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남도 7대사 | ||||||
남도 7대사(南都七大寺)는 나라시에 위치한 역사적으로 강력하고 영향력있던 7개의 불교 사원을 가리키는 말이다. 남도(南都)라는 말은 일본의 수도가 교토의 헤이안쿄로 이전한 후에 남쪽의 옛 수도인 나라를 가리키는 말이었다. 그러나 호류지는 나라시가 아닌 이코마군 이카루가정에 위치하기 때문에 호류지 대신 도쇼다이지를 넣기도한다. | ||||||
2.아스카데라 | ||||||
아스카데라(飛鳥寺 (あすかでら))는 일본 나라현 다카이치군 아스카촌에 있는 불교 사찰이다. 소가 씨(蘇我氏)의 씨사(氏寺)로서,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본격적인 사찰인 호코지(法興寺)의 후신이다. 호코지의 창건은 스이코 천황의 섭정(攝政)으로 불교를 중심으로 국가를 운영한 쇼토쿠 태자의 시대, 화려한 불교문화를 꽃피운 아스카 시대의 서막을 알리는 것이었다.[1] 호코지는 소가노 우마코의 주도 하에, 백제의 승려들과 장인들이 지었다.[2] 588년(위덕왕 35년)에 백제는 불사리(佛舍利)와 혜총 등 승려 여섯 명, 노반박사(鑪盤博士)로서 장덕(將德) 백매순(白昧淳), 와박사(瓦博士)로서 마나문노(麻奈文奴) · 양귀문(陽貴文) · 석마제미(昔麻帝彌) 등 네 명, 화공(畵工) 백가 등 사찰 건설에 필요한 기술자를 일본에 파견하였다.[3][4][5] 호코지는 씨사(氏寺)를 건립하는 씨족불교 유행의 시작이기도 하다.[6] 호코지의 완공을 기념하는 불사리 봉안식에 소가노 우마코를 비롯한 100여 명의 인사들이 모두 백제 옷을 입었더니 보는 사람이 한결같이 기뻐했다. 이것은 백제 문화가 선망의 대상이었음을 말해준다. 이러한 분위기 속에서 소가노 가문은 권력을 잡을 수 있었다.[7] 고구려의 승려 혜자와 백제의 승려 혜총은 호코지에 살면서 포교하였다.[8] 이들은 본국인 백제와 고구려에서 많은 승려를 불러오는 한편, 많은 도서를 수입하여 일본의 문화 건설에 이바지했다.[9] | ||||||
3.호키지 | ||||||
호키지 또는 홋키지(法起寺)는 일본 나라현 이카루가정에 위치한 불교 사원이다. 예전에는 오카모토데라(岡本寺)나 이케지리데라(池後寺)로도 불렸다. 절 앞에 붙는 산호(山号)는 고혼잔(岡本山)이다. 관세음보살을 모시는 절로써, 절의 본존은 11면 관음상이다. 호키지는 종종 쇼토쿠 태자에 의해 건립된 7대 사찰의 하나로 여겨지나, 절은 태자의 사후에 완성되었다. 1993년에 호류지 지역의 불교건조물의 하나로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호키지는 호린지, 주고지 등 쇼토쿠 태자와 관련된 많은 오래된 사찰이 있으며, 오랫동안 일본 불교의 중심지였던 이카루가에 위치한다. 호키지는 호류지 동원(東院)의 북동쪽 기슭에 위치한다. 절에는 원래 쇼토쿠 태자가 묘법연화경을 강연했다는 오카모토 궁(岡本宮)이 있었고 태자의 유언에 따라 아들인 야마시로 대형왕은 예전의 궁을 절로 개조하였다. 발굴 조사 결과 초석을 세우지 않고 지면에 구멍을 판 후에 바로 기둥을 세운 건물의 유적이 드러나, 호키지가 건립되기 전에 다른 건물이 있었음이 확인되었다. 절의 배치는 금당과 탑이 동서축을 따라 일직선 상으로 세워져 있어 호류지 서원의 배치와 유사하다. 그러나 호류지 서원과는 반대로 호키지의 금당은 서쪽에, 탑은 동쪽에 서있다. 이러한 형식의 가람 배치를 "호키지식 가람 배치"라 부른다. | ||||||
4.호류지 | ||||||
호류지(일본어: 法隆寺, ほうりゅうじ, 법륭사) 또는 호류사는 나라현 이코마군 이카루가정에 있는 성덕종의 총본산이다. 이카루가데라(斑鳩寺, いかるがでら)라고도 한다. 쇼토쿠 태자가 세운 사원으로, 창건시기는 역시 쇼토쿠 태자가 세운 사원인 오사카의 시텐노지가 세워진 지 약 20년 뒤인 607년이라 알려져 있지만 확실한 증거는 없다. 금당, 5중탑 등이 있는 서원(西院)과 몽전 등이 있는 동원(東院)으로 나뉘어 있다. 호류지의 서원가람(西院伽藍)은 현존하는 세계에서 가장 오래된 목조건축물들 중 하나이다. 호류지의 건축물은 호키지와 함께 1993년에 "호류지 지역의 불교건축물"로서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등록되었다. | ||||||
5.간고지 | ||||||
간고지(元興寺)는 일본 나라현 나라시에 있는 고대의 불교 사원으로 한때 남도 7대사의 하나였다. 원래 절은 소가노 우마코에 의해 아스카에 세워졌었다. 절은 718년에 수도가 헤이조쿄로 이전되면서 나라로 옮겨지게 되었다. 간고지는 본래 7개의 건물과 탑으로 이루어진 사원이었고 나라 시의 보존 지구인 현재의 나라마치의 광범위한 영역을 차지하고 있었다. 그러나 원래의 건축물들 대부분은 시간이 지나면서 특히 15세기와 19세기의 화재로 소실되었다. 절에서 가장 잘 보존된 부분은 극락방(極楽坊)이다. 나라의 다른 사원, 신사들과 함께 고도 나라의 문화재로써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있다. 절에 있는 세 개의 일본 국보는 다음과 같다. | ||||||
6.사이다이지 | ||||||
사이다이지(西大寺)는 일본 나라현 나라시에 있는 불교 사원으로 남도 7대사의 하나이다. 절은 765년에 도다이지(東大寺)와 한 쌍으로 세워졌고 진언률종(真言律宗)의 총본산이다. 나라 시대에 쇼토쿠 천황의 발원으로 세워진 이래 번창했으나 헤이안 시대에 일시적으로 쇠퇴하였다가 가마쿠라 시대에 흥정보살 에이손에 의해 부흥하였다. 절의 본존은 석가여래로 1249년에 에이손이 세운 것이다. 절의 주요 건물 중 하나인 애염당에는 애염명왕상이 서있다. 사이다이지는 긴키 닛폰 철도 나라 선 야마토사이다이지 역과 가까이있다. | ||||||
7.다이안지 | ||||||
다이안지(일본어: 大安寺)는 일본 나라의 고대 불교 사원이다. 전통적으로 남도 7대사의 하나로 여겨졌다. 이 절은 원래 아스카촌에 세워졌으나, 710년에 일본의 수도가 후지와라쿄에서 헤이조쿄로 이동한 뒤 716년에 현재의 위치로 오게 되었다. ? | ||||||
8.도쇼다이지 | ||||||
도쇼다이지(唐招提寺)는 일본 나라현 나라시에 있는 불교 사원으로 남도 6종의 하나인 율종의 총본산이다. 본존은 비로나자불이고 창립자는 감진으로 759년에 세워졌다. 중국 당나라 출신의 승려 감진이 만년을 보낸 절로 나라 시대에 건립된 금당, 강당을 포함한 많은 문화재를 가진다. 절의 금당과 강당 및 많은 불상들은 일본의 국보로 지정되어있다. 도쇼다이지는 고도 나라의 문화재의 하나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있다. | ||||||
9.도다이지 | ||||||
도다이지(東大寺)는 일본 나라현 나라시에 위치한 불교 사원 단지이다. 일본에서 한때 가장 역사가 깊고 강력했던 절들인 남도건되었고, 이 절의 대불전(大佛殿)은 세계에서 가장 큰 목조 건물로 그 안에는 세계에서 가장 큰 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의 청동 대불이 있다. 이 절은 일본 화엄종의 대본산이기도 하며, 고도 나라의 문화재로서 나라 시의 절, 신사 포함한등을 7개의 다른 곳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재되어 있다. | ||||||
10.야쿠시지 | ||||||
야쿠시지(薬師寺)는 일본 나라시에 위치한 유명한 불교 사원의 하나이다. 절은 일본의 불교 종파인 법상종의 본산이다. 본존은 약사여래(薬師如来)이고 절의 이름도 여기서 유래하였다. 유네스코에 의해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고도 나라의 문화재의 일부이다.123 | ||||||
11.고후쿠지 | ||||||
고후쿠지(興福寺, 흥복사)는 일본 나라현 나라시에 있는 불교 사원이다. 절은 일본 법상종의 대본산이다. | ||||||
12.서륭사 | ||||||
서륭사는 나라시대의 헤이안경(平安京)에 조영되었던 수녀(尼寺)이다. | ||||||
13.쇼소인 | ||||||
쇼소인(일본어: 正倉院[정창원])은 일본 나라현 나라시 도다이지(東大寺)의 대불전 북서쪽에 위치한 창고이다. 쇼무 천황, 고묘 황후 시대의 물건을 비롯하여 나라 시대를 중심으로 한 다수의 일본의 전통 미술공예품들을 소장하고 있다. 1998년 다른 나라 시내의 문화재들과 함께, 고도 나라의 문화재 중 하나로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등록되었다. | ||||||
