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엔쓰지 | ||||||
엔쓰지(일본어: 円通寺(えんつうじ))는 일본 아오모리현 무쓰시에 위치한 소토슈 계열 사찰이다. 산호(山號)는 기치조산(吉祥山)이며, 본존불은 석가여래이다. 오소레 산 보다이지(恐山菩提寺)의 본사(本寺)이다. 1522년 난부 가문의 원조로 소토슈 승려 슈카쿠(聚覚)에 의해 창건되어, 1659년 중흥되었다. 1871년 도나미번의 번청이 이 절에 옮겨졌다. | ||||||
2.오소레산 | ||||||
오소레산(일본어: 恐山, おそれざん/おそれやま)은 시모키타반도의 중앙부에 있는 화산이다. 일본 3대 영지 가운데 하나이며, 조동종 계열 사찰인 엔쓰지가 위치해 있다. 산 이름은 일본어로 "무서운 산"을 뜻한다. | ||||||
3.사이쇼인 | ||||||
사이쇼인(일본어: 最勝院)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에 있는 진언종의 사원이다. | ||||||
4.이와키 산 신사 | ||||||
이와키 산 신사(일본어: 岩木山神社 이와키야마진쟈[*])은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 이와키 산 남쪽 기슭에 있는 신사이다. | ||||||
5.다카테루 신사 | ||||||
다카테루 신사(일본어: 高照神社 다카테루진자[*])는 일본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에 있는 신사이다. 국가 중요 문화재. 원래 명칭은 다카오카 영사(高岡霊社)로, 히로사키번의 4대 번주 쓰가루 노부마사의 묘역에 세워진 노부마사의 영혼을 모신 신사로, 메이지 시대 합사의 종교원칙에 따라 1877년에 각종 신령들과 히로사키번 초대 번주 쓰가루 다메노부도 합사하면서, 다메노부와 노부마사를 함께 모셔 놓았다. 보물전에는 다메노부가 가신들로부터 봉납받은 도검들과 도요토미 히데요시로부터 하사받았다는 도모나리의 검 등이 있다. | ||||||
6.네성 | ||||||
네성(일본어: 根城 네조[*])은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 네조에 있는 연곽식 평산성이다. 성터는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 ||||||
7.히로사키성 | ||||||
히로사키성(일본어: 弘前城 히로사키조[*])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에 있는 성으로 국가 지정 사적이다. 다른 이름은 다카오카 성(鷹岡城)이다. 쓰가루 평야에 위치하고, 성의 형태는 제곽식 평산성이다. 혼마루, 니노마루, 산노마루, 요노마루, 기타노마루, 니시노마루의 여섯 곡륜으로 구성되어 있다. 해자, 석벽, 성루 등 성곽의 전체적 모습이 거의 성이 폐성될 때의 원형을 간직한 귀중한 성이다. 천수는 3층3계로 에도 시대 후기에 재건되어 현존하고 있어, 망루로서 니노마루에 3층의 동남 망루·북동 망루·남서 망루의 3망루, 5곳의 성문으로서 산노마루 오테 문·산노마루 히가시 문·니노마루 미나미 문·니노마루 히가시 문·기타노마루 귀갑문이 있고, 각각 성을 쌓을 때의 모습으로 현존하여, 모두 나라의 중요문화재에 지정되어 있다. | ||||||
8.아지가사와역 | ||||||
아지가사와역(일본어: 鰺ケ沢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니시쓰가루군 아지가사와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9.아리토역 | ||||||
아리토역(일본어: 有戸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가미키타군 노헤지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미나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아리하타역 | ||||||
아리하타역(일본어: 有畑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가미키타군 요코하마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미나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이카리가세키역 | ||||||
이카리가세키역(일본어: 碇ケ関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라카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12.이타야나기역 | ||||||
이타야나기역(일본어: 板柳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기타쓰가루군 이타야나기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3.이나카다테역 | ||||||
이나카다테역(일본어: 田舎館駅(いなかだてえき))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라카와시에 위치한 고난 철도 고난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4.이마베쓰역 | ||||||
이마베쓰역(일본어: 今別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가시쓰가루군 이마베쓰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쓰가루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5.오카와다이역 | ||||||
오카와다이역(일본어: 大川平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가시쓰가루군 이마베쓰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쓰가루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6.오자역 | ||||||
오자역(일본어: 大蛇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산노헤군 하시카미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치노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7.오다이역 | ||||||
오다이역(일본어: 大平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가시쓰가루군 소토가하마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쓰가루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8.오와니온센역 | ||||||
오와니온센역(일본어: 大鰐温泉駅) 또는 오와니역(일본어: 大鰐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미나미쓰가루군 오와니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 고난 철도의 철도역이다.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소속역이며, 고난 철도 오와니 선의 기·종점이기도 한 오와니역에 대해서도 기술한다. | ||||||
19.오쿠쓰가루이마베쓰역 | ||||||
오쿠쓰가루이마베쓰역(일본어: 奥津軽いまべつ駅 오쿠쓰가루이마베쓰에키[*])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가시쓰가루군 이마베쓰정에 위치한 홋카이도 여객철도 가이쿄 선, 홋카이도 신칸센의 철도역이다.2016년 3월 25일까지는 쓰가루이마베쓰역(일본어: 津軽今別駅 쓰가루이마베쓰에키[*])이라고 불렀으며, 2016년 3월 26일 홋카이도 신칸센 개통 이후 역 명칭이 개칭되었다. | ||||||
20.옷토모역 | ||||||
옷토모역(일본어: 乙供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가미키타군 도호쿠정에 위치한 아오이모리 철도 아오이모리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이 역은 시점인 메토키역으로부터 64.3m 떨어져 있으며, 도쿄역부터는 681.6km 만큼 떨어져 있는 역이다. | ||||||
