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Undefined variable $parentDirName in /home/idscorp/kankou.org/public_html/function01.php on line 1862
과자:나가노현관광 명소 목록 | 멋진 검색 일본

멋진 검색 일본

나가노현:신사

1.스와 대사
스와 대사(諏訪大社 (すわたいしゃ) 스와타이샤[*])는 일본 나가노현 스와호 주변의 신사이다. 일본 전국에 있는 약 25,000개의 스와 신사의 총본사이다. 일본의 신사 중 현존하는 가장 오래된 신사 중 하나로 여겨지며, 7세기 후반에 일본서기에서 이미 암시하고 있다.[1]
2.고모로성
고모로성(일본어: 小諸城)은 나가노현 고모로시에 있는 평산성이다. 에도 시대에는 고모로번의 번청으로 사용되었다. 스이게쓰 성(酔月城), 하쿠쓰루 성(白鶴城), 아나 성(穴城)이라는 이명이 있다. 1487년 오이 미쓰타다(大井光忠)가 축성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센고쿠 시대 다케다 신겐의 시나노 동부의 주요 거점으로 보고 현재의 터에 성을 쌓았다는 이야기도 있다. 이때 성을 설계한 인물이 신겐의 군사로 알려진 야마모토 간스케라고 한다. 하지만, 이를 뒷받침하는 사료는 없다. 16세기 말에서 17세기 초엽 센고쿠 히데히사가 성주로 있을 때 대폭 개수되어 근세성곽으로 탈바꿈하였다. 천수도 이 무렵에 세워져 금박으로 된 기와로 화려하게 꾸몄지만, 불행히도 1626년 낙뢰로 소실되었다.
3.다카시마성
다카시마성(일본어: 高島城)은 나가노현 스와시 다카시마에 있는 연곽식 평성이다. 다른 이름으로는 스와노우키시로(諏訪の浮城, '스와의 떠있는 성') 또는 시마자키 성(島崎城)이라고 불린다.
4.다쓰오카성
다쓰오카성(일본어: 龍岡城 다쓰오카조[*])은 나가노현 사쿠시에 있는 성이다. 사실 성이라기 보다 진야나 요새에 가깝다. 다쓰오카 성의 양식은 유럽의 능보식[1] 축조양식을 따랐다. 일본의 별 모양 성곽 2곳중에 한 곳이다. 이 때문에 다쓰오카 고료카쿠(龍岡五稜郭), 기쿄 성(桔梗城: 도라지 성)이라고 불린다.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5.마쓰모토성
마쓰모토성(일본어: 松本城, まつもとじょう)은 나가노현의 마쓰모토시에 있는 제곽식 형식과 윤곽식 형식을 띤 평성이다. 천수는 국보로 지정되었고 국가 지적 사적이다. 다른 이름으로는 가라스성(烏城)으로 불린다. 과거에는 후카시성(深志城)이라고 불리었다.
6.아오야기역
아오야기역(일본어: 青柳駅, あおやぎえき)은 일본 나가노현 지노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현재는 무인역으로 영업을 하고 있다.
7.아카기역 (나가노현)
아카기역(일본어: 赤木駅)은 일본 나가노현 이나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8.아게마쓰역
아게마쓰역(일본어: 上松駅)은 일본 나가노현 기소군 아게마쓰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아침 · 밤의 시간대에 특급 '(와이드 뷰) 시나노'의 일부가 정차한다.
9.이지마역
이지마역(일본어: 飯島駅)은 일본 나가노현 가미이나군 이지마정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이모리역
이모리역(일본어: 飯森駅)은 일본 나가노현 기타아즈미군 하쿠바촌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14번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1.이치다역
이치다역(일본어: 市田駅)은 일본 나가노현 시모이나군 다카모리정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2.이나오시마역
이나오시마역(일본어: 伊那大島駅)은 일본 나가노현 시모이나군 마쓰카와정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3.이나키타역
이나키타역(일본어: 伊那北駅)은 일본 나가노현 이나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14.이나코자와역
이나코자와역(일본어: 伊那小沢駅)은 일본 나가노현 시모이나군 덴류촌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5.이나시역
이나시역(일본어: 伊那市駅)은 일본 나가노현 이나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6.이나신마치역
이나신마치역(일본어: 伊那新町駅 いなしんまちえき[*])은 일본 나가노현 가미이나군 다쓰노정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7.이나타지마역
이나타지마역(일본어: 伊那田島駅)은 일본 나가노현 가미이나군 나카가와촌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나카가와 촌 유일의 철도역이며, 주변에는 과수원이 자리잡고 있다.
18.이나후쿠오카역
이나후쿠오카역(일본어: 伊那福岡駅)은 일본 나가노현 고마가네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9.이나혼고역
이나혼고역(일본어: 伊那本郷駅)은 일본 나가노현 가미이나군 이지마정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0.이나마쓰시마역
이나마쓰시마역(일본어: 伊那松島駅)은 일본 나가노현 가미이나군 미노와정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1.우구스역
우구스역(일본어: 鶯巣駅)은 일본 나가노현 시모이나군 덴류촌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2.우미지리역
우미지리역(일본어: 海尻駅)은 일본 나가노현 미나미사쿠군 미나미마키촌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우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으로, 무인역이다.
23.오쿠와역 (나가노현)
오쿠와역(일본어: 大桑駅)은 일본 나가노현 기소군 오쿠와촌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24.잘못된 제목
25.오타기리역
오타기리역(일본어: 大田切駅)은 일본 나가노현 고마가네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6.오카야역
오카야역(일본어: 岡谷駅, おかやえき)은 일본 나가노현 오카야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및 일본화물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주오 본선을 운행하는 특급열차가 일부 정차를 한다. 본선과 지선(구선)이 분기하는 역이기도 하다.
27.오토메역
오토메역(일본어: 乙女駅)은 일본 나가노현 고모로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우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8.오노역 (나가노현)
오노역(일본어: 小野駅, おのえき)은 일본 나가노현 가미이나군 다쓰노정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주오 본선(다쓰노 지선)의 역이다. 현재는 위탁역으로 운영되고 있다.
29.오바스테역
오바스테역(일본어: 姨捨駅)은 일본 나가노현 지쿠마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시노노이 선이 지나간다. 해발 551m 고도에 위치한 역으로, 스위치백 형식으로 지어졌다.
30.가이제역 (나가노현)
가이제역(일본어: 海瀬駅)은 일본 나가노현 미나미사쿠군 사쿠호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우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31.가도시마역
가도시마역(일본어: 門島駅)은 일본 나가노현 시모이나군 야스오카촌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32.가미카타기리역
가미카타기리역(일본어: 上片桐駅)은 일본 나가노현 시모이나군 마쓰카와정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33.가미시로역
가미시로역(일본어: 神城駅)은 일본 나가노현 기타아즈미군 하쿠바촌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15번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34.가미스와역
가미스와역(일본어: 上諏訪駅, かみすわえき)은 일본 나가노현 스와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이 역을 경유하는 모든 열차가 정차를 하는 역이다. 또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을 직결 운행하는 열차중 일부는 이 역에서 시종착을 한다.
35.가무리키역
가무리키역(일본어: 冠着駅)은 일본 나가노현 히가시치쿠마군 지쿠호쿠촌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시노노이 선이 지나간다.
36.가라카사역
가라카사역(일본어: 唐笠駅)은 일본 나가노현 시모이나군 야스오카촌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37.가루이자와역
가루이자와역 또는 카루이자와역(일본어: 軽井沢駅, かるいざわえき)은 일본 나가노현 기타사쿠군 가루이자와정에 있는 철도역이다.
38.가와기시역
가와기시역(일본어: 川岸駅, かわぎしえき)은 일본 나가노현 오카야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주오 본선(다쓰노 지선)의 역이다. 이 역을 경유하는 열차는 대부분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과 직결운행하는 열차이다. 현재는 무인역으로 운영되고 있다. 섬식 1면 2선 승강장
39.기소히라사와역
기소히라사와역(일본어: 木曽平沢駅)은 일본 나가노현 시오지리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보통열차 만의 정차이지만, 매년 6월 제 1 금요일부터 3일간에 걸쳐서 열리는 '기소 칠기 축제'의 때에는 일부의 특급 '시나노'가 임시정차한다.
40.기소후쿠시마역
기소후쿠시마역(일본어: 木曽福島駅)은 일본 나가노현 기소군 기소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특급 '(와이드 뷰) 시나노'의 전 열차가 정차한다.
41.기타오타리역
기타오타리역(일본어: 北小谷駅)은 일본 나가노현 기타아즈미군 오타리촌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42.기타토노역
기타토노역(일본어: 北殿駅)은 일본 나가노현 가미이나군 미나미미노와촌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43.기타호소노역
기타호소노역(일본어: 北細野駅)은 일본 나가노현 기타아즈미군 마쓰카와촌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28번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44.기노시타역
기노시타역(일본어: 木ノ下駅)은 일본 나가노현 가미이나군 미노와정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45.구라모토역 (나가노현)
구라모토역(일본어: 倉本駅)은 일본 나가노현 기소군 아게마쓰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46.구로히메역
구로히메역(일본어: 黒姫駅)은 일본 나가노현 가미미노치군 시나노정에 있는 시나노 철도 기타시나노 선의 철도역이다.
