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가스이사이 | ||||||
가스이사이(可睡斎)는 시즈오카현 후쿠로이시(袋井市) 구노(久能)에 있는 조동종의 성찰으로 사문(寺紋)은 동그라미에 세잎의 접시꽃이다. 산호(山号)는 만송산(萬松山). 본존은 성관음(聖観音)..에도 시대는 「동해대승록(東海大僧録)」으로서 미카와국 (三河国)・도토미국(遠江国)・스루가국(駿河国)・이즈국(伊豆国)의 조동종사원을 지배하에 두었으며 관삼찰(関三刹)과 동등한 권위를 갖고 있었다..원주삼산(遠州三山)중 하나.. | ||||||
2.구노잔 동조궁 | ||||||
구노잔 동조궁(일본어: 久能山東照宮 구노잔도쇼구[*])은 일본 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 스루가구에 있는 신사이다. 1616년 세상을 떠난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유골이 1617년 닛코로 옮기기까지 처음에 이곳에 안장됐었다. 이후에도 시즈오카 지역이 에도 막부의 직할령으로서 막중해진 중요성에 편승하여 이 도쇼구에 비중이 더해졌다. | ||||||
3.이이노야성 | ||||||
이이노야성(일본어: 井伊谷城)은 도토미국의 이이노야(현재의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기타구 이나사 정)에 있었던 일본의 성이다. 이이 성이라는 별칭이 있다. 헤이안 시대 말기, 이이 가 초대 당주 이이 도모야스에 의해 축성되었다고 전해진다[1]. 남쪽은 세 방향으로부터의 적의 움직임을 알 수 있고, 북쪽은 표준 고도가 높은 산이 이어져 있어 공격하기 어려운 지형에 세워진 성이다. 혼마루, 니노마루, 산노마루 등으로 구성되어 있던 산성이다. 센고쿠 시대이전에는 미타케 성이 이이 씨의 본성이었다. 난보쿠초 시대의 기록은, 미타케 성을 「이이 성」으로 하고 있다. 이 두 성의 관계는 잘 알려져 있지 않지만, 남북조 시대는 이이노야 성이 평소, 이이 씨가 전쟁중이 아닐 때 생활하던 거성이고, 미타케성이 전쟁중에 농성을 하기 위한 방위 성의 최종 거점이었다고 한다(하지만, 센고쿠 시대의 이이 가의 최종 거점 성은 미타케 성의 뒤쪽 산으로 바뀌었다). | ||||||
4.고코쿠지성 | ||||||
고코쿠지성(일본어: 興国寺城, こうこくじじょう)은 시즈오카현 누마즈시에 있었던 연곽식 평산성이다.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었으며, 호조 소운의 연고가 되었던 성으로 유명하다. 다른 이름으로는 네고야성(根古屋城)이라 불리기도 한다. | ||||||
5.슨푸성 | ||||||
슨푸성(일본어: 駿府城)은 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 아오이구에 있는 윤곽식 평성이다. 에도 시대에는 슨푸번의 번청으로 사용되었고, 막부직할령로 편입된 후에는 조다이(城代)를 파견하여 관리하였다. 메이지 시대 초기에 다시금 슨푸 번을 두어 번청으로 사용되었고, 슨푸 번의 명칭은 슨푸 번(駿府藩), 후추 번(府中藩)으로 불리다가 시즈오카 번(静岡藩)으로 개칭되었다. 이런 연유로 슨푸 성은 후추 성(府中城)과 시즈오카 성(静岡城)이라는 이명으로도 불린다. 에도 막부의 초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야스가 말년에 머물렀던 성으로 유명하다. 14세기 스루가 국 슈고 이마가와 가문이 이 지역에 처소인 이마가와 관(今川館)을 조성한 것 그 시초이지만, 16세기 다케다 신겐과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공격을 받고 거관은 소실되었다. 1582년 다케다 가문의 세력이 쇠퇴하자 스루가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소령이 되었고, 거관터에 성을 축성하였다. 1590년 도요토미 히데요시에 의해 간토의 호조 가문이 몰락하자, 이에야스는 히데요시의 명을 받아 옛 호조 가문의 영지인 간토로 이봉되었다. 대신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가신 나카무라 가즈우지가 성주로 부임해 입성하였다. | ||||||
6.하마마쓰성 | ||||||
하마마쓰성(일본어: 浜松城)은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나카구에 있는 제곽식 평산성이다. 에도 시대에는 하마마쓰번의 번청이 있었으며, 출세의 성으로 유명하다. 또, 에도 막부의 초대 쇼군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거성으로도 익히 알려져 있다. | ||||||
7.가미메무로 신호장 | ||||||
가미메무로 신호장(일본어: 上芽室信号場)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군 시미즈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네무로 본선의 신호장이다. | ||||||
8.도카치시미즈역 | ||||||
도카치시미즈역(일본어: 十勝清水駅)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군 시미즈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역이다. 역 번호는 K24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9.히라노가와 신호장 | ||||||
히라노가와 신호장(일본어: 平野川信号場)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군 시미즈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 네무로 본선의 신호장이다. | ||||||
10.미카게역 (홋카이도) | ||||||
미카게역(일본어: 御影駅)은 일본 홋카이도 가미카와 군 시미즈정에 있는 홋카이도 여객철도의 역이다. 역 번호는 K27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11.히다후루카와역 | ||||||
히다후루카와역(일본어: 飛騨古川駅)은 일본 기후현 히다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다카야마 본선의 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다. 역원은 배치되고 있지만, 실제로는 다카야마역이 관리하고 있다. | ||||||
12.아이노역 (시즈오카현) | ||||||
아이노역(일본어: 愛野駅 아이노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후쿠로이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2002년 FIFA 월드컵의 개최를 앞두고, 경기가 열릴 곳 중 하나였던 시즈오카 에코파 스타디움과의 연계를 위해 신설된 역이다. | ||||||
13.잘못된 제목 | ||||||
14.아지로역 | ||||||
아지로역(일본어: 網代駅、あじろえき)은 일본 시즈오카현 아타미시 시모타가 있는 동일본여객철도 이토 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을 가진 역이다. 역번호는 JT 24. | ||||||
15.아타미역 | ||||||
아타미역(일본어: 熱海駅、あたみえき 아타미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아타미시에 있는, 동일본 여객철도와 도카이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도카이도 본선의 동일본 여객철도 구간 - 도카이 여객철도 구간의 경계역으로, 도쿄 방면은 동일본 여객철도(이하 JR동일본)가, 시즈오카 방면은 도카이 여객철도(이하 JR도카이)가 관할하고 있다. 단, 시설 소유권 상의 경계는 단나 터널 동쪽 입구 부근에 있는 기노미야역 상행 장내 신호기이다. 동일본 여객철도와 도카이 여객철도의 공동 관리역으로, 재래선 승강장 및 역사는 동일본 여객철도가, 신칸센 승강장은 도카이 여객철도가 관할하고 있다. | ||||||
16.아라이마치역 | ||||||
아라이마치역(일본어: 新居町駅 아라이마치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고사이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17.이즈아타가와역 | ||||||
이즈아타가와역(일본어: 伊豆熱川駅、いずあたがわえき)은 일본 시즈오카현 가모군 히가시이즈정 나라모토 에 있는 이즈 급행 이즈 급행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을 가진 고가역이다. 역번호는 IZ09. | ||||||
18.이즈이나토리역 | ||||||
