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Undefined variable $parentDirName in /home/idscorp/kankou.org/public_html/function01.php on line 1862
명산품:미에현관광 명소 목록 | 멋진 검색 일본

멋진 검색 일본

미에현:절

1.엔랴쿠지
엔랴쿠지(일본어: 延曆寺)는 시가현 오쓰시에 있는 사찰이다. 788년 헤이안 시대 초반에 전교대사 사이초에 의해 세워진 일본 천태종의 본산이다. 1994년 고도 교토의 문화재 중 하나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되었다. 헤이안 시대의 고승인 전교대사 사이초는 807년에 간무 천황의 지원을 받아 수 백명에 달하는 제자들을 받아들였다. 그의 교리를 따르는 승려들은 무려 12년이라는 세월을 명상을 하며 격리 생활을 해야 할 정도로, 그의 사상은 매우 엄격한 편이었다. 12년에 걸친 명상 기간이 끝나면, 우수한 재능을 보인 승려들은 사찰에 남아 수행을 계속하고, 나머지는 정부에 임용되어 사회로 나갔다. 엔랴쿠지도 사이초의 권위가 높아짐에 따라 함께 그 명성이 높아졌는데, 그 절정기에는 3,000명에 달하는 하위 사원과 강력한 승병들을 거느리고 있었다. 그러다가 10세기 경, 천태종에서 내부 갈등이 발생하게 된다. 당시 천태종을 이끌던 두 승려, 엔닌과 엔친 사이에서 갈등이 발생하게 되었는데, 이로 인해 천태종이 엔랴쿠지를 중심으로 하는 산문(山門)과, 미이데라를 중심으로 하는 사문(寺門)으로 나누어지게 되었다. 이들은 승병들을 사용하여 서로와 전쟁을 벌였고, 용병을 고용하여 서로를 적대하였다. 산문과 사문의 지도자들은 심지어 승병들을 수도로 내려보내 자신들의 교리를 사회에 서로 강제적으로 시행하려 하여 많은 혼란을 갖고 왔다.
2.이세 신궁
이세 신궁(일본어: 伊勢神宮)은 일본의 신사 (神社) 가운데 하나다. 미에현 이세시에 있으며, 신사 이름은 미에 현의 옛 이름 가운데 하나인 이세국에서 가져왔다. 일본에서 가장 큰 규모의 신사로, 일본 내 신사 중심 시설이다. 때문에 이세라는 지명을 붙이지 않고 신궁 (神宮)이라고 부르는 게 일반적이다. 일본 국민 사이 "이세 님", "대신궁 님" 등으로 부르기도 있다. 히쿠마 신궁, 구니카카스 신궁과 더불어 "신계" (神階)가 내려지지 않은 신궁으로, 우사 신궁, 이와시미즈 하치만구와 더불어 일본의 종묘로 추앙받는다.
3.우에노성
우에노성(일본어: 上野城)은 미에현 이가시 우에노 마루노우치에 있는 제곽식 평산성이다. 하쿠호성(白鳳城), 이가우에노성(伊賀上野城)이라고도 불린다. 우에노성은 우에노 분지 중앙에 있는 우에노 대지 북쪽 높이 180m 정도의 언덕위에 있다. 오다 노부나가의 2남 오다 노부카쓰의 가신이었던 다키가와 가쓰토시가 헤이라쿠지(平楽寺) 터에 성채를 세웠고, 그 후 1585년 쓰쓰이 사다쓰구에 의해 보수되어 사용되어 오다, 1611년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명을 받은 도도 다카토라가 성을 확장 보수하였다. 하지만, 1615년 오사카 전투에서 이에야스와 대립하였던 도요토미 가문이 멸문되자, 확장공사는 중지되었다.
4.가메야마성 (미에현)
가메야마성(일본어: 亀山城 가메야마조[*])은 미에현 가메야마시 혼마루 정에 있는 제곽식 평산성이다. 고초성 또는 훈초성(粉蝶城)으로도 불린다. 에도 시대에는 이세 가메야마 번의 번청으로 사용되었으며 도카이도의 요충에 입지한 까닭에 자주 번주가 바뀌었다. 1744년 이시카와 가문(石川氏)이 성주로 부임한 이후 메이지 유신까지 이 지역을 다스린다.
5.구와나성
구와나성(일본어: 桑名城)은 미에현 구와나시에 있는 제곽식 평성이다. 에도 시대에는 구와나번의 번청이 있었다. 도쿠가와 사천왕 중 한 명인 혼다 다다카쓰의 성으로 알려져 있다. 성터는 미에현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6.아이가역
아이가역(일본어: 相賀駅)은 일본 미에현 기타무로군 기호쿠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7.아카메구치역
아카메구치역(일본어: 赤目口駅)은 일본 미에현 나바리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오사카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D 48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8.아사히역 (미에현)
아사히역(일본어: 朝日駅)은 일본 미에현 미에군 아사히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간사이 본선의 역이다.
9.아소역 (미에현)
아소역(일본어: 阿曽駅)은 일본 미에현 와타라이군 다이키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10.아타시카역
아타시카역(일본어: 新鹿駅)은 일본 미에현 구마노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11.아타와역
아타와역(일본어: 阿田和駅)은 일본 미에현 미나미무로군 미하마 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12.아노역 (미에현)
아노역(일본어: 穴太駅)은 일본 미에현 이나베군 도인정에 위치한 산기 철도 호쿠세이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3.아리이역
아리이역(일본어: 有井駅)은 일본 미에현 구마노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14.이케노우라역
이케노우라역(일본어: 池の浦駅)은 일본 미에현 도바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도바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77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15.이세아사히역
이세아사히역(일본어: 伊勢朝日駅)은 일본 미에현 미에군 아사히 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E 15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6.이세카시와자키역
이세카시와자키역(일본어: 伊勢柏崎駅)은 일본 미에현 와타라이군 다이키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17.이다가와역
이다가와역(일본어: 井田川駅)은 일본 미에현 가메야마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간사이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가지는 지상역이다.
18.우도노역
우도노역(일본어: 鵜殿駅)은 일본 미에현 미나미무로군 기호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19.우메가다니역
우메가다니역(일본어: 梅ヶ谷駅)은 일본 미에현 와타라이군 다이키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20.오카역 (미에현)
오카역(일본어: 相可駅)은 일본 미에현 다키군 다키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21.오우치야마역
오우치야마역(일본어: 大内山駅)은 일본 미에현 와타라이군 다이키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지상역이다.
22.오소네우라역
오소네우라역(일본어: 大曽根浦駅)은 일본 미에현 오와세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23.오도마리역
오도마리역(일본어: 大泊駅)은 일본 미에현 구마노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24.오바네엔역
오바네엔역(일본어: 大羽根園駅)은 일본 미에현 미에군 고모노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유노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K 29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5.오와세역
오와세역(일본어: 尾鷲駅)은 일본 미에현 오와세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지상역이다.
