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Undefined variable $parentDirName in /home/idscorp/kankou.org/public_html/function01.php on line 1862
명산품:도야마현관광 명소 목록 | 멋진 검색 일본

멋진 검색 일본

도야마현:성

1.다카오카성
다카오카성(일본어: 高岡城 다카오카조[*])은 도야마현 다카오카시 고조에 있었던 평성이다. 현재 다카오카 고성 공원(高岡古城公園)으로 정비되어 있다.
2.덴진 산성 (도야마현)
덴진 산성(일본어: 天神山城 덴진야마조[*])은 도야마현 우오즈시 덴진 산에 있었던 산성으로 하기 성(萩城)이라는 이명을 가지고 있다.
3.도야마성
도야마성(일본어: 富山城, とやまじょう 도야마조[*])은 도야마현 도야마시 마루노우치에 있는 제곽식 평성이다. 일본인 음악가 다키 렌타로의 《황성의 달》(荒城の月)의 제재가 된 성중 하나라고 한다. 안주성(安住城) 또는 우키조(浮城)라고도 불린다. 현재 성터는 도야마 성터 공원(富山城址公園)으로 정비되어 있다.
4.마쓰쿠라성 (도야마현)
마쓰쿠라성(일본어: 松倉城 마쓰쿠라조[*])은 도야마현 우오즈시에 있었던 산성이다. 이명으로는 시카쿠마 성(鹿熊城)으로 불리고 있다. 도야마 현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5.아이노키역
아이노키역(일본어: 相ノ木駅)은 일본 도야마현 나카니카와군 가미이치정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이 날, 도야마 전기 철도의 우오즈역 (현재의 신우오즈 역) - 니시밋카이치 역(현재의 덴테쓰쿠로베 역)이 개통해, 같은 구간에 역명을 가진 교덴 역이 개업.
6.아부라덴역
아부라덴역(일본어: 油田駅)은 일본 도야마현 도나미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조하나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이스루기역
이스루기역(일본어: 石動駅, いするぎえき)은 일본 도야마현 오야베시에 있는 아이노카제토야마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8.우오즈역
우오즈역(일본어: 魚津駅)은 일본 도야마현 우오즈시에 위치한 아이노카제토야마 철도 · 일본화물철도의 철도역이다. 도야마 지역 철도부가 관리하는 직영역으로, 호쿠리쿠 본선의 특급 열차 대부분이 정차한다. 아이노카제토야마 철도 「우오즈 역」과 도야마 지방 철도 「신우오즈 역」의 환승이 가능하다(지하도로 접속, 엘리베이터 있음). 본 항목에서는, 당 역 서쪽 출구에 있으며, 예전에 동일한 역명이었던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신우오즈역(일본어: 新魚津駅)에 대해서도 기술한다.
9.엣추이즈미역
엣추이즈미역(일본어: 越中泉駅)은 일본 도야마현 나카니카와군 다테야마정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엣추나카무라역
엣추나카무라역(일본어: 越中中村駅)은 일본 도야마현 나메리카와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바로 서쪽에, 아이노카제토야마 철도가 병행 · 통과함. 역 남쪽 500m에는 히가시나메리카와역이 있으나, 역 과는 연결되지 않음.
11.엣추후나하시역
엣추후나하시역(일본어: 越中舟橋駅)은 일본 도야마현 나카니카와군 후나하시촌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2.엣추미야자키역
엣추미야자키역(일본어: 越中宮崎駅, えっちゅうみやざきえき)은 일본 도야마현 시모니카와군 아사히정에 있는 아이노카제토야마 철도의 철도역이다.