14.이소노카미진구 신궁 | ||||||
이소노카미진구 신궁(일본어: 石上神宮 이소노카미진구[*]) 또는 이소노카미 신궁은 나라현 덴리시에 위치한 신사이다. 칠지도를 보관하고 있다. | ||||||
15.가시하라 신궁 | ||||||
가시하라 신궁(일본어: 橿原神宮)은 일본 나라현 가시하라시에 있는 신사이다. 가시하라 신궁은 1880년에 일본의 첫 번째 천황인 진무 천황이 황위에 오른 곳으로 여겨지는 가시하라 궁 부지에 세워졌다. 일본 최초의 천황인 진무 천황을 제신으로 모시는 신사이기 때문에 일본인들에게는 성지처럼 여겨지며, 재특회 등의 일본 극우단체들 역시 종종 보이는 곳이다. 메이지 천황의 칙령으로 세워진 신궁으로, 이 때에 교토 어소의 전각 중 하나였던 신가전(일본어: 神嘉殿)을 이 신궁의 신악전(일본어: 神楽殿)으로 사용하게 하였으며 이 신악전은 1993년 2월 4일 화재로 소실되어 이후 재건되었다. | ||||||
16.가스가타이샤 | ||||||
가스가타이샤(春日大社)는 일본 나라현 나라시에 있는 신사이다. 후지와라씨의 신사로 768년에 설립되었고 세월이 흐르면서 몇 차례 소실되었다가 재건되었다. 신사 내부는 많은 청동등과 석등이 달려있는 것으로 유명하다. 건축양식인 가스가-즈쿠리는 가스가 신사의 본전에서 유래되었다. 가스가타이샤로 들어가는 길은 사슴 공원을 통과하고 길 옆으로 수 천개의 석등이 있다. 신사는 헤이안 시대 초기에 황실의 후원을 받게 되었다. 1871년부터 1946년까지 가스가 신사는 정부에 의해 우선 순위로 지원을 받는 관폐대사 공식적으로 지정되어있었다. | ||||||
17.고리야마성 (나라현) | ||||||
고리야마성(일본어: 郡山城)은 나라현 야마토코리야마시에 있는 윤곽식 평산성이다. 에도 시대에는 고리야마 번의 번청이 있었다. 도요토미 히데요시의 동생 도요토미 히데나가의 거성으로 알려져 있다. 이누부시 성(犬伏城)이란 이명이 있다. 센고쿠 시대 이전부터 소규모의 성이 있었지만, 1580년 야마토 국을 영지로 한 쓰쓰이 준케이가 쓰쓰이 성에서 이 지역으로 옮겨와 새로이 성을 축성했다.《다문원일기》에 따르면, 1583년 음력 4월 천수가 완공되었다고 적고있다. 준케이 사후, 양자 쓰쓰이 사다쓰구가 이가 우에노로 이봉되었고, 1585년 하시바 히데요시의 동생 하시바 히데나가가 야마토, 이즈미, 기이 3개국을 영지로 고리야마 성에 입성했다. 히데나가는 100만석의 다이묘에 걸맞게 성을 대폭확장하였고, 새로이 7층의 천수를 세운다. 성을 개축할때, 주변의 석재가 부족했기 때문에 석불과 묘석이 사용되었다고 한다. 또, 성하 마을도 크게 발전시켰다. 이 때, 도시계획에 있어 마을을 직업별, 신분별로 구분해 조성했기 때문에 현재에도 그들 마을 명이 남아있다. | ||||||
18.다카토리성 | ||||||
다카토리성(일본어: 高取城 다카토리조[*])은 나라현 다카이치군 다카토리정에 있는 연곽식 산성이다. 에도 시대에는 다카토리 번의 번청이 있었으며, 일본 3대 산성 중 한 곳이다. 성터는 국가 사적에 지정되어 있다. 성은 다카토리 정에서 4km 정도 남동에 있는 높이 583m, 비고 350m의 다카토리 산 정상에 축성되어 있다. 성하 마을에서 본 성의 모습을〈동남쪽 다카토리에 눈이 온 것인가, 눈이 아니라 그건, 도사의 성〉이란 말로 묘사하고 있다. 아울러 도사란 다카토리의 옛 지명이다. 성의 구루와는 일렬로 연결된 연곽식 산성이며, 산성과 관계없이 넓은 면적을 가지고 있다. 성내 면적은 약 10,000m2, 주위는 약 3km이며, 외성을 합칠 경우, 총 60,000m2, 주위는 약 30km에 육박한다. 이는 일본의 산성 중 가장 넓고, 이런 까닭에 빗추 마쓰야마 성, 이와무라 성과 함께 일본 3대 산성으로 거론된다. | ||||||
19.다몬산성 | ||||||
다몬산성(일본어: 多聞山城 다몬야마조[*])은 일본 나라현 나라시 호렌 정에 있던 평산성이다. 다몬성(多聞城)이라고도 한다. | ||||||
20.아스카역 | ||||||
아스카역(일본어: 飛鳥駅)은 일본 나라현 다카이치군 아스카촌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요시노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F 44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1.이케베역 | ||||||
이케베역(일본어: 池部駅)은 일본 나라현 기타카쓰라기군 가와이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다와라모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I 40이며, 섬식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2.이치오역 | ||||||
이치오역(일본어: 市尾駅)은 일본 나라현 다카이치군 다카토리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요시노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F 46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3.이치노모토역 | ||||||
이치노모토역(일본어: 櫟本駅, いちのもとえき)은 일본 나라현 덴리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24.이와키역 (나라현) | ||||||
이와키역(일본어: 磐城駅)은 일본 나라현 가쓰라기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미나미오사카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F 22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5.이와미역 (나라현) | ||||||
이와미역(일본어: 石見駅)은 일본 나라현 시키군 미야케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가시하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B 35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6.우키아나역 | ||||||
우키아나역(일본어: 浮孔駅)은 일본 나라현 야마토타카다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미나미오사카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F 25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7.오지역 (나라현) | ||||||
오지역(일본어: 王寺駅, おうじえき 오우지에키[*])은 일본 나라현 기타카쓰라기군 오지정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및 긴키 닛폰 철도의 역이다. 오지 역 구내에는 긴키 닛폰 철도 다와라모토 선의 신오지 역도 포함되므로 신오지 역도 기술하였다. | ||||||
28.오아다역 | ||||||
오아다역(일본어: 大阿太駅)은 일본 나라현 요시노군 오요도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요시노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F 51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9.오와다역 (나라현) | ||||||
오와다역(일본어: 大輪田駅)은 일본 나라현 기타카쓰라기군 가와이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다와라모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I 42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0.오시미역 | ||||||
오시미역(일본어: 忍海駅)은 일본 나라현 가쓰라기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고세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P 25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1.가사누이역 | ||||||