21.오노에코코마에역 | ||||||
오노에코코마에역(일본어: 尾上高校前駅(おのえこうこうまええき))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라카와시에 위치한 고난 철도 고난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2.가니타역 | ||||||
가니타역(일본어: 蟹田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가시쓰가루군 소토가하마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쓰가루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3.가미키타초역 | ||||||
가미키타초역(일본어: 上北町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가미키타군 도호쿠정에 위치한 아오이모리 철도 아오이모리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이 역은 시점인 메토키 역으로부터 57.4 km 떨어져 있으며, 도쿄역부터는 674.7 km 만큼 떨어져 있는 역이다. | ||||||
24.가리바사와역 | ||||||
가리바사와역(일본어: 狩場沢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가시쓰가루군 히라나이정에 위치한 아오이모리 철도 아오이모리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이 역은 시점인 메토키 역으로부터 83.8 km 떨어져 있으며, 도쿄역부터는 701.1 km 만큼 떨어져 있는 역이다. | ||||||
25.가와베역 (아오모리현) | ||||||
가와베역(일본어: 川部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미나미쓰가루군 이나카다테촌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오우 본선의 소속역이며, 이 역을 기·종점으로 하는 고노 선에 대해서도 기술한다. | ||||||
26.기타토키와역 | ||||||
기타토키와역(일본어: 北常盤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미나미쓰가루군 후지사키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27.기타노헤지역 | ||||||
기타노헤지역(일본어: 北野辺地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가미키타군 노헤지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미나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8.기즈쿠리역 | ||||||
기즈쿠리역(일본어: 木造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쓰가루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9.잘못된 제목 | ||||||
30.겐요시역 | ||||||
겐요시역(일본어: 剣吉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산노헤군 난부정에 위치한 아오이모리 철도 아오이모리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이 역은 시점인 메토키 역으로부터 16.4km 떨어져 있으며, 도쿄역부터는 633.1km 만큼 떨어져 있는 역이다. | ||||||
31.고사와역 | ||||||
고사와역(일본어: 郷沢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가시쓰가루군 요모기타촌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쓰가루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2.고가와라역 | ||||||
고가와라역(일본어: 小川原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도호쿠정에 위치한 아오이모리 철도 아오이모리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이 역은 시점인 메토키 역으로부터 53.5km 떨어져 있으며, 도쿄역부터는 670.8km 떨어져 있는 역이다. | ||||||
33.고시미즈역 | ||||||
고시미즈역(일본어: 越水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쓰가루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4.고미나토역 | ||||||
고미나토역(일본어: 小湊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가시쓰가루군 히라나이정에 위치한 아오이모리 철도 아오이모리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이 역은 시점인 메토키 역으로부터 94.5 km 떨어져 있으며, 도쿄역부터는 711.8 km 만큼 떨어져 있는 역이다. | ||||||
35.사카이마쓰역 | ||||||
사카이마쓰역(일본어: 境松駅(さかいまつえき))은 일본 아오모리현 구로이시시에 위치한 고난 철도 고난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6.사바이시역 | ||||||
사바이시역(일본어: 鯖石駅(さばいしえき))은 일본 아오모리현 미나미쓰가루군] 오와니정에 위치한 고난 철도 오와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7.산노헤역 | ||||||
산노헤역(일본어: 三戸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산노헤군 난부정에 위치한 아오이모리 철도 아오이모리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이 역은 시점인 메토키 역으로부터 7.1km 떨어져 있으며, 도쿄역부터는 623.8km 만큼 떨어져 있는 역이다. | ||||||
38.시치노헤토와다역 | ||||||
시치노헤토와다역(일본어: 七戸十和田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가미키타군 시치노헤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소속 철도역이며, 도호쿠 신칸센의 정차역이다. 승강장 구조로는 2면 2선이다. | ||||||
39.시미즈가와역 | ||||||
시미즈가와역(일본어: 清水川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가시쓰가루군 히라나이정에 위치한 아오이모리 철도 아오이모리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이 역은 시점인 메토키 역으로부터 88.5km 떨어져 있으며, 도쿄역부터는 705.8km 만큼 떨어져 있는 역이다. | ||||||
40.시모다역 | ||||||
시모다역(일본어: 下田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가미키타군 오이라세정에 위치한 아오이모리 철도 아오이모리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이 역은 시점인 메토키 역으로부터 37.0km 떨어져 있으며, 도쿄역부터는 654.3km 만큼 떨어져 있는 역이다. | ||||||
41.스와노타이라역 | ||||||
스와노타이라역(일본어: 諏訪ノ平)은 일본 아오모리현 산노헤군 난부정에 위치한 아오이모리 철도 아오이모리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이 역은 시점인 메토키 역으로부터 11.1km 떨어져 있으며, 도쿄역부터는 627.8km 만큼 떨어져 있는 역이다. | ||||||
42.세헤지역 | ||||||
세헤지역(일본어: 瀬辺地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가시쓰가루군 요모기타촌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쓰가루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3.다치타역 | ||||||