이즈이나토리역(일본어: 伊豆稲取駅、いずいなとりえき)은 일본 시즈오카현 가모군 히가시이즈정 이나토리 에 있는 이즈 급행 이즈 급행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가진 지상역이다. 역번호는 IZ11. | ||||||
19.이즈오카와역 | ||||||
이즈오카와역(일본어: 伊豆大川駅、いずおおかわえき)은 일본 시즈오카현 가모군 히가시이즈정 오카와 에 있는 이즈 급행 이즈 급행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가진 지상역이다. 역번호는 IZ07. | ||||||
20.이즈큐시모다역 | ||||||
이즈큐시모다역(일본어: 伊豆急下田駅、いずきゅうしもだえき)은 일본 시즈오카현 시모다시 히가시홍고 1초메 있는 이즈 급행 이즈 급행선의 역이다. 두단식 승강장 2면 3선을 가진 역이다. 역번호는 IZ16. | ||||||
21.이즈코겐역 | ||||||
이즈코겐역(일본어: 伊豆高原駅、いずこうげんえき)은 일본 시즈오카현 이토시 야와타노 에 있는 이즈 급행 이즈 급행선의 역이다. 역번호는 IZ06. | ||||||
22.이즈타가역 | ||||||
이즈타가역(일본어: 伊豆多賀駅、いずたがえき)은 일본 시즈오카현 아타미시 카미타가 에 있는 동일본여객철도 이토 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가진 역이다. 역번호는 JT 23. | ||||||
23.이즈나가오카역 | ||||||
이즈나가오카역(일본어: 伊豆長岡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이즈노쿠니시에 있는 이즈하코네 철도 슨즈 선의 역이다.특급 "오도리코"의 정차역이다. 소재지는 옛 이즈나가오카 마을이 아닌 구 니라야마 정에 해당되지만 역 정면의 난조 사거리에서 약 50 ~ 100m 앞의 아오이바시가 되고 있어 이즈나가오카 온천 관광 액세스 이용이 어필되고 있다. 이전에는 역의 북쪽에 이즈하코네 버스의 사원 기숙사가 있었지만 노후화에 따라 해체 및 철거되고 주차장이 되었다. | ||||||
24.이즈닛타역 | ||||||
이즈닛타역(일본어: 伊豆仁田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다가타군 간나미정에 있는 이즈하코네 철도 슨즈 선의 역이다. | ||||||
25.이즈홋카와역 | ||||||
이즈홋카와역(일본어: 伊豆北川駅、いずほっかわえき)은 일본 시즈오카현 가모군 히가시이즈정 나라모토 에 있는 이즈 급행 이즈 급행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을 가진 지상역이다. 역번호는 IZ08. | ||||||
26.이토역 | ||||||
이토역(일본어: 伊東駅、いとうえき 이토에키[*])은 시즈오카 현 이토 시의 북부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JR동일본의 이토 선, 이즈 급행 전철의 이즈 급행선의 종점이며 JR화물의 화물기지가 위치한다. | ||||||
27.이나코역 (시즈오카현) | ||||||
이나코역(일본어: 稲子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후지노미야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28.이나즈사역 | ||||||
이나즈사역(일본어: 稲梓駅、いなずさえき)은 일본 시즈오카현 시모다시 오치아이 에 있는 이즈 급행 이즈 급행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을 가진 지상역이다. 역번호는 IZ14. | ||||||
29.이마이하마카이간역 | ||||||
이마이하마카이간역(일본어: 今井浜海岸駅、いまいはまかいがんえき)은 일본 시즈오카현 가모군 가와즈정 미타카 에 있는 이즈 급행 이즈 급행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을 가진 지상역이다. 역번호는 IZ12. | ||||||
30.이와타역 (시즈오카현) | ||||||
이와타역(일본어: 磐田駅 이와타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이와타시에 있는 철도역이다. | ||||||
31.이와나미역 | ||||||
이와나미역(일본어: 岩波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스소노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고텐바 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32.우사미역 | ||||||
우사미역(일본어: 宇佐美駅、うさみえき)은 일본 시즈오카현 이토시 우사미 있는 동일본여객철도 이토 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가진 역이다. 역번호는 JT 25. | ||||||
33.엔슈모리역 | ||||||
엔슈모리역(일본어: 遠州森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슈치군 모리정 모리에 있는 덴류하마나코 철도의 철도역이다. | ||||||
34.엔덴역 | ||||||
엔덴역(일본어: 円田駅, えんでんえき)은 일본 시즈오카현 슈치군 모리정 엔덴에 있는 덴류하마나코 철도의 철도역이다. 무인역이며 역사가 없다. | ||||||
35.오오카역 | ||||||
오오카역(일본어: 大岡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누마즈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고텐바 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36.오히토역 | ||||||
오히토역(일본어: 大仁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이즈노쿠니시에 있는 이즈하코네 철도 슨즈 선의 역이다. 특급 "오도리코"의 정차역이고, 근처에 온천이 있다. | ||||||
37.가타세시라타역 | ||||||
가타세시라타역(일본어: 片瀬白田駅、かたせしらたえき)은 일본 시즈오카현 가모군 히가시이즈정 시라타 에 있는 이즈 급행 이즈 급행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가진 성토역이다. 역번호는 IZ10. | ||||||
38.가타하마역 | ||||||
가타하마역(일본어: 片浜駅、かたはまえき 카타하마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누마즈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소속 철도역이며, 도카이도 본선의 정차역이다. 누마즈 시 교외의 가타하마 지구에 있는 역으로, 일본국유철도가 민영화되기 직전이던 1987년 3월에 개업하였다. 일본국유철도 시대에 문을 연 마지막 역 중 하나이다. | ||||||
39.가미노베역 | ||||||
덴류 후타마타 역(일본어: 上野部駅, かみのべえき)은 일본 시즈오카현 이와타시 가미노베에 있는 덴류하마나코 철도의 철도역이다. 무인역이며 근처의 주민들이 이 역을 깨끗하게 청소하고 있다. 홈에는 '덴류 천에 제일 가까운 역'이라는 간판이나 증기기관차를 그린 역명판이 설치되어 있다. 과거 이 부근에는 고메이 전기 철도(폐지)의 간다 공원앞 역이 존재했다. | ||||||
40.가와즈역 | ||||||
가와즈역(일본어: 河津駅、かわづえき 가와즈에키[*])은 시즈오카현 가모군 가와즈정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역번호는 IZ13. | ||||||
41.가와나역 (시즈오카현) | ||||||
가와나역(일본어: 川奈駅、かわなえき)은 일본 시즈오카현 이토시 가와나 1215번지의 7 에 있는 이즈 급행 이즈 급행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가진 지상역이다. 역번호는 IZ03. | ||||||
42.간나미역 | ||||||
간나미역(일본어: 函南駅、かんなみえき 간나미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다가타군 간나미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도카이도 본선의 철도역이다. | ||||||
43.기쿠가와역 | ||||||
기쿠가와역(일본어: 菊川駅 키쿠가와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기쿠가와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44.기노미야역 | ||||||
기노미야역(일본어: 来宮駅、きのみやえき)은 일본 시즈오카현 아타미시 후쿠미치쵸우 에 있는 동일본여객철도 이토 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을 가진 지상역이다. 역번호는 JT 22. | ||||||
45.겐도지역 | ||||||
