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이와도노 산성 | ||||||
이와도노 산성(일본어: 岩殿山城 이와도노야마조[*])은 야마나시현 오쓰키시 니기오카 정에 있는 높이 634m의 이와도노 산에 축조된 연곽식 산성이다. 센고쿠 시대에는 오야마다 가문의 거성이었으며, 견성으로 알려져 있다. 야마나시 현 지정 사적이다. | ||||||
2.고후성 | ||||||
고후성(일본어: 甲府城)은 야마나시현 고후시에 있는 제곽식 평산성이다. 에도 시대에는 고후 번의 번청으로 사용되었다가, 막부직할령에 편입되어 막부에서 관리하였다. 마이즈루 성(舞鶴城)이라는 이명이 있으며, 성터는 야마나시 현 사적에 지정되어 있다. 고후시 중심부의 이치조 산에 축성된 평산성으로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가이 국을 영지로 삼을 때인 1583년 무렵에 지어졌다. 성이 축성되기 전에는 다케다 가문의 쓰쓰지가사키 관(躑躅ヶ崎館)을 중심으로 성하 마을이 번영하였지만, 다케다 가문이 멸문된 후에는 도쿠가와 가문과 도요토미 계 다이묘에 의해 고후 성을 중심으로 재정비되었다. 도요토미 정권기에는 간토의 도쿠가와 이에야스를 견제하기 위한 주요지로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측근이 성주로 부임하였고, 에도 시대에는 교통의 요지인 탓에 신판, 후다이 다이묘의 성이었다가 막부직할령에 편입되었다. | ||||||
3.츠츠지가사키관 | ||||||
츠츠지가사키관(일본어: 躑躅ヶ崎館 (つつじがさきやかた) 츠츠지가사키야카타[*])은 전국시대에 카이국 야마나시군 고후추(오늘날의 야마나시현 고후시 고후추)에 있었던 성관이다. 카이국수호 타케다씨의 거성으로, 타케다씨가 전국다이묘가 된 이후 영지 경영의 중심지가 되었다. 카이 타케다씨의 본거지로, 영주의 거관과 가신단옥부, 성하도시가 일체화되어 있었다. 노부토라, 하루노부, 카츠요리 3대 60년에 걸쳐 부중(府中; 후추) 역할을 했다. 이후 성관 자체는 버려지고 허물어졌지만 츠츠지가사키관 주변에 형성된 도시는 에도시대에 축성된 고후성과 연결되어 광역권을 이루면서 근대 이후의 고후시의 원형이 되었다. | ||||||
4.잘못된 제목 | ||||||
5.아시가와역 | ||||||
아시가와역(일본어: 芦川駅)은 일본 야마나시현 니시야쓰시로군 이치카와미사토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을 가진 지상역이다. | ||||||
6.아나야마역 | ||||||
아나야마역(일본어: 穴山駅, あなやま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니라사키시에 있는 역이다. 동일본 여객철도이 관할하는 주오 본선이 지난다. | ||||||
7.이사와온센역 | ||||||
이사와 온천역(일본어: 石和温泉駅, いさわおんせん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후에후키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 ||||||
8.이치카와다이몬역 | ||||||
이치카와다이몬역(일본어: 市川大門駅)은 일본 야마나시현 니시야쓰시로군 이치카와미사토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을 가진 지상역이다. | ||||||
9.이치카와혼마치역 | ||||||
이치카와혼마치역(일본어: 市川本町駅)은 일본 야마나시현 니시야쓰시로군 이치카와미사토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을 가진 지상역이다. | ||||||
10.이치노세역 | ||||||
이치노세역(일본어: 市ノ瀬駅)은 일본 야마나시현 미나미코마군 미노부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을 가진 미노부역 관리의 지상역이다. | ||||||
11.이데역 | ||||||
이데역(일본어: 井出駅)은 일본 야마나시현 미나미코마군 난부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12.우에노하라역 | ||||||
우에노하라역(일본어: 上野原駅, うえのはら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우에노하라시에 있는 JR 동일본 주오 본선(주오 쾌속선)의 철도역이다. | ||||||
13.우쓰부나역 | ||||||
우쓰부나역(일본어: 内船駅)은 일본 야마나시현 미나미코마군 난부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14.엔잔역 | ||||||
엔잔역(일본어: 塩山駅, えんざん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고슈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 ||||||
15.오쓰키역 | ||||||
오쓰키역(일본어: 大月駅, おおつき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오쓰키시에 있는 철도역이다. 주오 쾌속선의 일부 열차는 이 역까지 운행한다. 동일본 여객철도 소속 열차 중 일부는 이 역에서 후지 급행 선 구간으로 직결 운행하기도 한다. | ||||||