다치타역(일본어: 館田駅(たちたえき))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라카와시에 위치한 고난 철도 고난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4.단보아토역 | ||||||
단보아토역(일본어: 田んぼアート駅(たんぼアートえき))은 일본 아오모리현 미나미쓰가루군 이나카다테촌에 위치한 고난 철도 고난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5.지비키역 | ||||||
지비키역(일본어: 千曳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가미키타군 도호쿠정에 위치한 아오이모리 철도 아오이모리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이 역은 시점인 메토키 역으로부터 70.9 km 떨어져 있으며, 도쿄역부터는 688.2 km 만큼 떨어져 있는 역이다. | ||||||
46.쓰가루오노에역 | ||||||
쓰가루오노에역(일본어: 津軽尾上駅(つがるおのええき))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라카와시에 위치한 고난 철도 고난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7.쓰가루하마나역 | ||||||
쓰가루하마나역(일본어: 津軽浜名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가시쓰가루군 이마베쓰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쓰가루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8.쓰가루후타마타역 | ||||||
쓰가루후타마타역(일본어: 津軽二股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가시쓰가루군 이마베쓰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쓰가루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9.쓰가루유노사와역 | ||||||
쓰가루유노사와역(일본어: 津軽湯の沢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라카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50.쓰루도마리역 | ||||||
쓰루도마리역(일본어: 鶴泊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기타쓰가루군 쓰루타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51.도마베치역 | ||||||
도마베치역(일본어: 苫米地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산노헤군 난부정에 위치한 아오이모리 철도 아오이모리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이 역은 시점인 메토키 역으로부터 18.2km 떨어져 있으며, 도쿄역부터는 635.5km 만큼 떨어져 있는 역이다. | ||||||
52.나카오구니역 | ||||||
나카오구니역(일본어: 中小国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가시쓰가루군 소토가하마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쓰가루 선과 홋카이도 여객철도 가이쿄 선의 철도역이다. 쓰가루 선의 소속역이지만, 이 역을 기점으로 하는 가이쿄 선 등 2개의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53.나카타역 | ||||||
나카타역(일본어: 中田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쓰가루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54.나가미네역 | ||||||
나가미네역(일본어: 長峰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미나미쓰가루군 오와니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55.나루사와역 | ||||||
나루사와역(일본어: 鳴沢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니시쓰가루군 아지가사와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56.니시히라나이역 | ||||||
니시히라나이역(일본어: 西平内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가시쓰가루군 히라나이정에 위치한 아오이모리 철도 아오이모리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이 역은 시점인 메토키 역으로부터 98.3 km 떨어져 있으며, 도쿄역부터는 715.6 km 만큼 떨어져 있는 역이다. | ||||||
57.노헤지역 | ||||||
노헤지역(일본어: 野辺地駅 노헤지에키[*])는 일본 아오모리현 가미키타군 노헤지정에 위치한 아오이모리 철도 아오이모리 철도선과 동일본 여객철도 오미나토 선이 만나는 철도역이다. 이 역은 오미나토 선의 남쪽 종점이며, 아오이모리 선의 종점인 아오모리 역부터 44.6Km 떨어진 역이다. | ||||||
58.하쿠노코코마에역 | ||||||
하쿠노코코마에역(일본어: 柏農高校前駅(はくのうこうこうまええき))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라카와시에 위치한 고난 철도 고난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59.하시카미역 | ||||||
하시카미역(일본어: 階上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산노헤군 하시카미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치노헤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0.하야시자키역 | ||||||
하야시자키역(일본어: 林崎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기타쓰가루군 후지사키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1.히라카역 | ||||||
히라카역(일본어: 平賀駅(ひらかえき))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라카와시에 위치한 고난 철도 고난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고난 철도의 본사가 이 곳에 위치해 있다. | ||||||
62.훗코시역 | ||||||
훗코시역(일본어: 吹越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가미키타군 요코하마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미나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3.미사와역 | ||||||
미사와역(일본어: 三沢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미사와시에 위치한 아오이모리 철도 아오이모리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이 역은 시점인 메토키 역으로부터 46.9 km 떨어져 있으며, 도쿄역부터는 664.2 km 만큼 떨어져 있는 역이다. | ||||||
64.민마야역 | ||||||
민마야역(일본어: 三厩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가시쓰가루군 소토가하마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쓰가루 선의 철도역이다. 이 노선의 종착역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5.무카이야마역 | ||||||