47.고우미역
고우미역(일본어: 小海駅)은 일본 나가노현 미나미사쿠군 고우미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우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48.고마가네역
고마가네역(일본어: 駒ヶ根駅)은 일본 나가노현 고마가네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49.고마치야역
고마치야역(일본어: 小町屋駅)은 일본 나가노현 고마가네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50.고모로역
고모로역(일본어: 小諸駅)은 나가노현 고모로시 아오이초에 위치한 시나노 철도 시나노 철도선과 동일본 여객철도 고우미 선의 역이다. 1888년 12월 1일 관영철도의 철도역으로 개업했다.
51.사카키역
사카키역(일본어: 坂城駅, さかきえき)은 나가노현 하니시나군 사카키정 오아자사카키에 위치한 시나노 철도 시나노 철도선의 역이다.
52.사카키타역
사카키타역(일본어: 坂北駅)은 일본 나가노현 히가시치쿠마군 지쿠호쿠촌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시노노이 선이 지나간다. 특급 《시나노》 호의 대부분이 임시 교행을 위해 승강장에 정차하지만 영업 목적이 아니기 때문에 출입문을 개방하지 않는다.
53.사쿠우미노쿠치역
사쿠우미노쿠치역(일본어: 佐久海ノ口駅)은 일본 나가노현 미나미사쿠군 미나미마키촌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우미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54.사쿠히로세역
사쿠히로세역(일본어: 佐久広瀬駅)은 일본 나가노현 미나미사쿠군 미나미마키촌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우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55.사와역 (나가노현)
사와역(일본어: 沢駅)은 일본 나가노현 가미이나군 미노와정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56.사완도역
사완도역(일본어: 沢渡駅)은 일본 나가노현 이나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57.시오지리역
시오지리역(塩尻駅, しおじりえき)은 일본 나가노현 시오지리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JR 동일본)의 철도역이다. 동일본 여객철도와 도카이 여객철도(JR 도카이)가 시오지리 역을 경계로 나누어 영업하는 주오 본선의 소속역으로[1], 마쓰모토역 방면으로 시노노이 선이 갈라진다. 주오 본선의 다쓰노 역을 경유하는 지선(옛 본선)도 시오지리 역을 기종점으로 하고 있다. 또 일본화물철도가 제2종 철도 사업자로서 화물 운영을 관리하고 있다. 일부 열차를 제외한 동일본 여객철도의 특급 《아즈사·슈퍼 아즈사》 호와 도카이 여객철도의 특급 《시나노》가 정차한다.
58.시게노역
시게노역(일본어: 滋野駅, しげのえき)은 나가노현 도미시 시게노오쓰에 위치한 시나노 철도 시나노 철도선의 역이다.
59.시테구리역
시테구리역(일본어: 為栗駅)은 일본 나가노현 시모이나군 덴류촌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60.시나노오이와케역
시나노오이와케역(일본어: 信濃追分駅, しなのおいわけえき)은 나가노현 기타사쿠군 가루이자와정 오아자오이와케에 위치한 시나노 철도 시나노 철도선의 역이다.
61.시나노카와카미역
시나노카와카미역(일본어: 信濃川上駅)은 일본 나가노현 미나미사쿠군 가와카미 촌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우미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62.시나노카와시마역
시나노카와시마역(일본어: 信濃川島駅, しなのかわしまえき)은 일본 나가노현 가미이나군 다쓰노정에 있는 역이다. 동일본 여객철도가 관할하는 주오 본선(다쓰노 지선)이 지난다. 현재는 무인역으로 운영되고 있다. 단선 1면 1선 승강장
63.시나노사카이역
시나노사카이역(일본어: 信濃境駅, しなのさかいえき)은 일본 나가노현 스와군 후지미정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개업때부터 민간위탁방식으로 승차권을 발매하고 있다. 대합실에는 인근유적에서 출토된 유물들이 전시되어 있다.
64.시나노시라토리역
시나노시라토리역(일본어: 信濃白鳥駅)은 일본 나가노현 시모미노치군 사카에촌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이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65.시나노마쓰카와역
시나노마쓰카와역(일본어: 信濃松川駅)은 일본 나가노현 기타아즈미군 마쓰카와촌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27번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66.시나노모리우에역
시나노모리우에역(일본어: 信濃森上駅)은 일본 나가노현 기타아즈미군 하쿠바촌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12번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67.시모이치다역
시모이치다역(일본어: 下市田駅)은 일본 나가노현 시모이나군 다카모리정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68.시모지마역 (이나시)
시모지마역(일본어: 下島駅)은 일본 나가노현 이나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으로,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69.시모스와역
시모스와역(일본어: 下諏訪駅, しもすわえき)은 일본 나가노현 스와군 시모스와정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주오 본선을 운행하는 특급열차가 일부 정차를 한다.
70.시모다이라역
시모다이라역(일본어: 下平駅)은 일본 나가노현 시모이나군 다카모리정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1.주니카네역
주니카네역(일본어: 十二兼駅)은 일본 나가노현 기소군 나기소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72.스즈란노사토역
스즈란노사토역(일본어: すずらんの里駅, すずらんのさとえき)은 일본 나가노현 스와군 후지미정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1985년에 개업을 한 역으로, 주오 본선의 역 중 가장 최근에 개업한 역이다. 현재는 무인역으로 영업을 하고 있다.
73.스하라역 (나가노현)
스하라역(일본어: 須原駅)은 일본 나가노현 기소군 오쿠와촌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74.세바역
세바역(일본어: 洗馬駅)은 일본 나가노현 시오지리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75.다카이와역 (나가노현)
다카이와역(일본어: 高岩駅)은 일본 나가노현 미나미사쿠군 사쿠호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우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6.다카토바라역
다카토바라역(일본어: 高遠原駅)은 일본 나가노현 가미이나군 이지마정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인근에는 과수원 · 논이 넓게 펼쳐져 있다.
77.다기리역
다기리역(일본어: 田切駅)은 일본 나가노현 가미이나군 이지마정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8.다다치역
다다치역(일본어: 田立駅)은 일본 나가노현 기소군 나기소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나가노현 최서단의 역이다.
79.다쓰노역 (나가노현)
다쓰노역(일본어: 辰野駅, たつのえき)은 일본 나가노현 가미이나군 다쓰노정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주오 본선(다쓰노 지선)과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 및 일본화물철도가 환승하는 역이다. 역은 동일본 여객철도 관할이다.
80.다나카역
다나카역(일본어: 田中駅, たなかえき)은 나가노현 도미시 다나카에 위치한 시나노 철도 시나노 철도선의 역이다.
81.다바타역 (나가노현)
다바타역(일본어: 田畑駅)은 일본 나가노현 가미이나군 미나미미노와촌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82.다모토역
다모토역(일본어: 田本駅)은 일본 나가노현 시모이나군 야스오카촌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83.지쿠니역
지쿠니역(일본어: 千国駅)은 일본 나가노현 기타아즈미군 오타리촌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10번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84.지쿠마역
지쿠마역(일본어: 千曲駅, ちくまえき)은 나가노현 지쿠마시 오아자자쿠마쿠에 위치한 시나노 철도 시나노 철도선의 역이다.
85.지노역
지노역(일본어: 茅野駅, ちのえき)은 일본 나가노현 지노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주오 선을 운행하는 모든 특급열차가 정차를 하는 역이다. 또한, 도카이 여객철도의 이다 선을 직결 운행하는 열차중 일부는 이 역에서 시종착을 한다.
86.데쿠노사카키역
데쿠노사카키역(일본어: テクノさかき駅, てくのさかきえき)은 나가노현 하니시나군 사카키정에 위치한 시나노 철도 시나노 철도선의 역이다.
87.나카이사무라이역
나카이사무라이역(일본어: 中井侍駅)은 일본 나가노현 시모이나군 덴류촌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88.나카카루이자와역
나카카루이자와역(中軽井沢駅)은 나가노현 기타사쿠군 가루이자와정 나가쿠라 3901에 위치한 시나노 철도 시나노 철도선의 역이다.
89.나카쓰치역
나카쓰치역(일본어: 中土駅)은 일본 나가노현 기타아즈미군 오타리촌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90.나기소역
나기소역(일본어: 南木曽駅)은 일본 나가노현 기소군 나기소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특급 '(와이드 뷰) 시나노'의 일부가 정차한다. 주오 본선 나고야 지구의 동단으로, 상행은 이른 아침에 이 역 시발에 나고야 행이 2개(토 · 휴일은 1개) 운전되고 있지만, 하행은 모든 열차가 앞의 나카쓰가와역 종점이 되기 위해, 나고야 역부터 이 역으로 노선 연장하는 열차는 적지 않다. 또는, 아침 · 저녁을 중심으로 이 역과 나카쓰가와를 잇는 열차도 있다. 이 역부터 시오지리 방면의 보통 열차의 개수가 적어진다(약 2시간에 1개 간격).