13.가미이치역
가미이치역(일본어: 上市駅)은 일본 도야마현 나카니카와군 가미이치정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두단식 승강장 2면 3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4.교덴역
교덴역(일본어: 経田駅)은 일본 도야마현 우오즈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5.시마오역
시마오역(일본어: 島尾駅)은 일본 도야마현 히미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히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6.신아이노키역
신아이노키역(일본어: 新相ノ木駅)은 일본 도야마현 나카니카와군 가미이치정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7.신미야카와역
신미야카와역(일본어: 新宮川駅)은 일본 도야마현 나카니카와군 가미이치정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8.덴테쓰우오즈역
덴테쓰우오즈역(일본어: 電鉄魚津駅)은 일본 도야마현 우오즈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19.도나미역
도나미역(일본어: 砺波駅)은 일본 도야마현 도나미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조하나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0.도마리역 (도야마현)
도마리역(일본어: 泊駅, とまりえき)은 일본 도야마현 시모니카와군 아사히정에 있는 철도역이다. 아이노카제토야마 철도가 운영한다. 아이노카제토야마 철도의 철도역 가운데 하나이나 대부분의 아이노카제토야마 철도 열차는 당역까지 운행되며 이토이가와 방면은 기본적으로 에치고토키메키 철도 니혼카이 히스이 라인 열차가 운행된다. JR 시절은 일부 특급·급행 열차가 정차하며, 오하요 익스프레스가 이곳에서 출발한다. 또한 가나자와·도야마 방면에서 온 일부 열차가 도마리 역에 종착한 뒤 회차한다.
21.나카카즈미역
나카카즈미역(일본어: 中加積駅)은 일본 도야마현 나메리카와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2.나카나메리카와역
나카나메리카와역(일본어: 中滑川駅)은 일본 도야마현 나메리카와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섬식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23.나메리카와역
나메리카와역(일본어: 滑川駅, なめりかわえき)은 일본 도야마현 나메리카와시에 있는 아이노카제토야마 철도·도야마 지방 철도의 철도역이다.
24.니시우오즈역
니시우오즈역(일본어: 西魚津駅)은 일본 도야마현 우오즈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5.니시카즈미역
니시카즈미역(일본어: 西加積駅)은 일본 도야마현 나메리카와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6.니시나메리카와역
니시나메리카와역(일본어: 西滑川駅)은 일본 도야마현 나메리카와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7.니시뉴젠역
니시뉴젠역(일본어: 西入善駅, にしにゅうぜんえき)은 일본 도야마현 시모니카와군 뉴젠정에 있는 아이노카제토야마 철도의 철도역이다.
28.뉴젠역
뉴젠역(일본어: 入善駅, にゅうぜんえき)은 일본 도야마현 시모니카와군 뉴젠정에 있는 아이노카제토야마 철도의 철도역이다.
29.하마카즈미역
하마카즈미역(일본어: 浜加積駅)은 일본 도야마현 나메리카와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바로 옆쪽에, 아이노카제토야마 철도가 병행 · 통과함.
30.하야쓰키카즈미역
하야쓰키카즈미역(일본어: 早月加積駅)은 일본 도야마현 나메리카와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31.히가시나메리카와역
히가시나메리카와역(일본어: 東滑川駅, ひがしなめりかわえき)은 일본 도야마현 나메리카와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32.히가시노지리역
히가시노지리역(일본어: 東野尻駅)은 일본 도야마현 도나미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조하나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33.히미역
히미역(일본어: 氷見駅)은 일본 도야마현 히미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히미선의 철도역이다. 이 노선의 종착역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34.엣추다이몬역
엣추다이몬역(일본어: 越中大門駅, えっちゅうだいもんえき)은 일본 도야마현 이미즈시에 있는 아이노카제토야마 철도의 철도역이다.
35.고스기역 (이미즈시)
고스기역(일본어: 小杉駅, こすぎえき)은 일본 도야마현 이미즈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36.아이모토역 (도야마현)
아이모토역(일본어: 愛本駅)은 일본 도야마현 구로베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37.이쿠지역
이쿠지역(일본어: 生地駅, いくじえき)은 일본 도야마현 구로베시에 있는 아이노카제토야마 철도의 철도역이다.