무카이야마역(일본어: 向山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가미키타군 오이라세정에 위치한 아오이모리 철도 아오이모리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이 역은 시점인 메토키 역으로부터 42.2 km 떨어져 있으며, 도쿄역부터는 659.5 km 떨어져 있는 역이다. | ||||||
66.무쓰아카이시역 | ||||||
무쓰아카이시역(일본어: 陸奥赤石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니시쓰가루군 아지가사와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7.무쓰쓰루다역 | ||||||
무쓰쓰루다역(일본어: 陸奥鶴田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기타쓰가루군 쓰루타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8.무쓰모리타역 | ||||||
무쓰모리타역(일본어: 陸奥森田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쓰가루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9.무쓰요코하마역 | ||||||
무쓰요코하마역(일본어: 陸奥横浜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가미키타군 요코하마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미나토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0.메토키역 | ||||||
메토키역(目時駅, めときえき 메토키에키[*])은 일본 아오모리현 산노헤군 산노헤정에 있는 철도역으로 아오이모리 철도 아오이모리 철도선과 IGR 이와테 은하 철도의 철도역이다. | ||||||
71.요모기타역 | ||||||
요모기타역(일본어: 蓬田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가시쓰가루군 요모기타촌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쓰가루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2.아오모리역 | ||||||
아오모리역(일본어: 青森駅, あおもりえき)은 일본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시에 있는 철도역이다. 이 역에서 신아오모리역까지 가는경우 자유석을 이용하는 조건으로 특급열차를 이용하여도 특급요금을 징수하지 않는다. (즉 보통열차를 타던 특급열차를 타던 같은 요금을 징수한다.) | ||||||
73.아사무시온센역 | ||||||
아사무시온센역(일본어: 浅虫温泉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시에 위치한 아오이모리 철도 아오이모리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이 역은 시점인 메토키 역으로부터 104.7 km 떨어져 있으며, 도쿄역부터는 722.0 km 만큼 떨어져 있는 역이다. | ||||||
74.아부라카와역 | ||||||
아부라카와역(일본어: 油川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쓰가루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5.우시로가타역 | ||||||
우시로가타역(일본어: 後潟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쓰가루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6.오쿠나이역 | ||||||
오쿠나이역(일본어: 奥内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쓰가루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7.고야나기역 | ||||||
고야나기역(일본어: 小柳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시에 위치한 아오이모리 철도 아오이모리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이 역은 시점인 메토키 역으로부터 114.7 km 떨어져 있으며, 도쿄역부터는 732.0 km 만큼 떨어져 있는 역이다. | ||||||
78.신아오모리역 | ||||||
신아오모리역(일본어: 新青森駅, しんあおもりえき 신아오모리에키[*])은 일본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소속 철도역이며, 2010년 12월 4일에 연장 개통된 도호쿠 신칸센의 종착역이자, 오우 본선의 정차역이다. 또한 2016년 3월 26일에 개통된 홋카이도 신칸센의 기점으로 자리잡는 철도역이다. 이 역과 아오모리 역 간 구간에는 자유석을 이용하는 경우에 한하여 특급요금을 징수하지 않는다. (즉 보통열차를 타던 특급열차를 타던 같은 요금을 징수한다.) | ||||||
79.신아부라카와 신호장 | ||||||
신아부라카와 신호장(新油川信号場, しんあぶらかわしんごうじょう)은 일본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시 아부라카와에 위치한 JR동일본 쓰가루 선의 신호장이다. | ||||||
80.다이샤카역 | ||||||
다이샤카역(일본어: 大釈迦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81.쓰가루신조역 | ||||||
쓰가루신조역(일본어: 津軽新城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82.쓰가루미야타역 | ||||||
쓰가루미야타역(일본어: 津軽宮田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쓰가루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83.쓰루가사카역 | ||||||
쓰루가사카역(일본어: 鶴ケ坂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84.나카사와역 | ||||||
나카사와역(일본어: 中沢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쓰가루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85.나미오카역 | ||||||
나미오카역(일본어: 浪岡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86.노나이역 | ||||||
노나이역(일본어: 野内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시에 위치한 아오이모리 철도 아오이모리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이 역은 시점인 메토키 역으로부터 111.2 km 떨어져 있으며, 도쿄역부터는 728.5 km 만큼 떨어져 있는 역이다. | ||||||
87.히가시아오모리역 | ||||||
히가시아오모리역(일본어: 東青森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시에 위치한 아오이모리 철도 아오이모리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이 역은 시점인 메토키 역으로부터 116.1 km 떨어져 있으며, 도쿄역부터는 733.4 km 만큼 떨어져 있는 역이다. | ||||||
88.히다리세키역 | ||||||
히다리세키역(일본어: 左堰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쓰가루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89.야다마에역 | ||||||
야다마에역(일본어: 矢田前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시에 위치한 아오이모리 철도 아오이모리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이 역은 시점인 메토키 역으로부터 112.7 km 떨어져 있으며, 도쿄역부터는 730.0 km 만큼 떨어져 있는 역이다. | ||||||
90.고쇼가와라역 | ||||||