91.나나쿠보역
나나쿠보역(일본어: 七久保駅)은 일본 나가노현 가미이나군 이지마정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92.나라이역
나라이역(일본어: 奈良井駅)은 일본 나가노현 시오지리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93.니에카와역
니에카와역(일본어: 贄川駅)은 일본 나가노현 시오지리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94.니시조역
니시조역(일본어: 西条駅)은 일본 나가노현 히가시치쿠마군 지쿠호쿠촌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시노노이 선이 지나간다.
95.누쿠타역
누쿠타역(일본어: 温田駅)은 일본 나가노현 시모이나군 야스오카촌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96.노지리역
노지리역(일본어: 野尻駅)은 일본 나가노현 기소군 오쿠와촌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97.노베야마역
노베야마역(일본어: 野辺山駅)은 일본 나가노현 미나미사쿠군 미나미마키촌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우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98.하쿠바역
하쿠바역(일본어: 白馬駅)은 일본 나가노현 기타아즈미군 하쿠바촌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13번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99.하쿠바오이케역
하쿠바오이케역(일본어: 白馬大池駅)은 일본 나가노현 기타아즈미군 오타리촌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11번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0.하구로시타역
하구로시타역(일본어: 羽黒下駅)은 일본 나가노현 미나미사쿠군 사쿠호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우미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1.하바역 (나가노현)
하바역(일본어: 羽場駅)은 일본 나가노현 가미이나군 다쓰노정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2.하라노역
하라노역(일본어: 原野駅)은 일본 나가노현 기소군 기소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103.히가시코모로역
히가시코모로역(일본어: 東小諸駅)은 일본 나가노현 고모로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우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4.히지리코겐역
히지리코겐역(일본어: 聖高原駅, 히지리 고원역)은 일본 나가노현 히가시치쿠마군 오미촌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시노노이 선이 지나간다. 이름은 히지리 고원에서 따온 것이다. 특급 《시나노》의 일부 열차가 정차한다.
105.히데시오역
히데시오역(일본어: 日出塩駅)은 일본 나가노현 시오지리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106.히라오카역
히라오카역(일본어: 平岡駅)은 일본 나가노현 시모이나군 덴류촌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7.히라타키역
히라타키역(일본어: 平滝駅)은 일본 나가노현 시모미노치군 사카에촌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이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8.히라하라역
히라하라역(일본어: 平原駅, ひらはらえき)은 나가노현 고모로시 오아자히라하라에 위치한 시나노 철도 시나노 철도선의 역이다.
109.히로오카역
히로오카역(일본어: 広丘駅)은 일본 나가노현 시오지리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시노노이 선이 지나간다.
110.후지미역
후지미역(일본어: 富士見駅, ふじみえき)은 일본 나가노현 스와군 후지미정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특급 슈퍼 아즈사 호는 전부 통과하며, 아즈사 호는 일부 정차한다.
111.후루마역
후루마역(일본어: 古間駅)은 일본 나가노현 가미미노치군 시나노정에는 시나노 철도 기타시나노 선의 철도역이다.
112.호소노역 (나가노현)
호소노역(일본어: 細野駅)은 일본 나가노현 기타아즈미군 마쓰카와촌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29번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13.마쓰바라코역
마쓰바라코역(일본어: 松原湖駅)은 일본 나가노현 미나미사쿠군 고우미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우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14.마나가시역
마나가시역(일본어: 馬流駅)은 일본 나가노현 미나미사쿠군 고우미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우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며, 역 옆에 세이난 전쟁의 일부인 지치부 사건의 전사자들을 기리는 묘비가 위치해 있다.
115.미사토역 (나가노현)
미사토역(일본어: 美里駅)은 일본 나가노현 고모로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우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16.미쓰오카역
미쓰오카역(일본어: 三岡駅)은 일본 나가노현 고모로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우미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17.미도리코역
미도리코역(일본어: みどり湖駅, みどりこえき)은 일본 나가노현 시오지리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주오 본선을 운행하는 특급열차가 일부 정차를 한다.
118.미나미오타리역
미나미오타리역(일본어: 南小谷駅)은 일본 나가노현 기타아즈미군 오타리촌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 서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9번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JR 동일본 구간에서는 전철화가 이 역까지 끝나지만 JR 서일본 구간에서부터는 이 역에서부터 이토이가와역까지 비전철화로 운행된다.
119.미나미카미시로역
미나미카미시로역(일본어: 南神城駅)은 일본 나가노현 기타아즈미군 하쿠바촌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16번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20.미야키역
미야키역(일본어: 宮木駅 みやきえき[*])은 일본 나가노현 가미이나군 다쓰노정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21.미야다역
미야다역(일본어: 宮田駅)은 일본 나가노현 가미이나군 미야다촌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22.미야노코시역
미야코노시역(일본어: 宮ノ越駅)은 일본 나가노현 기소군 기소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123.미요타역
미요타역(일본어: 御代田駅, みよたえき)은 나가노현 기타사쿠군 미요타정 오아자미요타에 위치한 시나노 철도 시나노 철도선의 역이다.
124.무레역
무레역(일본어: 牟礼駅)은 일본 나가노현 가미미노치군 이즈나정에는 시나노 철도 기타시나노 선의 철도역이다.
125.모리미야노하라역
모리미야노하라역(일본어: 森宮野原駅)은 일본 나가노현 시모미노치군 사카에촌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이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26.야시로코코마에역
야시로코코마에역(일본어: 屋代高校前駅, やしろこうこうまええき 야시로코오코오마에에키[*] "야시로 고교(고등학교) 앞 역")은 나가노현 지쿠마시 오아자야시로에 위치한 시나노 철도 시나노 철도선의 역이다.
127.야치호역
야치호역(일본어: 八千穂駅)은 일본 나가노현 미나미사쿠군 사쿠호정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우미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28.야부하라역
야부하라역(일본어: 薮原駅)은 일본 나가노현 기소군 기소촌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주오 본선의 역이다.
129.야마부키역
야마부키역(일본어: 山吹駅)은 일본 나가노현 시모이나군 다카모리정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승강장이다.
130.요코쿠라역 (나가노현)
요코쿠라역(일본어: 横倉駅)은 일본 나가노현 시모미노치군 사카에촌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이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31.아카시나역
아카시나역(일본어: 明科駅)은 일본 나가노현 아즈미노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시노노이 선이 지나간다. 특급 《시나노》 호의 일부가 정차한다.
132.아즈사바시역
아즈사바시역(일본어: 梓橋駅)은 일본 나가노현 아즈미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38번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33.아즈미오이와케역
아즈미오이와케역(일본어: 安曇追分駅)은 일본 나가노현 아즈미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30번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34.아리아케역 (나가노현)
아리아케역(일본어: 有明駅)은 일본 나가노현 아즈미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31번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35.다자와역
다자와역(일본어: 田沢駅)은 일본 나가노현 아즈미노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시노노이 선이 지나간다.
136.도요시나역
도요시나역(일본어: 豊科駅)은 일본 나가노현 아즈미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34번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37.나카가야역
나카가야역(일본어: 中萱駅)은 일본 나가노현 아즈미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36번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38.하쿠야초역
하쿠야초역(일본어: 柏矢町駅)은 일본 나가노현 아즈미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33번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이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39.히토이치바역
히토이치바역(일본어: 一日市場駅)은 일본 나가노현 아즈미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37번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40.호타카역
호타카역(일본어: 穂高駅)은 일본 나가노현 아즈미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32번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41.미나미토요시나역
미나미토요시나역(일본어: 南豊科駅)은 일본 나가노현 아즈미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35번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42.이다역
이다역(일본어: 飯田駅)은 일본 나가노현 이다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143.이나카미사토역
이나카미사토역(일본어: 伊那上郷駅)은 일본 나가노현 이다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44.이나야와타역
이나야와타역(일본어: 伊那八幡駅)은 일본 나가노현 이다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45.가나에역
가나에역(일본어: 鼎駅)은 일본 나가노현 이다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46.가와지역
가와지역(일본어: 川路駅)은 일본 나가노현 이다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47.기리이시역
기리이시역(일본어: 切石駅)은 일본 나가노현 이다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48.긴노역
긴노역(일본어: 金野駅)은 일본 나가노현 이다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49.게가역
게가역(일본어: 毛賀駅)은 일본 나가노현 이다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50.시모야마무라역
시모야마무라역(일본어: 下山村駅)은 일본 나가노현 이다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51.다시나역
다시나역(일본어: 駄科駅)은 일본 나가노현 이다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52.지요역
지요역(일본어: 千代駅)은 일본 나가노현 이다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53.덴류쿄역
덴류쿄역(일본어: 天竜峡駅)은 일본 나가노현 이다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154.도키마타역
도키마타역(일본어: 時又駅)은 일본 나가노현 이다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55.모토젠코지역
모토젠코지역(일본어: 元善光寺駅)은 일본 나가노현 이다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156.이야마역
이야마역(일본어: 飯山駅)은 일본 나가노현 이야마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원래는, 호쿠리쿠 신칸센이 개통하기 전까지 이야마 선이 운행하고 있었으나, 2015년 3월 14일을 기점으로 호쿠리쿠 신칸센 가나자와역까지 개통하게 되면서 정차하게 되었다. 신칸센 승강장은 2면 2선의 상대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으며, 재래선인 이야마 선 승강장은 1면 2선의 섬식 승강장을 갖추고 있다.