26.가타역
가타역(일본어: 賀田駅)은 일본 미에현 오와세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27.가부토역 (미에현)
가부토역(일본어: 加太駅)은 일본 미에현 가메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간사이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8.가메야마역 (미에현)
가메야마역(일본어: 亀山駅)은 일본 미에현 가메야마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 서일본 여객철도의 역이다. 나고야와 JR 난바까지를 잇는 간사이 본선과 기이반도해안을 따라 와카야마시역까지를 연결하는 기세이 본선 등 2개의 노선이 상호 운행하는 접속역이다. 그리고, 단선 승강장과 섬식 승강장을 합친 복합 형태의 철도 역사이다.
29.가모역 (미에현)
가모역(일본어: 加茂駅)은 일본 미에현 도바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시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82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30.가와고에토미스하라역
가와고에토미스하라역(일본어: 川越富洲原駅)은 일본 미에현 미에군 가와고에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E 16이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31.가와조에역
가와조에역(일본어: 川添駅)은 일본 미에현 다키군 오다이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32.기이이다역
기이이다역(일본어: 紀伊井田駅)은 일본 미에현 미나미무로군 기호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33.기이이치기역
기이이치기역(일본어: 紀伊市木駅)은 일본 미에현 미나미무로군 미하마 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34.기이나가시마역
기이나가시마역(일본어: 紀伊長島駅)은 일본 미에현 기타무로군 기호쿠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지상역이다.
35.기쿄가오카역
기쿄가오카역(일본어: 桔梗が丘駅)은 일본 미에현 나바리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오사카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D 50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36.구키역 (미에현)
구키역(일본어: 九鬼駅)은 일본 미에현 오와세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37.구마노시역
구마노시역(일본어: 熊野市駅)은 일본 미에현 구마노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다.
38.고시야마역
고시야마역(일본어: 神志山駅)은 일본 미에현 미나미무로군 미하마 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39.고모노역
고모노역(일본어: 菰野駅)은 일본 미에현 미에군 고모노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유노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K 27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40.사이쿠역
사이쿠역(일본어: 斎宮駅)은 일본 미에현 다키군 메이와 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야마다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68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41.사나역
사나역(일본어: 佐奈駅)은 일본 미에현 다키군 다키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42.시마아카사키역
시마아카사키역(일본어: 志摩赤崎駅)은 일본 미에현 도바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시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80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43.시모노쇼역
시모노쇼역(일본어: 下庄駅)은 일본 미에현 가메야마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44.시라키역
시라키역(일본어: 白木駅)은 일본 미에현 도바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시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84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45.세키역 (미에현)
세키역(일본어: 関駅, せきえき)은 일본 미에현 가메야마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간사이 본선이 지나간다.
46.다키역 (미에현)
다키역(일본어: 多気駅)은 일본 미에현 다키군 다키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 일본화물철도의 역이다. 이 역의 소속 선인 기세이 본선부터, 산구 선이 분기하고 있다.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47.다키하라역
다키하라역(일본어: 滝原駅)은 일본 미에현 다키군 오다이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48.다마루역
다마루역(일본어: 田丸駅 たまるえき[*])은 일본 미에현 와타라이군 다마키정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산구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49.도인역
도인역(일본어: 東員駅)은 일본 미에현 이나베군 도인정에 위치한 산기 철도 호쿠세이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50.도키다역
도키다역(일본어: 外城田駅 ときだえき[*])은 일본 미에현 다키군 다키정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산구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51.도치하라역
도치하라역(일본어: 栃原駅)은 일본 미에현 다키군 오다이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52.도바역
도바역(일본어: 鳥羽駅 とばえき[*])은 일본 미에현 도바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 긴키 닛폰 철도의 철도역이다. JR 도카이의 산구 선과 긴키 닛폰 철도의 도바 선 · 시마 선 등 3개의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53.나카코모노역
나카코모노역(일본어: 中菰野駅)은 일본 미에현 미에군 고모노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유노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K 28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형태를 갖춘 지상역이다.
54.나카노고역
나카노고역(일본어: 中之郷駅)은 일본 미에현 도바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시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79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55.나바리역
나바리역(일본어: 名張駅)은 일본 미에현 나바리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오사카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D 49이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56.니기시마역
니기시마역(일본어: 二木島駅)은 일본 미에현 구마노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57.하다스역
하다스역(일본어: 波田須駅)은 일본 미에현 구마노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58.후나쓰역 (기호쿠 정)
후나쓰역(일본어: 船津駅)은 일본 미에현 기타무로군 기호쿠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59.후나쓰역 (도바시)
후나쓰역(일본어: 船津駅)은 일본 미에현 도바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시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81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60.마쓰오역 (미에현)
마쓰오역(일본어: 松尾駅)은 일본 미에현 도바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시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83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61.미키사토역
미키사토역(일본어: 三木里駅)은 일본 미에현 오와세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62.미세다니역
미세다니역(일본어: 三瀬谷駅)은 일본 미에현 다키군 오다이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2면 3선의 구조이며 다키 역이 이 역을 관리하는 지상역이다.
63.미노세역
미노세역(일본어: 三野瀬駅)은 일본 미에현 기타무로군 기호쿠정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64.미하타역
미하타역(일본어: 美旗駅)은 일본 미에현 나바리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오사카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D 51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65.묘조역
묘조역(일본어: 明星駅)은 일본 미에현 다키군 메이와 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야마다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69이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66.유노야마온센역
유노야마온센역(일본어: 湯の山温泉駅)은 일본 미에현 미에군 고모노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유노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이 노선의 종착역이며, 역 번호는 K 30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67.아오야마초역
아오야마초역(일본어: 青山町駅)은 일본 미에현 이가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오사카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D 53이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68.이가우에노역
이가우에노역(일본어: 伊賀上野駅)은 일본 미에현 이가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 이가 철도의 철도역이다. JR 간사이 본선의 소속역이며, 이 역을 기 · 종점으로 하는 이가 철도 이가 선 등 2개의 노선이 운행 중이다.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69.이가칸베역
이가칸베역(일본어: 伊賀神戸駅)은 일본 미에현 이가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 이가 철도의 철도역이다. 긴테쓰 오사카 선의 소속역이며, 이 역을 기.종점으로 하는 이가 철도 이가 선 등 2개의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긴테쓰의 역 번호는 D 52이며, 단선 · 상대식의 형태를 합친 3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70.이가코즈역
이가코즈역(일본어: 伊賀上津駅)은 일본 미에현 이가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오사카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D 54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1.이다미치역
이다미치역(일본어: 猪田道駅)은 일본 미에현 이가시에 위치한 이가 철도 이가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2.이치베역
이치베역(일본어: 市部駅)은 일본 미에현 이가시에 위치한 이가 철도 이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3.이나코역 (미에현)
이나코역(일본어: 依那古駅)은 일본 미에현 이가시에 위치한 이가 철도 이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4.우에노시역
우에노시역(일본어: 上野市駅)은 일본 미에현 이가시에 위치한 이가 철도 이가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5.우에바야시역
우에바야시역(일본어: 上林駅)은 일본 미에현 이가시에 위치한 이가 철도 이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6.가야마치역
가야마치역(일본어: 茅町駅)은 일본 미에현 이가시에 위치한 이가 철도 이가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7.구와마치역
구와마치역(일본어: 桑町駅)은 일본 미에현 이가시에 위치한 이가 철도 이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8.사나구역
사나구역(일본어: 佐那具駅)은 일본 미에현 이가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간사이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9.시주쿠역
시주쿠역(일본어: 四十九駅)은 일본 미에현 이가시에 위치한 이가 철도 이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제2차 세계 대전후의 1945년에 영업이 중단되었으며, 1969년을 끝으로 역 업무가 중단된지, 49년만인 2018년 3월 17일에 재개업하였다.
