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Undefined variable $parentDirName in /home/idscorp/kankou.org/public_html/function01.php on line 1862
명산품:아키타현관광 명소 목록 | 멋진 검색 일본

멋진 검색 일본

아키타현:성

1.구보타성
구보타성(일본어: 久保田城, くぼたじょう)은 아키타현 아키타시 센슈 공원 주변에 있는 평산성이다. 다른 이름으로는 야도메[1] 성(矢留城), 갓콘 성(葛根城:칡뿌리 성)이다. 또, 성이 있는 지명 때문에 아키타 성이라고 불리지만, 아키타 성은 8세기 중엽에 이 지역에 축성된 성으로 별개의 성이며 성이 있는 장소 또한 다르다.
2.아키타시라카미역
아키타시라카미역(일본어: あきた白神駅)은 일본 아키타현 야마모토군 핫포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3.이즈메역 (아키타현)
이즈메역(일본어: 飯詰駅)은 일본 아키타현 센보쿠 군 미사토 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4.이카와사쿠라역
이카와사쿠라역(일본어: 井川さくら駅)은 일본 아키타현 미나미아키타군 이카와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5.이와다테역
이와다테역(일본어: 岩館駅)은 일본 아키타현 야마모토군 핫포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6.인나이역
인나이역(일본어: 院内駅)은 일본 아키타현 유자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의 복합 구조를 갖춘 승강장을 가진 지상역이다. 오우 본선 내의 아키타 현 최남단의 역이다.
7.우고이즈카역
우고이즈카역(일본어: 羽後飯塚駅)은 일본 아키타현 가타가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8.오쿠보역 (아키타현)
오쿠보역(일본어: 大久保駅)은 일본 아키타현 가타가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9.오가역 (아키타현)
오가역(일본어: 男鹿駅)은 일본 아키타현 오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가 선의 철도역이자 이 노선의 종착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가도역
가도역(일본어: 鹿渡駅)은 일본 아키타현 야마모토군 미타네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11.가미하마역
가미하마역(일본어: 上浜駅 かみはまえき[*])은 일본 아키타현 니카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우에쓰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2.가미후타다역
가미후타다역(일본어: 上二田駅)은 일본 아키타현 가타가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3.가미유자와역
가미유자와역(일본어: 上湯沢駅)은 일본 아키타현 유자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4.기사카타역
기사카타역(일본어: 象潟駅 きさかたえき[*])은 일본 아키타현 니카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우에쓰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승강장 구조의 지상역이다.
15.기타카나오카역
기타카나오카역(일본어: 北金岡駅)은 일본 아키타현 야마모토군 미타네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6.고이카와역 (아키타현)
고이카와역(일본어: 鯉川駅)은 일본 아키타현 야마모토군 미타네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7.고사가와역
고사가와역(일본어: 小砂川駅 こさがわえき[*])은 일본 아키타현 니카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우에쓰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8.고산넨역
고산넨역(일본어: 後三年駅)은 일본 아키타현 센보쿠 군 미사토 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19.고노우라역
고노우라역(일본어: 金浦駅 このうらえき[*])은 일본 아키타현 니카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우에쓰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20.사와메역
사와메역(일본어: 沢目駅)은 일본 아키타현 야마모토군 핫포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1.시모유자와역
시모유자와역(일본어: 下湯沢駅)은 일본 아키타현 유자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2.다키노마역
다키노마역(일본어: 滝ノ間駅)은 일본 아키타현 야마모토군 핫포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3.데토하마역
데토하마역(일본어: 出戸浜駅)은 일본 아키타현 가타가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4.덴노역 (아키타현)
덴노역(일본어: 天王駅)은 일본 아키타현 가타가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5.니카호역
니카호역(일본어: 仁賀保駅 にかほえき[*])은 일본 아키타현 니카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우에쓰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26.하다치역
하다치역(일본어: 羽立駅)은 일본 아키타현 오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7.하치모리역
하치모리역(일본어: 八森駅)은 일본 아키타현 야마모토군 핫포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8.하치로가타역
하치로가타역(일본어: 八郎潟駅)은 일본 아키타현 미나미아키타군 하치로가타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29.히가시하치모리역
히가시하치모리역(일본어: 東八森駅)은 일본 아키타현 야마모토군 핫포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30.후타다역