가사누이역(일본어: 笠縫駅)은 일본 나라현 시키군 다와라모토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가시하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B 37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2.가시바역 | ||||||
가시바역(일본어: 香芝駅, かしばえき)은 일본 나라현 가시바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오지 철도부의 관할권에 있으며, JR 서일본 교통 서비스가 업무를 대신 하고 있다. 이코카 및 제휴 교통카드의 사용이 가능하다. | ||||||
33.기타우치역 (나라현) | ||||||
기타우치역(일본어: 北宇智駅, きたうちえき)은 일본 나라현 고조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긴키 지방 2부 및 4현 (교토·오사카·효고·와카야마·나라·시가)에 소재한 철도역 중 마지막으로 스위치백이 이루어진 여객역이었으나, 2007년 3월 18일 폐지되었다. | ||||||
34.긴테쓰코리야마역 | ||||||
긴테쓰코리야마역(일본어: 近鉄郡山駅)은 일본 나라현 야마토코리야마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가시하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B 30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5.긴테쓰고세역 | ||||||
긴테쓰고세역(일본어: 近鉄御所駅)은 일본 나라현 고세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고세 선의 철도역이다. 이 노선의 종점역이자 역 번호는 P 26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6.긴테쓰시모다역 | ||||||
긴테쓰시모다역(일본어: 近鉄下田駅)은 일본 나라현 가시바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오사카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D 22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7.긴테쓰신조역 | ||||||
긴테쓰신조역(일본어: 近鉄新庄駅)은 일본 나라현 가쓰라기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고세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P 24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8.구조역 (나라현) | ||||||
구조역(일본어: 九条駅)은 일본 나라현 야마토코리야마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가시하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B 29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9.구즈역 (나라현) | ||||||
구즈역(일본어: 葛駅)은 일본 나라현 고세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요시노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F 47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0.구스리미즈역 | ||||||
구스리미즈역(일본어: 薬水駅)은 일본 나라현 요시노군 오요도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요시노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F 49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1.구로다역 (나라현) | ||||||
구로다역(일본어: 黒田駅)은 일본 나라현 시키군 다와라모토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다와라모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I 37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2.고이도역 | ||||||
고이도역(일본어: 五位堂駅)은 일본 나라현 가시바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오사카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D 23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3.고리야마역 (나라현) | ||||||
고리야마역(일본어: 郡山駅, こおりやまえき 코오리야마에키[*])은 일본 나라현 야마토코리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으로 2면 2선의 지상역이며 교상 역사를 가지고 있다. 역사의 외관은 고리야마 성을 상징화한 것이다. 역 업무는 서일본 여객철도 교통 서비스에 의해 위탁되었다. 이코카 및 제휴 교통카드의 사용이 가능하다. | ||||||
44.고시베역 | ||||||
고시베역(일본어: 越部駅)은 일본 나라현 요시노군 오요도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요시노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F 53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5.고조역 (나라현) | ||||||
고조역(일본어: 五条駅, ごじょうえき)은 일본 나라현 고조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오지 철도부의 관할에 있으며, 역 업무 일부는 JR 서일본 교통 서비스가 대신 하고 있지만, 승무 업무는 서일본 여객철도에서 파견한 직원이 직접 다루고 있다. 고조시에서 가장 규모가 큰 역으로, 서일본 여객철도 긴키 총괄본부 (오사카 지사)와 와카야마 지사의 경계 역할을 하고 있다. (단, 고조 역은 긴키 총괄본부 오사카 지사가 관할한다. 또한 고조 역을 지나는, 와카야마 선의 장거리 열차들은 고조 역에서 승무 교대를 하게 된다. | ||||||
46.고세역 | ||||||
고세역(일본어: 御所駅, ごせえき)은 일본 나라현 고세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47.사쿠라이역 (나라현) | ||||||
사쿠라이역(일본어: 桜井駅, さくらいえき)은 일본 나라현 사쿠라이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및 긴키 닛폰 철도의 철도역이다. | ||||||
48.사미타가와역 | ||||||
사미타가와역(일본어: 佐味田川駅)은 일본 나라현 기타카쓰라기군 가와이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다와라모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I 41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9.산고역 (나라현) | ||||||
산고역(일본어: 三郷駅, さんごうえき 산고우에키[*])은 일본 나라현 이코마군 산고정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으로 2면 2선의 지상역이며 역사 측 승강장이 오지 방면, 과선교를 건너 반대측 승강장이 덴노지 방면이다. 다만 승강장 자체는 앞으로 단식과 섬식이 뒤섞인 2면 3선의 복합형 승강장으로 변경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역 업무는 서일본 여객철도 교통 서비스에 위탁되어 있다. 이코카, J스루 카드 및 제휴 교통카드의 사용이 가능하다. | ||||||
50.산본마쓰역 (나라현) | ||||||
산본마쓰역(일본어: 三本松駅)은 일본 나라현 우다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오사카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D 47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51.JR 고이도역 | ||||||