겐도지역(일본어: 源道寺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후지노미야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46.고텐바역 | ||||||
고텐바역(일본어: 御殿場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고텐바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고텐바 선의 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다. | ||||||
47.시키지역 | ||||||
시키지역(일본어: 敷地駅, しきじえき)은 일본 시즈오카현 이와타시 시키지에 있는 덴류하마나코 철도의 철도역이다. 무인역이다. | ||||||
48.시바카와역 | ||||||
시바카와역(일본어: 芝川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후지노미야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49.시모토가리역 | ||||||
시모토가리역(일본어: 下土狩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슨토군 나가이즈미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고텐바 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50.슈젠지역 | ||||||
슈젠지역(일본어: 修善寺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이즈시에 있는 이즈하코네 철도 슨즈 선의 역이다. 슨즈 선의 종점으로 여기에서 인접한 시와 마을 버스가 나온다. 2014년에 역사의 재건축과 남북자유통로를 신설하였고, 역사에는 선물 가게나 관광 안내소, 지방 매장 등도 설치되었다. 또한, 북쪽 역사의 공용 개시 후, 버스와 택시의 발착은 남쪽 역사이다. | ||||||
51.조가사키카이간역 | ||||||
조가사키카이간역(일본어: 城ヶ崎海岸駅、じょうがさきかいがんえき)은 일본 시즈오카현 이토시 후토 에 있는 이즈 급행 이즈 급행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을 가진 지상역이다. 역번호는 IZ05. | ||||||
52.신조하라역 | ||||||
신조하라역(일본어: 新所原駅 신죠하라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와 덴류하마나코 철도의 철도역이다. 시즈오카 현 안에 있는 도카이도 본선의 역들 중 가장 서쪽에 있는 역으로, 근처에 아이치현과의 경계가 있다. | ||||||
53.스소노역 | ||||||
스소노역(일본어: 裾野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스소노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고텐바 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54.스루가오야마역 | ||||||
스루가오야마역(일본어: 駿河小山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슨토군 오야마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고텐바 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55.다이바역 (시즈오카현) | ||||||
다이바역(일본어: 大場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미시마시에 있는 이즈하코네 철도 슨즈 선의 역이다. | ||||||
56.다쿄역 | ||||||
다쿄역(일본어: 田京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이즈노쿠니시에 있는 이즈하코네 철도 슨즈 선의 역이다. | ||||||
57.도토미이치노미야역 | ||||||
도토미이치노미야역(일본어: 遠江一宮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슈치군 모리정 이치노미야에 있는 덴류하마나코 철도의 철도역이다. 한때 무인역이었으나 현재는 역사가 개조되어 수타국수 집이 병설되어 있다. 수타국수 집은 오전에는 매진이 될 정도의 인기점이다. | ||||||
58.도요다초역 | ||||||
도요다초역(일본어: 豊田町駅 도요다초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이와타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개업 당시에는 도요다 정에 있었으나, 이와타 시로 편입되었다. | ||||||
59.도와타역 | ||||||
도와타역(일본어: 戸綿駅, とわたえき)은 일본 시즈오카현 슈치군 모리정 무쓰미에 있는 덴류하마나코 철도의 철도역이다. | ||||||
60.나가이즈미나메리역 | ||||||
나가이즈미나메리역(일본어: 長泉なめり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슨토군 나가이즈미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고텐바 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61.니시후지노미야역 | ||||||
니시후지노미야역(일본어: 西富士宮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후지노미야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62.니시야이즈역 | ||||||
니시야이즈역(일본어: 西焼津駅 니시야이즈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야이즈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63.니라야마역 | ||||||
니라야마역(일본어: 韮山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이즈노쿠니시에 있는 이즈하코네 철도 슨즈 선의 역이다. | ||||||
64.누마쿠보역 | ||||||
누마쿠보역(일본어: 沼久保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후지노미야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65.누마즈역 | ||||||
누마즈역(일본어: 沼津駅、ぬまづえき 누마즈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누마즈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일본화물철도 소속 철도역이며, 도카이도 본선의 정차역이다. 도카이 여객철도의 여객역 뿐만 아니라 일본화물철도의 화물 철도 시설도 갖추어져 있으며, 하라 역과 가타하마역을 관리하는 직영역이다. | ||||||
66.하라역 (시즈오카현) | ||||||
하라역(일본어: 原駅、はらえき 하라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누마즈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일본화물철도가 제2종 사업자로서 사용하기도 한다. | ||||||
67.바라키역 | ||||||
바라키역(일본어: 原木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이즈노쿠니시에 있는 이즈하코네 철도 슨즈 선의 역이다. | ||||||
68.후쿠로이역 | ||||||
후쿠로이역(일본어: 袋井駅 후쿠로이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후쿠로이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69.후지에다역 | ||||||
후지에다역(일본어: 藤枝駅 후지에다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후지에다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70.후지노미야역 | ||||||
후지노미야역(일본어: 富士宮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후지노미야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71.후토역 | ||||||
후토역(일본어: 富戸駅、ふとえき)은 일본 시즈오카현 이토시 후토 에 있는 이즈 급행 이즈 급행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가진 지상역이다. 역번호는 IZ04.시즈오카현 내 철도역 중 가장 동쪽에 위치한다. | ||||||
72.마키노코역 | ||||||
