰 정이 합병해 성립하였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유페’(ユペ, 상어의 뜻)이다. | ||||||
584.다키노우에정 | ||||||
다키노우에정(일본어: 滝上町)은 일본 홋카이도 오호츠크 종합진흥국(구 아바시리 지청) 관내 북부에 위치해 가미카와 종합진흥국 관내에 접하는 정이다. 정명은 쇼코쓰 강의 폭포의 상류에 있던 것에서 유래한다. | ||||||
585.오콧페정 | ||||||
오콧페정(일본어: 興部町)은 일본 홋카이도 오호츠크 종합진흥국(구 아바시리 지청) 관내 북부에 위치하는 정이며 ‘오콧페 우유’가 유명하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오우콧페’(オウコッペ, 강어귀의 합류하고 있는 곳)이다. | ||||||
586.니시오콧페촌 | ||||||
니시오콧페촌(일본어: 西興部村)은 일본 홋카이도 오호츠크 종합진흥국(구 아바시리 지청) 관내 북부에 위치한 촌이다.촌명의 유래는 오콧페정의 서쪽에 위치하는 것에서 붙여졌다. | ||||||
587.오무정 | ||||||
오무정(일본어: 雄武町)은 일본 홋카이도 오호츠크 종합진흥국(구 아바시리 지청) 관내 북부에 위치하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옴이’(オムイ, 하구가 차다는 뜻)이다. | ||||||
588.오조라정 | ||||||
오조라정(일본어: 大空町)은 일본 홋카이도 오호츠크 종합진흥국 관내의 아바시리 군에 속한 정이다. | ||||||
589.도요우라정 | ||||||
도요우라정(豊浦町)은 일본 홋카이도 이부리 지청 서부에 위치한 정이다. | ||||||
590.아쓰마정 | ||||||
아쓰마정(일본어: 厚真町)은 일본 홋카이도 남부, 이부리 지청 관내의 유후쓰 군에 있는 정이다. | ||||||
591.아비라정 | ||||||
아비라정(일본어: 安平町)은 일본 홋카이도 이부리 종합진흥국 관내의 유후쓰 군에 있는 정이다. 2006년 3월 27일, 하야키타 정과 오이와케 정이 합병해 탄생했다. 농업(남부는 특히 낙농)이나 경종마 생산 등이 번창한다. 정명은 아이누어의 ‘아라·피라·펫’(アラ・ピラ・ペッ, 다른 한쪽에 벼랑이 있는 강)에서 유래했다. | ||||||
592.무카와정 | ||||||
무카와정(일본어: むかわ町)은 일본 홋카이도 이부리 지청 동부에 위치한 정이다. 지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무카’(ムカ, 물이 스며들어 나온다), ‘무카프’(ムカプ, 더덕이 있는 곳), ‘뭇카·페트’(ムッカ・ペツ, 찬 강) 등, 여러 가지 설이 있다. | ||||||
593.히다카정 (홋카이도) | ||||||
히다카정(일본어: 日高町)은 일본 홋카이도 히다카 지청 북부에 있는 정이다. 옛 히다카 정·몬베쓰 정의 2정의 월경지 합병 협의를 거쳐, 2006년 3월 1일에 신설 합병되어 새롭게 ‘히다카 정’이 되었다. 정의 면적의 월경지가 되고 있다. 거의 동시기에 나중에 탄생한 같은 지청의 신히다카정과는 관계가 없다. | ||||||
594.비라토리정 | ||||||
비라토리정(일본어: 平取町)은 일본 홋카이도 히다카 지청 관내에 있는 정이다.지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피라우트르’(ピラウトゥル, pira utur)로 ‘낭떠러지의 사이’의 뜻이다. | ||||||
595.니캇푸정 | ||||||
니캇푸정(일본어: 新冠町)은 일본 홋카이도 히다카 지청 중부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니카프’(ニカプ, 느릅나무의 나무 가죽)이며 일본 유수의 경종마 산지로서 번창하고 있다. 근년에는 레코드와 음악의 마을 조성을 진행시키고 있다. | ||||||
596.우라카와정 | ||||||
우라카와정(일본어: 浦河町)은 일본 홋카이도 히다카 지청 관내에 있는 정이다. 히다카 지청의 소재지이다. | ||||||
597.사마니정 | ||||||
사마니정(일본어: 様似町)은 일본 홋카이도 히다카 지청 관내에 있는 정이다. 정명인 사마니는 아이누어 기원의 지명이지만 어원에 대해서는 ‘사맘니’(サマムニ) 또는 ‘삼니’(サムンニ, 넘어진 나무), ‘에사만펫’(エサマンペッ, 수달의 강) 등 여러 설이 있어 정확한 유래는 모른다. | ||||||
598.에리모정 | ||||||
에리모정(일본어: えりも町)은 일본 홋카이도 남부, 히다카 지청 관내에 있는 정이다. 1정으로 호로이즈미 군을 이루고 있다. 홋카이도 최남단인 에리모 곶이 있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엔룸’(エンルム, 뚫고 나온 머리의 뜻)이다. | ||||||
599.신히다카정 | ||||||
신히다카정(일본어: 新ひだか町)은 일본 홋카이도 히다카 지청 관내에 있는 정이다. 2006년 3월 31일, 시즈나이 군 시즈나이 정과 미쓰이시 군 미쓰이시 정의 합병에 의해 설치되었다. 신설된 히다카 군에 속하게 되었다. 거의 동시기에 신설 합병된 같은 지청내에 있는 히다카정과는 다른 정이다. 히다카 진흥국 관내에서 가장 인구가 많고 큰 상점도 존재하기 때문에 히다카 진흥국의 중심 도시적 역할을 하고 있다. 정내에는 목장이 다수 있어 많은 경주마를 배출하고 있다. | ||||||
600.오토후케정 | ||||||
오토후케정(일본어: 音更町)은 일본 홋카이도 도카치 종합진흥국(구 도카치 지청) 관내에 있는 정이다. 도카치 종합진흥국의 중심부에 위치하고 오비히로시의 북쪽에 위치한다. 홋카이도의 정 중에서 가장 인구가 많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오트프케’(オトプケ, 머리카락이 나타난다)이다. ‘강의 흐름이 흐트러진 머리카락 같았기 때문에’라는 설과 ‘하천에 밀생하는 버드나무의 모습이 머리카락 같았기 때문에’라는 설이 존재한다. | ||||||