38.우치야마역
우치야마역(일본어: 内山駅)은 일본 도야마현 구로베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39.우나즈키온센역
우나즈키온센역(일본어: 宇奈月温泉駅)은 일본 도야마현 구로베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이 노선의 종착역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40.우라야마역
우라야마역(일본어: 浦山駅)은 일본 도야마현 구로베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41.오규역
오규역(일본어: 荻生駅)은 일본 도야마현 구로베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42.오토자와역
오토자와역(일본어: 音沢駅)은 일본 도야마현 구로베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43.오리타테역
오리타테역(일본어: 下立駅)은 일본 도야마현 구로베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44.오리타테구치역
오리타테구치역(일본어: 下立口駅)은 일본 도야마현 구로베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45.구로베역
구로베역(일본어: 黒部駅, くろべえき)은 일본 도야마현 구로베시에 있는 아이노카제토야마 철도의 철도역이다. 일부 특급 열차가 정차하며, 도야마 방면에서 온 일부 열차가 회차하기도 한다.
46.구로베우나즈키온센역
구로베우나즈키온센역(일본어: 黒部宇奈月温泉駅)은 일본 도야마현 구로베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호쿠리쿠 신칸센의 철도역이다. 본 항목에서는, 당 역에 인접해, 예전 호쿠리쿠 신칸센 건설에 의한 구로베 시내의 역 정비 계획에 기준해서, 구로베우나즈키온센 역과 대부분 같은 시기에 설치되었던,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신쿠로베역(일본어: 新黒部駅)에 대해서도 다룬다.
47.시타야마역
시타야마역(일본어: 舌山駅)은 일본 도야마현 구로베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48.덴테쓰이시다역
덴테쓰이시다역(일본어: 電鉄石田駅)은 일본 도야마현 구로베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49.덴테쓰쿠로베역
덴테쓰쿠로베역(일본어: 電鉄黒部駅)은 일본 도야마현 구로베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3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50.도치야역
도치야역(일본어: 栃屋駅)은 일본 도야마현 구로베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51.나가야역
나가야역(일본어: 長屋駅)은 일본 도야마현 구로베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52.히가시밋카이치역
히가시밋카이치역(일본어: 東三日市駅)은 일본 도야마현 구로베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53.와카구리역
와카구리역(일본어: 若栗駅)은 일본 도야마현 구로베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54.아마하라시역
아마하라시역(일본어: 雨晴駅)은 일본 도야마현 다카오카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히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55.엣추코쿠부역
엣추코쿠부역(일본어: 越中国分駅)은 일본 도야마현 다카오카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히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56.엣추나카가와역
엣추나카가와역(일본어: 越中中川駅)은 일본 도야마현 다카오카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히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57.신타카오카역
신타카오카역(일본어: 新高岡駅)은 일본 도야마현 다카오카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호쿠리쿠 신칸센 개통 이전엔 조하나 선이 정차했었지만, 2015년 3월 14일을 기점으로 호쿠리쿠 신칸센이 가나자와역까지 개통하게 되면서 정차하게 되었다. 신칸센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이며, 재래선인 조하나 선의 승강장은 1면 1선의 단선 승강장이다.
58.다카오카역 (도야마현)
다카오카역(일본어: 高岡駅, たかおかえき)은 일본 도야마현 다카오카시에 있는 철도역이다.
59.다카오카야부나미역
다카오카야부나미역(일본어: 高岡やぶなみ駅)은 일본 도야마현 다카오카시에 있는 아이노카제토야마 철도의 철도역이다.
60.도이데역
도이데역(일본어: 戸出駅)은 일본 도야마현 다카오카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조하나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61.니시타카오카역
니시타카오카역(일본어: 西高岡駅, にしたかおかえき)은 일본 도야마현 다카오카시에 있는 아이노카제토야마 철도의 철도역이다.
62.노마치역
노마치역(일본어: 能町駅)은 일본 도야마현 다카오카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 일본화물철도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63.하야시역
하야시역(일본어: 林駅)은 일본 도야마현 다카오카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조하나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64.후쿠오카역
후쿠오카역(일본어: 福岡駅, ふくおかえき)은 일본 도야마현 다카오카시에 있는 아이노카제토야마 철도의 철도역이다. 역명과는 달리 후쿠오카현 소재 역이 아니다.