마키노코역(일본어: 牧之郷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이즈시에 있는 이즈하코네 철도 슨즈 선의 역이다. | ||||||
73.미시마역 | ||||||
미시마역(일본어: 三島駅、みしまえき 미시마에키[*])은 시즈오카현 미시마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일본화물철도, 이즈 하코네 철도의 철도역이다. 승강장의 경우 재래선은 2면 4선, 도카이도 신칸센은 1면 2선으로 되어 있다. | ||||||
74.미시마타마치역 | ||||||
미시마타마치역(일본어: 三島田町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미시마시에 있는 이즈하코네 철도 슨즈 선의 역이다. | ||||||
75.미시마히로코지역 | ||||||
미시마히로코지역(일본어: 三島広小路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미시마시에 있는 이즈하코네 철도 슨즈 선의 역이다. | ||||||
76.미시마후쓰카마치역 | ||||||
미시마후쓰카마치역(일본어: 三島二日町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미시마시에 있는 이즈하코네 철도 슨즈 선의 역이다. | ||||||
77.미나미이토역 | ||||||
미나미이토역(일본어: 南伊東駅、みなみいとうえき)은 일본 시즈오카현 이토시 사쿠라가오카 1쵸메 에 있는 이즈 급행 이즈 급행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을 가진 지상역이다. 역번호는 IZ02. | ||||||
78.미나미고텐바역 | ||||||
미나미고텐바역(일본어: 南御殿場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고텐바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고텐바 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79.야이즈역 | ||||||
야이즈역(일본어: 焼津駅 야이즈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야이즈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80.렌다이지역 | ||||||
렌다이지역(일본어: 蓮台寺駅、れんだいじえき)은 일본 시즈오카현 시모다시 카와치 에 있는 이즈 급행 이즈 급행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을 가진 고가역이다. 역번호는 IZ15. | ||||||
81.와시즈역 | ||||||
와시즈역(일본어: 鷲津駅 와시즈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고사이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82.가케가와역 | ||||||
가케가와역(일본어: 掛川駅 카케가와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가케가와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소속의 철도역이며, 도카이도 신칸센의 정차역이다. 승강장 구조는 신칸센은 2면 2선, 지상역의 경우 2면 3선으로 되어 있다. | ||||||
83.가케가와시야쿠쇼마에 | ||||||
84.니시카케가와역 | ||||||
니시카케가와역(일본어: 西掛川駅)은 일본 시즈오카 현 가케가와 시에 위치한 덴류하마나코 철도 덴류하마나코 철도 덴류하마나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85.하라다역 | ||||||
하라다역(일본어: 原田駅, はらだえき)은 일본 시즈오카현 가케가와시 하타카마에 있는 덴류 하마나코 철도의 철도역이다. | ||||||
86.시즈오카역 | ||||||
시즈오카역(일본어: 静岡駅 시즈오카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 아오이구에 있는 철도역이다. | ||||||
87.히가시시즈오카역 | ||||||
히가시시즈오카역(일본어: 東静岡駅 히가시시즈오카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 아오이구에 있는 철도역이다. | ||||||
88.오키쓰역 | ||||||
오키쓰역(일본어: 興津駅 오키쓰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 시미즈구에 있는 철도역이다. | ||||||
89.간바라역 | ||||||
간바라역(일본어: 蒲原駅 칸바라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 시미즈구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90.시미즈역 (시즈오카현) | ||||||
시미즈역(일본어: 清水駅 시미즈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 시미즈구에 있는 철도역이다. | ||||||
91.신칸바라역 | ||||||
신칸바라역(일본어: 新蒲原駅 신칸바라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 시미즈구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92.신시미즈역 | ||||||
신시미즈역(일본어: 新清水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 시미즈구에 위치한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S15. | ||||||
93.유이역 | ||||||
유이역(일본어: 由比駅 유이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 시미즈구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94.아베카와역 | ||||||
아베카와역(일본어: 安倍川駅 아베카와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 스루가구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95.시즈오카 화물역 | ||||||
시즈오카카모쓰역(일본어: 静岡貨物駅, しずおかかもつえき)은 일본 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 스루가구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96.모치무네역 | ||||||
모치무네역(일본어: 用宗駅 모치무네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 스루가구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97.가나야역 | ||||||
가나야역(일본어: 金谷駅 카나야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시마다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와 오이가와 철도의 철도역이다. | ||||||
98.시마다역 | ||||||
시마다역(일본어: 島田駅 시마다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시마다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99.로쿠고역 | ||||||
로쿠고역(일본어: 六合駅 로쿠고우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시마다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100.엔슈간스이지역 | ||||||
엔슈간스이지역(일본어: 遠州岩水寺駅)은 일본 시즈오카 현 하마마쓰 시 하마키타 구에 위치한 엔슈 철도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17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1.엔슈코바야시역 | ||||||
엔슈코바야시역(일본어: 遠州小林駅)은 일본 시즈오카 현 하마마쓰 시 하마키타 구에 위치한 엔슈 철도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15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2.엔슈코마쓰역 | ||||||
엔슈코마쓰역(일본어: 遠州小松駅)은 일본 시즈오카 현 하마마쓰 시 하마키타 구에 위치한 엔슈 철도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12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3.엔슈시바모토역 | ||||||