601.시호로정 | ||||||
시호로정(일본어: 士幌町)은 일본 홋카이도 도카치 종합진흥국(구 도카치 지청) 관내의 가토 군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슈·올·페트’(シュー・オル・ペツ, 냄비를 담그는 강)이다. | ||||||
602.가미시호로정 | ||||||
가미시호로정(일본어: 上士幌町)은 일본 홋카이도 도카치 종합진흥국(구 도카치 지청) 관내의 가토 군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슈·올·페트’(シュー・オル・ペツ, 냄비를 담그는 강)이다. | ||||||
603.시카오이정 | ||||||
시카오이정(일본어: 鹿追町)은 일본 홋카이도 도카치 종합진흥국(구 도카치 지청) 관내의 가토 군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쿠테크우시’(クテクウシ, 사슴을 사냥하기 위한 울타리가 있는 토지)를 의역한 것이다. | ||||||
604.신토쿠정 | ||||||
신토쿠정(일본어: 新得町)은 일본 홋카이도 도카치 종합진흥국(구도카치 지청) 관내의 가미카와 군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싯트크·나이’(シットク・ナイ, 산의 어깨, 구석)이다. 또 아이누인이 이용하는 주조를 위한 칠기를 ‘신트코’(シントコ)라고 해 이것을 만들기 위한 토지였다고도 한다. | ||||||
605.메무로정 | ||||||
메무로정(일본어: 芽室町)은 일본 홋카이도 도카치 종합진흥국(구 도카치 지청) 관내에 있는 정이며 도카치 종합진흥국 중심부에 위치한다. 근년에는 오비히로시의 베드타운으로서 발전하고 있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메무 오로’(メム・オロ, 샘으로부터 흐르고 있는 강)이다. 게이트볼의 발상지로서 알려져 있다. | ||||||
606.나카사쓰나이촌 | ||||||
나카사쓰나이촌(일본어: 中札内村)은 일본 홋카이도 도카치 종합진흥국(구 도카치 지청) 관내에 있는 촌이다. 도카치 지청의 남부에 위치한다. 촌명의 유래는 마을내를 흐르는 사쓰나이 강의 중류에 위치하는 것에서 붙여졌다. ‘사쓰나이’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삿나이’(satnay, 마른 강의 뜻)이다. | ||||||
607.사라베쓰촌 | ||||||
사라베쓰촌(일본어: 更別村)은 일본 홋카이도 도카치 종합진흥국(구 도카치 지청) 관내에 있는 촌이다. 도카치 지청의 남부에 위치한다. 촌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사라페트’(サラペツ, 갈대·억새가 무성한 땅의 뜻)이다. | ||||||
608.다이키정 (홋카이도) | ||||||
다이키정(일본어: 大樹町)은 일본 홋카이도 도카치 종합진흥국(구 도카치 지청)남부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타이키·우시’(タイキ・ウシ, 조가 많은 곳)이다. | ||||||
609.히로오정 | ||||||
히로오정(일본어: 広尾町)은 일본 홋카이도 도카치 지청 남부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피로로’(ピロロ, 그늘이 된 곳), ‘피·오로’(ピ・オロ, 돌이 있는 곳), ‘피르이·페트’(ピルイ・ペツ, 숫돌의 강), ‘피라·오로’(ピラ・オロ, 벼랑이 있는 곳) 등 여러 설이 있다. | ||||||
610.마쿠베쓰정 | ||||||
마쿠베쓰정(일본어: 幕別町)은 일본 홋카이도 도카치 종합진흥국(구 도카치 지청) 관내의 나카가와 군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마쿤베트’(マクンベツ, 산기슭을 흐르는 강)이다. | ||||||
611.이케다정 (홋카이도) | ||||||
이케다정(일본어: 池田町)은 일본 홋카이도 도카치 종합진흥국(구 도카치 지청) 관내의 나카가와 군에 있는 정이다. 정영으로 포도 재배·와인 양조를 실시하고 있어 ‘와인의 정’으로서 알려져 있다. 정명의 유래는 정내에 있는 이케다 농장내 이케다 정거장으로부터 왔다. | ||||||
612.도요코로정 | ||||||
도요코로정(일본어: 豊頃町)은 일본 홋카이도 도카치 종합진흥국(구 도카치 지청) 관내의 나카가와 군에 있는 정이다. | ||||||
613.혼베쓰정 | ||||||
혼베쓰정(일본어: 本別町)은 일본 홋카이도 도카치 종합진흥국(구 도카치 지청) 관내의 나카가와 군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폰·베트’(ポン・ベツ, 작은 강)이다. | ||||||
614.아쇼로정 | ||||||
아쇼로정(일본어: 足寄町)은 일본 홋카이도 도카치 지청 관내의 아쇼로 군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에쇼로·페트’(エショロ・ペツ, 따라 내려가는 강)이다. 약 1,400km2의 면적을 가지면서 2005년 1월까지는 일본 정부의 실효 지배하에 없는 북방 영토의 에토로후 군 루베쓰 촌에 이어 일본에서 2번째로 넓은 면적을 가지는 시정촌이었다(현재는 다카야마시, 하마마쓰시, 루베쓰 촌, 닛코시, 기타미시, 시즈오카시에 이어 제7위). 또 도내에서는 2006년 3월 19일까지, 루베쓰 촌에 이어 2번째로 면적이 넓은 자치체이기도 했다. 그러나 정으로서는 현재에도 일본에서 제일 넓은 면적을 가진다. | ||||||
615.리쿠베쓰정 | ||||||
