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오사키하치만궁 | ||||||
오사키하치만구(일본어: 大崎八幡宮)는 미야기현 센다이시 아오바구에 위치한 신사이다. 오사키하치만 궁은 다테 마사무네에 의해서 축조되어 1607년(게이초 12년)경에 완성되었다. 본전(本殿)과 배전(拝殿)을 바닥에 돌로 깐 부분으로 연결한 곤겐즈쿠리(権現造) 양식의 신사의 본전은 도요쿠니 묘의 건축 양식을 본떴다고 전해지며, 1903년에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었다가 1952년에 국보로 승격되었다. 신사는 센다이 지방에 이입된 아즈치모모야마 시대의 건축 양식을 보여준다. 검은색으로 통일된 진자건물과 중반에 새겨진 화려한 조각이 멋있게 조화를 이루고 있다. 매년 1월 14일의 돈토 축제에는 무병과 재난방지를 기원하는 하다카참배로 많은 인파가 몰린다. | ||||||
2.시로이시성 | ||||||
시로이시성(일본어: 白石城 시로이시조[*])은 미야기현 시로이시시에 있는 평산성이다. 마스오카 성(益岡城, 枡岡城)이라는 이명을 가지고 있다. 센고쿠 시대에 명성을 떨친 다테 마사무네의 중신 가타쿠라 가게쓰나의 거성으로 알려져 있다. | ||||||
3.센다이성 | ||||||
센다이성(仙台城 (せんだいじょう) 센다이조[*]) 또는 아오바성(青葉城 (あおばじょう) 아오바조[*])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아오바구 아오바산에 있었던 성이다. 2003년 8월 27일 사적으로 지정되었다.[1] | ||||||
4.타가성 | ||||||
타가성(일본어: 多賀城 (たがじょう) 타가죠[*]) 또는 타카책(일본어: 多賀柵 (たかのき) 타카노키[*])은 오늘날의 미야기현 타가조시에 있었던 고대의 성책이다. 나라 시대에서 헤이안 시대 사이에 이 성책에 무츠국 국부(国府)와 진수부가 설치되어 11세기 중반까지 동북지방의 정치・군사・문화 중심지였다.[1] | ||||||
5.아타고역 (미야기현) | ||||||
아타고역(일본어: 愛宕駅)은 일본 미야기현 미야기군 마쓰시마정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6.아부쿠마역 | ||||||
아부쿠마역(일본어: あぶくま駅)은 일본 미야기현 이구군 마루모리정에 위치한 아부쿠마 급행 아부쿠마 급행선의 철도역이다. | ||||||
7.이시코시역 | ||||||
이시코시역(일본어: 石越駅)은 일본 미야기현 도메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지상역이며, 동일본 여객철도 센다이 지사 관내로는 최종역이다. | ||||||
8.이와누마역 | ||||||
이와누마역(일본어: 岩沼駅)은 일본 미야기현 이와누마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 일본화물철도의 역이다. 도호쿠 본선과 조반 선이 상호 운행하고 있어, 이 중 도호쿠 본선을 소속 노선으로 하고 있다. 법정상의 조반 선 종점이지만, 조반 선의 열차는 모두 도호쿠 본선을 경유해서 센다이역으로 상호 운행하고 있다. 단선 · 섬식 승강장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다. | ||||||
9.우메가사와역 | ||||||
세미네역(일본어: 瀬峰駅)은 일본 미야기현 구리하라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10.우라슈쿠역 | ||||||
우라슈쿠역(일본어: 浦宿駅)은 일본 미야기현 오시카군 오나가와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이시노마키 선의 철도역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오가와라역 | ||||||
오가와라역(일본어: 大河原駅)은 일본 미야기현 시바타군 오가와라정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다. | ||||||
12.오쿠마역 | ||||||
오쿠마역(일본어: 逢隈駅, おおくまえき)은 일본 미야기현 와타리군 와타리정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13.오카역 (미야기현) | ||||||
오카역(일본어: 岡駅)은 일본 미야기현 가쿠다시에 위치한 아부쿠마 급행 아부쿠마 급행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4.오나가와역 | ||||||
오나가와역(일본어: 女川駅)은 일본 미야기현 오시카군 오나가와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이시노마키 선의 철도역이다. 이 노선의 종착역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5.가쿠다역 | ||||||
가쿠다역(일본어: 角田駅)은 일본 미야기현 가쿠다시에 위치한 아부쿠마 급행 아부쿠마 급행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6.가즈마역 | ||||||
가즈마역(일본어: 鹿妻駅, かづまえき)은 일본 미야기현 히가시마쓰시마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17.가미와쿠야역 | ||||||
가미와쿠야역(일본어: 上涌谷駅)은 일본 미야기현 도다군 와쿠야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이시노마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며, 마에야치역부터 연장 운행하는 게센누마 선의 열차도 정차한다. | ||||||
18.기타우라역 (미야기현) | ||||||
기타우라역(일본어: 北浦駅)은 일본 미야기현 도다군 미사토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리쿠우토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9.기타시라카와역 | ||||||
기타시라카와역(일본어: 北白川駅)은 일본 미야기현 시로이시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며, 시로이시자오역 관리의 무인역이다. | ||||||
20.기타마루모리역 | ||||||
기타마루모리역(일본어: 北丸森駅)은 일본 미야기현 이구군 마루모리정에 위치한 아부쿠마 급행 아부쿠마 급행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1.게바역 | ||||||
게바역(일본어: 下馬駅, げばえき)은 일본 미야기현 다가조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22.고쿠후타가조역 | ||||||
고쿠후타가조역(일본어: 国府多賀城駅)은 일본 미야기현 다가조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자 교상 역사이다. | ||||||
23.고고타역 | ||||||
고고타역(일본어: 小牛田駅)은 일본 미야기현 도다군 미사토정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도호쿠 본선 · 리쿠우토 선 · 이시노마키 선의 3개 노선이 상호 운행되고 있어, 접속역으로 되어 있다. 이 역의 소속 선은 도호쿠 본선이며, 리쿠우토 선과 이시노마키 선은 이 역이 기점이다. 이시노마키 선 마에야치역을 기점으로 하는 게센누마 선 열차의 대부분이 발착하고 있어, 사실상으로는 4개 노선의 열차가 이용한다. | ||||||
24.고스고역 | ||||||
고스고역(일본어: 越河駅)은 일본 미야기현 시로이시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다. | ||||||
25.사카모토역 (미야기현) | ||||||
사카모토역(일본어: 坂元駅)은 일본 미야기현 와타리군 야마모토정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JR동일본)의 철도역이다. | ||||||
26.시오가마역 | ||||||
시오가마역(일본어: 塩釜駅)은 일본 미야기현 시오가마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27.시나이누마역 | ||||||
시나이누마역(일본어: 品井沼駅)은 일본 미야기현 미야기군 마쓰시마정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역이다. | ||||||
28.시로이시역 (미야기현) | ||||||
시로이시역(일본어: 白石駅)은 일본 미야기현 시로이시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며, 직영역이지만, 시로이시자오역이 이 역을 관리한다. | ||||||
29.시로이시자오역 | ||||||
시로이시자오역(일본어: 白石蔵王駅, しろいしざおうえき 시로이시자오에키[*])은 일본 미야기현 시로이시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소속 철도역이며, 도호쿠 신칸센의 정차역이다.승강장 구조로는 2면 3선이다. | ||||||
30.신리후역 | ||||||