엔슈시바모토역(일본어: 遠州芝本駅)은 일본 시즈오카 현 하마마쓰 시 하마키타 구에 위치한 엔슈 철도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16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4.엔슈니시가사키역 | ||||||
엔슈니시가사키역(일본어: 遠州西ヶ崎駅)은 일본 시즈오카 현 하마마쓰 시 히가시 구에 위치한 엔슈 철도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11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5.간스이지역 | ||||||
간수이지역(일본어: 岩水寺駅, がんすいじえき)은 일본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하마키타구 네가타에 있는 덴류 하마나코 철도의 철도역이다. 하마마쓰 시내에는 엔슈 철도 철도선 엔슈 간수이지 역도 있으나 꽤 떨어져 있다. 역명의 유래가 된 간수이지에는 당역이 더 가깝다. 1면 1선 구조의 지상역이며, 무인역으로 운영된다. 역사는 없다. 국철 후타마타 선 시절에는 1면 2선이었으나 하마나코 선으로 개편될 당시 한쪽 선로 하나를 철거하였다. | ||||||
106.지도샤갓코마에역 | ||||||
지도샤갓코마에역(일본어: 自動車学校前駅)은 일본 시즈오카 현 하마마쓰 시 히가시 구에 위치한 엔슈 철도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08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7.세키시역 | ||||||
세키시역(일본어: 積志駅)은 일본 시즈오카 현 하마마쓰 시 히가시 구에 위치한 엔슈 철도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10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8.다카쓰카역 | ||||||
다카쓰카역(일본어: 高塚駅 다카쓰카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미나미구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109.덴류가와역 | ||||||
덴류가와역(일본어: 天竜川駅 텐류우가와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히가시구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110.하마키타역 | ||||||
하마키타역(일본어: 浜北駅)은 일본 시즈오카 현 하마마쓰 시 하마키타 구에 위치한 엔슈 철도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13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1.벤텐지마역 | ||||||
벤텐지마역(일본어: 弁天島駅 벤텐지마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니시구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112.마이사카역 | ||||||
마이사카역(일본어: 舞阪駅 마이사카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니시구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113.미소노추오코엔역 | ||||||
미소노추오코엔역(일본어: 美薗中央公園駅)은 일본 시즈오카 현 하마마쓰 시 하마키타 구에 위치한 엔슈 철도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14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4.미야구치역 | ||||||
미야구치역(일본어: 宮口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하마키타구 미야구치에 있는 덴류하마나코 철도의 철도역이다. 무인역이다. 개업전인 1924년 - 1937년 사이에 경변철도를 운영하던 세이엔 철도 미야구차 역이 당역 남쪽에 위치하고 있었다. | ||||||
115.이리야마세역 | ||||||
이리야마세역(일본어: 入山瀬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후지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116.신후지역 (시즈오카현) | ||||||
신후지역(일본어: 新富士駅、しんふじえき 신후지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후지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소속의 도카이도 신칸센의 정차역이다. 승강장은 2면 2선으로 되어 있으므로, 후지 산의 남쪽 정면에 위치하고 있으며, 역에서 후지 산 전경을 볼 수 있다. | ||||||
117.다테보리역 | ||||||
다테보리역(일본어: 竪堀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후지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고가역이다. | ||||||
118.히가시타고노우라역 | ||||||
히가시타고노우라역(일본어: 東田子の浦駅、ひがしたごのうらえき 히가시타고노우라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후지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역 동쪽 1 km 지점에 후지 시와 누마즈시 사이의 경계가 있다. | ||||||
119.후지역 | ||||||
후지역(일본어: 富士駅、ふじえき 후지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후지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일본화물철도의 철도역이다. 일본화물철도가 관리하는 화물 시설이 갖추어져 있다. 특급 후지카와, 침대특급 선라이즈 이즈모·선라이즈 세토가 정차한다. | ||||||
120.후지네역 (시즈오카현) | ||||||
후지네역(일본어: 富士根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후지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 ||||||
121.유노키역 (후지시) | ||||||
유노키역(일본어: 柚木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후지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미노부 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고가역이다. | ||||||
122.요시와라역 | ||||||
요시와라역(일본어: 吉原駅、よしわらえき 요시와라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후지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가쿠난 전차의 철도역이다. | ||||||
123.오카지역 | ||||||
오카지역(일본어: 岡地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기타구에 있는 덴류하마나코 철도 덴류하마나코 선의 철도역이다. | ||||||
124.아이즈키역 | ||||||
아이즈키역(일본어: 相月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덴류구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5.이즌마역 | ||||||
이즌마역(일본어: 出馬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덴류구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6.오조레역 | ||||||
오조레역(일본어: 大嵐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덴류구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7.가미이치바역 | ||||||
가미이치바역(일본어: 上市場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덴류구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8.고와다역 | ||||||
고와다역(일본어: 小和田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덴류구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9.사쿠마역 | ||||||