리쿠베쓰정(일본어: 陸別町)은 일본 홋카이도 도카치 지청 관내의 아쇼로 군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리쿤펫’(rikun pet, 높은 곳에 있는 강)이다. | ||||||
616.우라호로정 | ||||||
우라호로정(일본어: 浦幌町)은 일본 홋카이도 남동부, 도카치 지청 관내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오라 포로’(オーラポロ, 강어귀에 큰 잎이 자라는 곳)이다. | ||||||
617.앗케시정 | ||||||
앗케시정(일본어: 厚岸町)은 일본 홋카이도 구시로 지청 관내의 앗케시 군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앗케우시’(atkeusi, 난티나무의 가죽을 언제나 벗기는 곳)이다. | ||||||
618.하마나카정 | ||||||
하마나카정(일본어: 浜中町)은 일본 홋카이도 구시로 지청 관내의 앗케시 군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오타노시케’(オタノシケ, 모래 사장의 한가운데)를 의역한 것이다. | ||||||
619.시베차정 | ||||||
시베차정(일본어: 標茶町)은 일본 홋카이도 구시로 지청 관내의 가와카미 군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시펫체’(シペッチャ, 큰 강의 부근)이다. | ||||||
620.데시카가정 | ||||||
데시카가정(일본어: 弟子屈町)은 일본 홋카이도 구시로 지청 관내의 가와카미 군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테시카·카’(テシカ・カ, 암반 위)이다. | ||||||
621.쓰루이촌 | ||||||
쓰루이촌(일본어: 鶴居村)은 일본 홋카이도 구시로 지청 관내의 아칸 군에 있는 촌이다. 현재 구시로 종합진흥국에서는 유일한 촌이다.. 농업 종사자 1인당 평균 연수입액은 일본 1위이며 1인당 평균소득이 일본 제일 높은 촌이다. 구시로 공항에 가깝고, 구시로 습원 국립공원을 눈아래에 볼 수 있는 자연 환경이 풍부한 시모호로로 지구에 분양주택지가 펼쳐진다. 촌명의 유래는 특별 천연기념물 두루미의 생식·번식지인 것에서 붙여졌다. | ||||||
622.시라누카정 | ||||||
시라누카정(일본어: 白糠町)은 일본 홋카이도 구시로 지청 관내의 시라누카 군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시라리’(シラリ, 물가), ‘카’(カ, 위), ‘시라르카’(シラルカ), ‘시라리이카’(シラリイカ) 등으로부터 왔다. | ||||||
623.베쓰카이정 | ||||||
베쓰카이정(일본어: 別海町)은 일본 홋카이도 네무로 지청 관내의 노쓰케 군에 있는 정이다.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벳카이’(Бэт Кaий, 강이 꺾여지고 있는 곳)이다. | ||||||
624.나카시베쓰정 | ||||||
나카시베쓰정(일본어: 中標津町)은 일본 홋카이도 네무로 지청 관내의 시베쓰 군에 있는 정이다. 네무로 진흥국 중부의 핵심이 되는 정으로, 낙농·상업이 활발하다. 분촌에 의해 탄생한 1946년부터 2005년의 국세조사까지 인구는 증가 경향을 보이고 있다. 2005년의 국세조사에서는 구시로·네무로 지방에서 유일하게 인구가 증가했다. | ||||||
625.시베쓰정 | ||||||
시베쓰정(일본어: 標津町)은 일본 홋카이도 네무로 지청 관내의 시베쓰군에 있는 정이다. 일본 유수한 연어의 산지로서 알려져 있으며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시펫’(Сипэт, 큰 강)이다. | ||||||
626.라우스정 | ||||||
라우스정(일본어: 羅臼町)은 일본 홋카이도 네무로 지청 관내의 메나시 군에 있는 정이다. 시레토코 반도의 남동쪽을 차지하고 있고 네무로 해협을 사이에 두고 구나시리와 마주본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의 ‘라우시’(Рaуши, 낮은 곳·짐승의 뼈가 있는 곳)이다. | ||||||
627.샤코탄반도 | ||||||
샤코탄반도(일본어: 積丹半島)는 홋카이도에 있는 반도이다. | ||||||
628.도도섬 (레분정) | ||||||
도도섬(海驢島, とどじま)은 일본 홋카이도 레분정에 위치해 있는 섬이다. 사루후쓰촌의 도도섬과는 다른 섬이다. 레분섬으로부터 북쪽으로 3km 떨어져 있다. 북쪽으로는 히라시마섬이 위치해 있다. 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도이다. 기후는 한랭하다. | ||||||
629.무로란 8경 | ||||||
무로란 8경(일본어: 室蘭八景, むろらんはちけい 무로란 하치케이[*])은 일본 홋카이도 도오 지방에 위치한 공업 도시인 무로란시를 대표하는 8개의 자연 경관을 함께 아울러 이르는 명칭이다. 1970년 시민들의 투표로 결정된 무로란 8경은[1] 항구의 야경 등 인공적인 구조물로부터 나오는 경관이 포함되기도 하지만, 지큐미사키를 중심으로 바다와 산이 어우러진 자연의 풍광이 주로 명단에 담겼다. | ||||||
630.에산 | ||||||
에산(일본어: 恵山)은 일본의 홋카이도에 있는 성층 활화산이다. 대부분의 바위가 유황에 의해 누렇다. 정상의 분화구에는 용암 돔이 있으며, 활화산이기 때문에 아직도 증기가 나온다. 홋카이도 최남단에 위치한 화산으로, 근처에는 하코다테시가 있다. 또한 고마가타케 산과도 근접한 위치에 있다. | ||||||
631.카무이에쿠우치카우시 | ||||||
632.하코다테산 | ||||||
하코다테산(函館山 (はこだてやま) 하코다테야마[*])은 일본 홋카이도 하코다테시 시가지 서쪽 끝에 있는 산이자 육계도다. 육계도로 표현하는 경우에도 하코다테섬, 하코다테야마섬 등이라고 하는 표현하지 않는다. 해발 334m이다. | ||||||