고쇼가와라역(일본어: 五所川原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고쇼가와라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 쓰가루 철도의 철도역이다. JR 동일본 고노 선의 소속역이며, 이 역을 기점으로 하는 쓰가루 철도 쓰가루 철도선 등 2개의 노선이 운행중이다. 쓰가루 철도에 대해서는 쓰가루고쇼가와라역(일본어: 津軽五所川原駅)으로 기술한다. | ||||||
91.오쿠키역 | ||||||
오쿠키역(일본어: 大久喜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치노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92.가네하마역 | ||||||
가네하마역(일본어: 金浜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치노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93.기타타카이와역 | ||||||
기타타카이와역(일본어: 北高岩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에 위치한 아오이모리 철도 아오이모리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이 역은 시점인 메토키역으로부터 21.0km 떨어져 있으며, 도쿄역부터는 638.3km 만큼 떨어져 있는 역이다. | ||||||
94.고나카노역 | ||||||
고나카노역(일본어: 小中野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치노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 ||||||
95.사메역 | ||||||
사메역(일본어: 鮫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치노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96.시로가네역 | ||||||
시로가네역(일본어: 白銀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치노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97.다네사시카이간역 | ||||||
다네사시카이간역(일본어: 種差海岸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치노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98.나가나와시로역 | ||||||
나가나와시로역(일본어: 長苗代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치노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99.하치노헤역 | ||||||
하치노헤역(八戸駅, はちのへえき 하치노헤에키[*])은 일본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소속 철도역이며, 도호쿠 신칸센, 아오이모리 철도선의 정차역이자, 하치노헤 선의 종착역이다. 승강장 구조는 신칸센 2면 4선, 재래선 3면 5선의 구조이다. | ||||||
100.혼하치노헤역 | ||||||
혼하치노헤역(일본어: 本八戸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 일본화물철도 하치노헤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 ||||||
101.무쓰이치카와역 | ||||||
무쓰이치카와역(일본어: 陸奥市川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에 위치한 아오이모리 철도 아오이모리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이 역은 시점인 메토키 역으로부터 34.4km 떨어져 있으며, 도쿄역부터는 651.1km 만큼 떨어져 있는 역이다. | ||||||
102.무쓰시라하마역 | ||||||
무쓰시라하마역(일본어: 陸奥白浜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치노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3.무쓰미나토역 | ||||||
무쓰미나토역(일본어: 陸奥湊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치노헤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4.이시카와역 (고난 철도) | ||||||
이시카와역(일본어: 石川駅(いしかわえき))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에 위치한 고난 철도 고난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5.이시카와푸루마에역 | ||||||
이시카와푸루마에역(일본어: 石川プール前駅(いしかわプールまええき))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에 위치한 고난 철도 오와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6.운도코엔마에역 | ||||||
운도코엔마에역(일본어: 運動公園前駅(うんどうこうえんまええき))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에 위치한 고난 철도 고난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7.기주쿠코코마에역 | ||||||
기주쿠코코마에역(일본어: 義塾高校前駅(ぎじゅくこうこうまええき))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에 위치한 고난 철도 오와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8.고구리야마역 | ||||||
고구리야마역(일본어: 小栗山駅(こぐりやまえき))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에 위치한 고난 철도 오와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9.세이아이추코마에역 | ||||||
세이아이추코마에역(일본어: 聖愛中高前駅(せいあいちゅうこうまええき))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에 위치한 고난 철도 고난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0.지토세역 (아오모리현) | ||||||
지토세역(일본어: 千年駅(ちとせえき))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에 위치한 고난 철도 고난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1.주오히로사키역 | ||||||
주오히로사키역(일본어: 中央弘前駅(ちゅうおうひろさきえき))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에 위치한 고난 철도 오와니 선의 철도역이다. 이 노선의 종점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2.쓰가루오사와역 | ||||||
쓰가루오사와역(일본어: 津軽大沢駅(つがるおおさわえき))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에 위치한 고난 철도 고난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3.나이조시역 | ||||||
나이조시역(일본어: 撫牛子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가와베 역으로부터 고노 선의 열차도 정차한다. | ||||||
114.니사토역 | ||||||
니사토역(일본어: 新里駅(にさとえき))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에 위치한 고난 철도 고난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5.히로코시타역 | ||||||
히로코시타역(일본어: 弘高下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에 위치한 고난 철도 고난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6.히로사키역 | ||||||