사쿠마역(일본어: 佐久間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덴류구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30.시모카와이역 | ||||||
시모카와이역(일본어: 下川合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덴류구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31.시로니시역 | ||||||
시로니시역(일본어: 城西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덴류구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32.주부텐류역 | ||||||
주부텐류역(일본어: 中部天竜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덴류구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33.덴류후타마타역 | ||||||
덴류후타마타역(일본어: 天竜二俣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덴류구에 있는 철도역이다. 영업 개시부터 사용되어 있는 목조 역사(驛舍)는 국가지정 등록유형문화재에 2007년 3월 등록되었다. | ||||||
134.니시카지마역 | ||||||
니시카지마역(일본어: 西鹿島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덴류구에 있는 엔슈 철도 및 덴류하마나코 철도의 철도역이다. 엔슈 평야의 최북단에 위치하여 호쿠엔(北遠) 지역의 공공교통의 결절점이다. | ||||||
135.하야세역 | ||||||
하야세역(일본어: 早瀬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덴류구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36.후타마타혼마치역 | ||||||
후타마타혼마치역(일본어: 二俣本町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덴류구에 있는 덴류하마나코 철도의 철도역이다. 덴류 구 후타마타 쵸의 변두리에 있는 덴류후타마타역보다 후타마타 지구 중심부에 가깝다. | ||||||
137.미사쿠보역 | ||||||
미사쿠보역(일본어: 水窪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덴류구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38.무카이치바역 | ||||||
무카이치바역(일본어: 向市場駅)은 일본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덴류구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이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39.엔슈뵤인역 | ||||||
엔슈뵤인역(일본어: 遠州病院駅)은 일본 시즈오카 현 하마마쓰 시 나카 구에 위치한 엔슈 철도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03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 ||||||
140.가미지마역 | ||||||
가미지마역(일본어: 上島駅)은 일본 시즈오카 현 하마마쓰 시 나카 구에 위치한 엔슈 철도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07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 ||||||
141.신하마마쓰역 | ||||||
신하마마쓰역(일본어: 新浜松駅)은 일본 시즈오카 현 하마마쓰 시 나카 구에 위치한 엔슈 철도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01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 ||||||
142.스케노부역 | ||||||
스케노부역(일본어: 助信駅)은 일본 시즈오카 현 하마마쓰 시 나카 구에 위치한 엔슈 철도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05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 ||||||
143.다이이치도리역 | ||||||
다이이치도리역(일본어: 第一通り駅)은 일본 시즈오카 현 하마마쓰 시 나카 구에 위치한 엔슈 철도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02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 ||||||
144.니시하마마쓰역 | ||||||
니시하마마쓰역(일본어: 西浜松駅, にしはままつえき)은 일본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나카구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145.하치만역 | ||||||
하치만역(일본어: 八幡駅)은 일본 시즈오카 현 하마마쓰 시 나카 구에 위치한 엔슈 철도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04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 ||||||
146.하마마쓰역 | ||||||
하마마쓰역(일본어: 浜松駅 하마마쓰에키[*])은 일본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나카구에 있는 철도역이다. | ||||||
147.히쿠마역 | ||||||
히쿠마역(일본어: 曳馬駅)은 일본 시즈오카 현 하마마쓰 시 나카 구에 위치한 엔슈 철도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06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 ||||||
148.미호의 마쓰바라 | ||||||
미호의 마쓰바라(일본어: 三保の松原)는 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 시미즈구의 미호 반도에 있는 경승지이다. 1915년에 지쓰쿄노니혼샤(実業之日本社)가 주최한 신일본 3경(新日本三景)의 하나로 선정되었다. 또한 일본의 3대 마쓰바라(松原, 소나무 숲)와 일본의 백사청송(白砂青松) 100선의 하나로 선정되기도 하였다. 헤이안 시대부터 알려진 미호 반도의 남쪽의 경승지이다. 총연장 7 km, 5만 4천여 그루의 송림이 무성한 해변과 스루가 만(駿河湾)을 사이에 두고 바라보는 후지산과 이즈반도의 아름다운 경치로 유명하다. 우키요에 화가 우타가와 히로시게(歌川広重)의 작품인 《육십여주명소도회》(六十余州名所図会)의 〈스루가 미호의 마쓰바라〉(駿河 三保のまつ原)에 묘사되기도 했다. | ||||||
149.시즈오카현 | ||||||
시즈오카현(일본어: 静岡県)은 일본 혼슈 중앙부의 태평양 연안에 있는 현이다. 현청 소재지는 시즈오카시이다. | ||||||
150.시즈오카시 | ||||||
시즈오카시(일본어: 静岡市)는 일본 시즈오카현의 현청 소재지이며, 정령지정도시이다. | ||||||
151.하마마쓰시 | ||||||
하마마쓰시(일본어: 浜松市)는 시즈오카현 서부에 있는 시이다. 2005년 7월 1일, 시즈오카 현 서부에 있던 11개 시정촌을 편입함으로써 현내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가 되었다. 시즈오카 현의 현청은 시즈오카시에 있으나 하마마쓰 시는 시즈오카 시보다 평지가 넓고 공업도시이어서 오랫동안 시즈오카 현에서 가장 인구가 많은 도시였다. 2003년에 시즈오카 시가 시미즈 시와 통합함으로써 하마마쓰 시의 인구를 추월했으나 2005년의 11개 시정촌 편입으로 하마마쓰 시가 다시 시즈오카 시를 추월했다. 또한 이번의 편입으로 현내에서 가장 넓은 면적을 차지하게 되었다. 일본 국내에서도 기후현 다카야마시(高山市) 다음에 두 번째로 넓다. 그 행정구역은 태평양 연안에서 아이치현 및 나가노현과의 경계선까지 이어지는 남북으로 긴 구역이며, 산간 지역도 많다. | ||||||
152.누마즈시 | ||||||
누마즈시(일본어: 沼津市)는 시즈오카현의 동부, 이즈반도의 밑에 위치하는 시이다. 특례시로 지정되어 있다. 예부터 도카이도의 육로와 해로를 연결하는 교통 거점이며 에도 시대에는 누마즈성이 쌓아져서 도카이도의 역참 마을로서 번창하는 등 사람·물자·정보의 교류 거점으로서 이 지역의 정치, 경제와 상업, 문화의 중심적 역할을 담당해 왔다. | ||||||
153.아타미시 | ||||||