633.조잔케이 온천 | ||||||
조잔케이 온천(定山渓温泉 (じょうざんけい おんせん) 조잔케이 온센[*])은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미나미구에 있는 온천이다. 온천가는 도요히라강과 시라이강에 깎여서 만들어진 하안과 국도 230호를 따라 있어, 약간의 평지에 시가지를 형성하고 있다. | ||||||
634.시로가네 온천 | ||||||
시로가네 온천(白金温泉 (しろがねおんせん))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군 비에이정에 있는 온천이다. | ||||||
635.유노카와 온천 | ||||||
유노카와 온천(일본어: 湯の川温泉)은 홋카이도에서 가장 역사가 깊은 온천으로 하코다테시 시가지의 동부에 자리잡고 있다. 정갈하고 단촐하게 휴양을 할 수 있는 곳으로 화산활동이 남겨진 풍부한 이곳의 온천수는 신경통과 류머티즘에 효과가 있어서 인기가 높다. 노면전차가 근처를 운행하여 교통도 편리하다. | ||||||
636.다쿠신칸 | ||||||
다쿠신칸(拓真館)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군 비에이정에 있는 사진 갤러리이다. 마에다 신조가 개설한 본인 사진의 갤러리로, 폐교한 비에이 정립 지요다 소학교 부지를 이용하고, 비에이의 협력을 얻어 개관했다.[1] 또한 10,000 평에 달하는 부지는 본래의 자연과 재배한 부분을 구분하여 자작나무의 회랑과 라벤더 길 등이 있다. | ||||||
637.하코다테시 문학관 | ||||||
하코다테시 문학관(函館市文学館 하코다테시분가쿠칸[*])은 일본 홋카이도 하코다테시 스에히로초에 있는 문학관이다. 이시카와 다쿠보쿠 등 주로 하코다테시와 관련이 있는 문학인과 관련된 자료 약 250점을 소장 및 전시하고 있다.[1] | ||||||
638.노보리베쓰 곰 목장 | ||||||
노보리베쓰 곰 목장(일본어: のぼりべつクマ牧場)은 일본 홋카이도 노보리베쓰시 노보리베쓰온센초에 있는 곰을 주로 취급하는 동물원이다. 불곰 박물관과 아이누 자료관을 병설한다. | ||||||
639.하쿠초 대교 | ||||||
하쿠초 대교(白鳥大橋 하쿠초오하시[*]→백조대교)는 일본 홋카이도 무로란시에 있는 국도 37호 (하쿠초 신도)의 현수교다.[1] 무료 자동차 전용 도로이며, 다리의 명칭은 무로란항의 별명 '백조만'에서 따왔다. 여러 개의 풍차가 다리를 따라 늘어서 있어 밤에는 근처 공원 등에서 조명을 제공한다. 다리 위는 바람이 매우 강해 보행자, 자전거, 오토바이의 통행이 금지되어 있다. | ||||||
640.팜 토미타 | ||||||
팜 토미타(일본어: ファーム富田, 영어: Farm Tomita)는 일본 홋카이도 소라치군 나카후라노정에 있는 농장이다. 주로 라벤더를 중심으로 한 꽃을 특징으로, 봄부터 가을까지 개장한다. 원내에는 드라이 플라워를 사용한 가게과 자료관이 위치해 있으며 입장은 무료이다. 또한, 시설에 근처에 있는 도미타 멜론 하우스는 팜 도미타와는 전혀 관계 없다. | ||||||
641.오타루 오르골당 | ||||||
오타루 오르골당(일본어: 小樽オルゴール堂)은 홋카이도 오타루시에 있는 오르골 숍이자 박물관이다. 약 2만 5천개의 오르골 컬렉션이 있다.[1] 박물관의 본관은 1902년에 지어졌다. 골동품 오르골은 2번홀에 있다. | ||||||
642.삿포로 맥주 박물관 | ||||||
삿포로 맥주 박물관(일본어: サッポロビール博物館 サッポロビールはくぶつかん[*])는 홋카이도 삿포로시 히가시구 삿포로 가든 파크 내에 위치한 박물관이다. 일본에서 유일한 맥주 박물관이며, 홋카이도 유산의 하나로도 지정되어 있다. 1987년 7월 개관하였다. 원래는 1890년 삿포로 제당 회사 공장으로 지어진 붉은 벽돌 건물을 이용한 것이며, 건물에는 삿포로 맥주 정원이 병설되어 있다.삿포로맥주의 역사와 원료, 제조 공정 등을 이해하기 쉽게 영상으로 전시해 놓은 박물관이다. 삿포로 맥주의 역사는 1876년 독일 베를린에서 맥주를 만드는 방법을 배우고 돌아온 나카가와 세이베이를 통해 이곳에 양조장이 들어서면서부터 시작되었다. | ||||||
643.이시카리강 | ||||||
이시카리강(石狩川)은 일본 홋카이도의 강이다. 길이는 268 km로, 홋카이도에서는 제일 길고 일본에서는 3번째로 길다. 유역 면적은 14,330 km2 로 일본에서 두 번째로 크다. 강은 이시카리산에서 발원해 아사히카와시와 삿포로시를 통과해 흐른다. 주요 지류로는 주베쓰강, 우류강, 소라치강, 도요히라강이 있다. 4만년 전까지는 태평양쪽의 도마코마이시로 흘렀으나, 시코쓰산의 분화 때 흘러내린 용암으로 유로가 막히면서 하구가 동해쪽으로 옮겨지게 되었다. 강의 이름은 아이누어로 '구부러진 강'을 의미한다. 이로 볼 때 강은 이시카리평야를 굽이쳐 흘렀으며 그 길이는 일본에서 가장 긴 강인 시나노강과 비슷했을 것으로 생각된다. 대규모의 유로 직선화 공사로 강의 길이는 100 km가량 짧아졌으며 많은 우각호가 생성되었다. | ||||||
644.오타루 운하 | ||||||
오타루 운하(小樽運河 (おたるうんが) 오타루운가[*])는 일본 홋카이도 오타루시에 있는 운하이다. 일본에서는 유일하게 난바다 매립 방식으로 만들어졌고 완만하게 구부러져 있는 것이 특징이다. 전체 길이 1,140m이다. 1923년에 완성됐다. 1945년 일본제국이 패망한 후에 오타루항에 부두가 정비되면서 수로로서의 역할은 끝났다. 1966년 오타루 시내의 교통 정체를 완화하기 위해 도로를 6차선으로 넓히는 계획을 세웠다. 1986년에 운하의 일부를 매립해 폭의 절반이 되어 도로가 되고 산책로가 정비되면서 오타루시의 관광지가 되었으며, 주변 지역을 포함하여 관광지로 변모했다. 산책로에는 63개의 가스등이 설치되어 있다. | ||||||
