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주손지 | ||||||
주손지(中尊寺, ちゅうそんじ)는 일본 이와테 현(岩手県) 西磐井郡 히라이즈미정(平泉町)에 있는 천태종(天台宗) 도호쿠 대본산(東北大本山) 사찰이다. 오슈(奥州) 33관음(観音)성지의 하나로써도 유명하다. 산호(山号)는 간잔(関山, かんざん)으로, 본존은 아미타여래(阿弥陀如来)이다. 사찰의 전승에 따르면 엔닌(円仁)이 처음 이 절을 열었다고 전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절을 일으킨 것은 12세기 오슈의 대호족 후지와라노 기요히라(藤原清衡)였다. 이후 오슈 후지와라 씨(奥州藤原氏) 3대에 걸치는 대가람으로써 이름을 떨쳤고, 일본 헤이안 시대(平安時代)의 미술、 공예、 건축의 정수를 모았다고 평가받는 곤지키도(金色堂)를 비롯하여 많은 문화재가 남아 있다. | ||||||
2.주손지 | ||||||
주손지(中尊寺, ちゅうそんじ)는 일본 이와테 현(岩手県) 西磐井郡 히라이즈미정(平泉町)에 있는 천태종(天台宗) 도호쿠 대본산(東北大本山) 사찰이다. 오슈(奥州) 33관음(観音)성지의 하나로써도 유명하다. 산호(山号)는 간잔(関山, かんざん)으로, 본존은 아미타여래(阿弥陀如来)이다. 사찰의 전승에 따르면 엔닌(円仁)이 처음 이 절을 열었다고 전하고 있으나, 실질적으로 절을 일으킨 것은 12세기 오슈의 대호족 후지와라노 기요히라(藤原清衡)였다. 이후 오슈 후지와라 씨(奥州藤原氏) 3대에 걸치는 대가람으로써 이름을 떨쳤고, 일본 헤이안 시대(平安時代)의 미술、 공예、 건축의 정수를 모았다고 평가받는 곤지키도(金色堂)를 비롯하여 많은 문화재가 남아 있다. | ||||||
3.구노헤성 | ||||||
구노헤성(일본어: 九戸城 구노헤조[*])는 이와테현 니노헤시 후쿠오카조노우치에 있었던 성으로 후쿠오카 성(福岡城), 미야노 성(宮野城)이라는 이칭을 가지고 있다. 성터는 현재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마베치 강과 시라토리 강의 합류지점에 본성인 혼마루, 니노마루를 입지해 있으며, 그 주변을 외성인 산노마루와 와카사다테[1][2][3], 도다테, 마쓰노마루가 둘러싼 형태로 되어 있다. 그 밖에도 시라토리 강의 지류인 네코베치 강이 성을 감싸고 있다. 혼마루 서쪽에는 산노마루가, 니노마루 혼마루의 남쪽과 동쪽을 감싸고 있으며, 니노마루 남쪽에는 성의 정문에 해당하는 오테 문이 있고, 북쪽에는 가라메테 문이 있다. 대부분 성은 토루로 구성되어 있으며, 혼마루 일부에는 석벽도 존재한다. | ||||||
4.모리오카성 | ||||||
모리오카성(일본어: 盛岡城, もりおかじょう)은 이와테현 모리오카시에 있었던 일본의 성으로, 에도 시대 모리오카번의 난부 가문이 거주하였던 성이었다. 일본의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이 성의 전신으로 존재했던 성의 별칭이었던 고즈카타 성(不来方城)이라는 명칭이 일반적으로 알려져 있다. | ||||||
5.아카부치역 | ||||||
아카부치역(일본어: 赤渕駅)은 일본 이와테현 이와테군 시즈쿠이시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다자와코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이시도리야역 | ||||||
이시도리야역(일본어: 石鳥谷駅)은 일본 이와테현 하나마키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7.이와테카와구치역 | ||||||
이와테카와구치역(일본어: 岩手川口駅, いわてかわぐちえき)은 일본 이와테현 이와테군 이와테정에 있는 IGR 이와테 은하 철도 이와테 은하 철도선의 역이다. | ||||||
8.이와테누마쿠나이역 | ||||||
이와테누마쿠나이역(いわて沼宮内駅、いわてぬまくないえき 이와테누마쿠나이에키[*])은 일본 이와테현 이와테군 이와테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소속 철도역이며, 도호쿠 신칸센의 정차역이다. 승강장 구조는 2면 2선이다. | ||||||
9.이와테후나코시역 | ||||||
이와테후나코시역(일본어: 岩手船越駅)은 일본 이와테현 시모헤이군 야마다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야마다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우게역 | ||||||
우게역(일본어: 有家駅)은 일본 이와테현 구노헤군 히로노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치노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우노스마이역 | ||||||
우노스마이역(일본어: 鵜住居駅)은 일본 이와테현 가마이시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야마다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오카마역 | ||||||
오카마역(일본어: 大釜駅)은 일본 이와테현 다키자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다자와코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3.오치자와 신호장 | ||||||
오치자와 신호장(일본어: 大地沢信号場)은 일본 이와테현 이와테군 시즈쿠이시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다자와코 선의 신호장이다. 아카부치역보다 다자와코역 방향으로 약 6.6km 지점에 있는 2개의 신호장이다. 센간 터널의 아카부치 역 출구 쪽 부근에 설치되어 있다. 아키타 신칸센의 일부이며, 신칸센이 고속으로 통과하기 때문에, 1선 통과되어 있다. 또한, ATS-P 채용 구간이기 때문에, 안전 측선은 생략되어 있다. | ||||||
14.오쓰치역 | ||||||
오쓰치역(일본어: 大槌駅)은 일본 이와테현 가미헤이군 오쓰치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야마다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5.오야마다역 | ||||||
오야마다역(일본어: 小山田駅)은 일본 이와테현 하나마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가마이시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6.오리카사역 | ||||||
오리카사역(일본어: 織笠駅)은 일본 이와테현 시모헤이군 야마다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7.가도노하마역 | ||||||
가도노하마역(일본어: 角の浜駅)은 일본 이와테현 구노헤군 히로노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치노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8.가네가사키역 | ||||||
가네가사키역(일본어: 金ヶ崎駅)은 일본 이와테현 이사와군 가네가사키정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19.가마이시역 | ||||||
가마이시역(일본어: 釜石駅)은 일본 이와테현 가마이시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 산리쿠 철도의 철도역이다. JR 동일본의 야마다 선 · 가마이시 선과 산리쿠 철도의 미나미리아스 선 등 3개의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 ||||||
20.가미아리스역 | ||||||
가미아리스역(일본어: 上有住駅)은 일본 이와테현 게센군 스미타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가마이시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1.기리키리역 | ||||||