80.시마가하라역
시마가하라역(일본어: 島ケ原駅)은 일본 미에현 이가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간사이 본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81.신도역 (미에현)
신도역(일본어: 新堂駅)은 일본 미에현 이가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간사이 본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82.쓰게역
쓰게역(일본어: 柘植駅, つげえき)은 일본 미에현 이가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83.니이역 (미에현)
니이역(일본어: 新居駅)은 일본 미에현 이가시에 위치한 이가 철도 이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84.니시아오야마역
니시아오야마역(일본어: 西青山駅)은 일본 미에현 이가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오사카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D 55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85.니시오테역
니시오테역(일본어: 西大手駅)은 일본 미에현 이가시에 위치한 이가 철도 이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86.히도역
히도역(일본어: 比土駅)은 일본 미에현 이가시에 위치한 이가 철도 이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87.히로코지역 (미에현)
히로코지역(일본어: 広小路駅)은 일본 미에현 이가시에 위치한 이가 철도 이가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88.마루야마역 (미에현)
마루야마역(일본어: 丸山駅)은 일본 미에현 이가시에 위치한 이가 철도 이가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89.아케노역
아케노역(일본어: 明野駅)은 일본 미에현 이세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야마다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70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90.아사마역
아사마역(일본어: 朝熊駅)은 일본 미에현 이세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도바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76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91.이스즈가오카역
이스즈가오카역(일본어: 五十鈴ケ丘駅 いすずがおかえき[*])은 일본 미에현 이세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산구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92.이스즈가와역
이스즈가와역(일본어: 五十鈴川駅)은 일본 미에현 이세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도바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75이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93.이세시역
이세시역(일본어: 伊勢市駅 いせしえき[*])은 일본 미에현 이세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 긴키 닛폰 철도의 철도역이다. JR 도카이의 산구 선과 긴키 닛폰 철도 야마다 선의 소속역이며, JR의 경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첬고, 긴키 닛폰 철도는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94.우지야마다역
우지야마다역(일본어: 宇治山田駅)은 일본 미에현 이세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야마다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74이며, 상대식 · 섬식 3면 4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야마다 선의 종착역이기도 하며, 도바 선과는 여기서부터 직결 운행된다.
95.오바타역 (미에현)
오바타역(일본어: 小俣駅)은 일본 미에현 이세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야마다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71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96.후타미노우라역
후타미노우라역(일본어: 二見浦駅 ふたみのうらえき[*])은 일본 미에현 이세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산구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97.마쓰시타역
마쓰시타역(일본어: 松下駅 まつしたえき[*])은 일본 미에현 이세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산구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98.미야가와역
미야가와역(일본어: 宮川駅 みやがわえき[*])은 일본 미에현 이세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산구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99.미야마치역
미야마치역(일본어: 宮町駅)은 일본 미에현 이세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야마다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72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0.야마다카미구치역
야마다카미구치역(일본어: 山田上口駅 やまだかみぐちえき[*])은 일본 미에현 이세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산구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1.이케노우라시사이드역
이케노우라시사이드역(일본어: 池の浦シーサイド いけのうらシーサイドえき[*])은 일본 미에현 이세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산구 선의 철도역(임시 승강장)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2.아게키역
아게키역(일본어: 阿下喜駅)은 일본 미에현 이나베시에 위치한 산기 철도 호쿠세이 선의 철도역이다. 이 노선의 종점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3.이세핫타역
이세핫타역(일본어: 伊勢治田駅)은 일본 미에현 이나베시에 위치한 산기 철도 산기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4.우메도이역
우메도이역(일본어: 梅戸井駅)은 일본 미에현 이나베시에 위치한 산기 철도 산기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5.오다역 (미에현)
오다역(일본어: 麻生田駅)은 일본 미에현 이나베시에 위치한 산기 철도 호쿠세이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6.오이즈미역 (미에현)
오이즈미역(일본어: 大泉駅)은 일본 미에현 이나베시에 위치한 산기 철도 호쿠세이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7.소하라역 (미에현)
소하라역(일본어: 楚原駅)은 일본 미에현 이나베시에 위치한 산기 철도 호쿠세이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8.다이안역
다이안역(일본어: 大安駅)은 일본 미에현 이나베시에 위치한 산기 철도 산기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9.니시노지리역
니시노지리역(일본어: 西野尻駅)은 일본 미에현 이나베시에 위치한 산기 철도 산기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10.니시후지와라역
니시후지와라역(일본어: 西藤原駅)은 일본 미에현 이나베시에 위치한 산기 철도 산기 선의 철도역이다. 이 노선의 종착역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11.뉴가와역 (미에현)
뉴가와역(일본어: 丹生川駅)은 일본 미에현 이나베시에 위치한 산기 철도 산기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12.히가시후지와라역
히가시후지와라역(일본어: 東藤原駅)은 일본 미에현 이나베시에 위치한 산기 철도 산기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13.미사토역 (미에현)
미사토역(일본어: 三里駅)은 일본 미에현 이나베시에 위치한 산기 철도 산기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14.아사케 신호장
아사케 신호장(일본어: 朝明信号場)은 일본 미에현 구와나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간사이 본선의 신호장이다. 단선 구간(구와나 방면)과 복선 구간(아사히 방면)의 접속 지점에 설치되었던 신호장이다. 위치는, 나고야 기점 27.5km, 구와나 역부터 1.6km의 지점이다. 예전에는, 단선 구간 열차 교환형의 신호장으로, 현재 위치부터 아사히 역 보다도 1km의 지점에 있었지만, 복선화에 의해 단선 복선 접속형 신호장으로 되었다. 신호장 이북(구와나 역 - 아사케 신호장 간)에는 복선에 대응하는 용지는 대략 확보되어 있었지만, 구와나 역 남쪽에 있는 산기 철도 호쿠세이 선의 철교 아래의 공간이 단선이 통행하는 넓이밖에 없어, 옆에도 1개 차선 분의 도로가 있기 때문에, 같은 구간의 복선화는 곤란하다. 1982년의 간사이 본선 전철화의 때에 일본국유철도(당시 국철)는 복선화를 희망해, 호쿠세이 선의 교량 재가설 비용의 부담에 대해서 국철 측의 재가설 분은 국철 부담,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의 재가설 분은 긴키 닛폰 철도(긴테쓰 · 당시 호쿠세이 선을 운영)부담을 필요로 하는 제안했던 것의 긴테쓰 측이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 측도 포함해서 부담하도록 요구했기 때문에 교섭은 부조없이 끝났다. 그 때문에 이 지점으로의 복선화는 보류되었다. 현재의 위치 사업화의 전망은 없다.