645.소세이강 | ||||||
소세이강(일본어: 創成川)은 인공 강으로, 삿포로 시의 중앙을 관통한다. 1860년대 후반에 도시를 처음 만들 때 오토모 카메타로가 만들었다. 처음 만들었을 때, 이시카리강을 향하여 직선으로 흐르게 하였으나, 이후 강의 진로를 바꾸었다. 삿포로를 동쪽과 서쪽으로 나누는 역할을 한다. 에도 시대에 오토모 해자(大友堀)로 만들어졌고 메이지 시대에 소세이강으로 개명되었다. 길이는 14.2 km이고 유역면적은 19.0 km2이다.[1] | ||||||
646.데시오강 | ||||||
데시오강(天塩川)은 일본 홋카이도의 강이다. 길이는 256 km로, 일본에서는 4번째로 길지만 큰 지류가 적기 때문에 유역 면적은 5,590 km2로 10번째에 머무르고 있다. 강의 이름은 아이누어로 '어살(물고기를 잡는 장치)'를 의미한다. | ||||||
647.이투루프섬 | ||||||
이투루프섬(러시아어: Итуруп, 아이누어: エトゥオロㇷ゚シㇼ / Этуворопшир, 일본어: 択捉島 에토로후토[*], 문화어: 이뚜루쁘섬)은 쿠릴 열도 남부에 위치해 있으며, 쿠릴 열도의 섬들 중 가장 큰 섬이다. 현재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고 있으나, 일본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섬의 면적은 3,139km2, 인구는 6,485명(2019년)이다. 섬의 중심 취락은 쿠릴스크(일본어: 紗那村 샤나촌[*])로, 인구는 1,607명(2018년)이다. | ||||||
648.오쿠시리섬 | ||||||
오쿠시리섬(奥尻島)은 일본 홋카이도 오쿠시리정에 위치해 있는 섬이다. 아이누어로는 이크슨 시리’(イクスン・シリ, 저 너머의 섬)이다. 홋카이도의 남서쪽에 위치해 있다. 동해에 위치하고 있으며 히야마 지청에 포함되어 있다. 크기는 142.97km2이다. 섬의 최고봉은 카무이 산으로 높이가 584m이다. 주변에는 많은 암초와 바위들이 있다. | ||||||
649.가모메섬 (히야마군) | ||||||
가모메섬(鴎島)은 일본 홋카이도 히야마 군에 위치한 섬이다. 히야마 군의 서쪽에 위치해 있다. 현재는 홋카이도와 연결되어 있는 섬이다. 화산섬이다. | ||||||
650.쿠나시르섬 | ||||||
쿠나시르섬(러시아어: Кунашир, 일본어: 国後島 구나시리토[*], 문화어: 꾸나쉬르섬)은 러시아 캄차카반도 남쪽에 위치한 쿠릴 열도 남부에 속하는 섬이다. 아이누어로는 검은 섬을 의미한다. 제2차 세계대전 종결 이후 러시아가 이 섬을 실효 지배하고 있으나, 일본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중심지는 유즈노쿠릴스크(일본어: 古釜布 후루카맛부[*])이다. | ||||||
651.시코탄섬 | ||||||
시코탄섬(러시아어: Шикотан, 일본어: 色丹島 시코탄토[*], 문화어: 쉬꼬딴섬)은 쿠릴 열도의 남동쪽 끝에 있는 섬이다. 아이누어로는 최고의 장소라는 의미이다. 현재 러시아가 실효 지배하고 있으나, 일본이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2016년 기준 인구는 2,917명이다. 여름에는 짙은 안개와 한랭한 냉대 습윤 기후 때문에 작물 재배가 어려운 편으로, 어업이 주민 생계의 주가 된다. 크게 2개의 마을이 있는데 섬의 중심지로서 시코탄(斜古丹)으로 불리던 말로쿠릴스코예와 아나마(穴澗)로 불리던 크라보자보츠코예이다. | ||||||
652.데우리섬 | ||||||
데우리섬(일본어: 天売島 てうりとう 테우리토)은 일본 홋카이도 루모이 지청 도마마에 군 하보로정에 있는 하보로 항 서쪽 30km지점에 위치하는 동해상의 섬이다. 섬의 동쪽에 나란히 있는 야기시리 섬과 함께 하보로 정에 속해 있다. 넓이는 5.50km2이며 거주인구는 약 412명 정도이다. 일본의 섬 이름으로는 드물게 시마가 아니라 음독하여 토(島)로 읽는다. 섬의 북서해안에는 단암절벽이 이어지고 바다오리, 가마우지, 큰재갈매기 등의 바닷새가 서식한다.여름 겨울철에 별도로 데우리, 야키시리 국정공원(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정립 홋카이도 덴우리 고등학교가 있지만, 전교생 3명, 교사 10명의 사실상 분교이다. 의료기관으로는 덴우리 진료소가 있으며, 의사 간호사 사무직 도합 3명이 근무한다. 이곳의 진료소를 무대로 한 드라마 《여의사 유~ 청공 클리닉》이 2004년 도카이-후지 TV계열에서 방영되었다. 응급환자가 발생하여 홋카이도의 의료기관에 환자를 이송해야할 상황발생시에는 삿포로에서 헬리콥터 지원요청을 하거나, 해상보안청의 순시정으로 환자를 수송하거나, 또는 섬내의 어선에 의해서 환자를 이송하는등 각각의 방법으로 대처하고 있다. | ||||||
653.야기시리섬 | ||||||
야기시리섬(일본어: 焼尻島 やぎしりとう 야기시리토)은 일본 홋카이도 루모이 지청 도마마에 군의 섬으로 데우리 섬 옆에 위치해 있다. | ||||||
654.유루리시마섬 | ||||||
유루리시마섬(ユルリ島)은 일본 홋카이도 네무로 지청 네무로시의 섬이다. 북위 43도 12분, 동경 145도 35분에 위치해 있는 무인도이다. 북쪽으로는 모리유리섬이 위치해 있으며 오호츠크해에 위치한다. 바닷새의 서식지로 조류 보호 구역이다. | ||||||
655.리시리섬 | ||||||
리시리섬(일본어: 利尻島, 영어: Rishiri Island)은 홋카이도 북부의 동해상에 떠있는 원형의 섬이다. 면적은 182.11km2로 일본에서 18번째로 넓은 섬에 해당한다. 북쪽에는 레분섬이 있다. ‘리시리’라는 지명은 ‘높은 섬’을 뜻하는 아이누어 리시르(Ri-Sir, リシㇼ)에서 따왔다. 섬의 가운데에는 화산 리시리산이 있고, 그 근처에는 많은 고산식물이 분포되어 있다. 유사이래로 화산활동에 대한 기록은 없다. 왓카나이시, 레분섬을 잇는 페리선이 다니며, 리시리 공항에서 홋카이도의 신치토세 공항을 연결하는 전일본공수 여객기가 취항하고 있다. | ||||||