후타다역(일본어: 二田駅)은 일본 아키타현 가타가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가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31.후나코시역
후나코시역(일본어: 船越駅)은 일본 아키타현 오가시에 동일본 여객철도 오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32.미쓰세키역
미쓰세키역(일본어: 三関駅)은 일본 아키타현 유자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33.모리타케역
모리타케역(일본어: 森岳駅)은 일본 아키타현 야마모토군 미타네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34.유자와역
유자와역(일본어: 湯沢駅)은 일본 아키타현 유자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35.요코보리역
요코보리역(일본어: 横堀駅)은 일본 아키타현 유자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36.와키모토역
와키모토역(일본어: 脇本駅)은 일본 아키타현 오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가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37.아키타역
아키타역(일본어: 秋田駅, あきたえき 아키타에키[*])은 일본 아키타현 아키타시에 있는 철도역이다.신칸센도 정차하며 통칭 미니 신칸센이라는 아키타 신칸센이 존재한다. 아키타 신칸센은 모리오카에서 분리되어 오마가리에서 스위치 백으로 정차하는 열차이다.
38.아키타 화물역
아키타 화물역(일본어: 秋田貨物駅)은 일본 아키타현 아키타시에 위치한 일본화물철도의 화물역이다. 오우 본선 소속으로, 아키타 현 최대의 화물역이다.
39.아라야역 (아키타현)
아라야역(일본어: 新屋駅)은 일본 아키타현 아키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우에쓰 본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40.이즈미소토아사히카와
41.우고우시지마역
우고우시지마역(일본어: 羽後牛島駅)은 일본 아키타현 아키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우에쓰 본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42.오이와케역 (아키타현)
오이와케역(일본어: 追分駅)은 일본 아키타현 아키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오우 본선의 소속역이며, 이 역을 기점으로 하는 오가 선의 시.종착역이기도 하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43.오바리노역
오바리노역(일본어: 大張野駅)은 일본 아키타현 아키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44.가쓰라네역
가쓰라네역(일본어: 桂根駅)은 일본 아키타현 아키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우에쓰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45.가미이지마역
가미이지마역(일본어: 上飯島駅)은 일본 아키타현 아키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46.시모하마역
시모하마역(일본어: 下浜駅 しもはまえき[*])은 일본 아키타현 아키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우에쓰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47.쓰치자키역
쓰치자키역(일본어: 土崎駅)은 일본 아키타현 아키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오이와케 역으로부터 노선 연장되는 오가 선의 열차도 정차하며, 또는 아키타코 역까지 연결하는 오우 본선의 화물 지선도 분기하고 있다.
48.요쓰고야역
요쓰고야역(일본어: 四ツ小屋駅)은 일본 아키타현 아키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49.와다역
와다역(일본어: 和田駅)은 일본 아키타현 아키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50.오기타역
오기타역(일본어: 扇田駅)은 일본 아키타현 오다테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나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51.오타키온센역
오타키온센역(일본어: 大滝温泉駅)은 일본 아키타현 오다테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나와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52.오다테역
오다테역(일본어: 大館駅)은 일본 아키타현 오다테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 일본화물철도의 철도역이다. 오우 본선의 소속역이며, 이 역을 기·종점으로 하는 하나와 선 등 2개의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53.사와지리역
사와지리역(일본어: 沢尻駅)은 일본 아키타현 오다테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나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54.시모카와조이역
시모카와조이역(일본어: 下川沿駅)은 일본 아키타현 오다테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55.주니쇼역
주니쇼역(일본어: 十二所駅)은 일본 아키타현 오다테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나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56.시라사와역 (아키타현)
시라사와역(일본어: 白沢駅)은 일본 아키타현 오다테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57.진바역
진바역(일본어: 陣場駅)은 일본 아키타현 오다테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갖춘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지닌 지상역이다.