기리키리역(일본어: 吉里吉里駅)은 일본 이와테현 가미헤이군 오쓰치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야마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2.구지역 (이와테현) | ||||||
구지역(일본어: 久慈駅)은 일본 이와테현 구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 산리쿠 철도의 철도역이다. JR 동일본 하치노헤 선의 소속역이자 종착역이며, 산리쿠 철도 기타리아스 선 등 2개의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 ||||||
23.고이와이역 | ||||||
고이와이역(일본어: 小岩井駅)은 일본 이와테현 다키자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다자와코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4.고사노역 | ||||||
고사노역(일본어: 小佐野駅)은 일본 이와테현 가마이시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가마이시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5.사무라이하마역 | ||||||
사무라이하마역(일본어: 侍浜駅)은 일본 이와테현 구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치노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6.시즈쿠이시역 | ||||||
시즈쿠이시역(일본어: 雫石駅, しずくいしえき 시즈쿠이시에키[*])은 일본 이와테현 이와테군 시즈쿠이시정에 있는 철도역으로 아키타 신칸센과 다자와코 선이 지난다. | ||||||
27.슈쿠노헤역 | ||||||
슈쿠노헤역(일본어: 宿戸駅)은 일본 이와테현 구노헤군 히로노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치노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8.시와추오역 | ||||||
시와추오역(일본어: 紫波中央駅)은 일본 이와테현 시와군 시와정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29.신하나마키역 | ||||||
신하나마키역(일본어: 新花巻駅)은 일본 이와테현 하나마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소속 철도역이며, 도호쿠 신칸센과 가마이시 선의 환승역이다. 승강장 구조는 신칸센 2면 2선, 가마이시 선 1면 1선의 구조이다. 가마이시 선에는 원래 이 역이 없었으며, 도호쿠 신칸센 개통 시에 가마이시 선과의 교차점에 역을 만들고 원활한 환승을 위해 가마이시 선에 단선 승강장을 설치하였다. | ||||||
30.다네이치역 | ||||||
다네이치역(일본어: 種市駅)은 일본 이와테현 구노헤군 히로노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치노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1.다마가와역 (이와테현) | ||||||
다마가와역(일본어: 玉川駅)은 일본 이와테현 구노헤군 히로노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치노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2.쓰치자와역 | ||||||
쓰치자와역(일본어: 土沢駅)은 일본 이와테현 하나마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가마이시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3.도센역 | ||||||
도센역(일본어: 洞泉駅)은 일본 이와테현 가마이시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가마이시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4.도요마네역 | ||||||
도요마네역(일본어: 豊間根駅)은 일본 이와테현 시모헤이군 야마다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야마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5.나미이타카이간역 | ||||||
나미이타카이간역(일본어: 浪板海岸駅)은 일본 이와테현 가미헤이군 오쓰치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야마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6.니타나이역 | ||||||
니타나이역(일본어: 似内駅)은 일본 이와테현 하나마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가마이시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7.니노헤역 | ||||||
니노헤역(二戸駅, にのへえき 니노헤에키[*])은 일본 이와테현 니노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소속 철도역이며, 도호쿠 신칸센, 이와테 은하 철도선의 정차역이다. 승강장 구조로는 신칸센 2면 2선, 은하 철도선은 2면 3선의 구조이다. | ||||||
38.하나마키역 | ||||||
하나마키역(일본어: 花巻駅)은 일본 이와테현 하나마키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역이다. 도호쿠 본선 소속이며, 가마이시 선의 기점이기도 하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다. | ||||||
39.하나마키 공항역 | ||||||
하나마키쿠코역(일본어: 花巻空港駅)은 일본 이와테현 하나마키시에 있는 동일본여객철도와 일본화물철도의 역이다. | ||||||
40.하루키바역 | ||||||
하루키바역(일본어: 春木場駅)은 일본 이와테현 이와테군 시즈쿠이시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다자와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1.하루야마역 | ||||||
하루야마역(일본어: 晴山駅)은 일본 이와테현 하나마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가마이시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2.히즈메역 | ||||||
히즈메역(일본어: 日詰駅)은 일본 이와테현 시와군 시와정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지닌 복합 구조의 지상역이다. | ||||||
43.히라이즈미역 | ||||||
히라이즈미역(일본어: 平泉駅)은 일본 이와테현 니시이와이군 히라이즈미정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44.히라나이역 | ||||||
히라나이역(일본어: 平内駅)은 일본 이와테현 구노헤군 히로노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치노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5.후루다테역 | ||||||
후루다테역(일본어: 古館駅)은 일본 이와테현 시와군 시와정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46.홋토유다역 | ||||||
홋토유다역(일본어: ほっとゆだ駅)은 일본 이와테현 와가군 니시와가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기타카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47.마에사와역 | ||||||
마에사와역(일본어: 前沢駅)은 일본 이와테현 오슈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다. | ||||||