656.레분섬 | ||||||
레분섬(일본어: 礼文島)은 홋카이도의 부속섬으로 왓카나이 서쪽 60km 떨어진 동해상에 떠있는 섬이다. ‘레분’이란 이름은 ‘앞바다의 섬’을 뜻하는 아이누어 레푼시르(Repun-Sir, レプン・シㇼ)에서 따왔다. 면적은 81.33km2, 인구는 2007년 기준 3,224명이다. 리시리섬과 레분섬을 연결하는 정기 페리선이 왓카나이로부터 운항되고있다. 예전에, 소야곶과 최북단 분쟁이 있었으나 소야곶이 최북단으로 밝혀졌다. 그러나 소야곶 역시 벤텐섬보다는 남쪽에 위치해 있어 최북단은 벤텐섬으로 밝혀지게 되었다. 섬을 종단하는 도로는 동해안을 따라 나있다. 서해안은 지형이 험하고, 서쪽으로부터 강한 계절풍이 연중 불어와 기후가 험악하므로 높은 나무가 자라지 못하여 황량한 풍경을 보인다. | ||||||
657.오스콜키섬 | ||||||
오스콜키섬(러시아어: Осколки) 또는 도도섬(일본어: 海馬島, とどじま)은 하보마이 군도의 섬으로 홋카이도 동부에 있다. 러시아가 실효지배하고 있으며, 일본은 홋카이도 네무로시에 속한다고 영유권을 주장하고 있다. | ||||||
658.쿠나시르 해협 | ||||||
쿠나시르 해협(러시아어: Кунаширский пролив)은 사할린주의 쿠나시르섬과 홋카이도 동부 지역에 위치한 네무로반도, 시레토코반도를 사이에 둔 해협이다. 일본에서는 네무로 해협(일본어: 根室海峡)으로 불리고 있다. | ||||||
659.오시마섬 (마쓰마에정) | ||||||
오시마섬(일본어: 渡島大島)는 홋카이도 마쓰마에군 마쓰마에정 해역에 있는 섬이다. | ||||||
660.고지마섬 (오시마 관내) | ||||||
고지마섬(小島)은 일본 홋카이도 오시마 종합진흥국에 포함되어 있는 섬이다. | ||||||
661.다이코쿠섬 (앗케시정) | ||||||
다이코쿠섬(일본어: 大黒島)'은 일본 홋카이도 앗케시 군 앗케시정에 속한 섬이다. 다이코쿠 섬은 고지마 섬의 남쪽에 위치해 있으며 고지마 섬보다 몇 배나 더 크지만 사람이 전혀 살지 않는 돌섬이다. | ||||||
662.도도섬 (사루후쓰촌) | ||||||
도도섬(일본어: 海馬島, とどじま)은 일본의 홋카이도 소야 지청에 있는 섬이다. 오호츠크해에 있으며 사루후쓰촌 바로 동쪽에 있다. 이 섬은 바위로 된 돌섬으로, 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도이다. | ||||||
663.벤텐섬 (네무로시) | ||||||
벤텐섬(일본어: 弁天島)은 일본 홋카이도 네무로시에 속한 섬이다. 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도이다. 일본 최북단의 벤텐섬과는 다른 섬이다. 벤텐섬은 네무로 지청의 네무로시 옆에 위치해 있다. 기후는 냉대 기후이며, 겨울에는 유빙이 나타난다. 오호츠크 문화 영향권에 속한다. | ||||||
664.벤텐섬 (왓카나이시) | ||||||
벤텐섬(일본어: 弁天島, べんてんじま 벤텐지마[*])은 일본의 극점 중 홋카이도 왓카나이시의 소야곶을 기준으로 북서쪽에 자리잡은 무인도로, 일본의 극점 중 최북단 섬이다. 소야곶 근처의 산호 군락으로부터 북쪽으로 약 1km 정도 거리에 있다. 또 남동쪽에는 히라시마섬이 있는데, 히라시마섬은 벤텐섬과 홋카이도 사이를 잇는 중간 기착지이다. 섬의 이름은 섬이 신토의 수호신 '벤자이텐'에게 제사를 지낸 곳이었다는 데에서 유래하였으며, 도도섬(일본어: トド島 도도지마[*])이라고도 한다. 섬의 둘레는 약 0.5km로 63빌딩의 2배 정도, 표고는 20m로 6층 건물 높이 정도, 면적은 5,000㎡로 학교 운동장 평균 넓이 정도에 불과하다. | ||||||
665.모리유리섬 | ||||||
모리유리섬(モユルリ島)은 일본 홋카이도 네무로 지청 네무로시의 무인도이다. 면적은 0.3 km2이고 높이는 해발 37m이다. 홋카이도 네무로 지청 네무로시에 위치하며 동쪽으로 오호츠크해가 있다. 남쪽으로는 유루리시마섬이 있다. 홋카이도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 ||||||
666.아이누 요리 | ||||||
아이누 요리는 일본과 러시아에 있는 아이누 민족의 요리이다. 이 요리는 일본의 대다수 야마토 민족의 요리와 현저히 다르다. 예를 들어, 사시미와 같은 생고기는 아이누 요리에서 거의 제공되지 않으며 대신 삶기, 굽기, 염지 등의 방법을 사용하여 고기를 준비한다. 또한 일본 요리와 달리 전통적인 아이누 요리는 된장, 간장, 설탕을 사용하지 않았지만 현대 아이누 요리에는 이러한 조미료가 등장한다. 일본 북부의 홋카이도 섬은 오늘날 대부분의 아이누족이 살고 있는 곳이다. 그러나 그들은 한때 쿠릴 섬의 대부분, 사할린 섬의 남쪽 절반, 혼슈 섬 북부의 일부에 거주했다. | ||||||
667.이시카리나베 | ||||||
이시카리나베(石狩鍋)는 연어를 주재료로 된장으로 양념한 일본의 냄비 요리이며, 홋카이도의 향토 음식이다. | ||||||
668.가시배새우 | ||||||
가시배새우(Lebbeus groenlandicus)는 십각목 생이하목에 속하는 갑각류의 하나이다. 대한민국에서는 경상북도 포항시 이북의 동해에서 발견되고, 일본에서는 산인 지방으로부터 홋카이도까지 잡힌다. 보통 닭새우라고 부르고, 통틀어 도화새우, 물렁가시붉은새우와 함께 독도새우라고 부르고 있다.[1] | ||||||
669.에스카롯푸 | ||||||
에스카롯푸(エスカロップ)는 에스칼로프에서 명칭이 유래한 일본 네무로시의 요리로 버터나 케첩으로 볶은 밥에 얇은 포크카츠를 올리고 데미글라스 소스를 얹은 요리다. | ||||||