58.하야구치역
하야구치역(일본어: 早口駅)은 일본 아키타현 오다테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59.히가시오다테역
히가시오다테역(일본어: 東大館駅)은 일본 아키타현 오다테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나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60.가즈노하나와역
가즈노하나와역(일본어: 鹿角花輪駅)은 일본 아키타현 가즈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나와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61.시바히라역
시바히라역(일본어: 柴平駅)은 일본 아키타현 가즈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나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62.스에히로역
스에히로역(일본어: 末広駅)은 일본 아키타현 가즈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나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63.도부카이역
도부카이역(일본어: 土深井駅)은 일본 아키타현 가즈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나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64.도와다미나미역
도와다미나미역(일본어: 十和田南駅)은 일본 아키타현 가즈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나와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65.하치만타이역
하치만타이역(일본어: 八幡平駅)은 일본 아키타현 가즈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나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66.유제온센역
유제온센역(일본어: 湯瀬温泉駅)은 일본 아키타현 가즈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나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67.리쿠추오사토역
리쿠추오사토역(일본어: 陸中大里駅)은 일본 아키타현 가즈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하나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68.다카노스역
다카노스역(일본어: 鷹ノ巣駅)은 일본 아키타현 기타아키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인접하고 있는 아키타 내륙 종관 철도 아키타 내륙선 다카노스역(일본어: 鷹巣駅)에 대해서도 기술한다.
69.누카자와역
누카자와역(일본어: 糠沢駅)은 일본 아키타현 기타아키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0.마에야마역
마에야마역(일본어: 前山駅)은 일본 아키타현 기타아키타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1.가쿠노다테역
가쿠노다테역(일본어: 角館駅, かくのだてえき 가쿠노다테에키[*])은 일본 아키타현 센보쿠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와 아키타 내륙 종관철도의 역이다. 동일본 여객철도의 다자와코 선, 아키타 신칸센과 아키타 내륙 종관철도의 아키타 내륙선을 이용할 수 있다.
72.사시마키역
사시마키역(일본어: 刺巻駅)은 일본 아키타현 센보쿠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다자와코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3.시도나이 신호장
시도나이 신호장(일본어: 志度内信号場)은 일본 아키타현 센보쿠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다자와코 선의 신호장이다.
74.쇼덴역
쇼덴역(일본어: 生田駅)은 일본 아키타현 센보쿠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다자와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5.진다이역
진다이역(일본어: 神代駅)은 일본 아키타현 센보쿠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다자와코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6.다자와코역
다자와코역(일본어: 田沢湖駅, たざわこえき 다자와코에키[*])은 일본 아키타현 센보쿠시에 있는 철도역으로 아키타 신칸센과 다자와코 선이 지난다.
77.우구이스노역
우구이스노역(일본어: 鶯野駅)은 일본 아키타현 다이센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다자와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8.우고사카이역
우고사카이역(일본어: 羽後境駅)은 일본 아키타현 다이센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9.우고나가노역
우고나가노역(일본어: 羽後長野駅)은 일본 아키타현 다이센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다자와코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80.우고요쓰야역
우고요쓰야역(일본어: 羽後四ツ屋駅)은 일본 아키타현 다이센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다자와코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81.오마가리역 (아키타현)
오마가리역(일본어: 大曲駅, おおまがりえき 오오마가리에키[*])은 일본 아키타현 다이센시에 있는 철도역으로 아키타 신칸센, 오우 본선, 다자와코 선이 교차한다.
82.가리와노역
가리와노역(일본어: 刈和野駅)은 일본 아키타현 다이센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83.기타오마가리역
기타오마가리역(일본어: 北大曲駅)은 일본 아키타현 다이센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다자와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84.진구지역
진구지역(일본어: 神宮寺駅)은 일본 아키타현 다이센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85.미네요시카와역
미네요시카와역(일본어: 峰吉川駅)은 일본 아키타현 다이센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며, 실질적으로는 1면 1선의 승강장을 운영하고 있다.