157.가미쿠와나가와역
가미쿠와나가와역(일본어: 上桑名川駅)은 일본 나가노현 이야마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이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58.가미사카이역
가미사카이역(일본어: 上境駅)은 일본 나가노현 이야마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이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59.기타이야마역
기타이야마역(일본어: 北飯山駅)은 일본 나가노현 이야마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이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60.구와나가와역
구와나가와역(일본어: 桑名川駅)은 일본 나가노현 이야마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이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61.시나노타이라역
시나노타이라역(일본어: 信濃平駅)은 일본 나가노현 이야마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이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62.도가리노자와온센역
도가리노자와온센역(일본어: 戸狩野沢温泉駅)은 일본 나가노현 이야마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이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63.니시오타키역
니시오타키역(일본어: 西大滝駅)은 일본 나가노현 이야마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이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64.하치스역
하치스역(일본어: 蓮駅)은 일본 나가노현 나카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이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65.우에다역 (나가노현)
우에다역(일본어: 上田駅, うえだえき)은 일본 나가노현 우에다시에 있는 철도역이다.
166.오야역 (나가노현)
오야역(일본어: 大屋駅, おおやえき)은 나가노현 우에다시 오야 454에 위치한 시나노 철도 시나노 철도선의 역이다.
167.시나노코쿠분지역
시나노코쿠분지역(일본어: 信濃国分寺駅, しなのこくぶんじえき)은 나가노현 우에다시 고쿠부에 위치한 시나노 철도 시나노 철도선의 역이다.
168.니시우에다역
니시우에다역(일본어: 西上田駅, にしうえだえき)은 나가노현 우에다시 시모시오지리에 위치한 시나노 철도 시나노 철도선의 역이다.
169.아즈미쿠쓰카케역
아즈미쿠쓰카케역(일본어: 安曇沓掛駅)은 일본 나가노현 오마치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26번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70.이나오역
이나오역(일본어: 稲尾駅)은 일본 나가노현 오마치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20번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71.우미노쿠치역
우미노쿠치역(일본어: 海ノ口駅)은 일본 나가노현 오마치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19번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72.기타오마치역
기타오마치역(일본어: 北大町駅)은 일본 나가노현 오마치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22번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73.시나노오마치역
시나노오마치역(일본어: 信濃大町駅)은 일본 나가노현 오마치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23번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174.시나노키자키역
시나노키자키역(일본어: 信濃木崎駅)은 일본 나가노현 오마치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21번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75.시나노토키와역
시나노토키와역(일본어: 信濃常盤駅)은 일본 나가노현 오마치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25번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76.미나미오마치역
미나미오마치역(일본어: 南大町駅)은 일본 나가노현 오마치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24번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77.야나바역
야나바역(일본어: 簗場駅)은 일본 나가노현 오마치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18번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78.야나바스키조마에역
야나바스키조마에역(일본어: ヤナバスキー場前駅)은 일본 나가노현 오마치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철도역이자 임시승강장이다. 역 번호는 17번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었다.
179.아오누마역
아오누마역(일본어: 青沼駅)은 일본 나가노현 사쿠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우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80.이와무라다역
이와무라다역(일본어: 岩村田駅)은 일본 나가노현 사쿠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우미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81.우스다역
우스다역(일본어: 臼田駅)은 일본 나가노현 사쿠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우미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82.오타베역
오타베역(일본어: 太田部駅)은 일본 나가노현 사쿠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우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83.기타나카고미역
기타나카고미역(일본어: 北中込駅)은 일본 나가노현 사쿠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우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84.사쿠다이라역
사쿠다이라역(일본어: 佐久平駅)은 일본 나가노현 사쿠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역이다. 호쿠리쿠 신칸센과 고우미 선의 열차가 정차한다.
185.다쓰오카조역
다쓰오카조역(일본어: 龍岡城駅)은 일본 나가노현 사쿠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우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86.나카고미역
나카고미역(일본어: 中込駅)은 일본 나가노현 사쿠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우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187.나카사토역
나카사토역(일본어: 中佐都駅)은 일본 나가노현 사쿠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고우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88.나메즈역
나메즈역(일본어: 滑津駅)은 일본 나가노현 사쿠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고우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89.가에사역
가에사역(일본어: 替佐駅)은 일본 나가노현 나카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이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90.가미이마이역
가미이마이역(일본어: 上今井駅)은 일본 나가노현 나카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이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91.아모리역
아모리역(일본어: 安茂里駅)은 일본 나가노현 나가노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신에쓰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192.이나리야마역
이나리야마역(일본어: 稲荷山駅)은 일본 나가노현 나가노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시노노이 선이 지나간다.
193.이마이역
이마이역(일본어: 今井駅)은 일본 나가노현 나가노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신에쓰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194.가와나카지마역
이마이역(일본어: 今井駅)은 일본 나가노현 나가노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 일본화물철도 신에쓰 본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195.기타나가노역
기타나가노역(일본어: 北長野駅)은 일본 나가노현 나가노시에 있는 시나노 철도 · 일본화물철도의 철도역이다.
196.산사이역
산사이역(일본어: 三才駅)은 일본 나가노현 나가노시에 있는 시나노 철도 기타시나노 선의 철도역이다.
197.시나노아사노역
시나노아사노역(일본어: 信濃浅野駅)은 일본 나가노현 나가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이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98.시노노이역
시노노이역(일본어: 篠ノ井駅)은 일본 나가노현 나가노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 · 시나노 철도의 철도역이다. 혼합식 승강장 2면 3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99.다테가하나역
다테가하나역(일본어: 立ケ花駅)은 일본 나가노현 나가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이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00.도요노역
도요노역(일본어: 豊野駅)은 일본 나가노현 나가노시에 있는 시나노 철도 및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역 업무는 시나노 철도가 관리하고 기타시나노 선을 소속 역으로 하고 있다. 이야마 선이 더해져 2개의 노선이 상호 운행되고 있다.
201.나가노역
나가노역(일본어: 長野駅)은 일본 나가노현 나가노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일본 화물철도, 나가노 전기철도 소속 철도역이며, 호쿠리쿠 신칸센의 정차역이다.나가노 현의 현청소재지인 나가노 시의 중심 철도역이며, 나가노 현 내의 최대 규모를 자랑하는 터미널 역사이다.
202.기타마쓰모토역
기타마쓰모토역(일본어: 北松本駅)은 일본 나가노현 마쓰모토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41번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선상역이다.
203.시마우치역
시마우치역(일본어: 島内駅)은 일본 나가노현 마쓰모토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40번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04.시마타카마쓰역
시마타카마쓰역(일본어: 島高松駅)은 일본 나가노현 마쓰모토시에 위치한 동일본 여객철도 오이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39번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05.히라타역 (나가노현)
히라타역(일본어: 平田駅)은 일본 나가노현 마쓰모토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시노노이 선이 지나간다.
206.마쓰모토역
마쓰모토역(松本駅, まつもとえき)은 일본 나가노현 마쓰모토시에 있는 철도역이다. 동일본 여객철도가 운영하며, 시노노이 선, 오이토 선 및 알피코 교통 가미코치선이 만난다. 주신 지방의 중심지인 마쓰모토 시의 대표역이다. 특급 《아즈사·슈퍼 아즈사》 호의 대부분이 여기에서 종착하며, 도카이 여객철도의 특급 《시나노》 호도 정차한다.
207.미나미마쓰모토역
미나미마쓰모토역(일본어: 南松本駅)은 일본 나가노현 마쓰모토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시노노이 선이 지나간다. 일본화물철도도 화물 업무를 보고 있다.
208.무라이역
무라이역(일본어: 村井駅)은 일본 나가노현 마쓰모토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시노노이 선이 지나간다.
209.주부 산악 국립공원
주부 산악 국립공원(中部山岳国立公園)은 일본 나가노현, 기후현, 도야마현, 니가타현에 걸쳐있는 히다산맥(북알프스)을 중심으로 하는 국립 공원이다. 총 면적은 1743.23 km2이다. 1934년 12월 4일에 다이세쓰 산 국립공원, 아칸 국립공원, 닛코 국립공원, 아소 국립공원(현 아소쿠주 국립공원)과 함께 지정되었다. 가미코치, 노리쿠라 고원 등의 고원과 호타카 산과 다테 산 등의 3000m급의 산들이 있다.