JR 고이도 역(일본어: JR五位堂駅, じぇいあーるごいどうえき 제이아루 고이도에키[*])은 일본 나라현 가시바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원래는 역간 거리가 비교적 긴 다카다 역 ~ 가시바 역 구간의 열차 간 교행을 위하여 "고이도 신호장"으로서 세워졌으나, 1968년 이후 지역 주민들의 계속된 역 설치 요구에 따라 가시바 시가 역 건설 비용과 주변 정비 비용을 합친 5억 엔을 부담하는 것을 조건으로 2004년에 여객역으로 개업했다.[1][2] 역명은 가시바 시의 제안을 받아들여 정한 것으로, 긴테쓰 오사카 선의 고이도 역과의 구분을 위해 "JR"을 붙였다. | ||||||
52.시기산시타역 | ||||||
시기산시타역(일본어: 信貴山下駅)은 일본 나라현 이코마군 산고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이코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G 27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53.시즈미역 | ||||||
시즈미역(일본어: 志都美駅, しずみえき)은 일본 나라현 가시바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54.시모이치구치역 | ||||||
시모이치구치역(일본어: 下市口駅)은 일본 나라현 요시노군 오요도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요시노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F 52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55.샤쿠도역 | ||||||
샤쿠도역(일본어: 尺土駅)은 일본 나라현 가쓰라기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의 철도역이다. 긴테쓰 미나미오사카 선의 소속역이며, 이 역을 기.종점으로 하는 긴테쓰 고세 선 등 2개의 노선이 운행 중이다. 역 번호의 경우 미나미오사카 선은 F 23, 고세 선은 P 23이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56.세키야역 (나라현) | ||||||
세키야역(일본어: 関屋駅)은 일본 나라현 가시바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오사카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D 20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57.세야키타구치역 | ||||||
세야키타구치역(일본어: 勢野北口駅)은 일본 나라현 이코마군 산고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이코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G 26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58.센자이역 | ||||||
센자이역(일본어: 前栽駅)은 일본 나라현 덴리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덴리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 34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59.다이후쿠역 | ||||||
다이후쿠역(일본어: 大福駅)은 일본 나라현 사쿠라이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오사카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D 41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0.다이마데라역 | ||||||
다이마데라역(일본어: 当麻寺駅)은 일본 나라현 가쓰라기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미나미오사카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F 21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1.다카다역 (나라현) | ||||||
다카다역(일본어: 高田駅, たかだえき)은 일본 나라현 야마토타카다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62.다카다시역 | ||||||
다카다시역(일본어: 高田市駅)은 일본 나라현 야마토타카다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미나미오사카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F 24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 ||||||
63.다지마역 (나라현) | ||||||
다지마역(일본어: 但馬駅)은 일본 나라현 시키군 미야케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다와라모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I 38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4.다쓰타가와역 | ||||||
다쓰타가와역(일본어: 竜田川駅)은 일본 나라현 이코마군 헤구리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이코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G 25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5.다마데역 (나라현) | ||||||
다마데역(일본어: 玉手駅, たまでえき)은 일본 나라현 고세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66.다와라모토역 | ||||||
다와라모토역(일본어: 田原本駅)은 일본 나라현 시키군 다와라모토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가시하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B 36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7.쓰키야마역 | ||||||
쓰키야마역(일본어: 築山駅)은 일본 나라현 야마토타카다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오사카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D 24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8.쓰쓰이역 (나라현) | ||||||
쓰쓰이역(일본어: 筒井駅)은 일본 나라현 야마토코리야마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가시하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B 31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 ||||||
69.쓰보사카야마역 | ||||||
쓰보사카야마역(일본어: 壺阪山駅)은 일본 나라현 다카이치군 다카토리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요시노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F 45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70.덴리역 | ||||||
덴리역(일본어: 天理駅, てんりえき)은 일본 나라현 덴리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긴키 닛폰 철도의 철도역이다. 과거에는 일본국유철도와 긴키 닛폰 철도의 역이 따로 있었다가 한 개의 역으로 합쳐진 것으로, 덴리 시 당국에서는 덴리소고역(일본어: 天理総合駅, てんりそうごうえき 덴리 종합역[*])이라고도 한다. | ||||||