히로사키역(일본어: 弘前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 일본화물철도 · 고난 철도의 철도역이다.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소속역이며, 이 역을 기점으로 하는 고난 철도 고난 선에 대해서도 기술한다. | ||||||
117.히로사키가쿠인다이마 | ||||||
118.히로사키히가시코마에 | ||||||
119.마쓰키타이역 | ||||||
마쓰키타이역(일본어: 松木平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에 위치한 고난 철도 오와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0.웨스파쓰바키야마역 | ||||||
웨스파쓰바키야마역(일본어: ウェスパ椿山駅 ウェスパつばきやまえき[*])은 일본 아오모리현 니시쓰가루군 후카우라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1.오이라세역 | ||||||
오이라세역(일본어: 追良瀬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니시쓰가루군 후카우라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2.오도세역 | ||||||
오도세역(일본어: 大戸瀬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니시쓰가루군 후카우라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3.오마고시역 | ||||||
오마고시역(일본어: 大間越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니시쓰가루군 후카우라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4.가소세역 | ||||||
가소세역(일본어: 風合瀬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니시쓰가루군 후카우라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5.기타카네가사와역 | ||||||
기타카네가사와역(일본어: 北金ケ沢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니시쓰가루군 후카우라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6.주니코역 | ||||||
주니코역(일본어: 十二湖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니시쓰가루군 후카우라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7.시라카미다케토잔구치 | ||||||
128.히로토역 | ||||||
히로토역(일본어: 広戸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니시쓰가루군 후카우라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9.후카우라역 | ||||||
후카우라역(일본어: 深浦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니시쓰가루군 후카우라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30.헤나시역 | ||||||
헤나시역(일본어: 艫作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니시쓰가루군 후카우라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131.마쓰카미역 | ||||||
마쓰카미역(일본어: 松神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니시쓰가루군 후카우라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32.무쓰이와사키역 | ||||||
무쓰이와사키역(일본어: 陸奥岩崎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니시쓰가루군 후카우라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33.무쓰사와베역 | ||||||
무쓰사와베역(일본어: 陸奥沢辺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니시쓰가루군 후카우라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34.무쓰야나기타역 | ||||||
무쓰야나기타역(일본어: 陸奥柳田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니시쓰가루군 후카우라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35.요코이소역 | ||||||
요코이소역(일본어: 横磯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니시쓰가루군 후카우라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36.아카가와역 | ||||||
아카가와역(일본어: 赤川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무쓰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미나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37.오미나토역 | ||||||
오미나토역(일본어: 大湊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무쓰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미나토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며, 이 노선의 종착역이다. | ||||||
138.가나야사와역 | ||||||
가나야사와역(일본어: 金谷沢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무쓰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미나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39.시모키타역 | ||||||
시모키타역(일본어: 下北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무쓰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미나토 선의 철도역으로 혼슈에서 제일 북쪽에 위치한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40.지카가와역 | ||||||
지카가와역(일본어: 近川駅)은 일본 아오모리현 무쓰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미나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41.리쿠추 해안 국립공원 | ||||||
산리쿠 부흥 국립공원(三陸復興国立公園)은 일본 이와테현 북부에서 미야기현 북부에 이르는 해안선 일대를 차지하는 국립공원이다. 총 면적은 121.98 km2이다. 동일본의 국립공원 중에서는 유일하다고 할 수 있는 해안 공원이다. 1955년 5월 2일 지정되었다. 관리상으로는 북부의 미야코 지구와 남부의 오후나토 지구로 분할된다. 산리쿠 부흥 국립공원은 북부와 남부가 성격이 다르다. 북부는 전형적인 융기 해안을 이루어 높이 50~200m에 이르는 대규모 해식 절벽이 연속하고 그 사이에 모래 사장 해안을 볼 수 있다. 한편 미야코시 이남은 전형적인 리아스식 해안이며 육지의 침강에 의해서 형성된 것이다. | ||||||
142.히로사키 공원 | ||||||
히로사키 공원(일본어: 弘前公園 히로사키코엔[*])은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의 공원이다. 1611년에 세워진 히로사키성을 중심으로 한 공원으로 성은 원래 불타 없어졌으나 1810년에 재건되었다. 3층의 천수각 안에는 역사 박물관이 있다. 봄에 5,000그루의 벚꽃이 활짝 필 때 열리는 히로사키 벚꽃 축제는 전국적으로 유명하며, 가을의 히로사키 성 축제, 겨울의 눈 등불 축제 등은 많은 관광객을 불러들인다. | ||||||