신리후역(일본어: 新利府駅)은 일본 미야기현 미야기군 리후정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 (리후 지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며, 센다이역이 이 역을 관리하고 있다. JR 동일본 관내의 도호쿠 · 조에쓰 · 야마가타 · 아키타 · 호쿠리쿠 신칸센의 차량기지인 신칸센 종합 차량센터로 병설되어 있다. 도호쿠 신칸센 개업에 의해, 신칸센 종합 차량센터 근무자의 편을 고려해서 설치되었던 역이다. | ||||||
31.센다이 공항역 | ||||||
센다이 공항역(일본어: 仙台空港駅, せんだいくうこうえき)은 일본 미야기현 나토리시에 있는 역이다. 센다이 공항과 연결되어 있다. | ||||||
32.다카기마치역 | ||||||
다카기마치역(일본어: 高城町駅, たかぎまちえき)은 일본 미야기현 미야기군 마쓰시마정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33.다가조역 | ||||||
다가조역(일본어: 多賀城駅, たがじょうえき)은 일본 미야기현 다가조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34.다테코시역 | ||||||
다테코시역(일본어: 館腰駅)은 일본 미야기현 나토리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이와누마역부터 상호 운행되는 조반 선의 열차도 이용가능하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35.쓰키노키역 | ||||||
쓰키노키역(일본어: 槻木駅)은 일본 미야기현 시바타군 시바타정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 아부쿠마 급행의 역이다. 도호쿠 본선과 이 역을 종점으로 하는 아부쿠마 급행 아부쿠마 급행선이 상호 운행되어, 접속역으로 되어 있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다. | ||||||
36.데타루역 | ||||||
데타루역(일본어: 手樽駅)은 일본 미야기현 미야기군 마쓰시마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센세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7.도나역 | ||||||
도나역(일본어: 東名駅)은 일본 미야기현 히가시마쓰시마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센세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8.나토리역 | ||||||
나토리역(일본어: 名取駅, なとりえき)은 일본 미야기현 나토리시에 있는 철도역이다. | ||||||
39.니시시오가마역 | ||||||
니시시오가마역(일본어: 西塩釜駅, にししおがまえき)은 일본 미야기현 시오가마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40.닛타역 (미야기현) | ||||||
닛타역(일본어: 新田駅)은 일본 미야기현 도메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지상역이다. | ||||||
41.노노다케역 | ||||||
노노다케역(일본어: のの岳駅)은 일본 미야기현 이시노마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게센누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2.노비루역 | ||||||
노비루역(일본어: 野蒜駅)은 일본 미야기현 히가시마쓰시마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센세키 선의 철도역이다. 도호쿠 본선과 직통하는 센세키 도호쿠 라인의 열차도 정차한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011년 3월 11일에 발생한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의 해일의 피해를 받아 사용 불가가 되어, 센세키선의 내륙 이설에 맞추어 해발 22m의 신역사로 이전했다. | ||||||
43.하마요시다역 | ||||||
하마요시다역(일본어: 浜吉田駅)은 일본 미야기현 와타리군 와타리정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44.히가시시오가마역 | ||||||
히가시시오가마역(일본어: 東塩釜駅, ひがししおがまえき)은 일본 미야기현 시오가마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45.히가시시로이시역 | ||||||
히가시시로이시역(일본어: 東白石駅)은 일본 미야기현 시로이시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며, 시로이시자오역이 이 역을 관리한다. | ||||||
46.히가시후나오카역 | ||||||
히가시후나오카역(일본어: 東船岡駅)은 일본 미야기현 시바타군 시바타정에 위치한 아부쿠마 급행 아부쿠마 급행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7.히가시야모토역 | ||||||
히가시야모토역(일본어: 東矢本駅)은 일본 미야기현 히가시마쓰시마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48.후나오카역 (미야기현) | ||||||
후나오카역(일본어: 船岡駅)은 일본 미야기현 시바타군 시바타정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며, 직영역으로서 쓰키노키역을 관리하고 있다. | ||||||
49.혼시오가마역 | ||||||
혼시오가마역(일본어: 本塩釜駅, ほんしおがまえき)은 일본 미야기현 시오가마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50.마쓰시마역 | ||||||
마쓰시마역(일본어: 松島駅)은 일본 미야기현 미야기군 마쓰시마정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다. | ||||||
51.마쓰시마카이간역 | ||||||
마쓰시마카이간역(일본어: 松島海岸駅, まつしまかいがんえき)은 일본 미야기현 미야기군 마쓰시마정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52.마루모리역 | ||||||
마루모리역(일본어: 丸森駅)은 일본 미야기현 이구군 마루모리정에 위치한 아부쿠마 급행 아부쿠마 급행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53.미타케도역 | ||||||
미타케도역(일본어: 御岳堂駅)은 일본 미야기현 도메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게센누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54.미타조노역 | ||||||
미타조노역(일본어: 美田園駅, みたぞのえき)은 일본 미야기현 나토리시에 있는 역이다. | ||||||
55.미나미카쿠다역 | ||||||
미나미카쿠다역(일본어: 南角田駅)은 일본 미야기현 가쿠다시에 위치한 아부쿠마 급행 아부쿠마 급행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56.모리세키노시타역 | ||||||
모리세키노시타역(일본어: 杜せきのした駅, もりせきのしたえき)은 일본 미야기현 나토리시에 있는 역이다. | ||||||
57.야나이즈역 (미야기현) | ||||||
야나이즈역(일본어: 柳津駅)은 일본 미야기현 도메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게센누마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58.야마시타역 (미야기현) | ||||||
야마시타역(일본어: 山下駅)은 일본 미야기현 와타리군 야마모토정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JR동일본)의 철도역이다. | ||||||
59.야모토역 | ||||||
야모토역(일본어: 矢本駅, やもとえき)은 일본 미야기현 히가시마쓰시마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60.요코쿠라역 (미야기현) | ||||||
요코쿠라역(일본어: 横倉駅)은 일본 미야기현 가쿠다시에 위치한 아부쿠마 급행 아부쿠마 급행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1.리쿠젠아카이역 | ||||||
리쿠젠아카이역(일본어: 陸前赤井駅, りくぜんあかいえき)은 일본 미야기현 히가시마쓰시마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62.리쿠젠오쓰카역 | ||||||
리쿠젠오쓰카역(일본어: 陸前大塚駅)은 일본 미야기현 히가시마쓰시마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센세키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3.리쿠젠오노역 | ||||||