아타미시(일본어: 熱海市 아타미시[*])는 일본 시즈오카현 동쪽 끝에 위치해 가나가와현에 인접해 있다.[1] | ||||||
154.미시마시 | ||||||
미시마시(일본어: 三島市)는 시즈오카현 동부, 이즈반도의 중북단에 위치한 도시로 원래는 다가타군에 속했다. 도시는 도카이도 신칸센의 개통으로 도쿄로의 통근이 가능해지면서 인구가 증가하였다. 공교롭게도 미시마 시는 친환경개발로 물의 도시로 불리고 있다. | ||||||
155.후지노미야시 | ||||||
후지노미야시(일본어: 富士宮市)는 시즈오카현 동부, 후지 산의 서남쪽 기슭에 위치하는 도시이다. 2010년 3월 23일에 시바카와 정에 편입시켰다. | ||||||
156.이토시 | ||||||
이토시(일본어: 伊東市)는 시즈오카현 동부에 위치하는 도시이다. | ||||||
157.시마다시 | ||||||
시마다시(일본어: 島田市)는 시즈오카현 중앙부의 오이강 강변에 위치한 시이다. | ||||||
158.후지시 | ||||||
후지시(일본어: 富士市)는 시즈오카현 동부의 시이다. 특례시로 지정되어 있다. 시정별 인구로는 하마마쓰시, 시즈오카시에 이어 시즈오카 현 3위이다. 시즈오카 현 동부에서 후지 도시권에 속하고 있으며, 또 후지 산의 남쪽에 있어 가쿠난 지역(岳南地域)라는 말도 잘 사용된다. 후지 산이 보이는 지역의 하나로 도카이도 신칸센 후지 천교 부근에서 신칸센과 함께 그려진 사진 등이 유명할 뿐만 아니라 예부터 제지의 거리로서 번창해 일본 제지와 오지 제지 등 다수의 제지 공장이 있다. | ||||||
159.이와타시 | ||||||
이와타시(일본어: 磐田市)는 시즈오카현 서부의 시이다. 예전의 이와타 군의 일부였다. J리그의 축구팀 주빌로 이와타의 본거지로서 유명하다. 또한 일본 럭비 팀인 야마하 주빌로도 있다. | ||||||
160.야이즈시 | ||||||
야이즈시(일본어: 焼津市)는 시즈오카현의 중부에 위치한 도시이다. 어항을 중심으로 발전하였고 원양 어업·수산가공업으로 유명할 뿐만 아니라 농업으로는 주로 녹차와 오렌지가 재배된다. | ||||||
161.가케가와시 | ||||||
가케가와시(일본어: 掛川市)는 시즈오카현 서부의 도시이다. 농업이 주요 산업의 하나이며 녹차의 재배는 일본 굴지의 산출량을 자랑한다. 마키노하라시가 성립하기 전까지는 황다의 생산량이 일본 1위였다. 도카이도 신칸센 가케가와역과 도메이 고속도로 가케가와 인터체인지가 함께 공업단지의 유치에 성공해 현내 유수의 공업도시가 되었다. 구라미 온천, 호센지 온천 등 시내 각처의 온천 마을과 가케가와 화조원 등의 관광지를 방문하는 관광객도 많다. | ||||||
162.후지에다시 | ||||||
후지에다시(일본어: 藤枝市)는 시즈오카현 중부에 위치한 도시이다. | ||||||
163.고텐바시 | ||||||
고텐바시(일본어: 御殿場市)는 시즈오카현 동부에 위치한 후지 산 주변과 하코네 관광의 교통 거점인 고원 도시이다. 후지 산의 기슭에 있으며, 시가지의 높이는 250~600m(시청은 450m) 정도이다. 기후는 냉량 다우로 연평균 기온은 12.9℃, 연평균 강수량은 3433mm 정도이다. 습도가 높아 안개가 발생하는 일도 많으며, 겨울에는 시즈오카 현내의 도시 중에서는 드물게 눈이 내리는 일이 많고 여름은 시원해 열대야가 관측되었던 적이 없다. 완만하게 경사진 토지는 주로 논 등으로 이용되어 한가로운 경관을 만들고 있다. 후지 산 등산의 거점으로서 번창하였고 1889년의 도카이도 선(현 고텐바 선) 개통 이후에는 피서지로도 발전했다. 도메이 고속도로의 개통으로 공업의 진출도 활발하게 되었다. | ||||||
164.후쿠로이시 | ||||||
후쿠로이시(일본어: 袋井市)는 일본 시즈오카현의 남서부의 도시이다. | ||||||
165.시모다시 | ||||||
시모다시(일본어: 下田市)는 이즈반도 남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에도 시대 말의 1854년, 미일 화친 조약이 조인된 곳이며 하코다테와 함께 최초로 개항했다. 현재는 그 관련 유적지나 온천, 해수욕장 등의 관광 자원을 많이 갖는 관광 도시이지만 최근에는 관광객이 감소하고 있다. | ||||||
166.스소노시 | ||||||
스소노시(일본어: 裾野市)는 시즈오카현 동부의 시이다. 누마즈시 및 미시마시의 주택 지역이자 첨단기술의 연구 도시로서 발전하고 있다. | ||||||
167.고사이시 | ||||||
고사이시(일본어: 湖西市)는 시즈오카현의 가장 서쪽에 위치하는 시이다. 2010년 3월 23일에 하마나 군 아라이 정을 편입했다.. | ||||||
168.이즈시 | ||||||
이즈시(일본어: 伊豆市)는 시즈오카현의 이즈반도 중앙부에 위치하는 이즈반도에서 최대의 면적을 자랑하는 시이다. | ||||||
169.오마에자키시 | ||||||
오마에자키시(일본어: 御前崎市)는 일본 시즈오카현 중서부에 있는 도시이다. 오마에자키 곶 일대를 관할하고 있다. | ||||||
170.기쿠가와시 | ||||||
기쿠가와시(일본어: 菊川市)는 시즈오카현 중서부에 있는 시이다. 기후는 대체로 온난하고 후카무시 차의 마을로서 알려진 차산지이다. 차 산업 외에 다협이나 다적기, 자동차 관련 부품 등을 생산하는 기업이 입지하는 공업도시이기도 하다. | ||||||
171.이즈노쿠니시 | ||||||
이즈노쿠니시(일본어: 伊豆の国市)는 시즈오카현의 이즈반도 북부의 시이다. | ||||||
172.마키노하라시 | ||||||
마키노하라시(일본어: 牧之原市)는 시즈오카현의 시이다. | ||||||
173.히가시이즈정 | ||||||
히가시이즈정(일본어: 東伊豆町)은 시즈오카현의 이즈반도 동단에 위치한 가모군의 정이다. | ||||||
174.가와즈정 | ||||||
가와즈정(일본어: 河津町)은 시즈오카현의 이즈반도 동안에 위치한 가모군의 정이다. | ||||||
175.미나미이즈정 | ||||||
미나미이즈정(일본어: 南伊豆町)은 시즈오카현 동부, 이즈반도의 최남단에 위치한 가모군의 정이다. | ||||||
176.마쓰자키정 | ||||||
마쓰자키정(일본어: 松崎町)은 시즈오카현의 이즈반도의 남서부의 해안을 따라 위치하는 가모군의 정이다. 정의 64%는 산림이지만 정 중심부는 이곳을 흐르는 나카 강, 이와시나 강에 의해 유역에 약 500ha의 경지를 가지는 이즈반도 서쪽 최대의 평야를 이룬다. 온천과 해수욕장이 있어 많은 관광객이 방문한다. | ||||||
177.니시이즈정 | ||||||
니시이즈정(일본어: 西伊豆町)은 시즈오카현 이즈반도의 서안에 위치하는 가모군의 정이다. | ||||||
178.간나미정 | ||||||
간나미정(일본어: 函南町)은 시즈오카현 동부의 다가타군의 정이다. 다가타군은 이전에는 8정 1촌으로 구성되어 있었지만 합병에 의해 새롭게 이즈노쿠니시와 이즈시가 탄생해 현재는 간나미정만 남게 되었다. 시즈오카 현 동부 이즈 반도의 관문에 위치하고 하코네 산맥의 분수령을 경계로 해 동쪽은 아타미시, 북동쪽은 가나가와현 유가와라정 및 하코네정과 접하고 북서쪽은 미시마시와 누마즈시, 남쪽으로 이즈노쿠니 시에 접하고 있다. 간나미는 JR도카이도 선, 단나 터널 서쪽 출구의 간나미역에서 도쿄역까지는 100km권의 거리에 있다. 인구는 해마다 증가 경향에 있고 정 동쪽에 퍼져 있는 하코네 산기슭에는 도심의 부호 세대의 별장이 많다. | ||||||
179.시미즈정 (시즈오카현) | ||||||
시미즈정(일본어: 清水町)은 시즈오카현 동부에 있는 슨토군의 정이다. | ||||||
180.나가이즈미정 | ||||||
나가이즈미정(일본어: 長泉町)은 시즈오카현 슨토군의 정이다. 미시마시와 누마즈시의 사이에 위치해 공장이 많은 공업 마을이다. 최근에 급속히 택지화가 진행되었다. | ||||||
181.요시다정 | ||||||
요시다정(일본어: 吉田町)은 시즈오카현 중부에 위치하는 하이바라군의 정으로 오이 강 하구의 서쪽에 퍼져있는 정이다. 적극적인 기업 유치에 의해 정의 재정은 주변 시정에 비해 윤택해 지방 교부세를 계속해서 교부하지 않고 있다. | ||||||
182.가와네혼정 | ||||||
가와네혼정(일본어: 川根本町)은 시즈오카현 중부에 위치하는 하이바라군의 정이다. 2005년 9월 20일에 하이바라 군의 나카카와네 정과 혼카와네 정이 합병하면서 성립했고, 정역은 시즈오카시와 하마마쓰시의 2개의 정령 지정 도시에 끼어있는 형태로 있다. 오이 강 상류부에 위치하고 주위가 동서 약 23km, 남북 약 40km로 면적 497km2와 현 전체의 6.4%를 차지하고 있고 정역의 90% 이상이 삼림인 산간의 마을이다. 미나미알프스 남부의 산록과 전위의 산들이 만들어내는 사계절마다의 아름다운 경관이 있으며 온천이 점재하는 온천 마을이다. 차밭이 펼쳐져 있고 카누의 마을로도 알려져 있다. | ||||||
183.모리정 (시즈오카현) | ||||||
모리정(모리마치)(일본어: 森町)은 시즈오카현 서부에 위치하는 슈치군의 정이다. 시즈오카 현내에서 ちょう라고 읽지만 모리정만은 유일하게 まち라고 읽는다. | ||||||
184.시미즈정 (홋카이도) | ||||||