86.야리미나이역
야리미나이역(일본어: 鑓見内駅)은 일본 아키타현 다이센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다자와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87.기타노시로역
기타노시로역(일본어: 北能代駅)은 일본 아키타현 노시로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88.쓰루가타역
쓰루가타역(일본어: 鶴形駅)은 일본 아키타현 노시로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89.도미네역
도미네역(일본어: 富根駅)은 일본 아키타현 노시로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90.도리가타역
도리가타역(일본어: 鳥形駅)은 일본 아키타현 노시로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91.노시로역
노시로역(일본어: 能代駅)은 일본 아키타현 노시로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92.히가시노시로역
히가시노시로역(일본어: 東能代駅)은 일본 아키타현 노시로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 일본화물철도의 철도역이다. 오우 본선의 소속역이며, 이 역을 기점으로 하는 고노 선이 운행하는 등, 2개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93.후타쓰이역
후타쓰이역(일본어: 二ツ井駅)은 일본 아키타현 노시로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94.미나미노시로 신호장
미나미노시로 신호장(일본어: 南能代信号場)은 일본 아키타현 노시로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신호장이다. 기타카나오카역 보다 히가시노시로역 방향으로 약 3.1km에 있는 2개 선의 신호장이다. 본선 · 부본선과도 양방향에 출발신호기를 붙인 교착 구조로 되어 있다.
95.무카이노시로역
무카이노시로역(일본어: 向能代駅)은 일본 아키타현 노시로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96.이와키미나토역
이와키미나토역(일본어: 岩城みなと駅 いわきみなとえき[*])은 일본 아키타현 유리혼조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우에쓰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97.우고이와야역
우고이와야역(일본어: 羽後岩谷駅 うごいわやえき[*])은 일본 아키타현 유리혼조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우에쓰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98.우고카메다역
우고카메다역(일본어: 羽後亀田駅, うごかめだえき)은 일본 아키타현 유리혼조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우에쓰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99.우고혼조역
우고혼조역(일본어: 羽後本荘駅 うごほんじょうえき[*])은 일본 아키타현 유리혼조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 유리코겐 철도의 철도역이다. JR 동일본 우에쓰 본선의 소속역이며, 이 역을 기점으로 하는 유리코겐 철도의 조카이산로쿠 선 등 2개의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을 2개 합친 2면 4선 구조의 승강장이다.
100.오리와타리역
오리와타리역(일본어: 折渡駅 おりわたりえき[*])은 일본 아키타현 유리혼조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우에쓰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1.니시메역
니시메역(일본어: 西目駅 にしめえき[*])은 일본 아키타현 유리혼조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우에쓰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102.미치카와역
미치카와역(일본어: 道川駅 みちかわえき[*])은 일본 아키타현 유리혼조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우에쓰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103.아이노노역
아이노노역(일본어: 相野々駅)은 일본 아키타현 요코테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기타카미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4.구로사와역 (요코테시)
구로사와역(일본어: 黒沢駅)은 일본 아키타현 요코테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기타카미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5.고마쓰카와역
고마쓰카와역(일본어: 小松川駅)은 일본 아키타현 요코테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기타카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6.주몬지역
주몬지역(일본어: 十文字駅)은 일본 아키타현 요코테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 형태를 합친 2면 3선의 복합 승강장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7.다이고역 (아키타현)
다이고역(일본어: 醍醐駅)은 일본 아키타현 요코테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8.야나기타역
야나기타역(일본어: 柳田駅)은 일본 아키타현 요코테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우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9.요코테역
요코테역(일본어: 横手駅)은 일본 아키타현 요코테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오우 본선 소속 역이며, 기타카미 선의 종착역이기도 하다. 단선 2면 2선 · 섬식 1면 2선의 형태를 합친 3면 4선의 구조를 갖춘 복합 구조의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110.잘못된 제목
111.아키타현
아키타현(일본어: 秋田県, 문화어: 아끼따 현)은 일본 혼슈 북부의 동해 연안에 있는 현이다. 현청 소재지는 아키타시이다.