리쿠젠오노역(일본어: 陸前小野駅, りくぜんおのえき)은 일본 미야기현 히가시마쓰시마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64.리쿠젠산노역 | ||||||
리쿠젠산노역(일본어: 陸前山王駅)은 일본 미야기현 다가조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 일본화물철도 도호쿠 본선과 센다이 임해 철도 린카이 본선(화물선)의 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다. | ||||||
65.리쿠젠토미야마역 | ||||||
리쿠젠토미야마역(일본어: 陸前富山駅)은 일본 미야기현 미야기군 마쓰시마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센세키 선의 철도역이다. | ||||||
66.리쿠젠토요사토역 | ||||||
리쿠젠토요사토역(일본어: 陸前豊里駅)은 일본 미야기현 도메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게센누마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7.리쿠젠하마다역 | ||||||
리쿠젠하마다역(일본어: 陸前浜田駅)은 일본 미야기현 미야기군 리후정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68.리쿠젠야치역 | ||||||
리쿠젠야치역(일본어: 陸前谷地駅)은 일본 미야기현 도다군 미사토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리쿠우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9.리후역 | ||||||
리후역(일본어: 利府駅)은 일본 미야기현 미야기군 리후정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 (리후 지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과거에는 모리오카 쪽으로 선로가 연결되어 있었으나 선로 이설로 인해 끊어져 지선의 종착역이 되었다. | ||||||
70.와쿠야역 | ||||||
와쿠야역(일본어: 涌谷駅)은 일본 미야기현 도다군 와쿠야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이시노마키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며, 마에야치역부터 연장 운행하는 게센누마 선의 열차도 정차한다. | ||||||
71.와타리역 (미야기현) | ||||||
와타리역(일본어: 亘理駅, わたりえき)은 일본 미야기현 와타리군 와타리정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72.이시노마키역 | ||||||
이시노마키역(일본어: 石巻駅, いしのまきえき)은 일본 미야기현 이시노마키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73.이시노마키아유미노역 | ||||||
이시노마키아유미노역(일본어: 石巻あゆみ野駅)은 일본 미야기현 이시노마키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74.가케야마역 | ||||||
가케야마역(일본어: 佳景山駅)은 일본 미야기현 이시노마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이시노마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5.가노마타역 | ||||||
가노마타역(일본어: 鹿又駅)은 일본 미야기현 이시노마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이시노마키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6.사와다역 | ||||||
사와다역(일본어: 沢田駅)은 일본 미야기현 이시노마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이시노마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7.소바노카미역 | ||||||
소바노카미역(일본어: 曽波神駅)은 일본 미야기현 이시노마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이시노마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8.헤비타역 | ||||||
헤비타역(일본어: 蛇田駅, へびたえき)은 일본 미야기현 이시노마키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79.마에야치역 | ||||||
마에야치역(일본어: 前谷地駅)은 일본 미야기현 이시노마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이시노마키 선의 소속역이며, 이 역을 기점으로 하는 게센누마 선 등 2개의 노선이 운행하고 있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80.만고쿠우라역 | ||||||
만고쿠우라역(일본어: 万石浦駅)은 일본 미야기현 이시노마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이시노마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81.리쿠젠이나이역 | ||||||
리쿠젠이나이역(일본어: 陸前稲井駅)은 일본 미야기현 이시노마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이시노마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82.리쿠젠야마시타역 | ||||||
리쿠젠야마시타역(일본어: 陸前山下駅, りくぜんやましたえき)은 일본 미야기현 이시노마키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83.와타노하역 | ||||||
와타노하역(일본어: 渡波駅)은 일본 미야기현 이시노마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이시노마키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84.와부치역 | ||||||
와부치역(일본어: 和渕駅)은 일본 미야기현 이시노마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게센누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85.이케즈키역 | ||||||
이케즈키역(일본어: 池月駅)은 일본 미야기현 오사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리쿠우토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86.이와데야마역 | ||||||
이와데야마역(일본어: 岩出山駅)은 일본 미야기현 오사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리쿠우토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87.가시마다이역 | ||||||
가시마다이역(일본어: 鹿島台駅)은 일본 미야기현 오사키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다. | ||||||
88.가미노메역 | ||||||
가미노메역(일본어: 上野目駅)은 일본 미야기현 오사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리쿠우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89.가와타비온센역 | ||||||
가와타비온센역(일본어: 川渡温泉駅)은 일본 미야기현 오사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리쿠우토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90.다지리역 | ||||||
다지리역(일본어: 田尻駅)은 일본 미야기현 오사키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단선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91.쓰카노메역 | ||||||
쓰카노메역(일본어: 塚目駅)은 일본 미야기현 오사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리쿠우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92.나카야마다이라온센역 | ||||||
나카야마다이라온센역(일본어: 中山平温泉駅)은 일본 미야기현 오사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리쿠우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93.나루코온센역 | ||||||
나루코온센역(일본어: 鳴子温泉駅)은 일본 미야기현 오사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리쿠우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94.나루코고텐유역 | ||||||