16.오치이역 | ||||||
오치이역(일본어: 落居駅)은 일본 야마나시현 니시야쓰시로군 이치카와미사토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을 가진 미노부역 관리의 지상역이다. | ||||||
17.가이이와마역 | ||||||
가이이와마역(일본어: 甲斐岩間駅)은 일본 야마나시현 니시야쓰시로군 이치카와미사토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을 가진 지상역이다. | ||||||
18.가이우에노역 | ||||||
가이우에노역(일본어: 甲斐上野駅)은 일본 야마나시현 니시야쓰시로군 이치카와미사토정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가진 지상역이다. | ||||||
19.가이오이즈미역 | ||||||
가이오이즈미역(일본어: 甲斐大泉駅)은 일본 야마나시현 호쿠토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우미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0.가이오시마역 | ||||||
가이오시마역(일본어: 甲斐大島駅)은 일본 야마나시현 미나미코마군 미노부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21.가이코이즈미역 | ||||||
가이코이즈미역(일본어: 甲斐小泉駅)은 일본 야마나시현 호쿠토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우미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2.가이토키와역 | ||||||
가이토키와역(일본어: 甲斐常葉駅)은 일본 야마나시현 미나미코마군 미노부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을 가진 지상역이다. | ||||||
23.가이야마토역 | ||||||
가이야마토역(일본어: 甲斐大和駅, かいやまと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고슈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 ||||||
24.가지카자와구치역 | ||||||
가지카자와구치역(일본어: 鰍沢口駅)은 일본 야마나시현 니시야쓰시로군 이치카와미사토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을 가진 지상역이다. | ||||||
25.가쓰가이초역 | ||||||
가쓰카이초역(일본어: 春日居町駅, かすがいちょう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후에후키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 ||||||
26.가세이역 | ||||||
가세이역(일본어: 禾生駅, かせい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쓰루시에 있는 후지 급행 오쓰키 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 ||||||
27.가쓰누마부도쿄역 | ||||||
가쓰누마부도쿄역(일본어: 勝沼ぶどう郷駅)은 일본 야마나시현 고슈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 ||||||
28.가미오쓰키역 | ||||||
가미오쓰키역(일본어: 上大月駅, かみおおつき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오쓰키시에 있는 후지 급행 오쓰키 선의 역이다. 오쓰키역에서 600m 떨어진 지점에 위치해 있으며, 일부 보통열차는 이 역을 무정차 통과한다. 단선 승강장으로 역 건물은 없지만, 승강장 위에 작은 대합실이 있다. | ||||||
29.가와구치코역 | ||||||
가와구치 호 역(일본어: 河口湖駅, かわぐちこ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미나미쓰루군 후지카와구치코정에 위치하는 철도역이다. 이 노선의 마지막 역이기도 하다. | ||||||
30.기요사토역 | ||||||
기요사토역(일본어: 清里駅)은 일본 야마나시현 호쿠토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우미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1.구나도역 | ||||||
구나도역(일본어: 久那土駅)은 일본 야마나시현 미나미코마군 미노부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을 가진 미노부역 관리의 지상역이다. | ||||||
32.겟코지역 | ||||||
겟코지역(일본어: 月江寺駅, げっこうじ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후지요시다시에 있는 후지 급행 오쓰키 선의 역이다. 단선 1면 1선 | ||||||
33.고쿠보역 | ||||||
고쿠보역(일본어: 国母駅)은 일본 야마나시현 나카코마군 쇼와정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4.고토부키역 | ||||||