65.후시키역
후시키역(일본어: 伏木駅)은 일본 도야마현 다카오카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 일본화물철도 히미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66.후타쓰카역
후타쓰카역(일본어: 二塚駅)은 일본 도야마현 다카오카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조하나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67.이와쿠라지역
이와쿠라지역(일본어: 岩峅寺駅)은 일본 도야마현 나카니카와군 다테야마정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의 철도역이다. 다테야마 선과 가미다키 · 후지코시 선의 접속역이자, 급행 정차역이다.상대식 · 섬식 3면 4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68.에노키마치역
에노키마치역(일본어: 榎町駅)은 일본 도야마현 나카니카와군 다테야마정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다테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69.가마가후치역
가마가후치역(일본어: 釜ヶ淵駅)은 일본 도야마현 나카니카와군 다테야마정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다테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0.고햐쿠코쿠역
고햐쿠코쿠역(일본어: 五百石駅)은 일본 도야마현 나카니카와군 다테야마정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다테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1.사와나카야마역
사와나카야마역(일본어: 沢中山駅)은 일본 도야마현 나카니카와군 다테야마정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다테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2.시타단역
시타단역(일본어: 下段駅)은 일본 도야마현 나카니카와군 다테야마정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다테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3.다조에역
다조에역(일본어: 田添駅)은 일본 도야마현 나카니카와군 다테야마정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다테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4.다테야마역 (도야마현)
다테야마역(일본어: 立山駅)은 일본 도야마현 나카니카와군 다테야마정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 다테야마 쿠로베 관광의 철도역이다. 도야마 지방 철도의 다테야마 선과 다테야마 쿠로베 관광의 다테야마 케이블 카의 기.종점역이다. 도야마 지방 철도의 경우 2면 2선 구조의 상대식 승강장, 다테야마 쿠로베 관광은 2면 1선의 두단식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75.지가키역
지가키역(일본어: 千垣駅)은 일본 도야마현 나카니카와군 다테야마정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다테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6.지고즈카역
지고즈카역(일본어: 稚子塚駅)은 일본 도야마현 나카니카와군 다테야마정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다테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7.데라다역 (도야마현)
데라다역(일본어: 寺田駅)은 일본 도야마현 나카니카와군 다테야마정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의 철도역이다.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소속역이며, 이 역을 기점으로 하는 다테야마 선 등 2개의 노선이 운행 중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하나 더 합친 4면 4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8.요코에역
요코에역(일본어: 横江駅)은 일본 도야마현 나카니카와군 다테야마정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다테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9.아사나마치역
아사나마치역(일본어: 朝菜町駅)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가미다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80.아리미네구치역
아리미네구치역(일본어: 有峰口駅)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다테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81.이나리마치역
이나리마치역(일본어: 稲荷町駅)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의 철도역이다.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과 후지코시 선 등 2개의 노선이 운행 중이며, 단선 · 상대식의 형태를 합친 3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82.이노타니역
이노타니역(일본어: 猪谷駅)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다카야마 본선의 역이다. JR 경계역의 하나로, 도카이 여객철도의 열차도 상호 운행한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83.엣추에바라역
엣추에바라역(일본어: 越中荏原駅)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84.엣추산고역
엣추산고역(일본어: 越中三郷駅)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85.엣추야쓰오역
엣추야쓰오역(일본어: 越中八尾駅)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다카야마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86.오이즈미역 (도야마현)
오이즈미역(일본어: 大泉駅)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후지코시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87.오쇼역
오쇼역(일본어: 大庄駅)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가미다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88.가이하쓰역
가이하쓰역(일본어: 開発駅)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가미다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89.가미다키역
가미다키역(일본어: 上滝駅)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가미다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90.가미호리역
가미호리역(일본어: 上堀駅)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가미다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91.구레하역
구레하역(일본어: 呉羽駅, くれはえき)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있는 아이노카제토야마 철도의 철도역이다.