나루코고텐유역(일본어: 鳴子御殿湯駅)은 일본 미야기현 오사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리쿠우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95.니시오사키역 | ||||||
니시오사키역(일본어: 西大崎駅)은 일본 미야기현 오사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리쿠우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96.니시후루카와역 | ||||||
니시후루카와역(일본어: 西古川駅)은 일본 미야기현 오사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리쿠우토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97.히가시오사키역 | ||||||
히가시오사키역(일본어: 東大崎駅)은 일본 미야기현 오사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리쿠우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98.후루카와역 | ||||||
후루카와역(일본어: 古川駅)은 일본 미야기현 오사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소속 철도역이며, 도호쿠 신칸센을 비롯하여 리쿠우토 선의 정차역이다. 승강장 구조로는 신칸센 2면 2선이며, 리쿠우토 선은 1면 2선이다. 인근에 오사키 시민 병원이 있다. | ||||||
99.잘못된 제목 | ||||||
100.유비칸역 | ||||||
유비칸역(일본어: 有備館駅)은 일본 미야기현 오사키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리쿠우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1.아리카베역 | ||||||
아리카베역(일본어: 有壁駅)은 일본 미야기현 구리하라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102.구리코마코겐역 | ||||||
구리코마 고원 역(일본어: くりこま高原駅, くりこまこうげんえき 구리코마코우겐에키[*])은 일본 미야기현 구리하라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소속 철도역이며, 도호쿠 신칸센의 정차역이다. 승강장 구조로는 2면 2선이며, 신칸센 만이 정차 가능한 단독 역이다. | ||||||
103.세미네역 | ||||||
세미네역(일본어: 瀬峰駅)은 일본 미야기현 구리하라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지상역이다. | ||||||
104.오야카이간역 | ||||||
오야카이간역(일본어: 大谷海岸駅)은 일본 미야기현 게센누마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게센누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었으나, 2011년 3월에 일어난 동일본 대지진의 여파로 인해 현재는 BRT로 대체 운행되고 있다. | ||||||
105.가미시시오리역 | ||||||
가미시시오리역(일본어: 上鹿折駅)은 일본 미야기현 게센누마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후나토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었으나, 2011년 동일본 대지진의 지진 해일 피해로 인해 BRT 대체로 운행되고 있다. | ||||||
106.구라우치역 | ||||||
구라우치역(일본어: 蔵内駅)은 일본 미야기현 게센누마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게센누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011년 3월에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열차 운행이 중단되어, 현재는 BRT로 대체 운행되고 있다. | ||||||
107.게센누마역 | ||||||
게센누마역(일본어: 気仙沼駅)은 일본 미야기현 게센누마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오후나토 선의 소속역이며, 이 역을 기점으로 하는 게센누마 선 등 2개의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108.고가네자와역 | ||||||
고가네자와역(일본어: 小金沢駅)은 일본 미야기현 게센누마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게센누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며, 2011년 3월에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의 여파로 현재는 BRT로 대체하여 운행하고 있다. | ||||||
109.사이치역 | ||||||
사이치역(일본어: 最知駅)은 일본 미야기현 게센누마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게센누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었으나, 2011년 3월에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의 여파로 인해 현재는 BRT로 대체 운행되고 있다. | ||||||
110.시시오리카라쿠와역 | ||||||
시시오리카라쿠와역(일본어: 鹿折唐桑駅)은 일본 미야기현 게센누마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후나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나, 2011년 도호쿠 지방 태평양 해역 지진 해일 피해로 인해 현재는 BRT로 대체 운행되고 있다. | ||||||
111.후도노사와역 | ||||||
후도노사와역(일본어: 不動の沢駅)은 일본 미야기현 게센누마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게센누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었으나, 2011년 3월에 일어난 동일본 대지진의 여파로 현재는 BRT로 대체 운행되고 있다. | ||||||
112.마쓰이와역 | ||||||
마쓰이와역(일본어: 松岩駅)은 일본 미야기현 게센누마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게센누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었으나. 2011년 3월에 일어났던 동일본 대지진의 여파로 현재는 BRT로 대체 운행되고 있다. | ||||||
113.미나미케센누마역 | ||||||
미나미케센누마역(일본어: 南気仙沼駅)은 일본 미야기현 게센누마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게센누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었으나, 2011년 3월에 일어난 동일본 대지진의 여파로 현재는 BRT로 대체 운행되고 있다. | ||||||
114.모토요시역 | ||||||
모토요시역(일본어: 本吉駅)은 일본 미야기현 게센누마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게센누마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며, 2011년 3월에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열차 운행이 중단된 상태이다. 현재는 BRT로 대체 운행되고 있다. 2020년 4월 1일, 야나이즈 역 - 게센누마 역 간의 철도 사업 폐지로 인해 철도역으로는 폐역 처리가 되었다. | ||||||
115.리쿠젠코이즈미역 | ||||||
리쿠젠코이즈미역(일본어: 陸前小泉駅)은 일본 미야기현 게센누마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게센누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011년 3월에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으로 인해 열차 운행이 중단되어, 현재는 BRT로 대체 운행되고 있다. | ||||||
116.리쿠젠하시카미역 | ||||||
리쿠젠하시카미역(일본어: 陸前階上駅)은 일본 미야기현 게센누마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게센누마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며, 2011년 3월에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의 여파로 현재는 BRT로 대체 운행하고 있다. 2020년 4월 1일, 야나이즈 역 - 게센누마 역 간의 철도 사업 폐지로 인해 철도역으로는 폐역 처리가 되었다. | ||||||
117.아타고바시역 | ||||||