고토부키역(일본어: 寿駅,ことぶき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후지요시다시에 있는 후지 급행 오쓰키 선의 역이다. 단선 1면 1선 | ||||||
35.고부치자와역 | ||||||
고부치자와역(일본어: 小淵沢駅, こぶちざわ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호쿠토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주오 본선 및 고우미 선이 환승하는 역이다. | ||||||
36.사카오리역 | ||||||
사카오리역(일본어: 酒折駅, さかおり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고후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 ||||||
37.사사고역 | ||||||
사사고역(일본어: 笹子駅, ささご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오쓰키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 ||||||
38.사루하시역 | ||||||
사루하시역(일본어: 猿橋駅, さるはし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오쓰키시에 있는 JR 동일본 주오 선(쾌속 및 주오 본선)의 역이다. | ||||||
39.시오자키역 | ||||||
시오자키역(일본어: 塩崎駅, しおざき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가이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1973년부터 무인역으로 운영이 되고 있다. | ||||||
40.시오쓰역 | ||||||
시오쓰역 또는 시오츠역(일본어: 四方津駅, しおつ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우에노하라시에 있는 JR 동일본 주오 선(쾌속 및 주오 본선)의 역이다. | ||||||
41.시오노사와역 | ||||||
시오노사와역(일본어: 塩之沢駅)은 일본 야마나시현 미나미코마군 미노부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42.시모베온센역 | ||||||
시모베온센역(일본어: 下部温泉駅)은 일본 야마나시현 미나미코마군 미노부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을 가진 지상역이다. | ||||||
43.시모요시다역 | ||||||
시모요시다역(일본어: 下吉田駅, しもよしだ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후지요시다시에 있는 후지 급행 오쓰키 선의 역이다. 섬식 1면 2선 | ||||||
44.조에이역 | ||||||
조에이역(일본어: 常永駅)은 일본 야마나시현 나카코마군 쇼와정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5.신푸역 (야마나시현) | ||||||
신푸역(일본어: 新府駅, しんぷ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니라사키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이 역은 무인역이며 역 건물은 없다. | ||||||
46.다노쿠라역 | ||||||
다노쿠라역(일본어: 田野倉駅, たのくら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쓰루시에 있는 후지 급행 오쓰키 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 ||||||
47.쓰루시역 | ||||||
쓰루시역(일본어: 都留市駅, つるし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쓰루시에 있는 철도역이다. | ||||||
48.쓰루분카다이가쿠마에 | ||||||
49.도시마역 | ||||||
도오시마역(일본어: 十島駅)은 일본 야마나시현 미나미코마군 난부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50.도리사와역 | ||||||
도리사와역(일본어: 鳥沢駅, とりさわ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오쓰키시에 있는 JR 동일본 주오 본선(주오 쾌속선)의 철도역이다. | ||||||
51.나가사카역 | ||||||
나가사카역(일본어: 長坂駅)은 일본 야마나시현 호쿠토시에 있는 역이다. 동일본 여객철도이 관할하는 주오 본선이 지난다. 특급 열차가 일부 정차한다. | ||||||
52.니라사키역 | ||||||
니라사키역(일본어: 韮崎駅, にらさき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니라사키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동일본 여객철도 전철패스인 스이카로 열차 이용 시, 주오 선 구간에서는 이 역까지만 가능하다. 특급열차가 일부 정차한다. | ||||||
53.하다카지마역 | ||||||