143.아오모리현 | ||||||
아오모리현(일본어: 青森県) (영어: Aomori Prefecture)은 일본 혼슈의 북쪽 끝에 있는 현이다. 현청 소재지는 아오모리시이다. 현의 인구는 전국 31위, 면적은 전국 8위. 율령국의 리쿠오국 북부에 해당한다. | ||||||
144.아오모리시 | ||||||
아오모리시(일본어: 青森市)는 아오모리현 중앙부에 위치하는 시이자 현청 소재지이다. 중핵시로 지정되어 있다. 쓰가루 해협(津軽海峡)에 접하고 메이지 시대 이후 혼슈와 홋카이도를 잇는 교통 거점으로서 발전했다. 1988년까지는 을 건너 홋카이도 하코다테시와 연결하는 연락선이 있었으나 현재는 세이칸 터널을 경유하는 JR 쓰가루 해협선으로 홋카이도와 연결되고 있다. 현청 소재지 중에서 가장 눈이 많은 도시로서 알려지고 있으며 1981년에는 196cm, 2005년에는 178cm의 적설량을 기록했다. 2005년 4월 1일, 인접한 나미오카 정(浪岡町)와 통합함으로써 인구가 30만명을 넘었는데 아오모리 시처럼 눈이 많은 도시에서 이만큼 인구가 많은 곳은 세계적으로도 드물다. | ||||||
145.히로사키시 | ||||||
히로사키시(일본어: 弘前市)는 아오모리현의 서부의 시이다. 히로사키번의 성시로서 발달했고 현재에도 쓰가루 지방의 중심 도시로서 주변 지자체를 포함한 인구 약 33만 명의 히로사키 도시권을 형성하고 있다. 히로사키 시는 사과의 생산량이 전국의 약 20%를 생산한다. 이는 일본에서 가장 많은 사과 생산량이다. 또 히로사키 공원에서 개최되는 히로사키 벚꽃 축제나 히로사키성도 전국적으로 알려져 있어 예부터 "성과 벚꽃과 사과의 도시"라고 불리기도 한다. | ||||||
146.하치노헤시 | ||||||
하치노헤시(일본어: 八戸市)는 일본 아오모리현 동남부에 위치한 태평양에 면해 있는 시이며 중핵시로 지정되어 있다. | ||||||
147.구로이시시 | ||||||
구로이시시(일본어: 黒石市)는 일본 도와다하치만타이 국립공원의 서쪽 관문에 위치하는 아오모리현의 시이다. | ||||||
148.고쇼가와라시 | ||||||
고쇼가와라시(일본어: 五所川原市)는 일본 아오모리현의 시이다. | ||||||
149.도와다시 | ||||||
도와다시(일본어: 十和田市)는 아오모리현 동남쪽, 난부 지방 내륙부에 있는 시이다. | ||||||
150.미사와시 | ||||||
미사와시(일본어: 三沢市)는 일본 아오모리현의 시이다. 주일미군 미사와 기지가 소재하고 여기에 소속된 군인·군속과 그 가족 등 약 1만 명이 산다. 기지 소속 부대는 미국 각 군(주로 공군) 및 항공 자위대가 있다. 시인인 데라야마 슈지의 고향으로 그의 기념관이 있다. | ||||||
151.무쓰시 | ||||||
무쓰시(일본어: むつ市, 문화어: 무쯔시)는 아오모리현 동북부, 시모키타 지방에 위치한 시이다. 시모키타반도에 위치하고 무쓰 만과 쓰가루 해협에 접하는 혼슈 최북단의 시이다. 2005년의 시정촌 합병에 의해 아오모리 현의 총 면적의 약 11%를 차지하는 현내에서 가장 큰 면적을 가지는 자치체가 되었다. 1960년에 오미나토타나부 시(大湊田名部市)로부터 현재의 무쓰 시로 개칭하였고 일본에서는 첫 가나 지명을 사용한 시이다. 시모키타 지방의 핵심 도시이며 주변 자치체에 퍼지는 인구 약 75000명의 무쓰 도시권을 형성하고 있다. 또 인구가 감소 경향에 있지만 구 오하타 정, 구 가와우치 정, 구 와키노사와 촌의 인구 감소가 주요하고 구 무쓰 시의 인구는 거의 제자리 상태이다. | ||||||
152.쓰가루시 | ||||||
쓰가루시(일본어: つがる市, 문화어: 쯔가루시)는 일본 아오모리현 중서부의 시이다. 현내에서 무쓰시(むつ市)에 이어 두 번째로 히라가나 이름을 쓰는 시이다. | ||||||
153.히라카와시 | ||||||
히라카와시(일본어: 平川市)는 일본 아오모리현 쓰가루 지방의 시이다. 2006년 1월 1일, 미나미쓰가루군 오노에 정·히라가 정·이카리가세키 촌이 합병해 탄생했다. | ||||||
154.히라나이정 | ||||||
히라나이정(히라나이마치)(일본어: 平内町)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가시쓰가루군의 나쓰도마리 반도에 위치하는 정이다. 가리비 양식의 발상지이다. | ||||||
155.이마베쓰정 | ||||||
이마베쓰정(이마베쓰마치)(일본어: 今別町)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가시쓰가루군의 북부에 위치하는 정이다. 쓰가루반도 북단에 있고 민마야 만에 접하고 있다. | ||||||
156.요모기타촌 | ||||||
요모기타촌(일본어: 蓬田村)은 일본 아오모리현 히가시쓰가루군의 남부에 위치하는 촌이다. | ||||||
157.소토가하마정 | ||||||
소토가하마정(일본어: 外ヶ浜町)은 일본 아오모리현 북부, 쓰가루반도 북동부에 위치하는 히가시쓰가루군의 정이다. | ||||||
158.아지가사와정 | ||||||
아지가사와정(아지가사와마치)(일본어: 鰺ヶ沢町)은 일본 아오모리현 서부에 위치하고 동해에 접한 니시쓰가루군의 정이다. | ||||||
159.후카우라정 | ||||||
후카우라정(후카우라마치)(일본어: 深浦町)은 일본 아오모리현 니시쓰가루군의 정으로 동해에 면한다. | ||||||
160.니시메야촌 | ||||||
니시메야촌(일본어: 西目屋村)은 일본 아오모리현 남서부에 위치하는 나카쓰가루군의 촌이다. | ||||||
161.후지사키정 | ||||||
후지사키정(후지사키마치)(일본어: 藤崎町)은 일본 아오모리현 쓰가루 평야의 중앙에 위치하는 미나미쓰가루군의 정이다. | ||||||
162.오와니정 | ||||||
오와니정(오와니마치)(일본어: 大鰐町)은 일본 아오모리현 쓰가루 지방의 남단에 위치하는 미나미쓰가루군의 정이다. | ||||||
163.이나카다테촌 | ||||||
이나카다테촌(일본어: 田舎館村)은 일본 아오모리현의 중앙부, 쓰가루 평야에 위치하는 미나미쓰가루군의 촌이다. | ||||||
164.이타야나기정 | ||||||
이타야나기정 (이타야나기마치)(일본어: 板柳町)은 일본 아오모리현 쓰가루 평야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기타쓰가루군의 정이다. 현재 인구는 더 줄어들었다. | ||||||
165.쓰루타정 | ||||||
쓰루타정 (쓰루타마치)(일본어: 鶴田町)은 일본 아오모리현 쓰가루 평야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기타쓰가루군의 정이다. '스튜벤'(포도의 품종)의 생산량이 일본 제일인 정이다. | ||||||
166.나카도마리정 | ||||||
나카도마리정 (나카도마리마치)(일본어: 中泊町)은 일본 아오모리현 쓰가루반도에 위치하는 기타쓰가루군의 정이다. 2005에 쓰가루반도의 중앙부에 있는 구 나카사토 정과 동해에 접한 구 고도마리 촌의 신설 합병에 의해 성립했다. 구 나카사토 정과 구 고도마리 촌은 떨어져 있었기 때문에 나카도마리 정은 두 개로 나뉘어 존재하고 있다. | ||||||
167.노헤지정 | ||||||
노헤지정(일본어: 野辺地町)은 일본 아오모리현 시모키타반도의 기초부, 무쓰 만의 가장자리에 위치한 가미키타군의 정이다. 기후는 야마세(북동풍)의 영향을 받아 일 년 내내 냉량하며 겨울은 현내에서도 유수한 폭설 지대이다. | ||||||
168.시치노헤정 | ||||||
시치노헤정 (시치노헤마치)(일본어: 七戸町)은 일본 핫코다 산의 동쪽에 위치한 아오모리현 가미키타군의 정이다. | ||||||
169.로쿠노헤정 | ||||||
로쿠노헤정 (로쿠노헤마치)(일본어: 六戸町)은 일본 아오모리현 가미키타군의 동남부에 위치하는 정이다. 한쪽 면이 평탄한 지형에 형성되고 있어 눈에 띄는 높은 산·호수는 없다. 도와다호에서 발원하는 오이라세강이 동서로 흐르고 유역에는 논이 펼쳐진다. 적설은 많지 않고 연중 온화한 기후이다. | ||||||
170.요코하마정 | ||||||
요코하마정 (요코하마마치)(일본어: 横浜町)은 일본 아오모리현 시모키타반도의 중간부 무쓰만에 접한 가미키타군의 정이다. | ||||||
171.도호쿠정 | ||||||
도호쿠정 (도호쿠마치)(일본어: 東北町)은 일본 아오모리현 가미키타군의 중앙부에 위치한 정이다. 역전의 마을로서 현내에서는 알려져 있고 현내 전 시정촌이 참가하는 아오모리 현민 역전 경주 대회에서는 정의 부분에서 13연패를 달성하였다. | ||||||
172.롯카쇼촌 | ||||||
롯카쇼촌(일본어: 六ヶ所村)은 일본 아오모리현의 시모키타반도 태평양 연안에 위치하는 가미키타군의 촌이다. 원자력 시설 외에 국가 석유비축 기지나 야마세(북동풍)을 이용한 풍력 발전 기지 등 에너지 관련 시설이 집중하고 있다. | ||||||