아타고바시역(일본어: 愛宕橋駅)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와카바야시구 쓰치토이 1초메에 있는 센다이 시 지하철 난보쿠 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N 12이다. 본 문서에서는 과거에 존재한 센다이 시영 전차의 아타고바시 정류장에 대해서도 기술한다. | ||||||
118.아라이역 (미야기현) | ||||||
아라이역(일본어: 荒井駅)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와카바야시구 아라이히가시에 있는 센다이 시 지하철 도자이 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T 13이다. | ||||||
119.구로마쓰역 (미야기현) | ||||||
구로마쓰역(일본어: 黒松駅, くろまつえき)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이즈미구 아사히가오카쓰쓰미 2초메에 있는 센다이 시 지하철 난보쿠 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N 03이다. 일본에서 가장 얕은 심도에 위치한 지하철역(4.3m 깊이)이다. | ||||||
120.다이시도역 | ||||||
다이시도역(일본어: 太子堂駅)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다이하쿠구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고가역이다. | ||||||
121.도미자와역 | ||||||
도미자와 역 (富沢駅)은 미야기현 센다이시 다이하쿠구 도미자와 4초메에 있는 센다이 시 지하철 난보쿠 선의 역이다. 남북선의 남쪽 종점. "센다이 시 체육관 앞"이라는 부역명이 달려 있다. 도미자와역의 남쪽에는 차량 기지가 있다. | ||||||
122.나가마치역 | ||||||
나가마치역(일본어: 長町駅, ながまちえき)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다이하쿠구에 있는 철도역이다. | ||||||
123.나가마치 1초메역 | ||||||
나가마치 1초메 역(일본어: 長町一丁目駅, ながまちいっちょうめえき)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다이하쿠구 나가마치 1초메에 있는 센다이 시 지하철 난보쿠 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N 14이다. "시립 병원 앞"의 부역명이 붙어 있다. | ||||||
124.나가마치미나미역 | ||||||
나가마치미나미역(일본어: 長町南駅, ながまちみなみえき)은 미야기현 센다이시 다이하쿠구 나가마치미나미 3초메에 있는 센다이 시 지하철 난보쿠 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N 16이다. 버스와 환승지정역이다. | ||||||
125.미나미센다이역 | ||||||
미나미센다이역(일본어: 南仙台駅)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다이하쿠구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여기는 조반선과 센다이 공항철도 센다이 공항선의 열차도 상호 운행하며, 이용이 가능하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며, 나토리역이 이 역을 관리한다. | ||||||
126.야오토메역 | ||||||
야오토메역(일본어: 八乙女駅)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이즈미구 야오토메추오 1초메에 있는 센다이 시 지하철 난보쿠 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N 02이다. | ||||||
127.야기야마도부쓰코엔역 | ||||||
야기야마도부쓰코엔역(일본어: 八木山動物公園駅)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다이하쿠구 야기야마혼초 1초메에 있는 센다이 시 지하철 도자이 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T 01이다. | ||||||
128.야쿠시도역 (미야기현) | ||||||
야쿠시도역(일본어: 薬師堂駅)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와카바야시구 시라하기마치에 있는 센다이 시 지하철 도자이 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T 10이다. | ||||||
129.렌보역 | ||||||
렌보역(일본어: 連坊駅)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와카바야시구 렌보 2초메에 있는 센다이 시 지하철 도자이 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T 09이다. 부역명은 "센다이 제일고 앞"이다. | ||||||
130.로쿠초노메역 | ||||||
로쿠초노메역(일본어: 六丁の目駅)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와카바야시구 로쿠초노메나카마치에 있는 센다이 시 지하철 도자이 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T 12이다. | ||||||
131.아오바도리이치반초역 | ||||||
아오바도리이치반초역(일본어: 青葉通一番町駅)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아오바구 이치반초 3초메에 있는 센다이 시 지하철 도자이 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T 06이다. | ||||||
132.아오바도리역 | ||||||
아오바도리역(일본어: あおば通駅, あおばどおりえき 아오바도오리에키[*])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아오바구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133.아오바야마역 | ||||||
아오바야마역(일본어: 青葉山駅)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아오바구 아라마키에 있는 센다이 시 지하철 도자이 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T 02이다. 부역명은 "도호쿠 대학 아오바야마 캠퍼스 앞"이다. | ||||||
134.아야시역 | ||||||
아야시역(일본어: 愛子駅)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아오바구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센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135.이쓰쓰바시역 | ||||||
이쓰쓰바시역(일본어: 五橋駅, いつつばしえき)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아오바구 이쓰쓰바시 2초메에 있는 센다이 시 지하철 난보쿠 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N 11이다. 본 문서에서는 과거에 존재한 센다이 시영 전차의 이쓰쓰바시 정류장에 대해서도 기술한다. | ||||||
136.오마치니시코엔역 | ||||||
오마치니시코엔역(일본어: 大町西公園駅)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아오바구 오마치 2초메에 있는 센다이 시 지하철 도자이 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T 05이다. | ||||||
137.오쿠닛카와역 | ||||||
오쿠닛카와역(일본어: 奥新川駅)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아오바구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센잔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38.가와우치역 (미야기현) | ||||||
가와우치역(일본어: 川内駅)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아오바구 가와우치에 있는 센다이 시 지하철 도자이 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T 03이다. 부역명은 "도호쿠 대학 가와우치 캠퍼스 앞"이다. | ||||||
139.기타센다이역 | ||||||
기타센다이역(일본어: 北仙台駅)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아오바구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 센다이 시영 지하철의 철도역이다. JR 센잔 선과 센다이 지하철 난보쿠 선의 소속역이다. 모두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춘 역사이다. | ||||||