48.마쓰쿠라역 | ||||||
마쓰쿠라역(일본어: 松倉駅)은 일본 이와테현 가마이시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가마이시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9.미즈사와역 | ||||||
미즈사와역(일본어: 水沢駅)은 일본 이와테현 오슈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 일본화물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다. | ||||||
50.미즈사와에사시역 | ||||||
미즈사와에사시역(일본어: 水沢江刺駅)은 일본 이와테현 오슈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신칸센의 철도역이다. | ||||||
51.미도역 | ||||||
미도역(일본어: 御堂駅, みどうえき)은 일본 이와테현 이와테군 이와테정에 있는 IGR 이와테 은하 철도 이와테 은하 철도선의 역이다. | ||||||
52.야하바역 | ||||||
야하바역(일본어: 矢幅駅)은 일본 이와테현 시와군 야하바정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다. | ||||||
53.유다킨슈코역 | ||||||
유다킨슈코역(일본어: ゆだ錦秋湖駅)은 일본 이와테현 와가군 니시와가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기타카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54.유다코겐역 | ||||||
유다코겐역(일본어: ゆだ高原駅)은 일본 이와테현 와가군 니시와가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기타카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55.리쿠추오하시역 | ||||||
리쿠추오하시역(일본어: 陸中大橋駅)은 일본 이와테현 가마이시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가마이시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56.리쿠추오리이역 | ||||||
리쿠추오리이역(일본어: 陸中折居駅)은 일본 이와테현 오슈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57.리쿠추나카노역 | ||||||
리쿠추나카노역(일본어: 陸中中野駅)은 일본 이와테현 구노헤군 히로노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치노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58.리쿠추나쓰이역 | ||||||
리쿠추나쓰이역(일본어: 陸中夏井駅)은 일본 이와테현 구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치노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59.리쿠추야기역 | ||||||
리쿠추야기역(일본어: 陸中八木駅)은 일본 이와테현 구노헤군 히로노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치노헤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0.리쿠추야마다역 | ||||||
리쿠추야마다역(일본어: 陸中山田駅)은 일본 이와테현 시모헤이군 야마다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야마다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1.료이시역 | ||||||
료이시역(일본어: 両石駅)은 일본 이와테현 가마이시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야마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2.로쿠하라역 | ||||||
로쿠하라역(일본어: 六原駅)은 일본 이와테현 이사와군 가네가사키정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 일본화물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다. | ||||||
63.이치노세키역 | ||||||
이치노세키역(一ノ関駅、いちのせきえき 이치노세키에키[*])은 일본 이와테현 이치노세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소속 철도역이며, 도호쿠 신칸센과 도호쿠 본선,의 정차역이며, 오후나토 선의 종착역이다. 승강장 구조로는 신칸센 2면 2선, 도호쿠 본선을 비롯한 일반 철도선은 2면 3선이다. | ||||||
64.이와노시타역 | ||||||
이와노시타역(일본어: 岩ノ下駅)은 일본 이와테현 이치노세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후나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5.오리카베역 | ||||||
오리카베역(일본어: 折壁駅)은 일본 이와테현 이치노세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후나토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6.게이비케역 | ||||||
게이비케역(일본어: 猊鼻渓駅)은 일본 이와테현 이치노세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후나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7.고나시역 | ||||||
고나시역(일본어: 小梨駅)은 일본 이와테현 이치노세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후나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8.시바주쿠역 | ||||||
시바주쿠역(일본어: 柴宿駅)은 일본 이와테현 이치노세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후나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9.시미즈하라역 | ||||||
시미즈하라역(일본어: 清水原駅)은 일본 이와테현 이치노세키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70.스리사와역 | ||||||
스리사와역(일본어: 摺沢駅)은 일본 이와테현 이치노세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후나토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1.센마야역 | ||||||
센마야역(일본어: 千厩駅)은 일본 이와테현 이치노세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후나토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2.니쓰키역 | ||||||
니쓰키역(일본어: 新月駅)은 일본 이와테현 이치노세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후나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3.하나이즈미역 | ||||||
하나이즈미역(일본어: 花泉駅)은 일본 이와테현 이치노세키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지상역이며, 이치노세키역 관리의 간이 위탁역이다. | ||||||
74.마타키역 | ||||||
마타키역(일본어: 真滝駅)은 일본 이와테현 이치노세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후나토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5.야고시역 | ||||||