92.고스기역 (도야마시)
고스기역(일본어: 小杉駅)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가미다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93.사사즈역
사사즈역(일본어: 笹津駅)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위치하는 서일본 여객철도 다카야마 본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94.신조타나카역
신조타나카역(일본어: 新庄田中駅)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95.신토야마구치역
신토야마구치역(일본어: 新富山口駅, しんとやまぐちえき)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있는 아이노카제토야마 철도의 철도역이다.
96.다이센지역
다이센지역(일본어: 大川寺駅)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가미다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97.지사토역 (도야마현)
지사토역(일본어: 千里駅)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다카야마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가진 지상역이다.
98.쓰키오카역 (도야마현)
쓰키오카역(일본어: 月岡駅)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가미다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99.도야마역
도야마역(일본어: 富山駅, とやまえき)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아이노카제토야마 철도의 철도역이다. 이 문서에서는 도야마 라이트 레일의 도야마코선 도야마역 기타 및, 도야마 지방 철도의 철도노선 덴테쓰도야마역, 궤도노선 도야마역앞도 함께 기술한다.
100.도야마카모쓰역
도야마화물역(일본어: 富山貨物駅, とやまかもつえき)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있는 일본화물철도의 철도역이다. 12 ft급 컨테이너, 20 ft·30 ft급 대형 컨테이너, 20 ft급 ISO 규격 해상 컨테이너 등을 취급한다. 또한 우오즈 오프 레일 스테이션 (ORS)·오미 오프 레일 스테이션에서 모여 들어온 컨테이너 화물도 취급한다. 그 밖에, 산업폐기물과 특별관리 산업폐기물 등의 취급 면허도 보유하고 있다. 본선은 남쪽 방향에 부설되어 있으며, 각종 측선과 설비들은 그 동쪽에 있다. 컨테이너 하적장이 두개 설치되어 있다. 착발선과 화물용 1·2번선의 승강장은 서쪽에, 화물용 4번선의 승강장은 동쪽에 있다. 또한 화물용 1번선은 선로 한쪽 방향이 끊겨있다.
101.니시토야마역
니시토야마역(일본어: 西富山駅)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다카야마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2.니레하라역
니레하라역(일본어: 楡原駅)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다카야마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3.누노이치역
누노이치역(일본어: 布市駅)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가미다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4.하야호시역
하야호시역(일본어: 速星駅)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다카야마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105.히가시신조역
히가시신조역(일본어: 東新庄駅)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6.히가시토야마역
히가시토야마역(일본어: 東富山駅, ひがしとやまえき)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있는 아이노카제토야마 철도의 철도역이다.
107.히가시야쓰오역
히가시야쓰오역(일본어: 東八尾駅)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다카야마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8.후지코시역
후지코시역(일본어: 不二越駅)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후지코시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9.후추우사카역
후추우사카역(일본어: 婦中鵜坂駅)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다카야마 본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며, 정류소 형태의 임시 승강장이다.
110.혼구역
혼구역(일본어: 本宮駅)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 다테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11.미즈하시역
미즈하시역(일본어: 水橋駅, みずはしえき)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있는 아이노카제토야마 철도의 철도역이다.
112.미나미토야마역
미나미토야마역(일본어: 南富山駅)은 일본 도야마현 도야마시에 위치한 도야마 지방 철도의 철도역이다. 도야마 지방 철도 후지코시 선과 가미다키 선의 시.종착역이며, 도야마 시내 궤도선이 시작되는 역이기도 하다. 이 항목에서는, 미나미토야마에키마에역(일본어: 南富山駅前駅)에 대해서도 기술한다.