140.기타야마역 (미야기현) | ||||||
기타야마역(일본어: 北山駅)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아오바구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센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41.기타요반초역 | ||||||
기타요반초역(일본어: 北四番丁駅)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아오바구 후쓰카마치에 있는 센다이 시 지하철 난보쿠 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N 07이다. 부역명은 "센다이 방송 앞"이다. | ||||||
142.구즈오카역 | ||||||
구즈오카역(일본어: 葛岡駅)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아오바구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센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43.구니미역 (미야기현) | ||||||
구니미역(일본어: 国見駅)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아오바구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센잔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44.구마가네역 | ||||||
구마가네역(일본어: 熊ケ根駅)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아오바구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센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45.고토다이코엔역 | ||||||
고토다이코엔역(일본어: 勾当台公園駅)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아오바구 혼초 3초메에 있는 센다이 시 지하철 난보쿠 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N 08이다. 부역명은 "현청 시청 앞", "미쓰이노리 하우스 센다이점 앞"이다. | ||||||
146.사쿠나미역 | ||||||
사쿠나미역(일본어: 作並駅)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아오바구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센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147.센다이역 (미야기현) | ||||||
센다이역(일본어: 仙台駅, せんだいえき)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아오바구에 있는 JR동일본, 센다이 지하철의 철도역이다. 신칸센 야마비코는 대부분의 열차가 이 역에서 시 종착한다. (이 역에서 계속 진행하는 야마비코는 모리오카역까지 대부분 각역정차로 운행한다) 신칸센 하야테, 하야부사는 이 역을 기준으로 도쿄 방면으로는 오미야, 우에노로 정차역이 고정되어 있으며 신아오모리 방면으로는 속달형, 각역정차 등 정차패턴이 다양해진다. (단 고마치랑 병결하는 하야부사는 모리오카역까지 무정차운행으로 고정되어 있음) | ||||||
148.다이노하라역 | ||||||
다이노하라역(일본어: 台原駅)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아오바구 다이노하라신린코엔에 있는 센다이 시 지하철 난보쿠 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N 05이다. 버스의 환승 지정역이다. | ||||||
149.도쇼구역 | ||||||
도쇼구역(일본어: 東照宮駅 도쇼구에키[*])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아오바구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센잔 선의 역이다. 예전에는, 이 역의 남서쪽에 센다이 철도의 도쇼구마에 역이 존재했다. | ||||||
150.도호쿠후쿠시다이마에 | ||||||
151.히로세도리역 | ||||||
히로세도리역(일본어: 広瀬通駅)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아오바구 혼초 2초메에 있는 센다이 시 지하철 난보쿠 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N 09이다. 부역명은 "이치반초 주오도리"이다. | ||||||
152.리쿠젠오치아이역 | ||||||
리쿠젠오치아이역(일본어: 陸前落合駅)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아오바구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센잔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53.리쿠젠시라사와역 | ||||||
리쿠젠시라사와역(일본어: 陸前白沢駅)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아오바구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센잔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54.이와키리역 | ||||||
이와키리역(일본어: 岩切駅)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미야기노구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며, 리후에 이르는 지선이 분기하고 있다. | ||||||
155.고즈루신덴역 | ||||||
고즈루신덴역(일본어: 小鶴新田駅, こづるしんでんえき)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미야기노구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156.나카노사카에역 | ||||||
나카노사카에역(일본어: 中野栄駅, なかのさかええき)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미야기노구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157.니가타케역 | ||||||
니가타케역(일본어: 苦竹駅, にがたけえき)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미야기노구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158.히가시센다이역 | ||||||
히가시센다이역(일본어: 東仙台駅)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미야기노구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다. | ||||||
159.히가시센다이 신호장 | ||||||
히가시센다이 신호장(일본어: 東仙台信号場)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미야기노구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도호쿠 본선의 신호장이다. | ||||||
160.후쿠다마치역 | ||||||
후쿠다마치역(일본어: 福田町駅)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미야기노구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센세키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61.미야기노도리역 | ||||||
미야기노도리역(일본어: 宮城野通駅)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미야기노구 쓰쓰지가오카 4초메에 있는 센다이 시 지하철 도자이 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T 08이다. | ||||||
162.미야기노하라역 | ||||||
미야기노하라역(일본어: 宮城野原駅, みやぎのはらえき)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미야기노구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163.리쿠젠타카사고역 | ||||||
리쿠젠타카사고역(일본어: 陸前高砂駅, りくぜんたかさごえき)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미야기노구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164.리쿠젠하라노마치역 | ||||||