210.나가노현
나가노현(일본어: 長野県)은 일본 혼슈 중앙부에 있는 현이다. 도도부현청 소재지는 나가노시이다.서율령국의 시나노국(信濃国)이었으며 신슈(信州)라고 불리는 경우가 많다. 바다엔 접하지 않고 내륙 현에 이어 대규모 산악 지역이었기 때문에 도도부현의 면적 목록에서 거주지 비율은 낮다. 캐치 프레이즈는 시아와세 신슈이다. 나가노시는 젠코지(善光寺)의 몬젠정(門前町)으로 발전하였다. 제18회 동계올림픽의 개최지이기도 하다.
211.나가노시
나가노시(일본어: 長野市)는 나가노현 북부의 호쿠신 지방의 중심 도시이자 현청 소재지이다. 중핵시로 지정되어 있다. 산이 둘러 싸여 있어 스키를 타기 좋고 동계 스포츠를 즐기는 데 유리한 곳이며 1998년 동계 올림픽 개최 도시이기도 하다. 7세기에 현재의 나가노 현 이다시에서 옮은 젠코지(善光寺)를 중심으로 번영해 왔다. 젠코지 몬젠 정을 중심으로 하는 구 나가노 정 등은 가미미노치군에 속하고 있었지만 현재의 시역은 그 외에 구 사라시나 군, 하니시나군, 가미타카이군에 걸친다.
212.마쓰모토시
마쓰모토시(일본어: 松本市, まつもとし)는 고신에쓰 지방의 중부에 있는 나가노현에서 나가노시 다음으로 큰 도시이다. 중핵시로 승격 되어있다.
213.우에다시
우에다시(일본어: 上田市)는 나가노현 동부에 있는 시이다. 나가노 현에서는 나가노시, 마쓰모토시에 이어 3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며 센고쿠 시대부터 도신 지방의 중심 도시로서 번영해 왔다. 2006년 3월 6일에는 지사가타 군(小県郡)의 마루코 정(丸子町), 사나다 정(真田町), 다케시 촌(武石村)과 통합하여 새로운 우에다 시가 발족했다. 마루코 지역은 가케유 온천(鹿教湯温泉), 레이센지 온천(霊泉寺温泉), 오시오 온천(大塩温泉) 등의 온천으로 유명하고, 또 사나다 지역에 있는 해발 약 1300m의 스가다이라 고원(菅平高原)은 여름에는 럭비 팀의 합숙 연습으로, 겨울에는 스키장으로 알려지고 있다. 통합 전의 우에다 시 지역에도 유명한 온천으로서 벳쇼 온천(別所温泉)이 있다.
214.오카야시
오카야시(일본어: 岡谷市)는 나가노현 난신 지방의 스와호에 인접한 공업 도시이다. 1910년대부터 1920년대에 걸쳐 제사업의 중심지로서 번창했고 현재는 "동양의 스위스"로 여겨지며 정밀 기계 공업이 번성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 1950년대에는 된장의 생산량이 일본 제일을 자랑했으며 지금도 많은 된장 공장이 있다.
215.이다시
이다시(일본어: 飯田市)는 나가노현 남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신슈에서 가장 남쪽에 있는 시로 미나미신슈 광역 연합을 형성하는 최대의 자치체이며 나가노 현내에 5개가 존재하는 인구 10만명을 넘는 난신 지방 최대의 도시로 나가노시, 마쓰모토시, 우에다시를 잇는 현내 4위의 도시이다. 에도 시대에는 이이다 번의 조카마치로서 번창했고 현재는 사과 가로수·인형극(이이다꼭두극제)의 거리로서 발전하였다. 옛 조카마치의 모습이 남아있는 전통 상점가(마치나미)와 지금도 남아있는 전통 예능이 많아 미나미신슈의 "작은 교토"가 되고 있다. 또 "환경 문화 도시"로서 태양광 발전 등에도 힘을 쓰고 있다.
216.스와시
스와시(일본어: 諏訪市)는 나가노현 난신 지방의 시로 스와호에 인접하는 공업도시이다. 스와 호와 가미스와 온천, 스와 대사의 상사(본궁), 기리가 봉을 포함하는 관광도시이기도 하다. 세이코 엡슨의 본사 및 기간 부문, 다케야 된장의 본사가 있다. 에도 시대에는 다카시마 번의 성시였다. 전후에 시계, 카메라, 렌즈 등의 생산 시설이 들어왔다. 스와 시 주변의 3시 2정 1촌이 이루는 스와 광역 연합의 한 도시이자 중심 도시이다.
217.스자카시
스자카시(일본어: 須坂市)는 나가노현 북부의 시이다. 에도 시대에는 스자카 번의 진야 마을이었다.
218.고모로시
고모로시(일본어: 小諸市)는 나가노현 동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에도시대와 고모로번의 조카마치였다.
219.이나시
이나시(일본어: 伊那市)는 나가노현 남부에 위치하는 이나 골짜기 북부의 시이다. 2006년 3월 31일에 다카토 정 및 하세 촌을 합병하였다.
220.고마가네시
고마가네시(일본어: 駒ヶ根市)는 나가노현 남부(난신 지방)의 도시이다. 이전에는 가미이나군에 속했다. 이나 골짜기의 중앙부, 덴류강의 하안단구상에 위치하는 도시이며 중앙 알프스(기소산맥)와 남 알프스(아카이시산맥)를 모두 볼 수 있는 곳이다. 벼농사, 전기, 정밀기계 공업이 왕성하다. 과거에 "일본에서 살기 좋은 도시" 랭킹에 1위가 되었던 적이 있었고 이후에도 항상 상위에 랭크되고 있다.
221.나카노시
나카노시(일본어: 中野市)는 나가노현 북부에 있는 시이다. 나가노 분지의 북동부에 위치하는 호쿠신슈의 중심 도시이며 인접하는 나가노시와 발음이 비슷하다.
222.오마치시
오마치시(일본어: 大町市)는 나가노현의 북서쪽에 위치한 시이다. 시 서쪽에는 해발 3000m를 넘은 산들이 줄지어 있는 북 알프스가, 북쪽에는 니시나 산코(仁科三湖)라고 불리는 아오키호(青木湖), 나카쓰나 호(中綱湖), 기자키 호(木崎湖)가 있고, 시내에 온천도 많은 관광 도시이다.
223.이야마시
이야마시(일본어: 飯山市)는 나가노현 북부에 있는 시이다. 나가노 현에서 가장 인구가 적은 시이다.
224.지노시
지노시(일본어: 茅野市)는 나가노현 난신 지방의 시이다. 야쓰가타케 산, 시라카바 호, 다테시나 고원, 구루마야마 산 등 관광 자원을 많이 포함하는 스와 지방 유수의 시이다. 정밀업을 기반으로 하는 공업 도시이지만 파슬리, 셀러리 등의 고원 야채의 산지로서도 유명하다. 전통 산업으로서 겨울의 추위와 건조한 기후를 이용해 만들어지는 한천이 있다. 야쓰가타케 산록으로 택지화가 진행되어 오카야시, 스와시를 제치고 스와 지역에서 최대의 인구를 가지는 자치체가 되었다. 일본의 시 중에서는 가장 해발이 높은 장소(801m)에 시청이 있다.
225.시오지리시
시오지리시(일본어: 塩尻市)는 일본 나가노현 중부(주신 지방)의 시 가운데 하나이다. 현 중앙부의 교통의 요지가 되고 있다.
226.사쿠시
사쿠시(일본어: 佐久市)는 나가노현 동부의 도신 지방에 위치하는 시이다.
227.지쿠마시
지쿠마시(일본어: 千曲市)는 나가노현 북부, 호쿠신 지방의 지쿠마강 중류역에 위치하는 시이다. 2003년 9월 1일 고쇼쿠 시, 하니시나군 도구라 정, 사라시나 군 가미야마다 정의 3시정의 합병에 의해 탄생했다. 시청은 고쇼쿠 청사, 도구라 청사, 가미야마다 청사로 기능을 분산한다. 구 도구라 정과 구 가미야마다 정은 메이지 시대에 세워져 100년 남짓의 역사를 가지는 도구라카미야마다 온천으로서 알려져 있는 유명 온천의 땅이다. 구 고쇼쿠 시는 고훈 시대의 시나노국의 대왕의 분묘로 여겨지는 고분군이 위치한다. 또 에도 시대에는 젠코지 가도의 최대 슈쿠바이자 메이지 기에 호쿠신 제일의 상업 도시로서 번창한 이나리야마주쿠가 있었고 사실상 홋코쿠 가도와 홋코쿠니시 가도의 합류점이자 젠코지 가도에서 다니카이도가 분기하는 교통의 요충지였다. 현재도 나가노 자동차도와 조신에쓰 자동차도의 합류점인 고쇼쿠 JCT가 놓여 있다.