113.엣추야마다역
엣추야마다역(일본어: 越中山田駅)은 일본 도야마현 난토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조하나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14.조하나역
조하나역(일본어: 城端駅)은 일본 도야마현 난토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조하나 선의 철도역이다. 이 노선의 종점이기도 하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15.다카기역 (도야마현)
다카기역(일본어: 高儀駅은 일본 도야마현 난토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조하나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16.히가시이시구로역
히가시이시구로역(일본어: 東石黒駅)은 일본 도야마현 난토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조하나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17.후쿠노역 (도야마현)
후쿠노역(일본어: 福野駅)은 일본 도야마현 난토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조하나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18.후쿠미쓰역
후쿠미쓰역(일본어: 福光駅)은 일본 도야마현 난토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조하나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19.주부 산악 국립공원
주부 산악 국립공원(中部山岳国立公園)은 일본 나가노현, 기후현, 도야마현, 니가타현에 걸쳐있는 히다산맥(북알프스)을 중심으로 하는 국립 공원이다. 총 면적은 1743.23 km2이다. 1934년 12월 4일에 다이세쓰 산 국립공원, 아칸 국립공원, 닛코 국립공원, 아소 국립공원(현 아소쿠주 국립공원)과 함께 지정되었다. 가미코치, 노리쿠라 고원 등의 고원과 호타카 산과 다테 산 등의 3000m급의 산들이 있다.
120.하쿠산 국립공원
하쿠산 국립공원(일본어: 白山国立公園)은 일본 혼슈 주부 지방에 있는 국립공원이다. 총 면적은 477 km2이며 주요 산으로 하쿠 산이 있다. 공원은 원래 1955년 7월 1일에 하쿠산 국정공원(白山国定公園)으로 지정되었다. 1962년 11월 12일에 완전한 국립공원으로서의 지위를 얻게 되었다.
121.도야마현
도야마현(일본어: 富山県)은 일본 혼슈의 동해 연안에 있는 현이다. 현청 소재지는 도야마시(일본어: 富山市)이다.
122.도야마시
도야마시(일본어: 富山市)는 도야마현의 시이자 현청 소재지이며 중핵시로 지정되어 있다.
123.다카오카시
다카오카시(일본어: 高岡市)는 일본 도야마현 북서부에 있는 시이다. 도야마 현의 북서부에 위치하는 도야마 현 서부(다카오카 도시권)의 중심지이다. 면적은 도야마시, 난토시, 구로베시, 다테야마정, 가미이치정, 히미시, 아사히정에 이어 도야마 현내 8위이며 인구는 도야마 시에 뒤이어 현내 2위이다. 현재의 시가지는 일찍이 다카오카성의 성시로서 번성하였고 북부의 후시키 지구는 엣추국의 국부였다. 1889년 4월 1일에 시가 성립해 일본 최초의 시의 하나가 되었다. 산업도시로서 발전했고 오늘날에는 알루미늄 새시 생산액수의 일본 제일로서 알려져 있다. 도야마 지역과 함께 신산업도시의 지정 지역이었다. 또 전통 공예도 번성하고 다카오카 동기와 다카오카 칠기 등의 전통 공예품이 유명하다. 상업면에서는 일찍이 "호쿠리쿠의 상업도시"라고 불리고 있었지만 최근에는 중심 상가 등에서 교외의 쇼핑센터나 가나자와시로의 쇼핑객의 유출이 심각하다.
124.우오즈시
우오즈시(일본어: 魚津市)는 도야마현의 동부에 위치하는 인구 규모 7번째의 시이다. 연안 지역의 신기루와 반디 오징어의 도시로서 유명하며 일본의 특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는 우오즈 매몰림(魚津埋没林)이 있다.
125.히미시
히미시(일본어: 氷見市)는 도야마현의 시이다.
126.나메리카와시
나메리카와시(일본어: 滑川市)는 도야마현의 동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반디 오징어가 많이 잡히는 도시로서 알려져 연안의 반디 오징어 군유해면은 일본의 특별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예부터 호쿠리쿠 가도의 역참 마을로서 번창했다. 도야마시 중심부로의 접근성이 비교적 좋아 최근에는 주택 지역화가 진행되고 있어 인구가 증가하는 경향이다.