670.곱사연어 | ||||||
곱사연어(학명: Oncorhynchus gorbuscha)는 연어목 연어과의 바닷물고기이다. 곱사송어라고도 한다. 몸의 길이는 최대 76cm이고, 몸무게는 최대 6.8kg이다. 몸은 방추 모양이면서 유선형이고 약간 옆으로 납작하다. 입이 크고 이빨이 날카롭다. 산란기가 되면 수컷의 주둥이가 구부러지고 머리 뒤쪽에는 연골의 돌기가 생긴다. 이 때문에 마치 곱사등이 물고기처럼 보인다. 기름지느러미는 크다. 몸빛깔은 등쪽이 청록색이고 배쪽이 은백색이다. 등과 기름지느러미 또는 꼬리지느러미에 크고 검은 무늬가 있어서 구별이 가능하다. | ||||||
671.털게 | ||||||
털게는 십각목 털게과의 갑각류이다. 갑각의 길이는 10.2cm이고, 갑각의 너비는 10cm이다. 이 품종은 얕은 수심에서 최대 350m까지 해저에서 흔히 발견된다. 털게는 껍질과 부속물을 덮는 단단한 껍데기와 부드러운 가시가 있다. 몸무게는 1kg를 초과할 수 있다. 성체의 갑각 길이는 100~120mm에 이른다. | ||||||
672.연어 | ||||||
연어(鰱魚, 학명: Oncorhynchus keta, 영어: Salmon)는 연어목 연어과에 속하는 어류이다. 또한 어린 연어는 연어사리라 부른다.[1] | ||||||
673.유엽어 | ||||||
유엽어(柳葉魚, Spirinchus lanceolatus) 또는 시샤모(shishamo)는 바다빙어과 별빙어속의 생선으로 열빙어와는 다른 종이다.세계적으로도 홋카이도 근처 태평양 연안의 일부에서 밖에 잡히지 않는다. 근래 어획량의 감소로 인해, 맛과 외형이 비슷하고 어획량이 보다 많은 열빙어가 상대적으로 저렴한 가격으로 유통되어 시중에서 유엽어를 열빙어로 혼용하여 사용하고 있다. 같은 바다빙어과에 속해 있지만, 유엽어는 별빙어속, 열빙어는 열빙어속의 다른 생선이다.일본명 시샤모는 아이누어인 susam에서 유래 하였으며, 아이누어 susu "버드나무" + ham "잎"이 합쳐진 형태이다.[1][2][3] | ||||||
674.연어알 | ||||||
연어알, 혹은 근자(筋子)는 연어과 어류의 난소에 들어가 있는 채의 알을 의미한다. 또는 이것으로 만든 젓갈을 의미한다. 그 이름 대로 연어 같은 난소막을 따라 알이 붙어 있다. 난소막에서 알을 제거하기 전의 것은 모두 연어알이라고 불리지만, 시장에 유통되는 연어알은 거의다 염장품이라고 볼 수 있다. 일본에서는 익히지 않은 생연어알이라고 부르며 구별한다. 도후쿠 지방에서는 염장 연어알을 스지코(근자)라고 부르고 익히지 않은 상품을 복자(하라코)라고 부른다. | ||||||
675.대게 | ||||||
대게(Chionoecetes opilio, 영어: opilio crab 또는 opies)는 대게과에 속하는 게로, 경상북도 영덕군과 울진군에서 많이 발견되며 흔히 영덕게로 알려져 있다. 갑각은 나비 13~15cm, 둥근 삼각형으로 한국에서 나는 게 중 가장 크다. 다리가 길고 몸이 커서 맛이 좋으므로 중요한 수산자원이다. 이마에 솟은 돌기는 넓고 짧으며, 걷는다리의 마디는 납작하다. 일반적으로 수컷이 암컷보다 훨씬 크다. 한류성 게로 30~1.800m 깊이의 진흙 또는 모래바닥에서 산다. 한국·일본·캄차카반도·알래스카·그린란드 등지에 분포한다. | ||||||
676.다판류 | ||||||
다판류(多板類)는 다판강(多板綱, Polyplacophora)에 속하는 연체동물의 총칭이다. 껍데기는 서로 겹치는 여덟 개의 각판으로 이루어져 있다. 눈이나 촉각이 없으며, 크고 넓적한 발을 갖는다. 머리부가 분명하지 않고, 항문은 뒤쪽에 있다. 주로 바다에 살며, 현재 약 500종이 알려져 있다. 군부, 줄군부 등이 이에 속한다. | ||||||
677.왕게 | ||||||
왕게(red king crab)는 킹크랩, 왕게과 왕게속에 딸린 동물이다. 베링해 고유종으로 다리 폭이 1.8 미터에 달하는 대형종이다. 주요 어업의 대상이 된다. 학명은 파랄리토데스 캄차카티쿠스(Paralithodes camtschaticus)이다. | ||||||
678.찬찬야키 | ||||||
찬찬야키(일본어: ちゃんちゃん焼き)는 연어 등의 생선과 야채를 구워 된장 등으로 양념한 일본의 향토 요리이며, 홋카이도 어촌의 명물 요리이다. 또한 찬찬야키는 2007년 일본 농림수산성의 주최로 열린 농산어촌향토요리백선에서 징기스칸, 이시카리나베와 함께 홋카이도를 대표하는 향토 요리로 선출되었다.[1] | ||||||
679.관절매물고둥 | ||||||
관절매물고둥(학명 : Barbitonia arthritica, 혹은 Neptunea arthritica)은 속명 '전복골뱅이', '소라골뱅이', '소라고둥', '갈색띠각시매물고둥', '보라골뱅이'라고도 한다.[2] 바다달팽이(sea snail) 종(species)으로, 물레고둥과(Buccinidae)(이 과에 속하는 것을 흔히 참소라고둥true whelk이라 함)에 속하는 해양 복족류(marine gastropod) 연체동물(mollusk)이다.[3] 하위종(subspecie)은 Barbitonia arthritica arthritica 하나가 있다.(Valenciennes, 1858) | ||||||
680.부타돈 | ||||||
부타돈(일본어: 豚丼)은 돼지고기를 밥 위에 올린 덮밥 요리이다. 부타동이라고 발음하기도 한다. | ||||||
681.가리비 | ||||||
가리비(영어: scallop)는 껍데기가 부채 모양으로 부챗살 같은 골이 파인 이매패류이다. 얕은 바다에 서식하는 바닷물조개이며, 때로는 모래나 자갈 속에서 무더기로 발견된다. | ||||||
682.임연수어 | ||||||
임연수어(林延壽魚)는 쥐노래미과에 속하는 물고기의 일종이다.[2] 주 개체군은 오호츠크 연안에서 발견된다. | ||||||
683.대구 (어류) | ||||||