228.도미시
도미시(일본어: 東御市)는 나가노현 동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2004년 4월 1일, 지사가타 군(小県郡) 도부 정(東部町)과 기타사쿠 군(北佐久郡) 기타미마키 촌(北御牧村)이 통합하여 인구 3만여 명의 시로서 발족했다. 시 이름은 도부 정의 "東"(도) 자와 기타미마키 촌의 "御"(미) 자를 따서 명명한 것이다. 시 중앙부에는 시나노강의 상류인 지쿠마 강(千曲川)이 흐르고 있고, 북부는 유노마루 산(湯ノ丸山) 등 해발 2000m를 넘는 산들이 연속하고 군마현과의 경계선이 되고 있다. 현 경계선 부근에는 유노마루 스키장이 있다.
229.아즈미노시
아즈미노시(일본어: 安曇野市)는 나가노현 중부(주신 지방)의 시이다. 2005년 10월 1일에 미나미아즈미군 도요시나정·호타카정·미사토촌·호리가네 촌과 히가시치쿠마군 아카시나정이 합병해 탄생했다.
230.고우미정
고우미정 (고우미마치)(일본어: 小海町)은 나가노현 동부의 미나미사쿠군의 정이다. 시역은 기타야쓰가다케와 오쿠치치부 산괴 사이에 동서로 퍼져있다.
231.가와카미촌 (나가노현)
가와카미촌(일본어: 川上村)은 나가노현 미나미사쿠군의 촌이다. 지쿠마강의 최상류부에 위치한다. 일본 유수의 양상추 산지이며 마을 내의 취업자의 60%가 제1차 산업과 관계어고 있다. 나가노 현내에서 유일하게 사이타마현(지치부 지방)과 경계를 접하는 자치체이다. 마을의 일부는 지치부타마카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232.미나미마키촌
미나미마키촌(일본어: 南牧村)은 나가노현 미나미사쿠군의 촌이다. 마을의 취락은 사쿠우미노쿠치역 주변의 우미노구치 지구와 노베야마 고원의 노베야마 지구가 있다. 전자는 지쿠마강 부근에 있고 후자는 야쓰가타케의 기슭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300m 가까운 고도 차이가 있다. 마을의 간선도로인 국도 141호선은 두 지방구를 연결한다. 근처의 가와카미촌과 함께 고원 야채의 산지이다. 근처의 군마현 간라군의 난모쿠촌과 한자가 같다.
233.미나미아이키촌
미나미아이키촌(남아이키촌)(일본어: 南相木村)은 나가노현 미나미사쿠군의 자치체이다. 마을을 흐르는 미나미아이키 강 상류부(미카와)에 도쿄 전력이 간나 강 발전소에 의해 군마현 우에노촌의 우에노 댐과의 사이에 양수 발전을 실시하기 위해서 미나미아이키 댐을 건설했다. 마을에 중학교는 없고 인접하는 고우미정, 기타아이키촌과 함께 중학교 조합을 만들어 마을의 중학생 대부분은 고우미 정에 있는 조합립 고우미 중학교에 통학하고 있다.
234.기타아이키촌
기타아이키촌(북아이키촌)(일본어: 北相木村)은 나가노현 미나미사쿠군의 촌이다.
235.사쿠호정
사쿠호정 (사쿠호마치)(일본어: 佐久穂町)은 나가노현 동부의 미나미사쿠군의 정이다. NHK의 외국 방송 수신 시설이 있으며, 정의 중심부에 사쿠시의 월경지가 있다.
236.가루이자와정
가루이자와정(가루이자와마치)(일본어: 軽井沢町 가루이자와마치[*])은 일본 나가노현 기타사쿠군의 정이다.
237.미요타정
미요타정(미요타마치)(일본어: 御代田町)은 나가노현 기타사쿠군의 정이다. 정의 북부에는 아사마 산의 기슭이 펼쳐져있다.
238.다테시나정
다테시나정(다테시나마치)(일본어: 立科町)은 나가노현 중부의 기타사쿠군의 정이다.
239.아오키촌
아오키촌(일본어: 青木村)은 나가노현 지사가타군의 촌이다.
240.나가와정
나가와정(일본어: 長和町)은 나가노현 중동부에 위치한 지사가타군의 정이다.
241.시모스와정
시모스와정(시모스와마치)(일본어: 下諏訪町)은 나가노현 스와군의 정이다. 스와호와 시모스와 온천, 스와 대사 등이 있는 관광지이자 몬젠 정이다. 일찍이 나카센도, 고슈 가도가 분기 하는 슈쿠바로서 번창하고 있었다.
242.후지미정
후지미정(일본어: 富士見町)은 나가노현 중부에 있는 스와군의 정이다.
243.하라촌
하라촌(일본어: 原村)은 나가노현 스와군의 촌이다.
244.다쓰노정
다쓰노정(일본어: 辰野町)은 나가노현 가미이나군의 정이다.
245.미노와정
미노와정(미노와마치)(일본어: 箕輪町)은 나가노현 남부의 가미이나군의 정이다.
246.이지마정
이이지마정(이이지마마치)(일본어: 飯島町)은 나가노현 가미이나군의 남부에 위치한 정이다. 서쪽으로 중앙 알프스(기소산맥)의 미나미고마가타케가 보이고 동쪽에는 센조가타케를 중심으로 남 알프스(아카이시산맥)의 산들이 멀리 보이는 소위 "두 개의 알프스가 보이는 마을"이다. 특히 나나쿠보 지구의 중앙 알프스의 풍경은 아름답다. 벼농사와 배 등의 과일 재배가 왕성하며 말고기 제품도 유명하다.
247.미나미미노와촌
미나미미노와촌(일본어: 南箕輪村)은 나가노현 남부에 위치한 가미이나군의 촌이다.
248.나카가와촌
나카가와촌(일본어: 中川村)은 나가노현의 남부에 위치한 가미이나군의 촌이다.
249.미야다촌
미야다촌(일본어: 宮田村)은 나가노현 가미이나군의 촌이다. 마을의 서단에는 중앙 알프스(기소산맥)의 최고봉인 기소코마가다케가 우뚝 솟아 있고 동단에는 덴류강, 남단에 오다기리 강이 흐르고 있으며 동쪽의 완만한 평야부와 서쪽의 기소코마가다케까지 미치는 깊은 산지로 이루어져 있다.
250.마쓰카와정
마쓰카와정(마쓰카와마치)(일본어: 松川町)은 나가노현 시모이나군의 최북단에 위치한 정이다.주요 산업은 공업과 농업이다. 특히 배, 사과 등의 과수 재배가 번성한다.
251.다카모리정 (나가노현)
다카모리정(다카모리마치)(일본어: 高森町)은 나가노현의 남부, 시모이나군의 북부에 위치한 정이다. 기소산맥이 서있고 덴류강의 하안단구에 있다. 농업이 중심으로 특히 산의 해발이 높은 장소에서는 사과, 배 등의 과수가, 덴류강에 가까운 장소에서는 이치다 감이 특산물이다.
252.아난정
아난정(일본어: 阿南町)은 나가노현 남단에 위치한 시모이나군의 정이다. 기소산맥에 둘러싸여있고 덴류강의 우안에 위치하는 정이다.
253.아치촌
아치촌(일본어: 阿智村)은 나가노현 시모이나군의 서부에 위치한 촌이다.
254.히라야촌
히라야촌(일본어: 平谷村)은 나가노현 시모이나군에 속하는 촌이다. 나가노 현에서 가장 인구가 적은 자치체이다. 마을 내의 대부분이 야하기강 유역이다. 이 때문에 유역의 아이치현 도요타시·니시미카와와의 관계가 강하다.
255.네바촌
네바촌(일본어: 根羽村)은 나가노현 서남단에 위치한 시모이나군의 촌으로 기후현, 아이치현에 인접해있다.
256.시모조촌
시모조촌(일본어: 下條村)은 나가노현 시모이나군의 중앙에 위치한 촌이다.
257.우루기촌
우루기촌(일본어: 売木村)은 나가노현과 시모이나군의 남단에 위치하는 촌이다.
258.덴류촌
덴류촌(일본어: 天龍村)은 나가노현의 남단에 위치하는 시모이나군의 촌이다.
259.야스오카촌
야스오카촌(일본어: 泰阜村)은 나가노현 시모이나군 남부에 있는 촌이다.
260.다카기촌
다카기촌(일본어: 喬木村)은 나가노현 시모이나군의 북부에 위치한 촌이다.
261.도요오카촌
도요오카촌(일본어: 豊丘村)은 나가노현 시모이나군의 북부에 위치한 촌이다. 현내에서는 온난한 기후로 비교적으로 겨울철의 강설도 적다. 기후를 살린 과수 및 야채의 재배, 수도 등이 번성한 농업 중심의 마을이다. 사과·배·복숭아·이치다 감과 같은 과수와 송이 버섯 등이 특산물이다. 특히 송이버섯은 일본 유수의 산지이다. 1만년 이전의 구석기 시대부터 사람이 거주하였고 토지의 이점을 살린 독자적인 생활을 개척해 왔다고 여겨지며 마을내 각지에는 조몬 시대의 토기와 토우, 고훈 시대의 스에 토기 등이 다수 출토되고 있다. 마을이 운영하는 케이블 TV방송국으로서 도요오카 방송 네트워크가 있다.