127.구로베시
구로베시(일본어: 黒部市)는 도야마현 동부에 위치하는 동해에 접한 시이다. 시내의 관광지로서 물이 솟아나는 우나즈키는 온천으로 유명하다. 트럭 전철로 유명한 구로베 협곡은 일본에서 유명한 V자 골짜기이다. 현외에서는 오해하기 쉽지만 관광지 다테야마 쿠로베 알펜루트에 있는 구로베 댐은 구로베 강의 상류에 있어 다테야마정에 속한다.
128.도나미시
도나미시(일본어: 砺波市)는 도야마현 서부의 시이다. 농가가 전원에 점점이 산재하는 산거촌(散居村)의 아름다운 풍경과 튤립의 구근의 생산으로 유명하다. 도나미 평야의 중심에 위치하는 지리 조건과 호쿠리쿠 자동차도 도나미 IC가 입지해 주변 시정촌과 비교해서 인구증가율이 높고 대형의 교외형 상업 시설의 출점이 많다.
129.오야베시
오야베시(일본어: 小矢部市)는 도야마현의 시이다.
130.난토시
난토시(일본어: 南砺市)는 도야마현 서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평야와 산지가 함께 있는 지역이며 세계 유산 시라카와 향·고카야마의 갓쇼즈쿠리 마을과 연극제로 세계적으로 유명한 옛 도가 촌을 포함한다. 시 동부 이나미 지구에서는 전통적으로 난간, 사자 탈 등의 목조각이 번성하였다. 주민 1명당 조각사의 수는 일본 제일이라고 여겨진다. 4년에 1번씩 난토 시 이나미 국제 목조각 캠프(구 이나미 국제 목조각 캠프)를 하고 있다.
131.이미즈시
이미즈시(일본어: 射水市)는 도야마현의 시이다. 2005년 11월 1일, 이미즈 군의 전 정촌(고스기 정, 다이몬 정, 오시마 정, 시모 촌) 및 신미나토 시가 합병해 성립했다.
132.후나하시촌
후나하시촌(일본어: 舟橋村)은 도야마현 나카니카와군의 촌이다. 현 중부의 조간지 강 동안을 따라서 위치한다. 2005년 11월 1일에 이미즈 군 시모 촌이 합병으로 이미즈시가 되면서 도야마 현내에서 유일한 촌이 되었고 2006년 3월 3일에 후쿠이현 오뉴 군 나타쇼 촌이 합병에 의해 오이군 오이정이 되면서 호쿠리쿠 3현의 유일한 촌이 되었다.
133.가미이치정
가미이치정(일본어: 上市町)은 도야마현 나카니카와군의 정이다. 도야마 현 동부의 산지에 위치한다. 예부터 다치야마 수험도의 참배길이 통하는 장소로서 알려졌다.
134.다테야마정
다테야마정(다테이먀마치)(일본어: 立山町)은 도야마현 나카니카와군의 정이다. 특별 폭설지대이다.
135.뉴젠정
뉴젠정(뉴젠마치)(일본어: 入善町)은 도야마현 북동부에 있는 시모니카와군의 정이다. 특산품은 튤립, 뉴젠 점보 수박(구로베 수박)이다.
136.아사히정 (도야마현)
아사히정(아사히마치)(일본어: 朝日町)은 도야마현 북동쪽 끝에 위치한 시모니카와군의 정이다.
137.다테야마산
다테야마산(立山)은 일본 도야마현에 있는 높이 3천15m의 산이다. 히다산맥(북알프스)에 있으며, 주부 산악 국립공원의 일부이다. 쓰루기다케산과 함께 일본에서 빙하가 있는 산 중 하나이다. 후지산, 하쿠산과 함쎄 일본의 3대 영산으로 꼽히며, 슈겐도(修験道)의 본산 중 하나이다.