리쿠젠하라노마치역(일본어: 陸前原ノ町駅, りくぜんはらのまちえき)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미야기노구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165.리쿠추 해안 국립공원 | ||||||
산리쿠 부흥 국립공원(三陸復興国立公園)은 일본 이와테현 북부에서 미야기현 북부에 이르는 해안선 일대를 차지하는 국립공원이다. 총 면적은 121.98 km2이다. 동일본의 국립공원 중에서는 유일하다고 할 수 있는 해안 공원이다. 1955년 5월 2일 지정되었다. 관리상으로는 북부의 미야코 지구와 남부의 오후나토 지구로 분할된다. 산리쿠 부흥 국립공원은 북부와 남부가 성격이 다르다. 북부는 전형적인 융기 해안을 이루어 높이 50~200m에 이르는 대규모 해식 절벽이 연속하고 그 사이에 모래 사장 해안을 볼 수 있다. 한편 미야코시 이남은 전형적인 리아스식 해안이며 육지의 침강에 의해서 형성된 것이다. | ||||||
166.미야기현 | ||||||
미야기현(일본어: 宮城県, みやぎけん 미야기켄[*])은 일본 도호쿠 지방 태평양 연안에 있는 현이고, 현청 소재지는 센다이시이다. | ||||||
167.센다이시 | ||||||
센다이시(일본어: 仙台市)는 미야기현의 현청 소재지이고, 도호쿠 지방의 중심 도시로서의 기능도 갖추고 있다. | ||||||
168.이시노마키시 | ||||||
이시노마키시(일본어: 石巻市)는 미야기현 동부 기타카미강 하구에 있는 시이다. 현에서 인구가 두 번째로 많은 도호쿠 지방 유수의 수산업 도시이다. 에도 시대에는 센다이번의 중요한 항구 도시로서도 번영했다. 2005년 4월 1일, 모노군(桃生郡) 모노 정(桃生町), 가난 정(河南町), 가호쿠 정(河北町), 기타카미 정(北上町), 오가쓰 정(雄勝町) 및 오시카 군(牡鹿郡) 오시카 정(牡鹿町)과 통합하여 새로운 이시노마키 시가 발족했다. 긴카 산 바다(산리쿠 바다)는 쿠로시오 해류(난류)와 쿠릴 해류(한류)가 만나 세계 3대 어장의 하나가 되고 있어 어장에 가까운 이시노마키는 일본에서도 유수한 수산 도시가 되고 있다. 시내의 만고쿠우라에서 굴의 양식법이 개발되어 전 세계로 퍼졌다. | ||||||
169.시오가마시 | ||||||
시오가마시(일본어: 塩竈市)는 미야기현에 위치한 시이다. 항구도시 및 무쓰국 이치노미야·시오가마 신사의 문전 마을로서 발전하고 있다. 竈자는 동일한 발음인 釜자로 간편하게 사용되기도 한다. | ||||||
170.게센누마시 | ||||||
게센누마시(일본어: 気仙沼市)는 미야기현 북동부의 태평양 연안에 위치하는 시이다. 리아스식 해안을 접하고 해류 영향으로 도호쿠 지방에서는 날씨가 따뜻한 편이다. 일본에서 유수한 원양 어업 기지이고, 고급 중국 요리의 재료인 상어 지느러미의 산지로도 알려져 있다. 이와테현과 경계선을 접하고 오후나토시, 리쿠젠타카타시 등 이와테 현 남동부와의 관계가 깊다. 고대에는 오후나토 시 등과 같은 게센 군(気仙郡)에 속했으므로 방언도 비슷하다(게센어). 2009년 9월 1일, 인접한 모토요시군(本吉郡) 모토요시정(本吉町)을 편입 합병했다. | ||||||
171.시로이시시 | ||||||
시로이시시(일본어: 白石市)는 일본 미야기현 최남단, 자오 연봉의 기슭에 위치하는 시이다. | ||||||
172.나토리시 | ||||||
나토리시(일본어: 名取市)는 일본 미야기현의 남부, 센다이시의 남동쪽으로 인접하는 시이다. 시내에 센다이 공항이 있다. | ||||||
173.가쿠다시 | ||||||
가쿠다시(일본어: 角田市)는 일본 미야기현 남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 ||||||
174.다가조시 | ||||||
다가조시(일본어: 多賀城市)는 일본 미야기현의 거의 중앙에 위치하는 시이다. 무쓰국 수도 다가 성이 놓여 미야기노, 미야기군, 미야기 현의 명칭의 유래가 되었다. 센다이시의 베드타운 중에서는 남쪽으로 접하는 나토리시에 뒤이은 인구를 가지고 인구도 증가 경향에 있다. 센다이 시의 북동쪽에 위치하고 시가지는 구릉 지대상에 있다. 1942년에 해군 공창이 설치된 이후 시 남부가 공업 입지로 발전했다. 센다이 항의 개항도 이것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센다이 시 중심부에서 철도로 연결되어 접근성이 좋아 베드 타운으로 자리매김했고 시 서부의 논지대에서는 주택지의 조성이 진행되고 있다. | ||||||
175.이와누마시 | ||||||
이와누마시(일본어: 岩沼市)는 일본 미야기현의 중동부에 있는 도시로, 아부쿠마강의 하구에 위치하였다. 옛 나토리 군에 해당한다. | ||||||
176.도메시 | ||||||
도메시(일본어: 登米市)는 일본 미야기현 북부에 있는 시이다.2005년 4월 1일, 도메 군(登米郡)의 하사마 정(迫町), 도요마 정(登米町), 도와 정(東和町), 나카다 정(中田町), 도요사토 정(豊里町), 요네야마 정(米山町), 이시코시 정(石越町), 미나미카타 정(南方町)와 모토요시군(本吉郡) 쓰야마 정(津山町)이 통합하여 인구 9만 여명의 시로서 발족했다. 센다이시에서 북쪽으로 약 70km의 거리에 있으며 이와테현과 경계선을 접하고 있다. 기타카미강 유역의 평야에 있고 옛날부터 쌀 산지로서 알려지고 있다. 시 동부는 기타카미 산지를 접하고 임업도 번성한다. | ||||||
177.구리하라시 | ||||||
구리하라시(일본어: 栗原市)는 미야기현 북서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시의 중심지는 에도 시대에 에도(현재의 도쿄)와 아오모리현을 잇는 오슈 가도(奥州街道, 현재의 국도 4호선)의 역참 마을로서 번창한 쓰키다테 지역이고, 시청도 통합하기 전의 쓰키다테 정 청사를 사용하고 있다. 시의 면적은 806.38km2로 미야기 현의 자치단체로서는 제일 크고, 이와테현 및 아키타현과의 경계에는 해발 1,627m의 구리코마 산(栗駒山)이 있다. 또 시내에는 철새가 날아 오는 이즈누마(伊豆沼)와 우치누마(内沼)도 있다. 안중근의 간수를 맡다가 이해자가 되고, 유묵을 평생 공양한 지바 도시치(千葉十七)의 출신지이기도 하고, 시내에 있는 다이린지(大林寺)에는 안중근과 지바 도시치의 기념비가 있다. | ||||||
178.히가시마쓰시마시 | ||||||
히가시마쓰시마시(일본어: 東松島市)는 미야기현 중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센다이시와 이시노마키시의 중간에 있고, 일본 삼경(日本三景)의 하나인 마쓰시마섬의 동쪽에 위치한다. | ||||||
179.오사키시 | ||||||
오사키시(일본어: 大崎市)는 미야기현 북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 ||||||
180.자오정 | ||||||
자오정 (자오마치)(일본어: 蔵王町)은 미야기현 남부 갓타군에 있는 정으로 자오 연봉의 기슭에 펼쳐진 정이다. | ||||||
181.시치카슈쿠정 | ||||||
시치카슈쿠정 (시치카슈쿠마치)(일본어: 七ヶ宿町)은 미야기현의 남서부, 자오 연봉 기슭에 있는 갓타군의 정이다. 미야기 현 남서부에 위치하고 후쿠시마현과 야마가타현에 접하고 있으며 자오 연봉의 남쪽에 위치하고 산이 많다. 주요 취락은 시로이시 강의 계곡을 따라 있다. 정명의 유래는 우슈 가도와 오슈 가도를 잇는 가도변으로 센다이 영내에 일곱 개의 역참이 놓인 것에 의한다. 이 가도는 시로이시 강가에 정을 동서로 가로지르며 현재는 국도 113호선이 되고 있다. 오우 본선 등의 개통으로 오우산맥 너머 주요 교통로로부터 벗어나면서 과소화가 진행되게 되었고 시치카슈쿠 댐에 의한 일부 지구의 수몰도 이것에 박차를 가했다. 1950년에 5,536명이었던 인구는 2005년에는 1,871명까지 감소했고 2020년엔 최근들어 1,248명으로 심각하게 감소하였다. 정의 북동부에 있는 조로 호는 관광지로 보트 등의 호반 관광을 하고 있다. 국도 399호선 가에 있는 이나코 지구는 다테 령의 국경 경비의 장소로 그 최하급 무사의 자손 등이 현재에도 거주하고 있다. | ||||||
182.오가와라정 | ||||||
오가와라정(오가와라마치)(일본어: 大河原町)은 일본 미야기현 시바타군의 정이다. 시로이시 강둑의 벚꽃으로 유명하며 이곳은 일본 벚꽃 명소 100선으로 지정되어 있으며 관광 이외에 광역 행정 기관이 갖추어진 센난의 행정 중심지이기도 하다. 또한 국도 4호선에 접하고 이 도로변을 중심으로 센난의 중심지로서 발전하고 있다. 또한 센다이 방면으로의 주택 지역화가 진행되고 있다. | ||||||
183.무라타정 | ||||||
무라타정(무라타마치)(일본어: 村田町)은 일본 미야기현 남부 시바타군의 정이다. 미치노쿠미야기의 소(小)교토 및 창고 마을로서 알려진 정이다. 또 "스포츠랜드 SUGO"를 가지고 있어 정내의 1 지명인 "스고"(SUGO)는 모터 스포츠계에서는 스즈카와 함께 매우 유명하다. | ||||||
184.시바타정 | ||||||
시바타정(일본어: 柴田町)은 일본 미야기현 남부 시바타군의 정이다. | ||||||
185.가와사키정 (미야기현) | ||||||
가와사키정 (가와사키마치)(일본어: 川崎町, '가와사키마치'라고 읽음)은 일본 미야기현 남부 시바타군의 정이다. | ||||||
186.마루모리정 | ||||||
마루모리정 (마루모리마치)(일본어: 丸森町, '마루모리 마치'라고 읽음)은 일본 미야기현 최남단에 위치하는 이구군의 정이다. | ||||||
187.와타리정 | ||||||