하다카지마역(일본어: 波高島駅)은 일본 야마나시현 미나미코마군 미노부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54.하쓰카리역 | ||||||
하쓰카리역(일본어: 初狩駅, はつかり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오쓰키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및 일본화물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 ||||||
55.히가시카쓰라역 | ||||||
히가시카쓰라역(일본어: 東桂駅, ひがしかつら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쓰루시에 있는 후지 급행 오쓰키 선의 역이다. 상대식 2면 2선 | ||||||
56.히가시하나와역 | ||||||
히가시하나와역(일본어: 東花輪駅)은 일본 야마나시현 주오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가진 지상역이다. | ||||||
57.히가시야마나시역 | ||||||
히가시야마나시역(일본어: 東山梨駅, ひがしやまなし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야마나시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 ||||||
58.히노하루역 | ||||||
히노하루역(일본어: 日野春駅, ひのはる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호쿠토시에 있는 역이다. 동일본 여객철도이 관할하는 주오 본선이 지난다. 역 건물은 1904년 개업했을 당시 건립되었으며, 몹시 낡은 건물이다. | ||||||
59.후지큐 하이랜드역 | ||||||
후지큐 하이랜드 역(일본어: 富士急ハイランド駅, ふじきゅうハイランドえき 후지큐우하이란도에키[*])은 일본 야마나시현 미나미쓰루군 후지카와구치코정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 ||||||
60.후지산역 | ||||||
후지산역(일본어: 富士山駅, ふじさん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후지요시다시에 위치하는 철도역이다. | ||||||
61.미쓰토게역 | ||||||
미쓰토게역(일본어: 三つ峠駅, みつとうげ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미나미쓰루군에 있는 후지 급행 오쓰키 선의 역이다. 섬식 1면 2선 | ||||||
62.미노부역 | ||||||
미노부역(일본어: 身延駅)은 일본 야마나시현 미나미코마군 미노부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다. | ||||||
63.야마나시시역 | ||||||
야마나시시역(일본어: 山梨市駅, やまなしし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야마나시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주오 선 특급열차인 아즈사 호와 가이지 호가 일부 정차한다. | ||||||
64.야무라마치역 | ||||||
야무라마치역(일본어: 谷村町駅, やむらまち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쓰루시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 ||||||
65.요시이케온센마에역 | ||||||
요시이케온센마에역(일본어: 葭池温泉前駅, よしいけおんせんまえ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후지요시다시에 있는 후지 급행 오쓰키 선의 역이다. | ||||||
66.요리하타역 | ||||||
요리하타역(일본어: 寄畑駅)은 일본 야마나시현 미나미코마군 난부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67.류오역 | ||||||
류오역(일본어: 竜王駅, りゅうおう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가이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및 일본화물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주오 선을 운행하는 특급열차가 정차하는 역이기도 하며, 특히 가이지 호는 이 역까지 운행하는 열차도 있다. | ||||||
68.가이스미요시역 | ||||||
가이스미요시역(일본어: 甲斐住吉駅)은 일본 야마나시현 고후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9.가넨테역 | ||||||
가넨테역(일본어: 金手駅、かねんて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고후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0.고후역 | ||||||