대구(大口, 夻, 영어: Pacific cod)는 대구과에 속하며 학명은 Gadus macrocephalus이다. | ||||||
684.무로란 카레라멘 | ||||||
무로란 카레라멘(일본어: 室蘭カレーラーメン)은 일본 홋카이도의 카레라멘으로, 무로란시, 노보리베쓰시, 다테시, 도야코정에 가맹하는 라멘점을 중심으로 제공되는 라멘이다. 무로란 카레라면의 원형은 1965년 봄에 도마코마이시 (도마코마이 카레라멘)에서 개발되었다. 그러나 별로 팔리지 않고 1967년경에 점주는 이와미자와시로 이사했으며, 아지노다이오를 개점했다. 이 가게의 맛에 반해 단골이 된 손님 중 한 명이 1971년에 제자들이 들어가 카레라멘을 포함한 가게의 레시피를 배워 9월에 무로란시 와니시정에서 개업했다. 공장이 근처에 있어 하루 200개 그릇 이상의 라멘이 팔렸지만, 미소라멘이 주로 팔렸으며, 여기에서도 카레라멘은 그다지 팔리지 않았다. | ||||||
685.무로란 야키토리 | ||||||
무로란 야키토리(일본어: 室蘭やきとり)는 일본 홋카이도 무로란시의 돼지고기와 양파를 사용한 꼬치구이 요리 (야키토리)다. 돼지고기를 사용하지만 간토 지방에서 말하는 야키톤이라고는 부르지 않고, 닭고기와 부속 고기를 사용한 것과의 총칭으로 야키토리라고 불리고 있다. | ||||||
686.야키토리 | ||||||
야키토리(일본어: 焼き鳥)는 일본의 닭고기를 꼬치에 꿰어서 만든 음식이다. 조리 후에 고기는 타레나 소금으로 양념하는 것이 보통이다.[1] | ||||||
687.개불 | ||||||
개불(Urechis unicinctus, fat innkeeper worm 또는 penis fish)은 의충동물에 속하는 개불과 개불속 동물의 총칭이다. 몸길이는 10-30cm 정도이고 몸은 소시지 모양의 원통형에 가까우며 황갈색을 띤다. 몸의 겉면에는 유두상(乳頭狀)의 많은 작은 돌기가 있다. 입의 앞쪽에 오므렸다 늘였다 할 수 있는 납작한 주둥이가 있는데, 이 주둥이 속에 뇌가 들어 있어 다른 동물의 머리에 해당한다고 볼 수 있다. 바다 밑의 모래 속에 U자 모양의 관을 파고 살고, 암수딴몸으로 암컷과 수컷은 각각 알과 정자를 만들어 체외수정을 한다. 알은 트로코포라유생을 거쳐 성체가 된다. 대한민국에서는 식용으로 먹으며[1] 가자미·도미 등의 낚시에 미끼로 쓰인다. 대한민국, 일본, 태평양 연안 등지에 분포한다.개의 성기와 닮았다고 하여 개불이라고 불린다. | ||||||
688.럭키삐에로 | ||||||
럭키삐에로(일본어: ラッキーピエロ 랏키피에로[*], 영어: Lucky Pierrot)는 일본 하코다테시를 중심으로 하는 햄버거 체인점이다.[1] | ||||||
689.루이베 | ||||||
루이베(일본어: ルイベ)는 일본 북부 아이누족의 요리이다. 야외에서 얼린 해산물을 사시미처럼 썰어 간장과 청양고추와 함께 제공한다. 에조와 홋카이도(근대 이전의 홋카이도와 이후의 홋카이도)에서는 늦가을부터 초겨울에 걸쳐 추운 시기에 잡힌 연어와 시샤모를 처마 아래에 매달거나 눈 속에 묻어 냉동 보존했다. 그러면 보존성이 높아지면서 광절열두조충(상어 벌레)이나 고래회충 등의 기생충이 사멸한다. 연어가 너무 많은 지방과 생취를 줄일 수 있고, 그만큼 연어의 적당한 지방과 좋은 냄새를 맛과 맛으로 강하게 느낄 수 있어서 연어 이외에도 코마이 등 다양한 생선이 루이베로 가공 외기로 보존된 루이베는 동결과 건조를 반복한 건어물과 같은 상태의 식품이었다. | ||||||
690.삿포로 가든 파크 | ||||||
삿포로 가든 파크(일본어: サッポロガーデンパーク)는 홋카이도 삿포로시 히가시구에 상업 시설이나 음식점 점포 등의 건물이 모인 지역의 명칭이다. | ||||||
691.삿포로 클래식 | ||||||
삿포로 클래식(일본어: サッポロクラシック 삿포로쿠라싯쿠[*], 영어: SAPPORO CLASSIC)은 삿포로 맥주가 제조 · 판매하고 있는 맥주이다. 홋카이도 지역 한정으로 판매되는 맥아 100%의 맥주로, 홋카이도 에니와시에 소재한 공장에서 제조하고 있다. | ||||||
692.삿포로 맥주 | ||||||
삿포로 맥주 주식회사(일본어: サッポロビール株式会社, Sapporo Breweries Limited)(도쿄: 2501)는 일본 굴지의 맥주 회사이며, 본사는 도쿄도 에비스에 있다. | ||||||
693.삿포로 팩토리 | ||||||
삿포로 팩토리(일본어: サッポロファクトリー, 영어: SAPPORO FACTORY)는 일본 홋카이도 삿포로시 주오구에 위치한 복합 상업시설이다. 1876년 조업한 개척사 맥주 양조장(開拓使麦酒醸造所)터이며, 삿포로 맥주의 삿포로 제1 공장으로 1989년까지 맥주를 생산하고 있던 영역을 재개발한 복합 상업 시설이다.[1][2] 높이 39m, 폭 34m, 길이 84m의 아트리움을 중심으로 쇼핑 센터, 오락 시설, 레스토랑, 피트니스 클럽, 호텔 등의 시설이 있으며, 각각의 건물은 연락 통로로 연결되어 있다. | ||||||
694.구치토리가시 | ||||||
구치토리가시(일본어: 口取り菓子 쿠치토리가시[*])는 일본 요리의 일종으로, 다과회에서 차를 내기 전에 그릇에 담아 내는 과자를 말한다. | ||||||
695.화이트 초콜릿 | ||||||
화이트 초콜릿(영어: white chocolate)은 설탕, 코코아 버터, 그리고 탈지분유를 섞어서 만든 식품이다. 코코아 버터의 녹는점 때문에 화이트 초콜릿은 실온에서는 녹지 않으나, 입 안에서는 녹는다. 그러므로 화이트 초콜릿은 밀크 초콜릿과 같은 질감을 갖는다. 화이트 초콜릿은 일반 초콜릿과는 다른 색인 흰색을 띄고 있다. 화이트 초콜릿은 제1차 세계 대전 이후 미국 뉴햄프셔에서 처음 만들어졌다. 그리고 네슬레(Nestlé)사에서 알파인 화이트 초콜릿 바(alpine white candy bar)를 출시함으로써 미국에서 화이트 초콜릿은 선풍적인 인기를 끌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