야고시역(일본어: 矢越駅)은 일본 이와테현 이치노세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후나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6.야마노메역 | ||||||
야마노메역(일본어: 山ノ目駅)은 일본 이와테현 이치노세키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77.유시마역 (이와테현) | ||||||
이시코시역(일본어: 油島駅)은 일본 미야기현 도메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78.리쿠추칸자키역 | ||||||
리쿠추칸자키역(일본어: 陸中門崎駅)은 일본 이와테현 이치노세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후나토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9.리쿠추마쓰카와역 | ||||||
리쿠추마쓰카와역(일본어: 陸中松川駅)은 일본 이와테현 이치노세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후나토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80.오후나토역 | ||||||
오후나토역(일본어: 大船渡駅)은 일본 이와테현 오후나토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후나토 선의 철도역이었으나, 지금은 BRT 정거장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었지만, 2011년 동일본 대지진 피해로 인해 현재는 BRT로 대체 운행되고 있다. | ||||||
81.고이시카이간구치역 | ||||||
고이시카이간구치역(일본어: 碁石海岸口駅)은 일본 이와테현 오후나토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후나토 선의 BRT 전용역이다. | ||||||
82.사카리역 | ||||||
사카리역(일본어: 盛駅)은 일본 이와테현 오후나토시에 위치한 산리쿠 철도 · 이와테 개발 철도의 철도역이다. 이 역을 기점으로 하는 산리쿠 철도의 미나미리아스 선과 이와테 개발 철도의 히코로이치 선 · 아카사키 선 등 4개의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갖춘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원래 JR 동일본의 오후나토 선의 소속 역이었으나, 2020년 4월 1일에 게센누마 역 - 사카리 역 간의 철도 사업 폐지로 인해 철도역으로는 폐역 처리가 됨으로써, JR 동일본은 이역에서 철도 사업을 철수하였다. | ||||||
83.시모후나토역 | ||||||
시모후나토역(일본어: 下船渡駅)은 일본 이와테현 오후나토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후나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었으나, BRT 대체로 운행되고 있다. | ||||||
84.호소우라역 | ||||||
호소우라역(일본어: 細浦駅)은 일본 이와테현 오후나토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의 오후나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었으나, 2011년 동일본 대지진 피해로 인해 BRT로 대체운행되고 있다. | ||||||
85.료리역 | ||||||
료리역(일본어: 綾里駅)은 일본 이와테현 오후나토시에 위치한 역으로, 산리쿠 철도 미나미리아스 선의 관할역이다. | ||||||
86.이와사와역 | ||||||
이와사와역(일본어: 岩沢駅)은 일본 이와테현 기타카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기타카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87.에즈리코역 | ||||||
에즈리코역(일본어: 江釣子駅)은 일본 이와테현 기타카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기타카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88.기타카미역 | ||||||
기타카미역(北上駅、きたかみえき 기타카미에키[*])은 일본 이와테현 기타카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소속 철도역이며, 도호쿠 신칸센, 도호쿠 본선의 정차역이며, 기타카미 선의 종착역이자 시발역이다. 승강장 구조로는 신칸센 2면 3선, 도호쿠 본선을 비롯한 일반 철도선은 2면 4선이다. | ||||||
89.다테카와메역 | ||||||
다테카와메역(일본어: 立川目駅)은 일본 이와테현 기타카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기타카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90.후지네역 (이와테현) | ||||||
후지네역(일본어: 藤根駅)은 일본 이와테현 기타카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기타카미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91.무라사키노역 | ||||||
무라사키노역(일본어: 村崎野駅)은 일본 이와테현 기타카미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92.잘못된 제목 | ||||||
93.요코카와메역 | ||||||
요코카와메역(일본어: 横川目駅)은 일본 이와테현 기타카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기타카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94.와카센닌역 | ||||||
와카센닌역(일본어: 和賀仙人駅)은 일본 이와테현 기타카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기타카미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95.아오자사역 | ||||||
아오자사역(일본어: 青笹駅)은 일본 이와테현 도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가마이시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96.아시가세역 | ||||||
아시가세역(일본어: 足ケ瀬駅)은 일본 이와테현 도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가마이시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97.아야오리역 | ||||||
아야오리역(일본어: 綾織駅)은 일본 이와테현 도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가마이시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98.아라야마에역 | ||||||
아라야마에역(일본어: 荒谷前駅)은 일본 이와테현 도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가마이시 선의 철도역이다.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99.이와테카미고역 | ||||||
이와테카미고역(일본어: 岩手上郷駅)은 일본 이와테현 도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가마이시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0.이와테후쓰카마치역 | ||||||
이와테후쓰카마치역(일본어: 岩手二日町駅)은 일본 이와테현 도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가마이시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1.이와네바시역 | ||||||