고후역(일본어: 甲府駅, こうふ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고후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주오 본선 및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이 환승하는 역이다. 역은 동일본 여객철도관할이다. 특급 카이지호의 종착역이자 주오 선을 운행하는 모든 특급열차가 정차하는 역이다. | ||||||
71.젠코지역 | ||||||
젠코지역(일본어: 善光寺駅、ぜんこうじ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고후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2.미나미코후역 | ||||||
미나미코후역(일본어: 南甲府駅、みなみこうふえき)은 일본 야마나시현 고후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3.야마나시현 | ||||||
야마나시현(일본어: 山梨県 야마나시켄[*])은 일본 주부 지방의 고신에쓰 지방에 있는 현이다. 현청 소재지는 고후시(甲府市)이다. | ||||||
74.고후시 | ||||||
고후시(일본어: 甲府市)는 일본 야마나시현 중앙부에 위치하는 시이자 현청 소재지이다. 중핵시로 지정되어있다. 논란: 엔도 유키가 자신의 여자친구의 부모님을 살해하고 자신의 여자친구의 부모님의 집에 불을 질렀는데, 그의 범죄가 유죄로 인정되어 법원에서 살인죄 및 방화죄를 적용해 사형선고를 받았다. | ||||||
75.후지요시다시 | ||||||
후지요시다시(일본어: 富士吉田市)는 야마나시현의 동남부에 있는 시이다. 후지 산의 북쪽, 후지고코의 중동부에 있을 뿐만 아니라 시의 남쪽에 후지 산이 있어서 북쪽으로 갈수록 표고가 낮고 경사가 낮아진다. | ||||||
76.쓰루시 | ||||||
쓰루시(일본어: 都留市)는 야마나시현 동부에 위치한 시이다. 예부터 견직물의 산지이다. | ||||||
77.야마나시시 | ||||||
야마나시시(일본어: 山梨市, やまなしし)는 야마나시현의 동부에 위치하며, 고슈(甲州) 와인의 산지로서 알려진 시이다. 무소 소세키가 건립한 청백사(국보), 다케다 신겐의 현 내 최고의 온천인 이사와 온천 등이 있다. | ||||||
78.오쓰키시 | ||||||
오쓰키시(일본어: 大月市)는 야마나시현 동부에 위치한 시이다. | ||||||
79.니라사키시 | ||||||
니라사키시(일본어: 韮崎市)는 야마나시현 북부에 위치한 시이다. 구니나카 지방에 포함된다. | ||||||
80.미나미알프스시 | ||||||
미나미알프스시 (남알프스시)(일본어: 南アルプス市 미나미아루푸스 시[*])는 일본 야마나시현의 서부에 있는 시이다. 일본에서 시 이름이 가타카나로 되어있는 유일한 곳이다. 인구는 69,854명이다. | ||||||
81.호쿠토시 (야마나시현) | ||||||
호쿠토시(일본어: 北杜市)는 야마나시현 북서부에 있는 시이다. | ||||||
82.가이시 | ||||||
가이시(일본어: 甲斐市)는 야마나시현 북서부의 시이다. 인구는 7만명을 넘어 현내에서는 고후시에 이어 2위이며, 인구밀도는 현내에서 1위이다. 2004년에 구 류우정, 구 시키시마정, 구후타바정이 합병해 탄생했다. | ||||||
83.후에후키시 | ||||||
후에후키시(일본어: 笛吹市)는 야마나시현의 고후 분지의 중앙부에 위치한 시이다. | ||||||
84.우에노하라시 | ||||||
우에노하라시(일본어: 上野原市)는 야마나시현 동부에 위치한 시이다. 2005년 2월 13일에 기타쓰루군 우에노하라 정과 미나미쓰루군 아키야마 촌이 합병해 탄생했다. 도쿄도와 가나가와현에 인접해 있다. 유즈리하라 지구는 "장수마을"로서 유명하다. | ||||||
85.고슈시 | ||||||
고슈시(일본어: 甲州市)는 야마나시현 북동부에 위치한 시이다. 엔잔 시와 히가시야마나시 군 가쓰누마 정·야마토 촌이 합병해 2005년 11월 1일에 탄생했다. | ||||||
86.주오시 | ||||||
주오시(일본어: 中央市)는 야마나시현 중앙부에 있는 시이다. 야마나시 현의 중앙부 및 고후 분지(甲府盆地)의 중앙(中央)부에 위치하므로 "주오 시"로 명명되었으나 지역의 역사, 전통을 무시한 너무 안이한 명명이라는 비판도 적지 않다. 야마나시 현의 현청 소재지인 고후시의 남쪽에 인접하고 있으므로 위성 도시로서 발전하고 있다. 또 야마나시 대학의 의과 대학 캠퍼스와 대학 병원이 있다. | ||||||
87.이치카와미사토정 | ||||||
이치카와미사토정(일본어: 市川三郷町)은 야마나시현 니시야쓰시로군의 정이다. 정명은 니시야쓰시로 군의 구 이치카와다이몬 정(市川大門町), 구 미타마 정(三珠町), 구 로쿠고 정(六郷町)이 대등 합병하면서 구 이치카와다이몬 정의 "市川"와 구 미타마 정의 "三", 구 로쿠고 정의 "郷"을 합성해 만든 것이다. 덧붙여 가미쿠이시키 촌은 고후시와 후지카와구치코정에 분할 편입되었기 때문에 현재는 니시야쓰시로군 을 구성하는 유일한 지방공공단체이기도 하다. | ||||||
88.하야카와정 | ||||||
하야카와정(일본어: 早川町)은 야마나시현 미나미코마군의 정이다. | ||||||
89.미노부정 | ||||||
미노부정(일본어: 身延町)은 야마나시현 남서부에 위치한 미나미코마군의 정이다. | ||||||
90.난부정 (야마나시현) | ||||||