115.아리요시역
아리요시역(일본어: 在良駅)은 일본 미에현 구와나시에 위치한 산기 철도 호쿠세이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16.우마미치역
우마미치역(일본어: 馬道駅)은 일본 미에현 구와나시에 위치한 산기 철도 호쿠세이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17.긴테쓰나가시마역
긴테쓰나가시마역(일본어: 近鉄長島駅)은 일본 [미에 현]] 구와나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E 12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18.구와나역
구와나역(일본어: 桑名駅)은 일본 미에현 구와나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 긴키 닛폰 철도 · 요로 철도의 역이다.
119.시모노시로역
시모노시로역(일본어: 下野代駅)은 일본 미에현 구와나시에 위치한 요로 철도 요로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20.시모후카야역
시모후카야역(일본어: 下深谷駅)은 일본 미에현 구와나시에 위치한 요로 철도 요로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21.다도역
다도역(일본어: 多度駅)은 일본 미에현 구와나시에 위치한 요로 철도 요로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실질적으로는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 방식으로 운영되고 있다.
122.나가시마역
나가시마역(일본어: 長島駅, ながしまえき)은 일본 미에현 구와나시 나가시마 정 니시도모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JR 도카이) 간사이 본선(関西本線)의 철도역이다.
123.나나와역
나나와역(일본어: 七和駅)은 일본 미에현 구와나시에 위치한 산기 철도 호쿠세이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24.니시쿠와나역
니시쿠와나역(일본어: 西桑名駅)은 일본 미에현 구와나시에 위치한 산기 철도 호쿠세이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25.니시벳쇼역
니시벳쇼역(일본어: 西別所駅)은 일본 미에현 구와나시에 위치한 산기 철도 호쿠세이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26.하리마역
하리마역(일본어: 播磨駅)은 일본 미에현 구와나시에 위치한 요로 철도 요로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27.호시카와역 (미에현)
호시카와역(일본어: 星川駅)은 일본 미에현 구와나시에 위치한 산기 철도 호쿠세이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28.마스오역 (미에현)
마스오역(일본어: 益生駅)은 일본 미에현 구와나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E 14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29.렌게지역
렌게지역(일본어: 蓮花寺駅)은 일본 미에현 구와나시에 위치한 산기 철도 호쿠세이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30.아나가와역 (미에현)
아나가와역(일본어: 穴川駅)은 일본 미에현 시마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시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89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131.우가타역
우가타역(일본어: 鵜方駅)은 일본 미에현 시마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시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91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132.가시코지마역
가시코지마역(일본어: 賢島駅)은 일본 미에현 시마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시마 선의 철도역이다. 이 노선의 종착역이자, 역 번호는 M 92이며, 두단식 승강장 4면 5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역 이름의 유래는, 가시코 섬에 소재해, 이 섬의 중앙부에 있다. 혼슈와의 떨어진 거리는 불과 20m이다.
133.가미노고역
가미노고역(일본어: 上之郷駅)은 일본 미에현 시마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시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87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34.구쓰카케역
구쓰카케역(일본어: 沓掛駅)은 일본 미에현 시마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시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86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35.고치역 (미에현)
고치역(일본어: 五知駅)은 일본 미에현 시마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시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85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36.시마이소베역
시마이소베역(일본어: 志摩磯部駅)은 일본 미에현 시마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시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88이며, 단선 · 섬식 2면 3선의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137.시마신메이역
시마신메이역(일본어: 志摩神明駅)은 일본 미에현 시마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시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92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38.시마요코야마역
시마요코야마역(일본어: 志摩横山駅)은 일본 미에현 시마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시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90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139.이세와카마쓰역
이세와카마쓰역(일본어: 伊勢若松駅)은 일본 미에현 스즈카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의 철도역이다. 긴테쓰 나고야 선의 소속역이며, 이 역을 기.종점으로 하는 긴테쓰 스즈카 선 등 2개의 노선이 운행 중이다. 역 번호는 나고야 선은 E 29, 스즈카 선은 L 29이다.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췄다.
140.이소야마역
이소야마역(일본어: 磯山駅)은 일본 미에현 스즈카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E 33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41.가사도역
가사도역(일본어: 加佐登駅)은 일본 미에현 스즈카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간사이 본선의 역이다.
142.가와노역
가와노역(일본어: 河曲駅)은 일본 미에현 스즈카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간사이 본선의 역이다.
143.시로코역
시로코역(일본어: 白子駅)은 일본 미에현 스즈카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E 31이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44.스즈카시역
스즈카시역(일본어: 鈴鹿市駅)은 일본 미에현 스즈카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스즈카 선의 철도역이다. 이 노선의 종착역이며, 역 번호는 L 31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45.지요자키역
지요자키역(일본어: 千代崎駅)은 일본 미에현 스즈카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E 30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46.쓰즈미가우라역
쓰즈미가우라역(일본어: 鼓ヶ浦駅)은 일본 미에현 스즈카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E 32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47.나고노우라역
나고노우라역(일본어: 長太ノ浦駅)은 일본 미에현 스즈카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E 27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48.히라타초역
히라타초역(일본어: 平田町駅)은 일본 미에현 스즈카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스즈카 선의 철도역이다. 이 노선의 종착역이며, 역 번호는 L 33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49.미다역
미다역(일본어: 箕田駅)은 일본 미에현 스즈카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E 28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50.밋카이치역
밋카이치역(일본어: 三日市駅)은 일본 미에현 스즈카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스즈카 선의 철도역이다.역 번호는 L 32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51.야나기역
야나기역(일본어: 柳駅)은 일본 미에현 스즈카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스즈카 선의 철도역이다. 이 노선의 종착역이며, 역 번호는 L 30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52.아코기역
아코기역(일본어: 阿漕駅)은 일본 미에현 쓰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다.
153.이에키역
이에키역(일본어: 家城駅)은 일본 미에현 쓰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메이쇼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54.이신덴역
이신덴역(일본어: 一身田駅)은 일본 미에현 쓰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며, 쓰역 관리의 무인역이다.