262.오시카촌
오시카촌(일본어: 大鹿村)은 나가노현 시모이나군의 북부에 위치하는 촌이다.
263.아게마쓰정
아게마쓰정 (아게마쓰마치)(일본어: 上松町)은 나가노현의 남서부에 위치하는 기소군의 정이다. 정의 동단에는 중앙 알프스(기소산맥)의 최고봉인 기소코마가다케가 우뚝 솟아있고 정의 거의 중앙을 기소강이 흐르고 있다.
264.나기소정
나기소정(일본어: 南木曽町)은 나가노현 남서부에 위치하는 기소군의 정이다. 나가노 현의 정 중에서는 가장 인구가 적다. 쓰마고주쿠 및 미도노주쿠가 나카센도의 역참 마을로서 발전했다. 또 면적의 약 94%를 삼림이 차지하고 있다.
265.기소촌
기소촌(일본어: 木祖村)은 나가노현 기소군의 촌이다.
266.오타키촌
오타키촌(일본어: 王滝村, 왕롱촌)은 나가노현 남서부에 위치하는 기소군의 촌이다. 온타케산의 기슭에 위치한다. 예부터 임업이 번창하고 "기소 편백"으로 알려졌다. 이것은 일본 3대 아름다운 숲으로 꼽히고 있다. 옛날에는 벌채한 편백을 이카다로 강을 이용한 수운의 방법으로 아게마쓰정의 제재소까지 옮겼다. 댐의 건축으로 수운을 할 수 없게 되어 버렸지만 대신에 운반 수단으로서 기소 삼림철도가 정비되었다. 기소 삼림철도는 목재의 운반 뿐만이 아니라 주민의 다리 역할을 해왔다. 특히 오타키강의 안쪽(상류부)의 기소 편백은 그 품질이 높아 에도 시대부터 벌채가 보호되어 왔다. 1970년경은 1개당 10만엔 이상의 가치가 있어 고급 재목으로서 알려졌다. 또한 이세 신궁의 건축재로서 사용되었다.
267.오쿠와촌
오쿠와촌(일본어: 大桑村)은 나가노현 서남부에 있는 기소군의 촌이다. 기소 골짜기의 남쪽에 위치하는 산간의 마을이다.
268.기소정
기소정 (기소마치)(일본어: 木曽町)은 나가노현 기소군 중앙부에 있는 정이다. 2005년 11월 1일, 기소후쿠시마 정, 히요시 촌, 가이다 촌, 미타케 촌이 합병해 탄생했고 기소 군내에서 유일한 신설 정이다.
269.오미촌
오미촌(일본어: 麻績村)은 나가노현 히가시치쿠마군의 촌이다.
270.이쿠사카촌
이쿠사카촌(일본어: 生坂村)은 나가노현 히가시치쿠마군의 촌이다.
271.야마가타촌
야마가타촌(일본어: 山形村)은 나가노현 중서부의 히가시치쿠마군의 촌이다. 인구 약 23만의 마쓰모토시와 약 7만의 시오지리시 근처에서 도로 정비가 진행되고 있고 도시 규모 나누기에 의한 교외형 상업 시설이 많다. 현재는 영화관 등도 들어가있는 주신 지방 최대급의 쇼핑센터인 "아이시티 21"과 이온계의 "사라다 가도 쇼핑센터"가 마을내에 있다. 일본 알프스 사라다 가도와 같은 관광 도로와 기요미즈데라로 유명하다.
272.아사히촌
아사히촌(일본어: 朝日村)은 나가노현 중서부의 히가시치쿠마군의 촌이다.
273.지쿠호쿠촌
지쿠호쿠촌(일본어: 筑北村)은 나가노현 히가시치쿠마군의 촌이다. 2005년 10월 11일, 사카이 촌, 혼조 촌, 사카키타 촌이 합병해 탄생했다.
274.이케다정 (나가노현)
이케다정 (이케다마치)(일본어: 池田町)은 나가노현 기타아즈미군의 정이다. 아즈미노의 북부에 해당한다. 북 알프스(히다산맥)가 깨끗이 보인다.
275.마쓰카와촌
마쓰카와촌(일본어: 松川村)은 나가노현에 있는 기타아즈미군의 촌이다. 아즈미노의 북부에 있다.
276.하쿠바촌
하쿠바촌(일본어: 白馬村)은 나가노현 북서부에 위치하는 기타아즈미군의 촌이다. 북 알프스(히다산맥)의 산기슭에 있고 여름에는 등산, 피서지이자 겨울에는 스키장으로서 번성하고있다. 단체 스키장으로서는 일본 최대 규모인 핫포오네 스키장이 있어 나가노 동계올림픽의 회장이 되었다.
277.오타리촌
오타리촌(일본어: 小谷村)은 나가노현 서부에 위치하는 기타아즈미군의 촌이다. "특별 폭설 지대"로 대규모 스키장이 많이 있어 겨울에는 스키객으로 활기찬다.
278.사카키정
사카키정(사카키마치)(일본어: 坂城町)은 나가노현 하니시나군의 정이다. 나가노시, 지쿠마시 등과 함께 호쿠신 지역에 속하지만 생활·경제·상권은 인접하는 도신 지방의 우에다시와의 관계가 강하다.
279.오부세정
오부세정 (오부세마치)(일본어: 小布施町)은 나가노현 북부에 위치한 가미타카이군의 정이다. 가쓰시카 호쿠사이를 포함해 역사적 유산을 살린 마을 만들기로 인기를 끌어 지금은 기타시나노 지역 유수의 관광지로서 인지도도 높아지고 있다.
280.다카야마촌 (나가노현)
다카야마촌(일본어: 高山村)은 나가노현 북동부에 위치하는 가미타카이군의 촌이다.
281.야마노우치정
야마노우치정 (야마노우치마치)(일본어: 山ノ内町)은 나가노현 북동부에 위치한 시모타카이군의 정이다. 정내의 시가 고원과 유다나카시부 온천향 등은 관광지로서 유명하다.
282.기지마다이라촌
기지마다이라촌(일본어: 木島平村)은 일본 나가노현 북동부에 있는 시모타카이군의 촌이다.
283.노자와온센촌
노자와온센촌(일본어: 野沢温泉村)은 나가노현 북부에 위치하는 시모타카이군의 정이다.
284.시나노정
시나노정(일본어: 信濃町)은 나가노현 북부에 위치하는 가미미노치군의 정이다. 노지리 호와 구로히메 동화관 등으로 유명할 뿐만 아니라 고바야시 잇사의 탄생지로서도 알려져 있다. 정의 서쪽에는 구로히메 산이 우뚝 솟아 있다.
285.오가와촌
오가와촌(일본어: 小川村)은 나가노현 가미미노치군의 정이다. 나가노시와 기타아즈미군 하쿠바촌의 거의 중간에 위치하고 그 경관은 "신슈의 자연 100선(경관선)"·"신슈 선셋 포인트 100선"으로 선정되었다.
286.이즈나정
이즈나정 (이즈나마치)(일본어: 飯綱町)은 나가노현 북부에 위치하는 가미미노치군의 정이다. 2005년 10월 1일, 가미미노치 군의 무레 촌과 사미즈 촌이 합병해 탄생했다.
287.사카에촌
사카에촌(일본어: 栄村)은 나가노현 북부(호쿠신 지방)의 시모미노치군의 촌이다.
288.아사마산
아사마산(일본어: 浅間山 아사마야마[*])은 군마현 아가쓰마군 쓰마고이촌과 나가노현 기타사쿠군 가루이자와정, 미요타정의 경계에 있는 높이 2,542m의 활화산으로 때때로 활동을 보인다. 1783년 대분화 때는 큰 피해를 빚었다. 산허리에는 소나무가 울창하고 남쪽 기슭에는 가루이자와 고원이 있다. 2009년 2월 3일경 화산이 폭발하였으나 큰 피해는 없었다. 이 폭발 당시 화산재가 바람을 타고 도쿄까지 퍼져가기도 하였다.