이와네바시역(일본어: 岩根橋駅)은 일본 이와테현 도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가마이시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2.가시와기다이라역 | ||||||
가시와기다이라역(일본어: 柏木平駅)은 일본 이와테현 도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가마이시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3.도노역 | ||||||
도노역(일본어: 遠野駅)은 일본 이와테현 도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가마이시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104.히라쿠라역 | ||||||
히라쿠라역(일본어: 平倉駅)은 일본 이와테현 도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가마이시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5.마스자와역 | ||||||
마스자와역(일본어: 鱒沢駅)은 일본 이와테현 도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가마이시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106.미야모리역 | ||||||
미야모리역(일본어: 宮守駅)은 일본 이와테현 도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가마이시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7.아카사카타역 | ||||||
아카사카타역(일본어: 赤坂田駅)은 일본 이와테현 하치만타이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나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8.앗피코겐역 | ||||||
앗피코겐역(일본어: 安比高原駅)은 일본 이와테현 하치만타이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나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9.아니하타역 | ||||||
아니하타역(일본어: 兄畑駅)은 일본 이와테현 하치만타이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나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0.아라야신마치역 | ||||||
아라야신마치역(일본어: 荒屋新町駅)은 일본 이와테현 하치만타이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나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111.오부케역 | ||||||
오부케역(일본어: 大更駅)은 일본 이와테현 하치만타이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나와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2.기타모리역 | ||||||
기타모리역(일본어: 北森駅)은 일본 이와테현 하치만타이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나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3.고야노하타역 | ||||||
고야노하타역(일본어: 小屋の畑駅)은 일본 이와테현 하치만타이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나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4.다이라다테역 | ||||||
다이라다테역(일본어: 平館駅)은 일본 이와테현 하치만타이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나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5.다야마역 | ||||||
다야마역(일본어: 田山駅)은 일본 이와테현 하치만타이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나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6.히가시오부케역 | ||||||
히가시오부케역(일본어: 東大更駅)은 일본 이와테현 하치만타이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나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7.마쓰오하치만타이역 | ||||||
마쓰오하치만타이역(일본어: 松尾八幡平駅)은 일본 이와테현 하치만타이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나와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8.요코마역 | ||||||
요코마역(일본어: 横間駅)은 일본 이와테현 하치만타이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나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9.가와우치역 (이와테현) | ||||||
가와우치역(일본어: 川内駅)은 일본 이와테현 미야코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야마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120.구자카이역 | ||||||
구자카이역(일본어: 区界駅)은 일본 이와테현 미야코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미야코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1.게바라이치역 | ||||||
게바라이치역(일본어: 花原市駅)은 일본 이와테현 미야코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야마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2.센토쿠역 | ||||||
센토쿠역(일본어: 千徳駅)은 일본 이와테현 미야코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야마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3.소케이역 | ||||||
소케이역(일본어: 磯鶏駅)은 일본 이와테현 미야코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야마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4.쓰가루이시역 | ||||||
쓰가루이시역(일본어: 津軽石駅)은 일본 이와테현 미야코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야마다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5.하코이시역 | ||||||
하코이시역(일본어: 箱石駅)은 일본 이와테현 미야코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미야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6.하라타이역 | ||||||
하라타이역(일본어: 腹帯駅)은 일본 이와테현 미야코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야마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7.히키메역 | ||||||
히키메역(일본어: 蟇目駅)은 일본 이와테현 미야코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야마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8.마쓰쿠사역 | ||||||