시미즈정(일본어: 清水町)은 일본 홋카이도 도카치 종합진흥국(구 도카치 지청) 관내 서부, 가미카와 군에 있는 정이다. 정명의 유래는 아이누어로 ‘페케레페트’(ペケレペツ, 밝은 강)이다. | ||||||
185.아시타카산 | ||||||
아시타카산(일본어: 愛鷹山 (あしたかやま) 아시타카야마[*])은 시즈오카현 동부에 있는 산이다. 후지산 남측 옆에 위치한 화산체로, 최고봉은 해발 1504.2 미터의 에치젠다케(越前岳). 협의로는 아사타카 산체 남쪽의 해발 1,187.5 미터의 아시타카야마봉(愛鷹山峰)을 가리킨다. 아시타카 산괴(愛鷹山塊), 아시타카 연봉(愛鷹連峰)이라고도 한다. 일본이백명산 가운데 하나. 아시타카산은 신생대 제4기에 형성된 성층화산이다. 약 40만 년 전 하코네 화산, 고미타케 화산과 함께 분화를 시작했다.[1] 이 동기 화산들 중 하코네 화산은 무너져서 칼데라가 되었고, 고미타케 화산은 후지산에 덮여 버렸으며, 아시타카산은 침식되어 높이가 낮아졌다. | ||||||
186.시로산 (이즈시) | ||||||
시로산 (城山)은 시즈오카현 이즈시에 있는 해발 248m의 산이다. 이즈시 중심부의 서쪽에 위치하며 동쪽 기슭에는 가노강 강변으로 시청과 이즈 적십자병원이 있으며 남서쪽으로는 슈젠지 온천가, 산꼭대기에는 슈젠지 TV 중계국이 있다. 1964년 지역 여관조합이 중심이 되어 슈젠지 로프웨이가 산 북서쪽에 개업하고 26인승 곤돌라가 산로쿠역에서 슈젠지가와를 넘어 산 정상역까지 편도 4분만에 손님을 실어 나르고 있었다. 당시 산꼭대기에는 전망대와 음식시설 등이 있었다. 1977년에는 로프웨이가 폐지되었으며 현재로서는 당시만큼 전망이 좋지는 않지만 남동방향에 전망이 있다. | ||||||
187.니혼다이라 | ||||||
니혼다이라(일본어: 日本平 (にほんだいら))는 시즈오카현 시즈오카시 스루가구와 시미즈구의 경계에 소재한 구릉지, 경승지다. 야마토 타케루노 미코토의 전설에서 명칭이 유래했다. 니혼다이라는 스루가만 연안의 우도산(일본어: 有度山 (うどやま) 우도야마[*]) 정상과 그 일대를 말하는 것이다. 전체적으로 평탄한 시즈오카 해안에서 유일하게 도드라진 고지대로, 정상에 올라가면 스루가만 너머로 후지산과 이즈반도가 보이고, 북쪽으로는 남알프스도 보인다.[1] 아래로는 시미즈구와 시미즈항 전체가 내려다보여 야경의 명소이기도 하다. 1950년(쇼와 25년) 『마이니치신문』이 주최한 관광지 100선에서 평원부문 1위를 차지했고, 1959년(쇼와 34년)에는 나라의 명승으로 지정되었다.[2] 1980년(쇼와 55년) 일본 관광지 100선 콩쿠르에서도 1위를 차지했다.[3] 2016년(헤이세이 28년)에는 일본야경유산으로 선정되었다.[4][5] | ||||||
188.후지산 | ||||||
후지산(일본어: 富士山)은 일본의 혼슈 중앙부, 시즈오카현(후지노미야시, 스소노시, 후지시, 고텐바시, 슨토군 오야마정)하고 야마나시현(후지요시다시, 미나미쓰루군 나루사와촌)의 경계에 있는 휴화산이며, 해발 3,776m로 일본의 극점 중 최고점에 속한다. 1707년부터 휴지기에 들어간 상태로, 도카이도 신칸센이 그 근처를 지나간다. 일년 중 7월 내지 8월에 입산이 가능하며, 본래 여성의 입산이 금지되었다가 1868년부터 해금되었다. 맑은 날에는 100km 떨어진 도쿄에서도 보일 정도로 큰 후지산은 옛부터 일본의 상징이자 고대 신앙의 대상이 되어 왔다. | ||||||
189.이토 온천 | ||||||
이토 온천(일본어: 伊東温泉)은 시즈오카현 이토시에 위치한 온천이다. 도쿄에서 약 1시간 거리이며, 원천만 780여 곳이 있어 어디를 파나 온천이 나온다고 할 만큼 유량이 풍부하다. 물을 첨가하지 않은 원천수탕이 유명하다. | ||||||
190.아타미성 | ||||||
아타미성(일본어: 熱海城 아타미조[*])은 시즈오카현 아타미시의 니시키가우라 산정상에 있는 관광시설이다. 아타미성이라고 불리는 성은 역사적으로 존재하지 않는다. | ||||||
191.후지강 | ||||||
후지강(富士川)은 일본 시즈오카현과 야마나시현을 흐르는 강이다. 총 길이는 128 km이고 유역 면적은 3,990 km2이다. 모가미강, 구마강과 함께 일본 3대 급류로 여겨지고 있다. 강은 야마나시현 북서쪽에 있는 아카이시산맥의 노코기리다케(鋸岳)에서 발원한다. 이곳에서는 가마나시강(釜無川)으로 불리다가 이치카와미사토정에서 후에후키강과 합류해 후지강으로 이름이 바뀐다. 강은 후지산 서쪽 기슭을 흘러 후지시에서 스루가만으로 빠진다. 후지강 유역은 1180년에 겐페이 전쟁의 초기의 중요한 전투 중 하나인 후지가와 전투가 벌어진 곳이다. 센고쿠 시대의 군벌인 다케다 신겐은 가마나시강 부분에 홍수를 막기 위해 광범위한 제방을 건설했다. 이 제방은 현재에도 존재하며 신겐 둑(信玄堤)으로 불린다. 에도 시대에 홍수를 조절하기 위한 노력은 계속되어 건설이 시작된지 50년 만인 1674년에 광범위한 제방이 완성되었다. | ||||||
192.아베강 | ||||||
아베강(일본어: 安倍川 아베카와[*])은 일본 중앙의 시즈오카현을 흐르는 강이다. 총 길이는 53.3 km, 유역 면적 567 km2이다. 강은 야마나시현과 시즈오카현의 경계의 아카이시산맥에서 발원해 스루가만(태평양)으로 흘러 들어간다. 유역이 모두 시즈오카시내에 속한다. 이토이가와 시즈오카 구조선의 남단이기도 해 아베강을 경계로 동서의 지질 구조가 크게 다르다. 강 상류에는 많은 온천이 있고 일본의 폭포 100선의 하나인 아베 폭포로 유명하다. 주변의 덴류강이나 오이강과는 달리 아베강에는 댐이 없다. 쇼군 도쿠가와 이에야스는 광범위한 건설 작업을 수행했고 강 하류에 현재의 유로를 만들었다. | ||||||
193.오이강 | ||||||
오이강(大井川, おおいがわ)은 일본 시즈오카현의 강이다. 아카이시산맥(미나미알프스) 남부 시즈오카현, 나가노현, 야마나시현의 경계에 있는 아이노다케산에서 발원하여, 아카이시산맥과 시라네산맥 사이를 남하, 시즈오카현 야이즈시(옛 오이가와촌)와 하이바라군 요시다정의 사이에서 스루가만으로 흘러든다. | ||||||
194.덴류강 | ||||||
덴류강(天竜川)은 일본 혼슈섬 중앙의 강으로 나가노현 오카야시의 스와호에서 발원해 아이치현을 거쳐 시즈오카현 서쪽으로 흐르는 강이다. 총 길이는 213 km로 일본에서 9번째로 긴 강이다. | ||||||
195.하쓰시마섬 | ||||||
하쓰시마섬(初島)은 일본 시즈오카현 아타미시에 속하는 섬이다. 이즈반도 동쪽 앞바다의 사가미만에 위치하고 있으며, 아타미시 본토에서 남동쪽으로 약 10 킬로미터 해상에 있기 때문에, 시즈오카현의 최동단이기도 하다. 2018년 기준으로 인구는 193명 114가구였다.[1] 주민의 대부분은 섬의 북부에 위치한 미야노마에 지구에 거주하고 있다.[2] | ||||||
196.벤텐섬 (하마마쓰시) | ||||||
벤텐섬(弁天島 벤텐지마[*])은 일본 시즈오카현 하마마쓰시 주오구 하마나호에 있는 섬이다. 하마나호 일대의 리조트 지역 중 하나로서 해수욕, 낚시, 조간 사냥 등 많은 관광객이 방문한다. 또, 섬 내에는 호텔도 있으며 벤텐지마 온천이라고 칭하고 있다. 섬의 남쪽 호수면에는 큰 붉은 도리이가 세워져 있으며, 관광 심볼 타워(観光シンボルタワー)라고 불린다. 2009년 9월 1일 기준으로 인구는 2,982명(1세대당 2.40명)이다.[1] | ||||||
197.돌고래 | ||||||
돌고래(문화어: 곱등어, 영어: dolphin)는 수생 포유류이자 이빨고래류의 한 종류로, 바다에 사는 매우 영리한 포유동물이다. 돌고래는 아가미로 숨을 쉬는 물고기와는 달리 허파로 숨을 쉬기 때문에 숨을 들이쉴 때마다 물 위로 나와서 허파에 공기를 가득 채운다. 돌고래는 주로 새우나 멸치, 정어리 같은 작은 물고기를 먹는다. | ||||||
198.고헤이모치 | ||||||
고헤이모치(일본어: 五平餅)는 맵쌀밥을 이겨서 경단 모양으로 만들어 꼬치에 꿰고, 된장이나 간장을 발라서 불에 구운 떡이다. 일본 주부 지방의 산간 지역 (나가노현, 기후현, 도야마현 남부, 아이치현 오쿠미카와, 시즈오카현 일부, 야마나시현)에서 전해지는 향토 요리이다. | ||||||
199.벚꽃새우 | ||||||
벚꽃새우(학명: Lucensosergia lucens)는 새우종의 하나이다. 이 반투명한 분홍빛의 새우는 약 4~5센티미터까지 자라며 주로 일본 시즈오카현 스루가만에서 살며 이곳에서 식용을 위해 잡힌다. 타이완에서도 잡힌다. | ||||||
200.키다리게 | ||||||
키다리게(일본어: タカアシガニ 타카아시가니[*]는 일본 주변 바다에서 사는 갑각류의 한 종이다. 다른 어떤 절지동물들보다도 큰 다리를 가지고 있으며, 일본 내에서 식용으로 주로 사용된다.[1] 같은 카디리게속(Macrocheira)에 마이오세에 살던 지금은 멸종한 두 종인 Macrocheira ginzanensis와 Macrocheira yabei를 포함한다. | ||||||
201.톱날꽃게속 | ||||||
톱날꽃게속(Scylla)은 4종의 꽃게를 포함하고 있는 게의 속이다.[1] 가장 널리 분포하는 종은 남방톱날꽃게이다. 인도-서태평양 전역에서 발견된다.[2] 네 가지 종은 다음과 같다.[3][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