289.온타케산
온타케산(일본어: 御嶽山)은 일본 나가노현과 기후현에 걸쳐 있는 산이다. 해발 고도는 3,067m이다.[1] 일본백명산 중 하나로, 현재도 활동하는 활화산으로 알려져 있다.[2][3] 2014년 9월 27일 오전 11시 53분에 갑자기 분화하기 시작했으며, 화쇄류 비슷한 현상이 발생하여 31명이 심정지 상태가 되었다. 화쇄류란 화산쇄설류(火山碎屑流)의 줄임말로 화산재, 암석, 수증기 등이 결합되어 분출되는 현상으로 분출되는 속도는 시속 700km에 달하며, 온도는 1,000도에 이른다. 또한 화산재와 증기 구름이 높이 5000m까지 솟아올랐다. 최근 심폐정지 상태인 31명 중 4명이 사망한 것으로 알려졌다. 계속 분출할 수 있다고 보고, 화산 활동을 관측 중이다. 분화 원인은 수증기 폭발인지 마그마 분출인지는 아직 밝혀지지 않았다.[4]
290.오바스테산
오바스테산(일본어: 姨捨山 오바스테야마[*]) 또는 우바스테 산(일본어: 姨捨山 우바스테야마[*])은 일본 나가노현 지쿠마시와 히가시치쿠마군 지쿠호쿠촌에 걸쳐 있는 산이다. 정식 명칭은 가무리키 산(일본어: 冠着山 가무리키야마[*])이다. 높이는 표고 약 1,252m로, 나가노 분지 남서단에 있다. 과거에는 오바쓰세 산(일본어: 小長谷山)이라 불렸다. 민속학자인 야나기다 구니오(柳田國男)의 기록에 따르면, 한자가 "노인을 버린다"는 뜻으로 바뀐 것은 《야마토모노가타리》 등에 등장하는 일본 곳곳의 기로(棄老) 설화 중, 지쿠마 지역의 젊은이들이 가난을 견디다 못해 나이들고 병든 부모를 오바스테 산에 버렸다가 크게 후회를 느끼고 다음날 부모를 다시 모시러 온다는 설화에서 기인한 것이다.[1]
291.다카쓰마산
다카쓰마산(일본어: 高妻山)은 니가타현 묘코시와 나가노현 나가노시 등 양쪽 지역을 사이에 둔 산으로, 해발 2,353m의 산이다. 그러나 이 산은 일본백명산에 등재되어 있는 산이기도 하며, 별칭은 도가쿠시 후지(戸隠富士)이다.
292.호켄봉
호켄봉(寶劍岳, 일본어: 宝剣岳 호켄다케[*])은 일본 나가노현의 기소산맥(중앙 알프스)에 있는 해발 2,931m의 산이다.
293.미나미다케산
미나미다케산(일본어: 南岳)은 나가노현 마쓰모토시와 기후현 다카야마시 사이에 있는 높이 3,033m의 산이며, 주부 산악 국립공원의 히다산맥(북알프스) 남부에 위치한다. 주변에 호타카다케산이 있다.
294.무라야마교
무라야마교(일본어: 村山橋[*])는 나가노현 나가노시와 스자카시의 사이에 있는 치쿠마강에 놓여 있는 다리로, 나가노전철 나가노선과 일본 406호 국도가 같이 쓰고 있는 철도도로병용교이다. 나가노선에서는 야나기하라역과 무라야마역 사이에 있으며, 나가노선의 유일한 철도교이기도 하다. 무라야마교가 설치되기 이전에, 해당 위치에는 배다리가 놓여 있었다. 그러나 유로로 돈을 받을 목적으로 개설되었던 이 배다리의 폭은 고작 2.7m밖에 되지 않았으며, 또한 요동이 심해 통행하기 위험한 상황이었다. 이후 이것이 노후화되면서 공식적으로 영구적인 다리로 교체하고자 하는 계획이 나왔다[1][2].
295.기소강
기소강(일본어: 木曽川 기소가와[*])은 일본에 있는 약 229 km 길이의 강으로 나가노현, 기후현, 아이치현, 미에현을 거쳐 이세만으로 흘러든다. 이비강, 나가라강과 함께 기소 삼강을 이루며 노비평야에 주요 수계를 형성한다. 강 상류의 계곡은 기소 계곡을 이룬다.
296.야하기강
야하기강(일본어: 矢作川 야하기가와[*])은 일본 나가노현 오카와이리산에서 발원해 기후현을 거쳐 아이치현의 미카와만으로 흘러드는 강이다. 일본의 일급 하천의 하나이다. 오카와이리산에서 발원해 남쪽으로 흐른 후에 기후현으로 들어가고 기후현 에나시와 아이치현 도요타시간의 현 경계를 형성한다. 하류의 야하기후루강(일본어: 矢作古川 야하기후루가와[*])은 원래 주류였으나 에도 시대 초기에 홍수를 막기 위해 유로(물이 흐르는 길)를 변경하였다. 강은 아이치현 니시오시와 헤키난시의 경계를 형성하면서 미카와만으로 흘러 들어간다.
297.누에나방
누에나방(Bombyx mori, 문화어: 누에나비)은 누에나방과의 나방이다. 누에나방의 애벌레는 누에라고 하고, 이를 한자로는 잠(蠶)이라고 한다. 하늘에서 내린 벌레라는 의미로 천충(天蟲)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애벌레 때는 뽕나무 잎만을 먹는데, 뽕나무 잎 이외의 식물도 먹을 수 있다. 하지만, 완전한 생장을 하려면 뽕나무 잎을 먹어야 한다. 다 자라서 고치를 지으면, 삶은 후에 비단실을 뽑는데, 기생 곤충인 기생파리에 감염된 누에의 고치는 누에의 양분을 먹고 자란 파리가 고치를 뚫고 나오기 때문에 상품 가치가 없다. 보통 누에는 잠사업이라고 하여, 실을 얻기 위해서 사람의 손에서 자란다. 야생 누에나방인 산누에나방이 번데기를 만들면서 짓는 실도 있는데, 이를 천잠이라고 한다.
298.물방개
물방개 또는 선두리(영어: Diving beetle, 학명: Cybister chinensis, 문화어: 기름도치)는 대한민국에 서식하는 물방개과의 곤충 중 가장 큰 종이다. 한자어로는 용슬(龍蝨) 또는 지별충(地鱉蟲)이라고 한다. 과거에는 ‘선두리’만 단수(單數) 표준어였고, ‘물방개’는 방언이었지만, 이제는 ‘물방개·선두리’가 복수(複數) 표준어이다.[2] 옛말로는 쌀방개라고도 한다.물가에서 서식하는 진수서군곤충으로, 배의 제1-3배마디 복판이 서로 붙었고, 뒷다리 밑마디는 제1배마디와 유합하여 움직일 수 없으며, 몸길이는 약 3.5~4.5cm이다. 등딱지는 흑록색 내지 청록색이며 금색 옆줄이 있고 수컷은 광택이 있는 반면 암컷은 거칠다. 턱판과 더듬이 등 여타 신체 구조는 황갈색을 띤다. 호흡을 위해 꽁무니의 구멍을 물 밖에 내밀고 산소를 얻거나 물에 있는 산소를 얻는다. 공기 방울을 딱지날개와 등판 사이에 있는 공간 속에 저장할 수도 있다. 다리에는 털이 있으며 특히 뒷다리에 많아 뒷다리로 물 속에서 헤엄치거나 자맥질할 추진력을 얻는다. 붙들려 있으려는 습성이 있어 그물에 딸려 붙기도 하며 서로 엉겨붙어서 헤엄을 치기도 한다. 유충시기 먹이는 장구벌레, 송사리, 올챙이 등이다. 성충은 육식성으로, 살아있는 것, 죽은 것 가리지 않고 모두 잡아먹는다. 천적은 새와 두꺼비 등이며 위험을 느끼면 도망치기 위해 머리 뒤쪽에서 악취를 띤 물질을 분비해 달아나기도 한다.
299.고헤이모치
고헤이모치(일본어: 五平餅)는 맵쌀밥을 이겨서 경단 모양으로 만들어 꼬치에 꿰고, 된장이나 간장을 발라서 불에 구운 떡이다. 일본 주부 지방의 산간 지역 (나가노현, 기후현, 도야마현 남부, 아이치현 오쿠미카와, 시즈오카현 일부, 야마나시현)에서 전해지는 향토 요리이다.
300.메밀차
메밀차는 덖은 메밀을 넣고 끓인 차이다.[1] 껍질을 벗긴 메밀로 고슬고슬하게 밥을 지어 약간 말린 후에 덖어서 물을 붓고 끓여 만든다.[2]
301.도가쿠시소바
도가쿠시소바(일본어: 戸隠そば)는 일본 나가노현 나가노시의 소바이다. 이와테현의 완코소바, 시마네현의 이즈모 소바와 함께, 일본 3대 소바로 불리고 있다.[1]
302.호토
호토(일본어: ほうとう)는 일본의 국수 요리로, 야마나시현을 중심으로 한 지역에서 만들어지는 향토 요리이다. 기본적으로 밀가루를 반죽하여 굵게 잘라 긴 국수로 만들고, 호박 등 야채와 함께 미소를 넣은 국물에 끓여 만들어진다. 그러나 앞서 말한 제조법이 호토의 기준은 아니며, 일부 지역에서는 밀가루 이외의 곡물을 사용하거나 미소 대신에 팥이나 간장으로 양념을 하기도 한다. 또한 가정집이 아닌 외식 산업에서의 호토는 먹기 편하도록 면이 가늘거나 야채 이외에 고기와 해산물을 넣어 제공하는 등 다양하다.

Back to TOP

회사소개/문의/회사/개인정보취급방침/면책조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