71.나가라역 | ||||||
나가라역(일본어: 長柄駅, ながらえき)은 일본 나라현 덴리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72.니카이도역 | ||||||
니카이도역(일본어: 二階堂駅)은 일본 나라현 덴리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덴리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H 33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3.니조역 (나라현) | ||||||
니조역(일본어: 二上駅)은 일본 나라현 가시바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오사카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D 21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4.니조잔역 | ||||||
니조잔역(일본어: 二上山駅)은 일본 나라현 가시바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미나미오사카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F 19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5.니조진자구치역 | ||||||
니조진자구치역(일본어: 二上神社口駅)은 일본 나라현 가쓰라기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미나미오사카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F 20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6.하이바라역 | ||||||
하이바라역(일본어: 榛原駅)은 일본 나라현 우다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오사카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D 45이며, 단선 · 섬식 3면 5선의 형태를 갖춘 복합 승강장이다. | ||||||
77.하시오역 | ||||||
하시오역(일본어: 箸尾駅)은 일본 나라현 기타카쓰라기군 고료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다와라모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I 39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8.하세데라역 | ||||||
하세데라역(일본어: 長谷寺駅)은 일본 나라현 사쿠라이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오사카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D 44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9.하타케다역 | ||||||
하타케다역(일본어: 畠田駅, はたけだえき)은 일본 나라현 기타카쓰라기군 오지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80.히라하타역 | ||||||
히라하타역(일본어: 平端駅)은 일본 나라현 야마토코리야마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의 철도역이다. 긴테쓰 가시하라 선의 소속역이며, 이 역을 기점으로 하는 긴테쓰 덴리 선 등 2개의 노선이 운행 중이다. 역 번호의 경우, 가시하라 선은 B 32이며, 덴리 선은 H 32이다. 섬식 · 상대식의 형태를 합친 4면 6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81.패밀리코엔마에역 | ||||||
패밀리코엔마에역(일본어: ファミリー公園前駅)은 일본 나라현 야마토코리야마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가시하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B 33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82.후쿠가미역 | ||||||
후쿠가미역(일본어: 福神駅)은 일본 나라현 요시노군 오요도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요시노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F 50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83.헤구리역 | ||||||
헤구리역(일본어: 平群駅)은 일본 나라현 이코마군 헤구리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이코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G 24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84.호류지역 | ||||||
호류지역(일본어: 法隆寺駅, ほうりゅうじえき 호우류우지에키[*])은 일본 나라현 이코마군 이카루가정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의 역이다. 실제 호류지와는 다소 거리가 있기 때문에 호류지 역 앞 정류장에서 버스를 이용해야만 한다. | ||||||
85.마키무쿠역 | ||||||
마키무쿠역(일본어: 巻向駅, まきむくえき)은 일본 나라현 사쿠라이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86.마쓰즈카역 | ||||||
마쓰즈카역(일본어: 松塚駅)은 일본 나라현 야마토타카다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오사카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D 26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87.미와역 | ||||||
미와역(일본어: 三輪駅, みわえき)은 일본 나라현 사쿠라이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88.무다역 | ||||||
무다역(일본어: 六田駅)은 일본 나라현 요시노군 오요도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요시노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F 54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89.무로구치오노역 | ||||||
무로구치오노역(일본어: 室生口大野駅)은 일본 나라현 우다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오사카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D 46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90.모토산조구치역 | ||||||
모토산조구치역(일본어: 元山上口駅)은 일본 나라현 이코마군 헤구리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이코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G 23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91.야나기모토역 | ||||||
야나기모토역(일본어: 柳本駅, やなぎもとえき)은 일본 나라현 덴리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92.야마토아사쿠라역 | ||||||
야마토아사쿠라역(일본어: 大和朝倉駅)은 일본 나라현 사쿠라이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오사카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D 43이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93.야마토카미이치역 | ||||||