와타리정(일본어: 亘理町)은 일본 미야기현 남동부, 아부쿠마강 하구에 위치한 와타리군의 정이다. | ||||||
188.야마모토정 | ||||||
야마모토정(일본어: 山元町)은 미야기현 남부 와타리군에 있는 정이다. | ||||||
189.마쓰시마정 | ||||||
마쓰시마정 (마쓰시마마치)(일본어: 松島町)은 미야기현 중부에 위치하는 미야기군에 있는 정이다. 일본 삼경의 하나인 마쓰시마섬의 관광 거점으로서 알려진 정이다. | ||||||
190.시치가하마정 | ||||||
시치가하마정 (시치가하마마치)(일본어: 七ヶ浜町)은 미야기현 중부에 위치하는 미야기군의 정이다. 마쓰시마 구릉이 센다이 만에 돌출한 시치가하마 반도를 정역으로 한다. 일본 삼경 마쓰시마섬의 남부를 형성한다. | ||||||
191.리후정 | ||||||
리후정(일본어: 利府町)은 미야기현 중부에 위치하는 미야기군의 정이다. 센다이시의 북동쪽으로 인접하는 센엔 지구에 위치해 리후 선(도호쿠 본선의 지선)과 미야기 현도 8호 센다이 마쓰시마 선(통칭 리후 가도)에 의해서 센다이 시 도심부와 연결된다. 센다이 도시권 안에서는 신흥의 주택 지역이며 이온 리후 쇼핑센터를 중심으로 한 상업 집적에 의해서 센엔 지구의 상업 중심의 하나가 되고 있다. 또 마쓰시마 방면으로 빠지는 리후 가도나 고속도로 등이 지나는 교통의 요지이기도 하다. 정내의 아오야마에 미야기 현의 인구중심이 있다. | ||||||
192.다이와정 | ||||||
다이와정(일본어: 大和町)은 미야기현 중부, 구로카와군의 정이다. | ||||||
193.오사토정 | ||||||
오사토정(일본어: 大郷町)은 미야기현 중부에 위치하는 구로카와군의 정이다. | ||||||
194.오히라촌 | ||||||
오히라촌(일본어: 大衡村)은 미야기현 중부 구로카와군의 촌이다. 현내 유일한 촌이다. | ||||||
195.시카마정 | ||||||
시카마정(일본어: 色麻町)은 미야기현 북서부 가미군의 정이다. | ||||||
196.가미정 (미야기현) | ||||||
가미정(가미마치)(일본어: 加美町)은 일본 미야기현 북서부에 위치하는 가미군의 정이다. | ||||||
197.와쿠야정 | ||||||
와쿠야정(와쿠야마치)(일본어: 涌谷町)은 일본 미야기현 북부 도다군의 정이다. 일본에서 처음으로 금이 산출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198.미사토정 (미야기현) | ||||||
미사토정(미사토마치)(일본어: 美里町)은 일본 미야기현 북부 도다군의 정이다. | ||||||
199.오나가와정 | ||||||
오나가와정(오나가와마치)(일본어: 女川町)은 일본 미야기현 동부 오시카군의 정이다. 일본의 유수한 어항인 오나가와 항으로 알려져 있다. | ||||||
200.모토요시정 | ||||||
모토요시정(일본어: 本吉町)은 일본 미야기현 북동부 모토요시군에 있던 정이다. 2009년 9월 1일에 게센누마시에 편입했다. | ||||||
201.미나미산리쿠정 | ||||||
미나미산리쿠정(남산리쿠정)(일본어: 南三陸町,미나미산리쿠마치)은 일본 미야기현 북동부에 위치하고 태평양에 면하는 모토요시군의 정이다. | ||||||
202.산리쿠 연안 | ||||||
산리쿠 연안 또는 산리쿠 해안(일본어: 三陸海岸 산리쿠카이간[*])은 일본 도호쿠 지방에 있는 율령국이었던 리쿠오국, 리쿠추국, 리쿠젠국(산리쿠)에 걸치는 태평양 연안 지역을 의미한다. 21세기 현대에 와서 "산리쿠"라고 하면 보통 산리쿠 연안의 약칭을 말하는 것으로 세 율령국을 묶어 가리키는 예는 드물다.[1] 현대의 일본 행정구역으로는 북단의 아오모리현에서[2] 이와테현, 남쪽으로 미야기현 연안까지를 이르는 의미이다.[3] 지형학적으로는 기타카미 산지[4][5]가 해안선에 접하는 지역을 의미하는 것으로 아오모리현 동남쪽의 하치노헤시 사메카도 등대부터 해서 이와테현 연안을 걸쳐 미야기현 이시노마키시의 만고쿠우라까지 총 길이 600km의 해안을 의미한다.[6] | ||||||
203.마쓰시마섬 | ||||||
마쓰시마섬(松島)은 미야기현의 군도이다. 소나무(마쓰)로 덮인 260개의 작은 섬(시마)들로 이루어져 이런 이름이 붙었다. 일본 3대 절경 중 하나이다. 마쓰시마 섬에는 네 곳의 유명한 장소가 있는데 각각 장관(일본어: 壮観 소칸[*]), 여관(일본어: 麗観 레이칸[*]), 유관(일본어: 幽観 유칸[*]), 위관(일본어: 偉観 이칸[*])으로 불린다. 관광객들은 크루즈 선으로 섬들을 가까이 접근해 볼 수 있다. 마쓰시마정은 현도 센다이시로부터 약 30분의 짧은 거리에 있고 기차로 쉽게 접근이 가능하다. 마쓰시마 해안역은 주이간 사와 항구와 같은 관광지 주변에 있다. 마쓰시마 해안역은 센다이역으로부터 40분정도 소요되며 센세키라인으로 운영되며 열차는 간혹 최종 정착지가 마쯔시마 해안역보다 앞역인 경우 있으므로 주의할 필요가 있다. 마쓰시마 해안역 근처의 관광지중 후쿠우라지마섬은 5시경에 문을 닫는다. 도호쿠 본선의 마쓰시마역은 정의 반대편에 있다. | ||||||
204.긴카산섬 | ||||||
긴카산섬(金華山)은 일본 혼슈 도호쿠 지방 미야기현의 섬이다. 긴카산 해협을 사이에 두고 오시카반도와 마주보고 있다. 이 섬은 최고봉인 긴카산의 이름을 딴 섬이다. 이 섬 주변에는 타시로섬, 아지섬 등이 위치해 있다. 섬 전역이 산이며, 평지는 거의 없다. 해안에서부터 산 정상에 이르기까지 소나무와 해송, 전나무, 너도밤나무, 사슴, 일본원숭이 등이 서식한다. 이 섬의 최고봉은 445m이다. | ||||||
205.자오 연봉 | ||||||
자오 연봉(일본어: 蔵王連峰, ざおうれんぽう 자오 렌보[*]) 또는 자오산(일본어: 蔵王山)은 일본 혼슈섬 동북 지역의 오우산맥의 일부를 구성하는 능선이다. 과거에는 갓타미네(일본어: 刈田嶺), 와스레즈노산(일본어: 不忘山 와스레즈노야마[*])라고도 불리었다. ‘자오(蔵王)’라는 이름은 수험도의 본존인 장왕권현(자오곤겐)에서 온 것이다. 미야기현과 야마가타현의 경계 지역에 위치해 있으며 주봉은 야마가타 현측에 위치한 구마노다케 산(일본어: 熊野岳 구마노다케야마[*], 해발 1,841m)이다. 활화산 지대로, 여러 지역에 분화구와 칼데라, 온천이 존재하며, 스키장 등 레저 시설도 존재한다. 주 분화구는 오카마호이다. | ||||||
206.히요리산 (센다이시) | ||||||
히요리산(일본어: 日和山 (ひよりやま) 히요리야마[*])은 미야기현 센다이시 미야기노구에 있는, 표고 3 미터의 산이다. 1991년부터 1996년까지,[1] 그리고 2014년 4월 9일부터 다시 국토지리원에서 “일본에서 가장 낮은 산”으로 인증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 센다이시 북동단의 태평양 센다이만에 접한 장소에 있으며, 나나키타강 하구의 북측, 가모우 간석지 서측에 위치한 석가산이다. 옛날에는 해발 6.05 미터였고, 남북 약 40 미터, 동서 약 20 미터의 산괴를 가지고 소나무가 여러 그루 심어져 바다 쪽 조망이 좋아 해넘이 명소가 되기도 했다. 등산로는 남서측 사면에 1개 나 있고, 14개의 계단이 설치되어 있다. 쇼와시대에 히요리산 북쪽 기슭에 카와구치 신사가 천궁해왔다. | ||||||
207.이시노모리 만화관 | ||||||
이시노모리 만화관(石ノ森萬画館)은 일본 미야기현 이시노마키시에 있는 만화 박물관이다. 만화가 이시노모리 쇼타로의 기념관이다. 2001년 7월 23일 개관하였다. 2011년 3월 11일에 발생한 동일본 대지진의 영향을 받아 장기 휴관을 거쳐 2012년 11월 17일에 재개관하였다. | ||||||
208.센다이시 박물관 | ||||||
센다이시 박물관(仙台市博物館 센다이시 하쿠부쓰칸[*])은 일본 미야기현 센다이시 아오바구에 있는 박물관이다. 센다이뿐만 아니라 도호쿠 지방의 역사, 문화사, 미술, 공예자료를 전시하는 인문과학계 종합박물관이다. 다테씨 가문이 센다이시에 기증한 문화재를 보관 및 연구하기 위해서 1961년에 개관했다. | ||||||
209.기타카미강 | ||||||
기타카미강(일본어: 北上川 기타카미가와[*])은 일본 이와테현 및 미야기현을 흐르는 강이다. 총 길이는 249 km, 유역 면적 10,150 km2로 도호쿠 최대이며 일본 전체에서도 4번째에 들어간다. 이와테현 이와테군 이와테 정의 유하즈노이즈미에서 발원해 모리오카시, 하나마키시, 기타카미시, 오슈시, 이치노세키시 등을 지나며 북쪽에서 남쪽으로 흐른다. 미야기현 도메시에서 구 기타카미강과 홍수 방지를 위해 개착한 신 기타카미강이 나뉜다. 신 기타카미강은 동쪽으로 방향을 바꾸어 이시노마키시를 거쳐 옷파 만으로 흘러 들어간다. 구 기타카미강은 그대로 남쪽으로 흘러 이시노마키시의 이시마키만으로 흘러 들어간다. | ||||||
210.다케시마섬 (미야기현) | ||||||
다케시마섬(일본어: 竹島)은 일본 미야기현의 시즈가와 만에 있는 섬이다. 모토요시군 미나미산리쿠정에 속한다. 섬의 면적은 0.23ha이다. 주위가 낭떠러지 절벽으로 둘러싸여 있으며, 수십 명의 선녀가 내려왔다는 옛 전설이 있다. | ||||||
211.다시로섬 | ||||||
다시로섬(田代島 다시로지마[*])은 일본 미야기현 이시노마키시에 속하는 오시카반도 서쪽의 섬이다. 섬에는 오도마리와 니토다라는 2개의 마을이 있다. 고양이의 섬이라고 불릴 정도로 많은 고양이가 여기에 서식하고 있다.[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