112.아키타시
아키타시(일본어: 秋田市, 문화어: 아끼다 시)는 도호쿠 지방의 북서부, 아키타현의 연안 중앙부에 있는 아키타현의 현청 소재지이다. 중핵시로 지정되어 있다.
113.노시로시
노시로시(일본어: 能代市)는 일본 아키타현 북부에 위치하고 동해에 접한 시이다. 노시로 공업 고등학교의 농구에서의 활약이 유명하며 1989년도부터 농구의 도시 조성 사업에 임하고 있다. 구 노시로 시는 2006년 3월 21일에 후타쓰이 정과 신설 합병해 새로운 노시로 시가 되었다.
114.요코테시
요코테시(일본어: 横手市)는 일본 아키타현 남부에 있는 시이다. 2005년 10월 1일, 구 요코테 시, 구 히라카 군에 속하는 마시타 정, 히라카 정, 오모노가와 정, 오모리 정, 주몬지 정, 산나이 촌, 다이유 촌이 합병해 새로운 요코테 시로서 발족하였다. 이것에 의해 아키타시에 뒤잇는 현내 제 2의 도시가 되었고 또 현청 소재지인 아키타 시를 제외하고 현내에서 유일하게 인구 10만의 도시가 되었다.
115.오다테시
오다테시(일본어: 大館市)는 일본 아키타현 북부에 위치하는 동해에 접한 시이다. 삼림 자원, 광산 자원이 풍부하며 특히 광산에서는 양질의 흑광이 산출된다.
116.오가시
오가시(일본어: 男鹿市)는 일본 아키타현 서부에 위치한 시이다. 동해와 맞닿아 있으며, 오가반도의 대부분을 점유하고 있다.
117.유자와시
유자와시(일본어: 湯沢市)는 일본 아키타현 남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예부터 아키타(우고국)의 남쪽의 관문으로서 발전해 왔다. 오노노 고마치가 탄생한 곳이자 아키타 미인의 본고장으로 여겨진다.
118.가즈노시
가즈노시(일본어: 鹿角市)는 일본 아키타현 북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옛날에는 '上津野'로 표기했다. 1970년대 초의 3정 1촌의 대형 합병에 의해 성립했고 헤이세이의 대합병 전에는 현내 최대의 면적을 자랑하고 있었지만 대합병 이후 유리혼조시나 기타아키타시, 센보쿠시 등에 추월당했다. 오유 환상렬석은 일본에서 매우 저명한 조몬 유적의 하나이다. 또 고분도 많이 남아 있다.
119.유리혼조시
유리혼조시(일본어: 由利本荘市)은 일본 아키타현의 남서부에 위치하고 동해에 면한 시이다.
120.가타가미시
가타가미시(일본어: 潟上市)는 일본 아키타시의 북서부, 오가시의 남동부에 위치한 아키타현의 시이다.
121.다이센시
다이센시(일본어: 大仙市)는 일본 아키타현 남동부에 위치한 시이며 2005년 3월 22일에 오마가리 센보쿠 지역의 8 시정촌이 합병해 탄생한 시이다. 도쿄 23구보다 넓은 면적을 가진다. 현 중앙부에 펼쳐진 데와 산지로부터 일본 유수의 곡창지대인 요코테 분지 북부의 센보쿠 평야, 오우산맥의 마히루 산지까지 광범위하게 걸쳐 위치한다. 그 때문에 하나의 시이지만 8개의 지역마다 여러 가지 문화나 자연을 보인다. 그 중에서 오마가리 지구는 시의 중심부로 다이센 시청이 놓여 있으며 국가나 현의 각 행정파견 기관도 오마가리 지구에 집중해 존재한다. 또한 교통의 요충지로 지역의 주요한 도로와 철도가 집중한다. 그리고 매년 8월에는 오모노 강 하천 부지 운동 공원에서 전국 불꽃 경기 대회가 열려 일본 각지로부터 수십만 명의 사람들이 방문한다.