야마토카미이치역(일본어: 大和上市駅)은 일본 나라현 요시노군 요시노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요시노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F 55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94.야마토코이즈미역 | ||||||
야마토코이즈미역(일본어: 大和小泉駅, やまとこいずみえき 야마토코이즈미에키[*])은 일본 나라현 야마토코리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의 역이다. | ||||||
95.야마토신조역 | ||||||
야마토신조역(일본어: 大和新庄駅, やまとしんじょうえき)은 일본 나라현 가쓰라기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개업 당시의 역이름은 신조역이었으나, 국유화된 이후 1915년 지금의 야마토신조역으로 고쳐졌다. | ||||||
96.야마토타카다역 | ||||||
야마토타카다역(일본어: 大和高田駅)은 일본 나라현 야마토타카다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오사카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D 25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 ||||||
97.야마토후타미역 | ||||||
야마토후타미역(일본어: 大和二見駅, やまとふたみ)은 일본 나라현 고조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하시모토 역에서 업무를 맡고 있는 무인역이며, 오지 철도부 관할권에 있다. | ||||||
98.유자키역 | ||||||
유자키역(일본어: 結崎駅)은 일본 나라현 시키군 가와니시 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가시하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B 34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99.요시노역 (나라현) | ||||||
요시노역(일본어: 吉野駅)은 일본 나라현 요시노군 요시노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요시노 선의 철도역이다. 이 노선의 종점역이자 역 번호는 F 57이며, 상대식 · 섬식 3면 4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100.요시노구치역 | ||||||
요시노구치역(일본어: 吉野口駅, よしのぐちえき)은 일본 나라현 고세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와 긴키 닛폰 철도의 철도역이다. | ||||||
101.요시노진구역 | ||||||
요시노진구역(일본어: 吉野神宮駅)은 일본 나라현 요시노군 요시노정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요시노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F 56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2.와키가미역 | ||||||
와키가미역(일본어: 掖上駅, わきがみえき)은 일본 나라현 고세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103.이코마역 | ||||||
이코마역(일본어: 生駒駅, いこまえき)은 일본 나라현 이코마시에 있는 긴키 닛폰 철도의 철도역이다. 동일 지점에 있는 이코마코사쿠 선의 도리이마에 역과 환승역이 된다. | ||||||
104.이코마산조역 | ||||||
이코마산조역(일본어: 生駒山上駅)은 일본 나라현 이코마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이코마강삭 선의 철도역이다. 이 노선의 종점역이기도 하며, 역 번호는 Y 21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5.이치부역 | ||||||
이치부역(일본어: 一分駅)은 일본 나라현 이코마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이코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G 19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 ||||||
106.우메야시키역 (나라현) | ||||||
우메야시키역(일본어: 梅屋敷駅)은 일본 나라현 이코마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이코마강삭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Y 19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7.잘못된 제목 | ||||||
108.갓켄키타이코마역 | ||||||
갓켄키타이코마역(일본어: 学研北生駒駅, がっけんきたいこまえき)은 일본 나라현 이코마시에 있는 긴키 닛폰 철도의 철도역이다. 부역명은 나라 선단대학 앞이다. 언덕과 강을 터널과 가도교로 길을 단축시켜 이웃역인 시라니와다이 역까지는 0.8km밖에 떨어져 있지 않지만, 도보나 자전거, 자동차로 갈 경우에는 우회를 해야한다. | ||||||
109.시라니와다이역 | ||||||
시라니와다이역(일본어: 白庭台駅, しらにわだいえき)은 일본 나라현 이코마시에 있는 긴키 닛폰 철도의 철도역이다. | ||||||
110.도미가오카 신호장 | ||||||
도미가오카 신호장(일본어: 登美ヶ丘信号場, とみがおかしんごうじょう)은 일본 나라현 이코마시에 있는 긴키 닛폰 철도 게이한나 선의 신호장이다. | ||||||
111.도리이마에역 | ||||||
도리이마에역(일본어: 鳥居前駅)은 일본 나라현 이코마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이코마강삭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Y 17이며, 두단식 승강장 3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2.나바타역 | ||||||
나바타역(일본어: 菜畑駅)은 일본 나라현 이코마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이코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G 18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 ||||||
113.하기노다이역 | ||||||
하기노다이역(일본어: 萩の台駅)은 일본 나라현 이코마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이코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G 21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 ||||||
114.히가시이코마 신호장 | ||||||
히가시이코마 신호장(일본어: 東生駒信号場, ひがしいこましんごうじょう)은 일본 나라현 이코마시에 있는 긴키 닛폰 철도 게이한나 선의 신호장이다. | ||||||
115.히가시이코마역 | ||||||
히가시이코마역(일본어: 東生駒駅)은 일본 나라현 이코마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 18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6.히가시야마역 (나라현) | ||||||
히가시야마역(일본어: 東山駅)은 일본 나라현 이코마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이코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G 22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 ||||||
117.호잔지역 | ||||||