마쓰쿠사역(일본어: 松草駅)은 일본 이와테현 미야코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야마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9.미야코역 | ||||||
미야코역(일본어: 宮古駅)은 일본 이와테현 미야코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 산리쿠 철도의 철도역이다. JR 동일본 야마다 선의 소속역이며, 이 역을 기 · 종점으로 하고 있는 산리쿠 철도 기타리아스 선등 2개 노선이 상호 운행되고 있다. | ||||||
130.모이치역 | ||||||
모이치역(일본어: 茂市駅)은 일본 이와테현 미야코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야마다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의 형태를 합친 1면 2선 구조의 지상역이다. | ||||||
131.리쿠추카와이역 | ||||||
리쿠추카와이역(일본어: 陸中川井駅)은 일본 이와테현 미야코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야마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32.히라쓰토역 | ||||||
히라쓰토역(일본어: 平津戸駅)은 일본 이와테현 미야코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야마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33.이와테이오카역 | ||||||
이와테이오카역(일본어: 岩手飯岡駅)은 일본 이와테현 모리오카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134.가미모리오카역 | ||||||
가미모리오카역(일본어: 上盛岡駅)은 일본 이와테현 모리오카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야마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35.가미요나이역 | ||||||
가미요나이역(일본어: 上米内駅)은 일본 이와테현 모리오카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야마다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36.고마역 (이와테현) | ||||||
고마역(일본어: 好摩駅)은 일본 이와테현 모리오카시에 위치한 IGR 이와테 은하 철도와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IGR 이와테 은하 철도의 이와테 은하 철도선과 JR 동일본의 하나와 선등 2개의 노선이 운행되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137.센보쿠초역 | ||||||
센보쿠초역(일본어: 仙北町駅)은 일본 이와테현 모리오카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138.모리오카역 | ||||||
모리오카역(일본어: 盛岡駅, もりおかえき 모리오카에키[*])은 일본 이와테현 모리오카시에 동일본 여객철도, IGR 이와테 은하 철도의 철도역이다. 현재 도호쿠 본선의 종점역이다.[1] 도호쿠 신칸센의 야마비코, 하야테의 최종적인 종착역이다.이 역 이북으로 하야부사는 정차 패턴이 매우 다양해지며, 하야테는 모든역에 정차한다. 고마치는 이 역에서 하야부사와 분리·병결한다. 또한 2016년 3월 26일 이후, 홋카이도 신칸센의 하야테는 이 역이 시발역이다. | ||||||
139.야마기시역 | ||||||
야마기시역(일본어: 山岸駅)은 일본 이와테현 모리오카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야마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40.오사베역 | ||||||
오사베역(일본어: 長部駅)은 일본 이와테현 리쿠젠타카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후나토 선의 BRT 전용역이다. 국도 제45호선 상에 있다. | ||||||
141.오토모역 | ||||||
오토모역(일본어: 小友駅)은 일본 이와테현 리쿠젠타카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후나토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었으나, 2011년 동일본 대지진 피해로 인해 BRT 대체로 운행되고 있다. 2020년 4월 1일, 게센누마 역 - 사카리 역 간의 철도 사업 폐지로 인해 철도역으로는 폐역 처리가 되었다. | ||||||
142.다카타코코마에역 | ||||||
다카타코코마에역(일본어: 高田高校前駅)은 일본 이와테현 리쿠젠타카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후나토 선의 BRT 전용역이다. 개업 당시, 이와테 현립 다카다 고등학교의 새 학교 개교에 맞춰 신설되었다. | ||||||
143.다카타뵤인역 | ||||||
다카다뵤인역(일본어: 高田病院駅)은 일본 이와테현 리쿠젠타카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후나토 선의 BRT 전용역이다. | ||||||
144.다케코마역 | ||||||
다케코마역(일본어: 竹駒駅)은 일본 이와테현 리쿠젠타카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후나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었으나, 2011년 동일본 대지진 피해로 인해 BRT로 대체 운행되고 있다. | ||||||
145.리쿠젠타카타역 | ||||||
리쿠젠타카타역(일본어: 陸前高田駅)은 일본 이와테현 리쿠젠타카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후나토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었으나, 2011년 동일본 대지진 피해로 인해 현재는 BRT 대체로 운행되고 있다. 2020년 4월 1일, 게센누마 역 - 사카리 역 간의 철도 사업 폐지로 인해 철도역으로는 폐역 처리가 되었다. | ||||||
146.리쿠젠야하기역 | ||||||
리쿠젠야하기역(일본어: 陸前矢作駅)은 일본 이와테현 리쿠젠타카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후나토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었으나, 2011년 동일본 대지진 피해로 인해 BRT로 대체 운행되고 있다.2020년 4월 1일, 게센누마 역 - 사카리 역 간의 철도 사업 폐지로 인해 철도역으로는 폐역 처리가 되었다. | ||||||
147.와키노사와역 | ||||||
와키노사와역(일본어: 脇ノ沢駅)은 일본 이와테현 리쿠젠타카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후나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었으나, 2011년 동일본 대지진 피해로 인해 영업이 중단되어, 현재는 BRT로 대체 운행되고 있다. | ||||||
148.리쿠추 해안 국립공원 | ||||||
산리쿠 부흥 국립공원(三陸復興国立公園)은 일본 이와테현 북부에서 미야기현 북부에 이르는 해안선 일대를 차지하는 국립공원이다. 총 면적은 121.98 km2이다. 동일본의 국립공원 중에서는 유일하다고 할 수 있는 해안 공원이다. 1955년 5월 2일 지정되었다. 관리상으로는 북부의 미야코 지구와 남부의 오후나토 지구로 분할된다. 산리쿠 부흥 국립공원은 북부와 남부가 성격이 다르다. 북부는 전형적인 융기 해안을 이루어 높이 50~200m에 이르는 대규모 해식 절벽이 연속하고 그 사이에 모래 사장 해안을 볼 수 있다. 한편 미야코시 이남은 전형적인 리아스식 해안이며 육지의 침강에 의해서 형성된 것이다. | ||||||