122.기타아키타시
기타아키타시(일본어: 北秋田市)는 일본 아키타현 남부에 있는 시이다. 아키타 현내에서는 유리혼조시에 이어 2번째로 면적이 넓다.
123.니카호시
니카호시(일본어: にかほ市)는 일본 아키타현 남서부의 시이다.
124.센보쿠시
센보쿠시(일본어: 仙北市)는 일본 아키타현의 시이다.
125.고사카정
고사카정(일본어: 小坂町)은 일본 아키타현의 북부에 위치한 가즈노군의 정이다.
126.가미코아니촌
가미코아니촌(일본어: 上小阿仁村)은 일본 아키타현 중앙부에 위치하는 기타아키타군의 촌이다. 아키타 현의 시정촌 중에서 가장 인구가 적고 가장 고령화, 과소화, 공동화가 진행되고 있다.
127.후지사토정
후지사토정 (후지사토마치)(일본어: 藤里町)은 일본 아키타현 북단에 있는 야마모토군의 정이다.
128.미타네정
미타네정(일본어: 三種町)은 일본 아키타현 북서부에 위치하는 야마모토군의 정이다. 군 남부의 고토오카 정(琴丘町), 야마모토 정(山本町), 하치류 정(八竜町)의 3정촌의 합병에 의해 2006년 3월 20일에 성립했다. 정명인 '미타네'는 3정을 흐르는 미타네 강에서 유래한 것이다. 야마모토 지역의 순채의 생산량은 일본 제일이다.
129.핫포정
핫포정(일본어: 八峰町)은 일본 아키타현 북부에 위치하는 야마모토군의 정이다.
130.고조메정
고조메정 (고조메마치)(일본어: 五城目町)은 일본 아키타현 중앙부 위치하는 미나미아키타군의 정이다.
131.하치로가타정
하치로가타정 (하치로가타마치)(일본어: 八郎潟町)은 일본 아키타현 중앙부에 위치하는 미나미아키타군의 정이다.
132.이카와정
이카와정 (이카와마치)(일본어: 井川町)은 일본 아키타현 중앙부에 위치하는 미나미아키타군의 정이다.
133.오가타촌
오가타촌(일본어: 大潟村)은 일본 아키타현의 중앙부에 위치한 미나미아키타군의 촌이다. 일본 최대의 간척지로 마을의 전역이 한 때 일본의 호수로서 2번째의 면적을 자랑하던 하치로호의 간척에 의한 토지이다.
134.미사토정 (아키타현)
미사토정(일본어: 美郷町)은 일본 아키타현 중동부의 센보쿠군의 정이다.
135.우고정
우고정 (우고마치)(일본어: 羽後町)은 일본 아키타현 남부에 위치하는 오가치군의 정이다. 주위는 산에 둘러싸여 있고 옛날에는 오노데라 씨의 성시로서 발전했다. 현내 굴지의 폭설 지대이며 산간부의 적설량은 2m를 넘는 경우도 자주 있다. 주요 산업은 농업으로 아키타코마치(쌀 품종의 하나)의 생산량이 많고 구로게와슈(일본의 검은 소)로 대표되는 축산업도 번성하고 있다.
136.히가시나루세촌
히가시나루세촌(일본어: 東成瀬村)은 일본 아키타현 남동단에 위치한 오가치군의 촌이다. 촌은 크게 나누어 다고나이 지구, 이와이카와 지구, 쓰바키가와 지구의 3 지구로 나뉜다. 촌사무소 소재지는 다고나이 지구이다.
137.기리탄포
기리탄포(きりたんぽ)는 반 정도 으깬 밥을 지쿠와처럼 나무막대에 원통형으로 붙인 뒤 구운 일본 아키타현의 향토음식이다. 닭고기, 채소 등과 같이 끓여 먹기도 하고, 왜된장을 발라 먹기도 한다.