호잔지역(일본어: 宝山寺駅)은 일본 나라현 이코마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이코마강삭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Y 18이며, 호잔지 선의 경우 2면 3선식 승강장, 산조 선의 경우 두단식 승강장 구조의 2면 1선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8.미나미이코마역 | ||||||
미나미이코마역(일본어: 南生駒駅)은 일본 나라현 이코마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이코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G 20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 ||||||
119.우네비역 | ||||||
우네비역(일본어: 畝傍駅, うねびえき)은 일본 나라현 가시하라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120.우네비고료마에역 | ||||||
우네비고료마에역(일본어: 畝傍御陵前駅)은 일본 나라현 가시하라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가시하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B 41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하역이다. | ||||||
121.오카데라역 | ||||||
오카데라역(일본어: 岡寺駅)은 일본 나라현 가시하라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요시노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F 43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2.가구야마역 | ||||||
가구야마역(일본어: 香久山駅, かぐやまえき)은 일본 나라현 가시하라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123.가시하라진구니시구치 | ||||||
124.가시하라진구마에역 | ||||||
가시하라진구마에역(일본어: 橿原神宮前駅)은 일본 나라현 가시하라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의 철도역이다. 긴테쓰 미나미오사카 선과 요시노 선의 소속역이며, 이 역을 기.종점으로 하는 가시하라 선 등 3개의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역 번호의 경우 미나미오사카 선과 요시노 선은 F 42, 가시하라 선은 B 42이며, 4면 8선 구조의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125.가나하시역 | ||||||
가나하시역(일본어: 金橋駅, かなはしえき)은 일본 나라현 가시하라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126.니노쿠치역 | ||||||
니노쿠치역(일본어: 新ノ口駅)은 일본 나라현 가시하라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가시하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B 38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7.보조역 | ||||||
보조역(일본어: 坊城駅)은 일본 나라현 가시하라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미나미오사카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F 26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8.마스가역 | ||||||
마스가역(일본어: 真菅駅)은 일본 나라현 가시하라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오사카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D 27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9.미미나시역 | ||||||
미미나시역(일본어: 耳成駅)은 일본 나라현 가시하라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오사카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D 40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30.야기니시구치역 | ||||||
야기니시구치역(일본어: 八木西口駅)은 일본 나라현 가시하라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가시하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B 40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하역이다. | ||||||
131.야마토야기역 | ||||||
야마토야기역(일본어: 大和八木駅)은 일본 나라현 가시하라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오사카 선 · 가시하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D 39 · B 39이며, 섬식 · 상대식의 형태를 합친 4면 6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종합 역사이다. | ||||||
132.아마가쓰지역 | ||||||
아마가쓰지역(일본어: 尼ヶ辻駅)은 일본 나라현 나라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가시하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B 27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33.아야메이케역 | ||||||
아야메이케역(일본어: 菖蒲池駅)은 일본 나라현 나라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 21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34.오비토케역 | ||||||
오비토케역(일본어: 帯解駅, おびとけえき)은 일본 나라현 나라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135.가쿠엔마에역 (나라현) | ||||||
가쿠엔마에역(일본어: 学園前駅)은 일본 나라현 나라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 20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36.갓켄나라토미가오카역 | ||||||
갓켄나라토미가오카역(일본어: 学研奈良登美ヶ丘駅, がっけんならとみがおかえき)은 일본 나라현 나라시에 있는 긴키 닛폰 철도의 철도역이다. 유일하게 나라 시내에 있는 역이다. 주오 선과 상호직통운전을 실시하고 있어 혼마치 역까지 소요시간은 약 40분인 것 외에 이코마 역에서 긴테쓰 나라 선으로 갈아타는 것으로 오사카난바 역까지 소요시간도 약 30분이므로 오사카 도심에서의 편리성은 비교적 높은 편이다. | ||||||
137.교바테역 | ||||||
교바테역(일본어: 京終駅, きょうばてえき)은 일본 나라현 나라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138.긴테쓰나라역 | ||||||
긴테츠나라역(일본어: 近鉄奈良駅, きんてつならえき)은 일본 나라현 나라시에 있는 긴키 닛폰 철도의 철도역이다. 역 주변으로 고후쿠지, 나라 공원, 도다이지 등의 유적지가 위치하고 있다. 4면 4선의 승강장이 있는 지하역이다. | ||||||
139.사호 신호장 | ||||||
사호 신호장(일본어: 佐保信号場, さほしんごうじょう 사호신고우조[*])은 일본 나라현 나라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의 신호장이다. 나라야마역에서 나라역 방향으로 0.9km 정도 거리에 위치한 복선 분기형 신호장으로 나라 전차구에서 출입고되는 회송 열차를 위해 설치되어 있다. 사호 신호장 중 출고선 1개와 입출고 공용선 1개를 사호 신호장(약칭 사호 '신'), 본선 상의 분기점 및 중선 1개를 사호 중선(약칭 사호 '중')이라고 하며 나라 전차구에서 나라 방면으로 출고하는 열차 이외에는 사호 중선을 이용하게 된다. | ||||||