149.이와테현 | ||||||
이와테현(일본어: 岩手県)은 일본 혼슈 도호쿠 지방의 태평양 연안에 있는 현이다. 현청 소재지는 모리오카시(盛岡市)이다. | ||||||
150.모리오카시 | ||||||
모리오카시(일본어: 盛岡市 모리오카시[*])는 이와테현 내륙 지역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시이자 이와테 현의 현청 소재지이다. | ||||||
151.미야코시 | ||||||
미야코시(일본어: 宮古市)는 일본 도호쿠 지방 이와테현에 있는 시이다. 옛 히가시헤이 군이다. 산리쿠 해안에 접하고 2010년 1월 1일에 가와이촌을 합병하여 현내 최대 면적을 가지게 되었다. | ||||||
152.오후나토시 | ||||||
오후나토시(일본어: 大船渡市)는 일본 도호쿠 지방의 이와테현의 남쪽 연안에 위치한 시이다. 리쿠젠타카타시와 함께 리쿠젠 해안 북부의 핵심을 이룬다. 리쿠추 해안 국립공원의 거의 중앙부에 위치해 세계 3대 어장의 하나인 산리쿠 어장과 전형적인 리아스식 해안을 가지는 도시이다. 구 리쿠젠국 게센군에 속했다. 시내 각지에 석회석 광산이 있어 오후나토 만 안쪽에는 태평양 시멘트 오후나토 공장이 입지하고 있다. 또 이와테 현 최대이자 중요 항만인 오후나토 항이 입지하고 있어 이와테 현내 첫 외국 정기 항로가 한국의 부산과 연결되었다. | ||||||
153.하나마키시 | ||||||
하나마키시(일본어: 花巻市)는 일본 이와테현의 중서부에 있는 시이다. 시의 서부에 관광지로 인기 있는 하나마키 온천향이 있으며, 미야자와 겐지가 태어난 곳으로서 유명하다. 그래서 그가 심심찮게 자신의 작품 속에서 사용했던 에스페란토어 이름으로 하나마키역의 별칭을 치엘아르코(Ĉielarko)라고 붙였다. | ||||||
154.기타카미시 | ||||||
기타카미시(일본어: 北上市)는 일본 이와테현의 남서부에 위치한 시이다. 예전에는 와가군에 속했다. | ||||||
155.구지시 | ||||||
구지시(일본어: 久慈市)는 일본 이와테현의 북동부에 위치하고 태평양 접한 시이다. 리추 해안 국립공원의 북쪽에 위치해 일본 최북단의 바다에서 고기잡이를 하는 "해녀의 북쪽 한계"의 도시이다. 에도 시대 당시 일본의 주요 철광 생산지 중의 하나였으며 오늘날에도 호박의 생산지로 유명하다. 매년 1월 1일이 되면 동쪽 바다의 새해 해돋이를 볼 수 있는 곳이다. | ||||||
156.도노시 | ||||||
도노시(일본어: 遠野市)는 일본 이와테현 내륙부에 있는 시이다. 야나기타 구니오의 도노모노가타리의 근원이 된 마을이고 갓파나 자시키와라시로 유명한 "도노 민화"로 알려져 있다. | ||||||
157.이치노세키시 | ||||||
이치노세키시(일본어: 一関市)는 일본 이와테현 남단에 위치한 시이다. 2005년 9월 20일, 7개의 시정촌이 대등병합하여 생겨난 것이 현재의 이치노세키 시이다. 이치노세키 시의 유수지에 있는 도호쿠 신칸센의 철교(제 1기타카미 강 교량)은 일본의 철도교 중에서 제일 길다. 또 세계에서도 상위에 들어간다. | ||||||
158.리쿠젠타카타시 | ||||||
리쿠젠타카타시(일본어: 陸前高田市)는 일본 이와테현 남동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오후나토시와 함께 리쿠젠 해안 북부의 핵심을 이루고 있으며 예전에는 리쿠젠국 게센군에 속했다. | ||||||
159.가마이시시 | ||||||
가마이시시(일본어: 釜石市)는 일본 이와테현 남동부 (산리쿠 해안)에 위치하는 시이다. 리쿠추 해안 국립공원의 중심에 위치하고 세계 3대 어장의 하나인 북서태평양 어장의 일부를 이루는 산리쿠 어장과 전형적인 리아스식 해안을 가지는 시이다. 예전에는 가미헤이군, 게센군에 속했다. 근대 제철업 발상지이며 최성기에는 인구가 9만 명을 넘기도 했지만 제철소의 용광로의 휴지와 함께 인구가 줄어 들고 있다. | ||||||
160.니노헤시 | ||||||
니노헤시(일본어: 二戸市)는 일본 이와테현 내륙부 북단에 위치하는 시이다. | ||||||
161.하치만타이시 | ||||||
하치만타이시(일본어: 八幡平市)는 일본 이와테현의 북서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도호쿠 자동차도와 하치노헤 자동차도가 분기하는 교통의 요지이다. | ||||||
162.오슈시 | ||||||
오슈시(일본어: 奥州市)는 일본 이와테현 남서부에 위치한 시이다. 모리오카시 다음으로 현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다. 2006년 2월 20일, 미즈사와 시, 에사시 시, 이부리 군의 마에사와 정, 이사와 정, 고로모가와 촌이 합병되어 탄생되었다. | ||||||
163.시즈쿠이시정 | ||||||
시즈쿠이시정(일본어: 雫石町)은 일본 이와테현 중부에 위치하는 이와테군의 정이다. 서쪽은 아키타현(센보쿠시)과 접하고 있으며 온천이나 스키장, 고이와이 농장을 포함하는 등 관광에 힘을 쏟고 있는 정이다. 1993년에는 시즈쿠이시 스키장에서 알파인 스키 세계 선수권 시즈쿠이시 대회가 열렸다. | ||||||
164.구즈마키정 | ||||||
구즈마키정 (구즈마키마치)(일본어: 葛巻町)은 일본 이와테현 중부에 위치하는 이와테군의 정이다. | ||||||
165.이와테정 | ||||||
이와테정 (이와테마치)(일본어: 岩手町)은 일본 이와테현 중부에서 북부에 위치하는 이와테군의 정이다. | ||||||
166.다키자와시 | ||||||
다키자와시(일본어: 滝沢市)은 일본 이와테현 중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현청 소재지인 모리오카시의 서쪽에 위치하여 주택 지역으로 개발이 진행되어 모리오카 시의 도시 기능을 보완하고 있다. 2014년 1월 1일 촌에서 시로 승격되었다. | ||||||
167.시와정 | ||||||
시와정(일본어: 紫波町)은 일본 모리오카시 도시권의 남부, 이와테현 중부에 위치하는 시와군의 정이다. 모리오카시의 베드타운으로서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 ||||||
168.야하바정 | ||||||
야하바정(일본어: 矢巾町)은 일본 이와테현 거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시와군의 정이다. 누사카케의 폭포·난쇼 산·야하바 온천·도쿠탄 성터 등 정내에 명소 고적이 많지만, 모리오카시에 인접하는 베드타운으로서 최근에 인구가 증가해 모리오카 시의 교외 상업 집적지의 연장 지역이며 도시화가 진행되었다. 2005년의 국세조사 때 이전 조사와 비교해 인구 증가율이 이와테 현내에서 1위(7.2%)를 차지한 것이 그것을 여실히 나타내고 있다. | ||||||
169.니시와가정 | ||||||
니시와가정 (니시와가마치)(일본어: 西和賀町)은 일본 이와테현 중서부에 위치하는 와가군의 정이다. 세방면으로 해발 1,000m급의 오우산맥에 둘러싸여있고 나머지의 한쪽은 아키타현 요코테 분지로 향해 열려있는 점이 특색이다. 이 지형에 의해서 겨울에는 2m이상의 눈이 쌓여 특별 폭설 지대로 지정되어 있다. 이 정의 거주의 역사는 오래되었고 구석기시대의 유적이 정내에서 발견되고 있다. | ||||||
170.가네가사키정 | ||||||
가네가사키정(일본어: 金ケ崎町)은 일본 이와테현 남서 내륙부의 이사와군의 정이다. | ||||||
171.히라이즈미정 | ||||||
히라이즈미정(일본어: 平泉町)은 일본 이와테현 남서부에 위치하는 니시이와이군의 정이다. | ||||||
172.후지사와정 | ||||||
후지사와정(일본어: 藤沢町)은 일본 이와테현 남단에 있던 히가시이와이군의 정이다. 2011년 9월 26일, 이치노세키시에 편입되어 소멸하였다. | ||||||
173.스미타정 | ||||||
스미타정(일본어: 住田町)은 일본 이와테현 동남부에 위치하는 게센군의 정이다. 최근에 과소화가 진행되어 고령자의 인구가 차지하는 비율이 높다. 풍부한 삼림 자원과 목재 가공 시설이 정비되어 있어 "삼림·임업 일본 제일의 마을"을 목표로 하고 있다. 게센 군은 스미타 정과 구 산리쿠 정으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현재는 구 산리쿠 정이 오후나토시와 합병했기 때문에 스미타 정으로만으로 구성되어 있다. | ||||||