난부정(일본어: 南部町)은 야마나시현의 최남단에 위치하는 미나미코마군의 정이다. 정의 중앙부를 후지강이 종단하듯이 흐른다. 무쓰노 국의 난부씨의 발상지로서 알려져있다. 에도 시대에는 수운 교통으로 번창하였다. | ||||||
91.쇼와정 | ||||||
쇼와정(일본어: 昭和町)은 야마나시현의 중앙부에 있는 나카코마군의 정이다. | ||||||
92.도시촌 | ||||||
도시촌(일본어: 道志村)은 야마나시현 동부에 위치한 미나미쓰루군의 촌이다. | ||||||
93.니시카쓰라정 | ||||||
니시카쓰라정(서카쓰라정)(일본어: 西桂町)은 야마나시현 동부의 미나미쓰루군의 정이다. 인구 4,874명、면적 15.38km2(2007년 7월 1일) | ||||||
94.오시노촌 | ||||||
오시노촌(일본어: 忍野村)은 야마나시현의 미나미쓰루군의 촌이다. 현 남동쪽, 군 북부의 후지 산 기슭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름난 물인 오시노핫카이(용수, 천연기념물·이름난 물 100선)이 있다. 오시노 촌에서 보는 후지 산은 "오시노후지"(忍野富士)로서 알려져 있다. 전후에는 담수어 양식과 관광업이 진흥되어 후지 5호 지방에 포함되는 풍부한 자연 자원을 살려 많은 관광객을 유치하고 있다. 1972년에 유치된 파낙 주식회사 본사가 있으며 인접하는 야마나카코촌역에 걸쳐 있는 "산중의 하리모미 순림"은 일본의 천연기념물로 지정되어 있다. | ||||||
95.야마나카코촌 | ||||||
야마나카코촌(일본어: 山中湖村)은 야마나시현 남동부의 미나미쓰루군의 촌이다. | ||||||
96.나루사와촌 | ||||||
나루사와촌(일본어: 鳴沢村)은 야마나시현에 있는 미나미쓰루군의 촌이다. | ||||||
97.후지카와구치코정 | ||||||
후지카와구치코정 (후지카와구치코마치)(일본어: 富士河口湖町)는 일본 야마나시현 남부의 미나미쓰루군(南都留郡)에 소속하는 행정 구역이다. 현내에선 유일하게 초가 아닌 마치를 읽는 정이다. | ||||||
98.고스게촌 | ||||||
고스게촌(일본어: 小菅村)은 야마나시현 기타쓰루군의 촌이다. 현동부의 군내지방에 포함된다. | ||||||
99.다바야마촌 | ||||||
다바야마촌(일본어: 丹波山村)은 야마나시현 기타쓰루군의 촌이다. | ||||||
100.가사토리산 | ||||||
가사토리산(笠取山)은 일본 사이타마현 지치부시와 야마나시현 고슈시 사이에 있는 높이 1천953m의 산이다. 산꼭대기의 남쪽에는 다마강의 발원지가 있다. | ||||||
101.기타다케산 | ||||||
기타다케산(일본어: 北岳)은 일본에서 후지 산에 이어 두 번째로 높은 산이다. 미나미알프스 국립공원의 아카이시산맥(남알프스), 야마나시현 미나미알프스시에 있다. | ||||||
102.후지산 | ||||||
후지산(일본어: 富士山)은 일본의 혼슈 중앙부, 시즈오카현(후지노미야시, 스소노시, 후지시, 고텐바시, 슨토군 오야마정)하고 야마나시현(후지요시다시, 미나미쓰루군 나루사와촌)의 경계에 있는 휴화산이며, 해발 3,776m로 일본의 극점 중 최고점에 속한다. 1707년부터 휴지기에 들어간 상태로, 도카이도 신칸센이 그 근처를 지나간다. 일년 중 7월 내지 8월에 입산이 가능하며, 본래 여성의 입산이 금지되었다가 1868년부터 해금되었다. 맑은 날에는 100km 떨어진 도쿄에서도 보일 정도로 큰 후지산은 옛부터 일본의 상징이자 고대 신앙의 대상이 되어 왔다. | ||||||
103.야쓰가타케산 | ||||||
야쓰가타케산(八ヶ岳, 八ケ岳)는 나가노현의 스와(諏訪) 지역과 사쿠(佐久) 지역 및 야마나시현의 경계에 있는 화산군이다. 가장 높은 아카다케 산(赤岳, 2899m) 등 8개 산들로 구성되는 "남 야쓰가타케"와 덴구 산(天狗岳, 2646m), 다테시나 산(蓼科山, 2530m) 등 11개 산들로 구성되는 "북 야쓰가타케"를 합쳐서 "야쓰가타케 연봉"(八ヶ岳連峰)이라고 부른다. 단순히 "야쓰가타케"라고 하면 "남 야쓰가타케"만 가리키는 경우, "남 야쓰가타케"와 다테시나 산을 제외한 "북 야쓰가타케"를 가리키는 경우, 다테시나 산을 포함한 "야쓰가타케 연봉" 전체를 가리키는 경우가 있다. | ||||||
104.호토 | ||||||
호토(일본어: ほうとう)는 일본의 국수 요리로, 야마나시현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서 만들어지는 향토 요리이다. 기본적으로 밀가루를 반죽하여 굵게 잘라 긴 국수로 만들고, 호박 등 야채와 함께 미소를 넣은 국물에 끓여 만들어진다. 그러나 앞서 말한 제조법이 호토의 기준은 아니며, 일부 지역에서는 밀가루 이외의 곡물을 사용하거나 미소 대신에 팥이나 간장으로 양념을 하기도 한다. 또한 가정집이 아닌 외식 산업에서의 호토는 먹기 편하도록 면이 가늘거나 야채 이외에 고기와 해산물을 넣어 제공하는 등 다양하다. | ||||||
105.두부껍질 | ||||||
두부껍질(豆腐--) 또는 두부피(豆腐皮)는 두부가 익어서 엉길 때 그 겉을 긁어낸 것이다.[2] | ||||||
106.요시다 우동 | ||||||
요시다 우동(일본어: 吉田のうどん 요시다노우동[*])은 야마나시현 후지요시다시 및 야마나시의 군나이 지방에서 먹을 수 있는 향토 우동이다. 2007년 일본 농림수산성이 선정한 농산어촌의 향토 요리 백선의 하나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