155.이세이시바시역
이세이시바시역(일본어: 伊勢石橋駅)은 일본 미에현 쓰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오사카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D 59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56.이세오이역
이세오이역(일본어: 伊勢大井駅)은 일본 미에현 쓰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메이쇼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57.이세오키쓰역
이세오키쓰역(일본어: 伊勢奥津駅)은 일본 미에현 쓰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메이쇼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58.이세카마쿠라역
이세카마쿠라역(일본어: 伊勢鎌倉駅)은 일본 미에현 쓰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메이쇼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59.이세카와구치역
이세카와구치역(일본어: 伊勢川口駅)은 일본 미에현 쓰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메이쇼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60.이세기역
이세기역(일본어: 井関駅)은 일본 미에현 쓰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메이쇼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61.이세타케하라역
이세타케하라역(일본어: 伊勢竹原駅)은 일본 미에현 쓰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메이쇼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162.이세하타역
이세하타역(일본어: 伊勢八太駅 いせはたえき[*])은 일본 미에현 쓰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메이쇼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63.이세야치역
이세야치역(일본어: 伊勢八知駅)은 일본 미에현 쓰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메이쇼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64.이치시역
이치시역(일본어: 一志駅)은 일본 미에현 쓰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메이쇼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65.에도바시역
에도바시역(일본어: 江戸橋駅)은 일본 미에현 쓰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E 38이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66.오미쓰역
오미쓰역(일본어: 大三駅)은 일본 미에현 쓰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오사카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D 58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67.가와이타카오카역
가와이타카오카역(일본어: 川合高岡駅)은 일본 미에현 쓰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오사카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D 60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68.사카키바라온센구치역
사카키바라온센구치역(일본어: 榊原温泉口駅)은 일본 미에현 쓰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오사카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D 57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169.시라쓰카역
시라쓰카역(일본어: 白塚駅)은 일본 미에현 쓰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E 36이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70.세키노미야역
세키노미야역(일본어: 関ノ宮駅)은 일본 미에현 쓰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메이쇼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71.다카다혼잔역
다카다혼잔역(일본어: 高田本山駅)은 일본 미에현 쓰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E 37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72.다카차야역
다카차야역(일본어: 高茶屋駅)은 일본 미에현 쓰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지닌 지상역이다.
173.지사토역 (미에현)
지사토역(일본어: 千里駅)은 일본 미에현 쓰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E 34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74.쓰역
쓰역(일본어: 津駅, つえき 쓰에키[*])은 일본 미에현 쓰시 하도코로초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이세 철도와 긴키 닛폰 철도의 철도역이다. 쓰는 세계에서 가장 짧은 역명으로, 가나로는 つ 한 글자로 나타내어지나, 로마자 표기 상으로는 Tsu로 산인 본선 이 역의 Ii 등과 비교하면 더 길다. 기네스 세계 기록에는 당 역이 소재한 쓰시와 마찬가지로 '세계에서 이름이 가장 짧은 역'으로(Z) 등재되었다.
175.쓰신마치역
쓰신마치역(일본어: 津新町駅)은 일본 미에현 쓰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E 40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176.도요쓰우에노역
도요쓰우에노역(일본어: 豊津上野駅)은 일본 미에현 쓰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E 35이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77.히가시아오야마역
히가시아오야마역(일본어: 東青山駅)은 일본 미에현 쓰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오사카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D 56이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78.히사이역
히사이역(일본어: 久居駅)은 일본 미에현 쓰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E 42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79.히쓰역
히쓰역(일본어: 比津駅)은 일본 미에현 쓰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메이쇼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80.미나미가오카역
미나미가오카역(일본어: 南が丘駅)은 일본 미에현 쓰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E 41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81.모모조노역 (미에현)
모모조노역(일본어: 桃園駅)은 일본 미에현 쓰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E 43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82.이세나카가와역
이세나카가와역(일본어: 伊勢中川駅)은 일본 미에현 마쓰사카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의 철도역이다. 오사카 선, 나고야 선의 종착역 기능을 하며, 야마다 선등 3개의 노선을 운행 중이다. 오사카 선의 역 번호는 D 61, 나고야 선의 역 번호는 E 61, 야마다 선의 역 번호는 M 61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5면 6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183.이세나카하라역
이세나카하라역(일본어: 伊勢中原駅)은 일본 미에현 마쓰사카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야마다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62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84.가미노쇼역
가미노쇼역(일본어: 上ノ庄駅 かみのしょうえき[*])은 일본 미에현 마쓰사카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메이쇼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85.구시다역
구시다역(일본어: 櫛田駅)은 일본 미에현 마쓰사카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야마다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66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86.고이시로역
고이시로역(일본어: 漕代駅)은 일본 미에현 마쓰사카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야마다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67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87.곤겐마에역
곤겐마에역(일본어: 権現前駅 ごんげんまええき[*])은 일본 미에현 마쓰사카시에 위치한 도카이 여객철도 메이쇼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88.도쿠와역
도쿠와역(일본어: 徳和駅)은 일본 미에현 마쓰사카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189.히가시마쓰사카역
히가시마쓰사카역(일본어: 東松阪駅)은 일본 미에현 마쓰사카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야마다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65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90.마쓰가사키역 (미에현)
마쓰가사키역(일본어: 松ヶ崎駅)은 일본 미에현 마쓰사카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야마다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63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91.마쓰사카역
마쓰사카역(일본어: 松阪駅)은 일본 미에현 마쓰사카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 긴키 닛폰 철도의 역이다. JR 도카이의 기세이 본선 · 메이쇼 선과 긴키 닛폰 철도의 야마다 선이 상호 운행되고 있어, 양 사업자가 구내를 분할해서 관리하는 공동사용역으로 되어 있다. 총 5면 7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192.롯켄역 (미에현)
롯켄역(일본어: 六軒駅)은 일본 미에현 마쓰사카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193.아카쓰키가쿠엔마에역
아카쓰키가쿠엔마에역(일본어: 暁学園前駅)은 일본 미에현 욧카이치시에 위치한 산기 철도 산기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94.아카호리역
아카호리역(일본어: 赤堀駅)는 미에현 욧카이치시에 있는 욧카이치 아스나로 철도 우쓰베 선의 역이다. 히나가 역에서 분기되는 하치오지 선 열차도 정차한다.
195.아쿠라가와역
아쿠라가와역(일본어: 阿倉川駅)은 일본 미에현 욧카이치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E 19이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96.이세카와시마역
이세카와시마역(일본어: 伊勢川島駅)은 일본 미에현 욧카이치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유노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K 24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97.이세마쓰모토역
이세마쓰모토역(일본어: 伊勢松本駅)은 일본 미에현 욧카이치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유노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K 23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98.오야치역 (미에현)
오야치역(일본어: 大矢知駅)은 일본 미에현 욧카이치시에 위치한 산기 철도 산기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99.가스미가우라역
가스미가우라역(일본어: 霞ヶ浦駅)은 일본 미에현 욧카이치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E 18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00.가와라다역
가와라다역(일본어: 河原田駅)은 일본 미에현 욧카이치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 이세 철도의 역이다.
201.가와라마치역 (미에현)
가와라마치역(일본어: 川原町駅)은 일본 미에현 욧카이치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E 20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202.기타쿠스역
기타쿠스역(일본어: 北楠駅)은 일본 미에현 욧카이치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E 25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03.긴테쓰토미다역
긴테쓰토미다역(일본어: 近鉄富田駅)은 일본 미에현 욧카이치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 산기 철도의 철도역이다. 긴테쓰 나고야 선의 소속역이며, 이 역을 기.종점으로 하는 산기 철도 산기 선등 2개의 노선이 운행 중이다. 긴테쓰의 역 번호는 E 17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204.긴테쓰욧카이치역
긴테츠욧카이치역(일본어: 近鉄四日市駅 きんてつよっかいちえき[*])은 일본 미에현 욧카이치시에 있는 긴키 닛폰 철도의 역이다. 본 항목에서는 욧카이치 아스나로 철도의 아스나로욧카이치역(일본어: あすなろう四日市駅)에 대해서도 함께 서술한다.