138.쓰보노 광천
쓰보노 광천(일본어: 坪野鉱泉 쓰보노코우센[*])은 도야마현 우오즈시 쓰보노, 도야마 현도 67호 우나즈키오오사와노 선에 부근에 소재한 광천이다. 쓰보노 온천(일본어: 坪野温泉 쓰보노온센[*])이라고도 한다.[1] 온천과 이름이 같은 "쓰보노 광천"이라는 료칸이 있었는데 1982년 도산하고 그 건물은 폐허가 되었다. 1996년 담력시험 목적으로 이 폐허를 찾아간 여성 2명이 실종된 사건으로 유명하다.[2]
139.구로베강
구로베강(일본어: 黒部川 구로베가와[*])은 일본 도야마현을 흐르는 강이다. 총 길이는 86 km, 유역 면적 689 km2이다. 강은 히다산맥의 와시바다케에서 발원해 구로베 협곡으로 불리는 깊은 계곡을 흐른다. 우나즈키정의 산을 빠져나와 선상지를 형성하고 동해로 흘러 들어간다. 구로베강은 유량이 풍부하고 경사가 가파르기 때문에 수력 발전에 좋은 조건을 가지고 있다. 구로베 댐은 일본에서 가장 큰 댐이다.
140.진즈강
진즈강(일본어: 神通川 진즈가와[*])은 일본 기후현과 도야마현을 흐르는 강이다. 기후현에서는 미야가와강(일본어: 宮川 미야가와[*])으로 불린다. 총 길이는 120 km, 유역 면적 2,720 km2이다. 진즈강은 기후현의 가오레다케에서 발원해 기후현과 도야마현의 경계에서 다카하라강과 합류한다. 그 후 북쪽으로 똑바로 흘러 도야마만과 동해로 흘러 들어간다. 한 때 도야마시를 통과했으나 홍수를 막기 위해 도시 서쪽으로 새로운 수로를 건설했다. 도야마 시청을 비롯한 행정 기관들은 옛 유로의 매립지에 위치한다.
141.고헤이모치
고헤이모치(일본어: 五平餅)는 맵쌀밥을 이겨서 경단 모양으로 만들어 꼬치에 꿰고, 된장이나 간장을 발라서 불에 구운 떡이다. 일본 주부 지방의 산간 지역 (나가노현, 기후현, 도야마현 남부, 아이치현 오쿠미카와, 시즈오카현 일부, 야마나시현)에서 전해지는 향토 요리이다.
142.대게
대게(Chionoecetes opilio, 영어: opilio crab 또는 opies)는 대게과에 속하는 게로, 경상북도 영덕군과 울진군에서 많이 발견되며 흔히 영덕게로 알려져 있다. 갑각은 나비 13~15cm, 둥근 삼각형으로 한국에서 나는 게 중 가장 크다. 다리가 길고 몸이 커서 맛이 좋으므로 중요한 수산자원이다. 이마에 솟은 돌기는 넓고 짧으며, 걷는다리의 마디는 납작하다. 일반적으로 수컷이 암컷보다 훨씬 크다. 한류성 게로 30~1.800m 깊이의 진흙 또는 모래바닥에서 산다. 한국·일본·캄차카반도·알래스카·그린란드 등지에 분포한다.
143.매오징어
매오징어는 매오징어과의 두족류이다. 이 작은 오징어는 산란기 봄철에 일본 해안에서 발견되지만 대부분의 생애를 200~400m 사이의 깊은 수심에서 보낸다. 평균적으로 매오징어 성체의 몸길이는 약 7.5cm이다. 몸색깔은 갈색/빨간색이지만, 발광포로 푸른빛을 방출한다. 이 발광포는 오징어 몸 전체에서 찾을 수 있지만, 가장 밝은 빛은 팔 끝에 있는 3개의 가장 큰 발광포에서 방출된다. 각 눈을 둘러싼 5개의 약간 더 작은 발광포가 있고, 나머지 몸에는 수백개의 더 작은 크기의 점이 있다. 매오징어는 일본 연안의 바다에 서식한다.

Back to TOP

회사소개/문의/회사/개인정보취급방침/면책조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