138.물방개
물방개 또는 선두리(영어: Diving beetle, 학명: Cybister chinensis, 문화어: 기름도치)는 대한민국에 서식하는 물방개과의 곤충 중 가장 큰 종이다. 한자어로는 용슬(龍蝨) 또는 지별충(地鱉蟲)이라고 한다. 과거에는 ‘선두리’만 단수(單數) 표준어였고, ‘물방개’는 방언이었지만, 이제는 ‘물방개·선두리’가 복수(複數) 표준어이다.[2] 옛말로는 쌀방개라고도 한다.물가에서 서식하는 진수서군곤충으로, 배의 제1-3배마디 복판이 서로 붙었고, 뒷다리 밑마디는 제1배마디와 유합하여 움직일 수 없으며, 몸길이는 약 3.5~4.5cm이다. 등딱지는 흑록색 내지 청록색이며 금색 옆줄이 있고 수컷은 광택이 있는 반면 암컷은 거칠다. 턱판과 더듬이 등 여타 신체 구조는 황갈색을 띤다. 호흡을 위해 꽁무니의 구멍을 물 밖에 내밀고 산소를 얻거나 물에 있는 산소를 얻는다. 공기 방울을 딱지날개와 등판 사이에 있는 공간 속에 저장할 수도 있다. 다리에는 털이 있으며 특히 뒷다리에 많아 뒷다리로 물 속에서 헤엄치거나 자맥질할 추진력을 얻는다. 붙들려 있으려는 습성이 있어 그물에 딸려 붙기도 하며 서로 엉겨붙어서 헤엄을 치기도 한다. 유충시기 먹이는 장구벌레, 송사리, 올챙이 등이다. 성충은 육식성으로, 살아있는 것, 죽은 것 가리지 않고 모두 잡아먹는다. 천적은 새와 두꺼비 등이며 위험을 느끼면 도망치기 위해 머리 뒤쪽에서 악취를 띤 물질을 분비해 달아나기도 한다.
139.순채
순채(蓴菜, Brasenia schreberi)는 동아시아와 인도 등에 분포하는 여러해살이 수생식물로 뿌리줄기가 옆으로 뻗으면서 길게 자라서 잎이 수면에 뜬다. 잎은 어긋나고 타원형이며, 뒷면은 자줏빛이 돌고 중앙에 잎자루가 달린다. 잎이 자랄 때는 어린 줄기와 더불어 우무 같은 점질로 둘러싸인다. 꽃은 5-8월에 피고 검은 홍자색으로 잎겨드랑이에서 자란 긴 꽃대 끝에 1개씩 달리며 지름 약 2cm이다. 열매는 난형이며 꽃받침과 암술대가 남아 있다. 우무 같은 점질로 싸인 어린순을 식용으로 한다.
140.대게
대게(Chionoecetes opilio, 영어: opilio crab 또는 opies)는 대게과에 속하는 게로, 경상북도 영덕군과 울진군에서 많이 발견되며 흔히 영덕게로 알려져 있다. 갑각은 나비 13~15cm, 둥근 삼각형으로 한국에서 나는 게 중 가장 크다. 다리가 길고 몸이 커서 맛이 좋으므로 중요한 수산자원이다. 이마에 솟은 돌기는 넓고 짧으며, 걷는다리의 마디는 납작하다. 일반적으로 수컷이 암컷보다 훨씬 크다. 한류성 게로 30~1.800m 깊이의 진흙 또는 모래바닥에서 산다. 한국·일본·캄차카반도·알래스카·그린란드 등지에 분포한다.
141.도루묵
도루묵(문화어: 도루메기; Arctoscopus japonicus, 영어: sailfin sandfish 또는 Japanese sandfish)은 도루묵과에 속하는 물고기이다. 몸은 회색이며, 옆으로 납작하다. 체고가 가장 높은 지점은 제1등지느러미 앞쪽이다.[1] 아래턱이 앞으로 튀어나와서, 입이 위쪽을 향하며, 입에는 작은 이빨이 나있다. 비늘이 없으며, 몸길이는 20 cm 정도이다.

Back to TOP

회사소개/문의/회사/개인정보취급방침/면책조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