205.구스역
구스역(일본어: 楠駅)은 일본 미에현 욧카이치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E 26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06.사쿠라역 (미에현)
사쿠라역(일본어: 桜駅)은 일본 미에현 욧카이치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유노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K 26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07.시오하마역
시오하마역(일본어: 塩浜駅)은 일본 미에현 욧카이치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 일본화물철도의 철도역이다. 긴테쓰의 나고야 선 소속역이며, JR 화물의 간사이 본선 화물 지선 등 2개의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208.신쇼역
신쇼역(일본어: 新正駅)은 일본 미에현 욧카이치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E 22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209.다카쓰노역
다카쓰노역(일본어: 高角駅)은 일본 미에현 욧카이치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유노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K 25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10.도미다역
도미다역(일본어: 富田駅)은 일본 미에현 욧카이치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간사이 본선 · 산기 철도 산기 선의 역이다.
211.도미다하마역
도미다하마역(일본어: 富田浜駅)은 일본 미에현 욧카이치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간사이 본선의 역이다.
212.나카가와라역 (미에현)
나카가와라역(일본어: 中川原駅)은 일본 미에현 욧카이치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유노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K 22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13.니시히노역
니시히노역(일본어: 西日野駅)는 미에현 욧카이치시에 있는 욧카이치 아스나로 철도 하치오지 선의 역이다. 과거에는 이세하치오지 역까지 노선을 연장되어 있었지만 1974년 집중 호우로 이 역과 이세하치오지 역 간이 유실, 폐선되어 종착역이 되었다.
214.히나가역 (미에현)
히나가역(일본어: 日永駅)는 미에현 욧카이치시에 있는 욧카이치 아스나로 철도 우쓰베 선과 하치오지 선의 역이다. 우쓰베 선과 하치오지 선의 분기역으로, 하치오지 선은 이 역에서 시작되지만 모든 열차가 우쓰베 선을 경유하여 아스나로욧카이치 역까지 운행한다.
215.헤이즈역
헤이즈역(일본어: 平津駅)은 일본 미에현 욧카이치시에 위치한 산기 철도 산기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16.호쿠세이추오코엔구치
217.호보역
호보역(일본어: 保々駅)은 일본 미에현 욧카이치시에 위치한 산기 철도 산기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18.미나미욧카이치역
미나미욧카이치역(일본어: 南四日市駅)은 일본 미에현 욧카이치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 일본화물철도 간사이 본선의 역이다.
219.미야마도역
미야마도역(일본어: 海山道駅)은 일본 미에현 욧카이치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E 23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20.야마조역
야마조역(일본어: 山城駅)은 일본 미에현 욧카이치시에 위치한 산기 철도 산기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21.욧카이치역
욧카이치역(일본어: 四日市駅)은 일본 미에현 욧카이치시에 있는 도카이 여객철도 · 일본화물철도 간사이 본선의 역이다.
222.이세시마 국립공원
이세-시마 국립공원(伊勢志摩国立公園)은 일본 미에현 시마반도 일대의 국립 공원이다. 총 면적은 555.49 km2이다. 1946년 11월 20일에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리아스식 해안과 온난한 기후에 의한 식생이 특징으로 아고만, 마토야만, 고카쇼만 등 깊은 만이 많다.
223.잘못된 제목
224.미에현
미에현(일본어: 三重県)은 일본에서 가장 큰 반도인 이세반도 동부에 있으며 중부지방과 긴키 지방 사이에 위치하는 현이다. 현청은 쓰시에 있다. 에도시대부터, 이세 참배라는 이름으로 알려진 이세 신궁을 껴안은 지역으로서 발전했다. 율령국에서는 이세국·시마국·이가국 전역과 기이국(당시에는 구마노국)의 일부이며 합계 4개국으로 구성된다. 포괄하는 구 율령국의 수는, 7국을 포괄하는 효고현에 뒤잇는다. 호쿠세, 이가, 나카세, 난세(이세시마), 히가시키슈의 5개 지역으로 구분된다.
225.쓰시
쓰시(일본어: 津市 つし[*], 문화어: 쯔 시)는 미에현 중부에 있는 시이며, 현청 소재지이다. 시 이름은 한 음절이며, 한자로도 가나로도 한 문자로 일본에서 제일 짧은 도시 이름으로서 알려져 있으며, 기네스 세계 기록에도 'Z'라는 이름으로 '세계에서 이름이 가장 짧은 도시' 항목에 등재되어 있다.[1] '쓰'(津)는 '나루터'를 의미하는 단어이며, 이 지역은 원래 아노쓰(安濃津)라고 불리고 있었다. 통합하기 전에는 일본의 현청 소재지 중에서 가장 인구가 적은 도시였으나 2006년 1월 1일 주변의 히사이 시(久居市)와 아게 군(安芸郡) 가와게 정(河芸町), 게이노 정(芸濃町), 미사토 촌(美里村), 아노 정(安濃町), 이치시 군(一志郡) 가라스 정(香良洲町), 이치시 정(一志町), 하쿠산 정(白山町), 미스기 촌(美杉村)과 통합하여 새로운 쓰 시가 발족했다. 욧카이치시에 이어 현내에서 두 번째로 인구가 많다.
226.욧카이치시
욧카이치시(일본어: 四日市市, よっかいちし)는 미에현 북부의 도시이다. 나고야 도시권(주쿄권)에 포함된다. 인구는 현청 소재지인 쓰시를 웃돌아 현내 최대이며, 국가로부터 시행 시 특례시와 보건소 정령시의 지정을 받고 있다.또, 도시 고용권의 인구는, 동해 지방에서는 나고야시, 하마마쓰시, 시즈오카시, 기후시, 도요하시시에 이어 제6위이다. 또한 미에현이라는 현명은 욧카이치시에 있는 지명에서 유래되었다. 욧카이치 항에 욧카이치 콤비나트가 입지한 공업도시로서 쇼와전 후기의 욧카이치 천식 공해병 사건을 극복한 환경문제 추진도시이다. 중경공업지대에 위치한 공업도시이지만 최근에는 전자기기 등의 하이테크 산업 유치에 힘쓰고 있다.
227.이세시
이세시(일본어: 伊勢市)는 미에현 남동부의 시이다. 이세 신궁이 위치해 있어 많은 관광객이 방문한다. 1906년까지는 와타라이 군에 속해 있었고 폐번치현 이후에 와타라이 현의 현청소재지였다가 메이지 9년(1876년) 4월 18일에 미에 현에 편입되었다.