173.오이라세정 | ||||||
오이라세정(일본어: おいらせ町)은 일본 아오모리현 동부의 가미키타군의 정이다. | ||||||
174.오마정 | ||||||
오마정(일본어: 大間町)은 일본 시모키타군의 정이다. 시모키타반도의 끝에 위치하고 혼슈 최북단의 시정촌이다. 쓰가루 해협에 접하고 날씨가 좋은 날에는 대안의 홋카이도를 바라볼 수가 있다. 오마 참치는 음식의 브랜드로서 인기가 높다. | ||||||
175.히가시도리촌 | ||||||
히가시도리촌(일본어: 東通村)은 일본 아오모리현 시모키타반도의 동북부에 위치한 시모키타군의 촌이다. | ||||||
176.가자마우라촌 | ||||||
가자마우라촌(일본어: 風間浦村)은 일본 아오모리현 시모키타군의 촌이자 시모키타반도의 북부, 쓰가루 해협에 접한 혼슈 최북단의 촌이다. 마을 면적의 대부분을 오소레잔 산지를 구성하는 산지가 차지한다. | ||||||
177.사이촌 | ||||||
사이촌(일본어: 佐井村)은 일본 아오모리현 시모키타반도의 서쪽에 있는 시모키타군의 촌이다. 쓰가루 해협에 접하고 있고 맑은 날에는 대안의 홋카이도를 바라볼 수 있다. 마을 면적의 대부분을 오소레잔 산지를 구성하는 산지가 차지해 해안선을 따라 평지 부분에 취락이 존재한다. 겨울에는 쓰가루 해협에서 바람이 강하게 분다. 산간부에는 눈이 많이 쌓이지만 평야부에는 강풍에 의해 별로 쌓이지는 않는다. | ||||||
178.산노헤정 | ||||||
산노헤정 (산노헤마치)(일본어: 三戸町)은 일본 산노헤군의 남단, 이와테현의 경계에 위치하는 정이다. 예부터 산노헤 군의 핵심 기능을 가지는 정으로서 번창해 왔다. | ||||||
179.고노헤정 | ||||||
고노헤정 (고노헤마치)(일본어: 五戸町)은 일본 아오모리현 산노헤군의 정이다. 2004년 7월 1일, 구라이시 촌을 편입해 새로운 고노헤 정이 되었다. | ||||||
180.닷코정 | ||||||
닷코정 (닷코마치)(일본어: 田子町)은 일본 아오모리현 산노헤군의 서남부에 위치한 정이다. 남쪽은 이와테현, 서쪽은 아키타현과의 경계에 위치한 아오모리 현 최남단의 정이다. 정 면적의 대부분을 산지가 차지하고 있고 정을 동서로 흐르는 구마하라 강, 소마이 강, 오가와 강 등의 유역을 따라 주로 거주권이 되어 있다. 정명은 아이누어의 타프코프(작은 언덕)에서 유래한다. 산악 지대 특유의 냉량한 기후이며 일교차도 크다. 또 마늘의 생산량이 일본 제일이며 '마늘의 마을'로서 전국적으로 알려져 있다. | ||||||
181.난부정 (아오모리현) | ||||||
난부정(일본어: 南部町)은 일본 아오모리현 산노헤군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정이다. | ||||||
182.하시카미정 | ||||||
하시카미정(일본어: 階上町)은 일본 아오모리현 최동남단에 위치하고 이와테현과의 경계를 접하는 산노헤군의 정이다. 북쪽·서쪽은 하치노헤시, 남쪽은 이와테현 구노헤군 히로노정, 동쪽은 태평양에 접한다. 최근에 하치노헤시의 베드타운으로서 택지 개발이 진행되어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양호한 자연 환경을 형성하고 있고 연안부는 산리쿠 리아스식 해안의 풍부한 어장이 있으며 내륙부는 낙농 산업이 번성한 지역이다. 태평양과 현 남쪽 지역을 한번에 볼 수 있는 해발 740m의 하시카미다케가 있으며 주변 지역으로부터 부담 없이 방문할 수 있는 유원지도 있다. 특산품은 풍부한 해산물을 살린 것이 많다. | ||||||
183.신고촌 | ||||||
신고촌(일본어: 新郷村)은 일본 아오모리현 산노헤군의 촌이다. 그리스도의 무덤 전설 등 유대인과 관련된다고 여겨지는 전승, 유적도 많아 신비의 마을로서도 알려져 있다. | ||||||
184.이와키산 | ||||||
이와키산(일본어: 岩木山 이와키산[*])은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 니시쓰가루군 아지가사와정에 위치한 성층 화산이다. 일본의 100대 명산에 선정되었으며, 해발 고도는 1,625m이다. | ||||||
185.아오모리 베이브리지 | ||||||
아오모리 베이브리지(일본어: 青森ベイブリッジ 아오모리베이브릿지[*])는 아오모리현 아오모리시에 있는 다리이다. 아오모리 항의 화물 운반 정체 완화를 목적으로 지어졌다. 다리 길이는 1219m로, 아오모리에서 가장 긴 다리이다. | ||||||
186.하치노헤 대교 | ||||||
하치노헤 대교(일본어: 八戸大橋 하치노헤오오하시[*])는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에 있는 다리이다. 하치노헤 항에 위치하고 있으며, 1976년에 개통했다. 다리 길이는 1323.7m이다. 하치노헤 항의 해안 항만 도로를 연결시키고있다. | ||||||
187.이와키강 | ||||||
이와키강(일본어: 岩木川 이와키가와[*])은 아오모리현 중서부를 흐르는 하천이다. | ||||||
188.오이라세강 | ||||||
오이라세강(일본어: 奥入瀬川 오이라세가와[*])은 일본 아오모리현 동쪽을 흐르는 강이다. 오이라세강은 아오모리현과 아키타현의 경계에 위치한 화산호인 도와다호에서 빠져나오는 유일한 강이다. 강은 대체로 동쪽으로 흐르고 도와다시, 로쿠노헤정, 하치노헤시를 거쳐 태평양으로 흘러 들어간다. 강의 상류는 수많은 급류와 폭포가 있는 장관을 이루며 도와다하치만타이 국립공원의 주요 관광지의 하나이다. 강의 하류는 광범위하게 관개를 위해 사용된다. | ||||||
189.소마강 | ||||||
소마강(일본어: 相馬川 소마가와[*])은 아오모리현 히로사키시 소마 지구를 흐르는 강이다. 총 길이는 14.6 km이다. | ||||||
190.니이다강 | ||||||
니이다강(일본어: 新井田川)는 일본 이와테현에서 아오모리현으로 흘러가는 2급 하천으로 니이다강 수계 본류에 해당한다. 유로연장 78.1 km, 유역면적은 585.4km2이다. 니이다강의 원류는 이와테현 구지시의 다타라산과 히라니와 고개에 2곳에 있다. 니이다강은 이와테현의 세쓰나이강과 유키야강 2줄기의 지류로 구성되어 있고, 아오모리현 경계 지점에서 합류해 니이다강으로 불리게 된다. 니이다강 상류에 위치한 하치노헤시 요마사리 지구에는 요마사리 댐이 있다. | ||||||
191.오비시마섬 | ||||||
오비시마섬(帯島, おびしま)은 일본 혼슈 아오모리현 히가시쓰가루군 소토가하마정에 속하는 섬이다. 소토가하마정 최북단에 속하는 섬으로 북위 41도 15분 43초에 위치해 있는 섬이다. 쓰가루 해협에 위치해 있다. 면적은 0.03 km2 정도이며 최고 높이는 37m이다. | ||||||
192.가부시마섬 | ||||||
가부시마섬(蕪島)은 일본 혼슈 도호쿠 아오모리현 하치노헤시의 섬이다. 이 섬은 현재 혼슈와 연결되어 부속 섬이 아닌 혼슈 본토가 되었다. 바닷새가 많이 서식하고 있다. 면적은 0.017 km2이며 최고 높이는 19m로 그다지 높은 섬은 아니다. | ||||||
193.큐로쿠섬 | ||||||
큐로쿠섬(久六島)은 일본 도호쿠 아오모리현 니시쓰가루군에 위치한 섬이다. 이 섬은 동해에 있는 무인도로 아오모리현 최남단에 위치해 있는 섬이다. 이 섬은 면적이 매우 작아 거의 암초와도 가깝다. 이 섬의 좌표는 북위 40도 31분 53초 동경 139도 30분 5초이다. | ||||||
194.벤텐섬 (오마정) | ||||||
벤텐섬(弁天島)은 일본 혼슈 아오모리현 오마정에 위치해 있는 섬이다. 혼슈의 최북단으로, 사람이 살지 않는 무인도이다. 혼슈와 홋카이도 사이인 쓰가루 해협에 위치한 섬으로, 맑은 날에는 홋카이도의 하코다테시가 보이기도 한다. 섬의 면적은 0.14km2이다. 이 섬은 돌로 이루어져 있어 거의 돌밖에 없다. | ||||||
195.대게 | ||||||
대게(Chionoecetes opilio, 영어: opilio crab 또는 opies)는 대게과에 속하는 게로, 경상북도 영덕군과 울진군에서 많이 발견되며 흔히 영덕게로 알려져 있다. 갑각은 나비 13~15cm, 둥근 삼각형으로 한국에서 나는 게 중 가장 크다. 다리가 길고 몸이 커서 맛이 좋으므로 중요한 수산자원이다. 이마에 솟은 돌기는 넓고 짧으며, 걷는다리의 마디는 납작하다. 일반적으로 수컷이 암컷보다 훨씬 크다. 한류성 게로 30~1.800m 깊이의 진흙 또는 모래바닥에서 산다. 한국·일본·캄차카반도·알래스카·그린란드 등지에 분포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