174.오쓰치정 | ||||||
오쓰치정(일본어: 大槌町)은 일본 이와테현 가미헤이군의 태평양에 접하는 정이다. 진흥산촌, 변지, 준과소지의 지정을 받고 있으며 1977년 1월에는 도쿄 대학 해양 연구소 국제 연안 해양 연구 센터가 개설되었다. 또 많은 조몬 시대의 유적을 볼 수 있다. | ||||||
175.야마다정 | ||||||
야마다정 (야마다마치)(일본어: 山田町)은 일본 이와테현 연안 중부에 위치한 시모헤이군의 정이다. 중심 산업은 리아스식 해안을 이용한 양식 어업을 중심으로 하는 어업이지만 산간부를 중심으로 중소 공장이 가동하고 있다. 정치가인 스즈키 젠코가 태어난 땅이다. 스즈키는 1980년에 급사한 오히라 마사요시의 후계자로서 총리대신으로 취임했다. | ||||||
176.이와이즈미정 | ||||||
이와이즈미정(일본어: 岩泉町)은 일본 이와테현 중앙부에서 동부에 위치한 시모헤이군의 정이다. 물의 투명도가 높은 것으로 유명한 류센 동굴(종유동굴)의 정으로서 알려져있고 그 물이 미네랄워터로서 판매되고 있다. | ||||||
177.다노하타촌 | ||||||
다노하타촌(일본어: 田野畑村)은 일본 이와테현에 있고 태평양에 면하는 시모헤이군의 촌이다. | ||||||
178.후다이촌 | ||||||
후다이촌(일본어: 普代村)은 일본 이와테현에 있고 태평양에 면하는 시모헤이군의 촌이다. | ||||||
179.노다촌 | ||||||
노다촌(일본어: 野田村)은 일본 이와테현 구노헤군의 촌으로 태평양에 면한다. | ||||||
180.구노헤촌 | ||||||
구노헤촌(일본어: 九戸村)은 일본 이와테현 북부에 위치하는 구노헤군의 촌이다. | ||||||
181.히로노정 (이와테현) | ||||||
히로노정(일본어: 洋野町)은 일본 이와테현 최북단에 위치한 구노헤군의 정이다. | ||||||
182.이치노헤정 | ||||||
이치노헤정 (이치노헤마치)(일본어: 一戸町)은 일본 이와테현 북부에 위치하는 니노헤군의 정이다. | ||||||
183.가루마이정 | ||||||
가루마이정 (가루마이마치)(일본어: 軽米町)은 일본 이와테현 북부에 위치한 구노헤군의 정이다. | ||||||
184.오모에반도 | ||||||
오모에반도(일본어: 重茂半島, おもえはんとう)는 일본 이와테현 남동부에 위치한 태평양과 접한 반도이다. 혼슈의 최동단으로서 수많은 하구와 반도가 나 있는 산리쿠 연안 중에서도 가장 큰 반도이기도 하다. 오모에반도의 대부분은 수목으로 덮인 산지와 절벽으로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산리쿠 연안에서도 풍경이 뛰어나기로 손꼽힌다. 오모에반도의 연안은 전부 리쿠추 부흥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높이 100m 정도의 급경사면이 연속해서 나 있다. 북쪽 끝에는 헤이자키곶 (閉伊崎)이, 동쪽에는 혼슈 최동단 도도곶 (魹ヶ崎)이 있으며, 이곳에 도도 등대와 기념비가 세워져 있다.[1] 반도 북부의 츠키산 (月山)은 이 일대를 전망하기 좋은 곳으로, 북쪽으로는 미야코만과 조도가하마 (浄土ヶ浜), 남쪽으로는 야마다만, 동쪽으로는 도도곶과 태평양이 펼쳐진다. | ||||||
185.이와테산 | ||||||
이와테산(일본어: 岩手山 (いわてさん) 이와테산[*])은 일본 이와테현 서북부에 위치한, 2개의 외륜이 있는 표고 2038 미터의 성층화산이다. 이와테현의 최고봉이자 현의 상징 중 하나로 꼽힌다.[1] 일본백명산 중 하나로 선정되어 있다.[2] | ||||||
186.긴타이치 온천 | ||||||
긴타이치 온천(金田一温泉 (きんたいちおんせん) 긴타이치온센[*])은 일본 이와테현 니노헤시에 있는 온천이다. 마부치강 기슭에 있다. 이전에는 유다 온천(湯田温泉)이라는 명칭이었다 (논에서 탕이 끓고 있었던 것에 유래한다). 이 온천의 기원은 불분명하지만, 일반적으로 개탕 연대로서 소개되는 것은, 1626년이다. 에도 시대에는 모리오카번의 지정 탕치장이 되어, '사무라이의 탕'이라고 불렸다. 그 시기부터 이미 온천가가 형성되어 있던 것으로 여겨진다. 9채의 온천 숙소가 존재하며, 당일치기 목욕 시설은 여러 곳 존재한다. 온천가 맨 안쪽에 좌부동자로 알려진 로쿠후소가 있다. 2009년 10월 4일에 일어난 화재로 좌부동자를 모시는 안뜰의 가메마로 신사 이외가 전소했지만, 2016년에 재건되었다. | ||||||
187.전승원 | ||||||
전승원(일본어: 伝承園 덴쇼엔[*])은 이와테현 토오노시에 소재한 시립박물관이다. 야나기타 쿠니오의 『토오노 모노가타리』로 유명해진 토오노 지방의 민속의 전승을 목적으로 1984년 6월 개관했다. 지정관리자로서 사단법인 토오노 후루사토공사가 관리운영한다. | ||||||
188.오차모치 | ||||||
오차모치(일본어: お茶餅, おちゃもち)는 이와테현에 전해지는 향토 음식이다. 납작한 경단에 호두 간장을 묻힌 것이다. 이름을 직역하면 '차떡'이 되지만 재료에 차가 들어가는 것은 아니다. 겉모습은 고헤이모치와 닮았으나 그보다는 훨씬 얇고 부드러운 식감이다. 오차모치를 만드는 법은 비교적 단순하다. 멥쌀 가루에 물을 부어 당고 (경단) 모양으로 빚은 뒤, 꼬치나 젓가락에 3~4개를 꽂아 얇게 누르고, 나란히 일렬로 세운 모양으로 정돈한다. 그런 뒤 그것을 쪄내고, 다시 꺼내서 가볍게 직화로 굽는다. 마지막으로 호두간장과 캐러멜 소스를 바르면 완성된다. | ||||||
189.징기스칸 (음식) | ||||||
징기스칸(일본어: ジンギスカン)은 일본 홋카이도 지방의 양고기 요리로서, 머튼(성체 양고기)과 램(새끼 양고기)을 구워먹는 요리의 일종이다. 한자로는 成吉思汗(성길사한)이라고 표기하기도 한다. 일본에서 기원한 양고기 요리로, 이름은 몽골 제국의 군주 칭기즈 칸의 일본어식 발음에서 유래하였으나 몽골이나 칭기즈 칸과 직접적인 연관은 전혀 없다. 홋카이도 유산의 하나이다. 기원에 대해서는 여러 가지 설이 있다. 구 일본군의 군복소재가 양털이었던 까닭에 양털을 대량으로 수입하였으나 1차 세계대전 이후 양털의 수입이 쉽지 않게 되자 홋카이도에 양목장을 설치하면서 자급을 꽤 했던 것이 발단이라고 한다. 이때 양털외에 남는 대량의 늙은 양고기 처리가 문제였는데 본래 육식습관이 없었던 일본은 메이지 유신 이후로 육식을 해야만 유럽인처럼 될 수 있다는 발상으로 속속 일본화한 요리를 개발하고 있었다. 이렇게 양고기는 일본 전통 요리인 나베와 결합하여 요나베(羊鍋)가 되었다. 이 요나베에 징기스칸이라는 이름이 붙게 된 것은 당시 일본의 만주 침략 등과 관련이 있는데 당시 일본의 관변역사학자들은 소위 대륙진출을 정당화하기 위한 목적으로 야마토 민족을 대륙 기마민족의 후손이라고 상정하였으며 따라서 기마민족의 식량인 양과 유럽까지 진격해 들어간 정복군주 칭기즈 칸의 이미지가 맞아떨어져 붙여진 이름으로 보인다. (실제 몽골에 양고기 요리는 있으나 양고기를 불에 직접 구워먹는 요리는 없다.) 문헌상 징기스칸의 최초 출현시기는 1926년이며 징기스칸 요리 전문점은 1936년 도쿄 스기나미구에 세워진 징기스 장(成吉思荘)이 최초다. 이외에 중국 요리 까오얀로(烤羊肉)의 영향을 받았다는 설도 있다. | ||||||
190.모리오카 자자멘 | ||||||
모리오카 자자멘(盛岡じゃじゃ麵, 일본어: 盛岡じゃじゃ麺)은 일본 이와테현 모리오카시의 유명 요리이다. 완코 소바와 모리오카 냉면과 함께 ‘모리오카 3대 면요리’로 불리며, 중국의 자장몐(작장면)에서 유래했다. | ||||||
191.모리오카 레이멘 | ||||||
모리오카 레이멘(일본어: 盛岡冷麺) 또는 모리오카 냉면(盛岡冷麵)은 일본 이와테현 모리오카시의 냉면 요리이다. 완코 소바와 모리오카 자자멘과 함께 ‘모리오카 3대 면요리’로 불리며, 모리오카 시에서는 대표 특산물로 선정하고 '냉면지도'를 만들었다. 한국의 냉면과는 달리 메밀을 쓰지 않고 전분과 밀가루로만 만든다 | ||||||
192.완코소바 | ||||||
완코소바(일본어: わんこそば)는 일본 이와테현 (하나마키시, 모리오카시)에 전해지는 소바의 일종이다.[1] 나가노현의 도가쿠시소바, 시마네현의 이즈모 소바와 함께, 일본 3대 소바로 불리고 있다.[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