228.마쓰사카시
마쓰사카시(일본어: 松阪市)는 미에현 중부에 있고 이세 만에 접하는 시이다. 마쓰사카 소(일본어판)의 생산으로 알려져 있는 도시이며 기후는 비교적 온난하다. 에도 시대에는 이세 상인을 배출한 상업 마을이며 현재도 기세이 본선, 긴테쓰 오사카 선, 야마다 선의 연선을 배후지로 가지는 미에 현의 경제 거점의 하나이다. 에도 시대에는 기슈번령이었다.
229.구와나시
구와나시(일본어: 桑名市, くわなし)는 미에현 북부의 도시이다. 아이치현과 기후현에 접하고 있으며, 대합 요리로 대표되는 식생활 문화와 나가시마 스파랜드, 다도 타이샤, 시치리의 인도(七里の渡し) 등의 풍부한 관광 자원을 가진 미에 현 굴지의 관광 도시이다. 나고야의 주택 지역으로서 택지 개발이 진행되고 있는 것 외에 기계, 금속계를 중심으로 하는 공업 도시이기도 하다.
230.스즈카시
스즈카시(일본어: 鈴鹿市, すずかし)은 일본 미에현 북부에 있는 시이다. 일본서기에 시내의 지명 유래 전설이 등장하고 나라 시대에 이세국의 국부가 놓여졌다는 등 긴 역사를 가지고 있다. 2차 대전 중에는 스즈카 해군 공창이 세워져 공업 도시로서 다시 태어났다. 이전에는 아사히 화성이나 가네보 등 섬유 산업이 번성하였다. 또 혼다의 스즈카 제작소가 있어 이와 관련된 자동차 부품 공장 등도 많이 볼 수 있다. F1 일본 그랑프리가 열리는 스즈카 서킷의 소재지로 유명하다.
231.나바리시
나바리시(일본어: 名張市)는 미에현 서부, 이가 지방에 위치한 시다. 이가 분지 남부에 위치하여 주위가 산야로 둘러싸여 있다. 나바리시를 둘러싼 산지에는 아카메시쥬하치타키・카오치다니 등 아름다운 계곡이 위치하여 사계절 새소리로 가득하다. 나바리시는 긴테쓰 오사카선의 연선에 있어서, 오사카부의 여러 시에서 60분 거리에 위치한다. 그래서 오사카부의 베드타운으로서 발전하여 오랫동안 오사카 도시권에 포함되어 있었다. 1980년대부터 대규모 주택지가 조성되면서 인구가 급증했다. 그러나 2000년경 이후로는 오사카에 더 가까운 나라현 가시바시 등지에 주택개발이 진행되고 오사카의 도심회귀경향이 일어나면서 나바리시는 세대와 인구가 모두 감소추세에 있다. 고령화도 진행되고 있다. 그래서 최근의 센서스에서는 오사카 도시권에 포함되지 않게 되었다.
232.오와세시
오와세시(일본어: 尾鷲市, おわせし)는 일본 미에현 남부의 구마노나다에 접하는 시이다. 일본에서도 비가 많이 오는 도시 중 하나이다.
233.가메야마시
가메야마시(일본어: 亀山市)는 미에현 북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에도 시대에는 이세 가메야마 번의 성시이자 도카이도에서 스즈카 고개 넘어서 놓여있는 가메야마주쿠의 역참 마을로서 번창했다. 메이지 시대 이후에는 간사이 철도(일본어판)의 개통과 참궁선의 분기점으로서 번창했다. 초는 도시의 전통적인 생산품이고, 샤프는 2004년 1월 8일부터 가메야마에 세계에서 가장 큰 LCD 공장 중 하나를 가동하기 시작했다.
234.도바시
도바시(일본어: 鳥羽市)는 미에현 시마반도 중부에 북동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235.구마노시
구마노시(일본어: 熊野市)는 미에현 남부의 구마노나다에 접하는 시이다. 요시노쿠마노 국립공원 내에 위치해 풍부한 자연과 온난한 기후를 가지고 있다. 시치리 미하마의 동단에 위치하고 중심 시가지는 예부터의 중심인 기모토, 이전에는 늪지대였지만 최근에 새롭게 개발된 이도이며 이 두 시가지는 이어져있다. 일찍이 기모토는 오쿠쿠마노 대관소가 놓여 구마노 지방 일대의 행정 중심이었다. 그러므로 폐번치현으로 미에 현에 편입되었을 때에는 지청이 두어졌으며, 현재도 미에 현의 구마노 지방을 관할하는 관공청이 많이 존재한다. 2005년 11월 1일, 미나미무로군 기와 정과 신설 합병해 새롭게 구마노 시가 되었다.
236.이나베시
이나베시(일본어: いなべ市)는 미에현 최북단에 위치하는 시이다. 2003년의 대합병에 의해 옛 이나베 군의 이나베 정, 다이안 정, 호쿠세이 정, 후지와라 정이 합병해 성립하였다.
237.시마시
시마시(일본어: 志摩市)는 미에현 시마반도의 남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시마 군의 5정(하마지마 정, 다이오 정, 시마 정, 아고 정, 이소베 정)이 2004년 10월 1일에 합병해 탄생했다.
238.이가시
이가시(일본어: 伊賀市)는 일본 미에현 북부에 있는 도시이다. 2004년 11월 1일에 우에노시, 아야마군 이가정, 아야마정, 오야마다촌, 시마가하라촌, 나가군 아오야마정의 6시정촌이 합병해 탄생한 시이다.
239.기소사키정
기소사키정(일본어: 木曽岬町)은 미에현 북동단에 위치한 구와나군의 정이다. 동쪽은 아이치현과 접하고 서쪽은 기소강을 사이로 구와나시 나가시마정과 접하며 남쪽은 이세만의 최북부와 접하고 있다. 미에현의 마을이지만, 우편 배달은 이웃 아이치현 야토미시에 있는 야토미 우체국이 실시한다.이 때문에 동네 우편번호는 미에 현 51이 아니라 아이치 현 내 49개로 시작하는 것이 사용된다.NTT 지역 번호는 야토미시와 같은(0567)을 사용한다.구와나 군에 속하는 유일한 자치체이다.
240.도인정
도인정(일본어: 東員町)은 미에현 북부에 위치하는 이나베군의 정이다. 이나베 군의 대부분이 이나베시가 된 현재 이나베 군에 속하는 유일한 지방 자치체이다.
241.고모노정
고모노정(일본어: 菰野町)은 미에현 호쿠세이 부, 스즈카 산계의 동쪽 기슭에 위치하는 미에군의 정이다. 정내 서부에 있는 유노야마 온천이나 고자이쇼 산에는 매년 많은 관광객·등산객이 방문한다.
242.아사히정 (미에현)
아사히정(일본어: 朝日町)은 미에현 호쿠세이 지역에 위치한 미에군의 정이다. 북쪽으로 구와나시, 남쪽으로 욧카이치시와 접한다.
243.가와고에정
가와고에정(일본어: 川越町)은 미에현 미에군의 정이다. 현내에서 인접하는 아사히정에 이어 면적이 작다.
244.다키정
다키정(일본어: 多気町)은 미에현 다키군의 정이다. 면적은 103.17km2이고 인구는 2009년 11월 1일 기준으로 15,501명이다. 2006년 1월 1일에 세이와 촌과 합병하였다.
245.메이와정 (미에현)
메이와정(일본어: 明和町)은 미에현 다키군의 정이다. 이세 가도 가에 있어 고대에는 천황의 이름으로 이세 신궁에 봉사한 재왕의 재궁(재왕궁)이 있었다.
246.오다이정
오다이정(일본어: 大台町)은 미에현 다키군의 정이다. 2006년 1월 10일에 미야가와 촌과 합병해 새롭게 오다이 정으로서 성립했다.
247.다마키정
다마키정(일본어: 玉城町)은 미에현 와타라이군의 정이다. 다마루 정, 소토시로타 촌, 시모소토시로타 촌, 아리타 촌의 합병에 의해 탄생했다. 이세시에 인접하고 있어 이전에 다마루는 이세 신궁으로의 참궁객으로 역참 마을로서 번화했다.
248.와타라이정
와타라이정(일본어: 度会町)은 미에현 와타라이군의 정이다.
249.다이키정 (미에현)
다이키정(일본어: 大紀町)은 미에현의 중남부에 위치하는 와타라이군의 정이다. 2005년 2월 14일에 오미야 정, 기세이 정, 오우치야마 촌이 합병해 탄생한 정이다. 이웃한 기호쿠정과의 경계에는 세계유산 구마노 고도의 고개가 있다.
250.미나미이세정
미나미이세정(일본어: 南伊勢町)은 미에현 남부에 위치하는 와타라이군의 정이다.
251.기호쿠정 (미에현)
기호쿠정(일본어: 紀北町)은 미에현 기타무로군의 정이다. 2005년 10월 11일, 옛 기이나가시마정과 옛 미야마정이 합병해 탄생했다. 세계 유산 기이 산지의 영지와 참예도(구마노 고도(일본어판))의 고개가 위치한 자연이 풍부한 정이다.
252.미하마정 (미에현)
미하마정(일본어: 御浜町)은 미에현 남부에 위치한 미나미무로군의 정이다.
253.기호정
기호정(일본어: 紀宝町)은 미에현 미나미무로군의 정이다. 구마노 강을 사이로 와카야마현 신구시와 접하고 있으며 그 주택 지역으로서 발전하고 있다. 2006년 1월 10일, 우도노 촌(일본어판)과 합병해 새롭게 기호 정으로서 발족했다.
254.오카게요코초
오카게요코초(일본어: おかげ横丁)는 일본 미에현 이세시 이세 신궁의 고타이 신궁 (내궁) 앞에 에도 시대 말기부터 메이지 시대 초기[1]의 몬젠마치의 거리를 재현한 관광지이다. 운영은 이세의 명물 아카후쿠모치를 생산 및 판매하는 주식회사 아카후쿠의 자회사인 주식회사 이세후쿠가 한다.
255.욧카이치 시립 박물관
욧카이치 시립 박물관(四日市市立博物館 욧카이치 시리쓰 하쿠부쓰칸[*], 영어: Yokkaichi Municipal Museum)은 일본 미에현 욧카이치시에 있는 시립 박물관이다. 욧카이치시의 역사에 관한 전시를 하고 있으며, 천체투영관을 병설하고 있다.[1]
256.가미시마섬 (미에현)
가미시마섬(神島)은 일본 혼슈 미에현 도바시의 섬이다. 미에현의 최동단 섬으로, 섬 주변에도 많은 섬들이 있다. 이 섬에는 몇 안되는 주민들이 살고 있다.
257.덴무스
덴무스(Tenmusu)는 일본 요리로, 주먹밥에 새우튀김을 넣어 김을 싸서 만든 요리이다.[1][2][3] 도시락에 덴무스가 종종으로 들어간다.[3]
258.노시
노시(일본어: 熨斗)과는, 일본에 있어서, 경사에 있어서의 선물이나 증답품에 첨부하는 전통적인 장식이다. 단, 원래는 장수를 나타내는 전복이 사용되고 있었기 때문, 「병 문안」등에는 노시를 사용할 경우도 있다. 현재에서는 노란 종이를 가늘고 긴 6각형의 색지로 둘러싼 형상을 하고 있는 도안이 많이 사용된다. 축의봉투등의 표면에 인쇄된, 간략화된 것도 있어, 미즈히키과 병용된다.
259.히쓰마부시
히쓰마부시(일본어: ひつまぶし) 또는 히츠마부시(일본어: ひつまぶし)는 장어의 가바야키를 이용한 일본의 장어덮밥 요리이다. 쓰시 발상설, 나고야시 발상설 등이 있다. 나고야 요리 중 하나이다. 히쓰마부시를 먹는 방법은 먹는 사람에게 자유롭게 맡기지만, 가게에서 권장하는 먹는 방법이 메뉴판에 게재되어 있는 경우가 많다. 가게 중 하나인 아쓰타호라이켄에서는 다음의 방법을 권장하고 있다.
260.마쓰사카규
마쓰사카규(松阪牛)는 일본 미에현 마쓰사카시 지역의 엄격한 조건 하에 사육된 흑모화우의 고기이다. 지방과 고기의 비율이 높다. 일본 내에서 마쓰사카는 3대 산다이 와규, 즉 "3대 쇠고기" 중 하나이며, 나머지는 고베 비프, 오미 비프 또는 요네자와 비프이다. 마쓰사카규를 위해 매년 약 2,500마리의 소가 도살된다. 고기는 높은 가격을 요구한다. 19세기 이전에는 쇠고기가 일반적으로 일본의 평균 식단에 포함되지 않았다. 미에현의 농부들은 농업 작업을 위해 더 작고 더 근육질인 암소를 키웠다. 서양인들이 그들에게 쇠고기를 먹게 되자 농부들은 인간이 소비하기에 더 유리한 특성을 갖도록 소를 키우기 시작했다. 1938년에 "전국 쇠고기 박람회"에서 마쓰사카에게 명예훈장을 수여했다. 이 상은 마쓰사카를 더욱 유명하게 만드는 데 도움이 되었다. 이 쇠고기는 마블링 (축산), 풍부한 맛, 부드러움으로 유명해졌다.
261.미소카쓰
미소카쓰(일본어: 味噌カツ) 또는 미소카츠(일본어: 味噌カツ)는 나고야 요리 중 하나이다. 핫초 미소 등 콩 미소를 기반으로 해 가다랭이 국물, 설탕 등 여러 가지를 더한 소스를 돈까쓰에 얹은 요리이다. 미소 양념은 도카이 지방을 중심으로 시판되고 미소카쓰 뿐만 아니라 오뎅 에도 사용된다. 1967년에 간행된 가이드북에 의하면, 나카구 니시키 산초메에 있던 일식 레스토랑 나고야가 핫초 미소를 베이스로 한 소스를 돈까스에 얹어 제공하고 있다고 설명이 되어 있다.[1]

Back to TOP

회사소개/문의/회사/개인정보취급방침/면책조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