140.신오미야역 | ||||||
신오미야역(일본어: 新大宮駅)은 일본 나라현 나라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 27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41.다카노하라역 | ||||||
다카노하라역(일본어: 高の原駅)은 일본 나라현 나라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교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B 24이며,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42.도미오역 | ||||||
도미오역(일본어: 富雄駅)은 일본 나라현 나라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나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A 19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43.나라역 | ||||||
나라역(일본어: 奈良駅, ならえき 나라에키[*])은 일본 나라현 나라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역이다. 긴키 닛폰 철도의 나라 선 상의 긴테쓰 나라 역도 나라역이라는 통칭을 사용하지만,긴테쓰 나라 역은 JR 나라 역에서 동쪽으로 직선으로 약 900m 거리에 있다. 3면 5선의 섬식 승강장이며, 개찰구는 동서쪽으로 2개소씩 있으며 동쪽은 지상, 서쪽은 고가 위에 있다. | ||||||
144.나라야마역 | ||||||
나라야마역(일본어: 平城山駅, ならやまえき 나라야마에키[*])은 일본 나라현 나라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의 역이다. | ||||||
145.니시노쿄역 | ||||||
니시노쿄역(일본어: 西ノ京駅)은 일본 나라현 나라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가시하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B 28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46.헤이조역 | ||||||
헤이조역(일본어: 平城駅)은 일본 나라현 나라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 교토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B 24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47.야마토사이다이지역 | ||||||
야마토사이다이지역(일본어: 大和西大寺駅)은 일본 나라현 나라시에 위치한 긴키 닛폰 철도의 철도역이다. 나라선, 교토선, 가시하라선 등 3개의 노선이 운행 중이다. 역 번호의 경우, 나라선은 A 26, 교토선과 가시하라선은 B 26이며, 섬식 승강장 3면 5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022년 7월 8일에 이 역 북쪽 출입구 부근에서 선거 유세 연설을 하던 아베 신조 전 일본 내각총리대신이 피살당하는 사건이 일어났다. | ||||||
148.나라 공원 | ||||||
나라 공원(일본어: 奈良公園)은 일본 나라현 나라시에 있는 공원이다. 나라 공원에는 사슴들이 자유롭게 뛰어다닌다. | ||||||
149.나라현 | ||||||
나라현(일본어: 奈良県)은 일본 긴키 지방의 내륙에 있는 현이며 현청 소재지는 나라시(일본어: 奈良市)이다. 기이반도 내륙에 율령국과 야마토국의 영역을 차지, 북서쪽 분지 부분을 제외하고 험한 산들이 솟아 있으며, 인구의 편차가 크다. 도시 면적은 전국에서 8번째로 가장 좁다. | ||||||
150.나라시 | ||||||
나라시(일본어: 奈良市, ならし)는 일본 긴키 지방 나라현 북쪽에 있는 시다. 나라시는 현청 소재지다. 그리고 나라시는 8세기에 헤이조쿄(平城京)가 자리 잡았던 고도다. 나라시는 나라 현의 정치, 경제, 문화의 중심 도시인 동시에 고도 나라의 문화재로써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된 역사 도시이고, 나라시 연간 관광객은 약 1,300만명이다. 또한 오사카의 위성 도시이기도 하고, 시 서부 지역에 주택 단지가 조성되고 있다. 그리고 나라시는 중핵시로 지정되어 있다. | ||||||
151.야마토타카다시 | ||||||
야마토타카다시(일본어: 大和高田市)는 나라현 중서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주와·가쓰라기 지역의 핵심 도시이며 나라 현에서 제일 인구밀도가 높다. 최근에는 인구의 감소가 계속되고 있어 인접하는 가시바시에 추월당했지만 주간인구는 여전히 많아 핵심 도시로서의 성격이 나타나고 있다. | ||||||
152.야마토코리야마시 | ||||||
야마토코리야마시(일본어: 大和郡山市)는 나라현 북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1954년 1월 1일에 옛 고리야마 정이 시로 승격했을 때 한자가 같은 후쿠시마현의 고리야마시와 구별하기 위해서 "야마토코리야마 시"라고 정해졌다. 현재 인구는 약간 감소 경향에 있다. | ||||||
153.덴리시 | ||||||
덴리시(일본어: 天理市)는 일본 나라현 북중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일본에서 유일하게 종교 단체의 명칭을 자치단체의 이름으로 사용하고 있는 곳으로, 시의 중심부에는 천리교 관련의 시설이 집중해있는 등 종교 도시로 알려져 있다. | ||||||
154.가시하라시 | ||||||
가시하라시(일본어: 橿原市)는 일본 나라현에 있는 도시이다. | ||||||
155.사쿠라이시 | ||||||
사쿠라이시(일본어: 桜井市)는 나라현 중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조몬 시대와 야요이 시대의 토기 조각을 일반 밭에서도 볼 수 있어 역사의 깊이를 짐작케 한다. 또 야요이 시대나 고훈 시대의 전방 후원분 등의 고분이 오늘날까지 많이 남아 있다. 초기 야마토 왕권의 중심지였다고 생각할 수 있다. 오미와 신사(일본어판)나 하세데라, 도미 봉의 단잔 신사(일본어판) 등의 유서 있는 사찰도 많이 볼 수 있다. 종교적으로도 역사가 깊고 고대 신앙의 형체를 아는데 있어서도 중요한 지구이다. | ||||||
156.고조시 | ||||||
고조시(일본어: 五條市)는 일본 나라현 중서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난와 지역의 중심도시이다. | ||||||
157.고세시 | ||||||
고세시(일본어: 御所市)는 일본 긴키 지방, 나라현의 중부에 있는 시이다. 현내의 시중 인구가 가장 적다. | ||||||
158.이코마시 | ||||||
이코마시(일본어: 生駒市, いこまし, 문화어: 이꼬마 시)는 나라현 북서부에 위치한 시이다. 에도 시대에 창건된 이코마 쇼텐(生駒聖天) 호잔 절(宝山寺)의 몬젠 초(일본어판)로 발전했다. 현재는 오사카시의 신도시로 알려져 있다. | ||||||
159.가시바시 | ||||||
가시바시(일본어: 香芝市)는 나라현 중서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 ||||||
160.가쓰라기시 | ||||||
가쓰라기시(일본어: 葛城市)는 나라현 중서부에 위치하고 오사카부와 경계를 접하는 시이다. 2004년 10월 1일, 나라 현 기타카쓰라기군 신조 정과 다이마 정이 합병해 탄생했다. | ||||||
161.우다시 | ||||||
우다시(일본어: 宇陀市)는 나라현 북동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2006년 1월 1일 우다 군 오우다 정, 우타노 정, 무로 촌이 합병해 성립했다. | ||||||
162.야마조에촌 | ||||||
야마조에촌(일본어: 山添村)은 나라현 북남부의 야마베군의 촌이다. | ||||||
163.헤구리정 | ||||||
헤구리정(일본어: 平群町)은 나라현 북서부의 이코마군의 정이다. | ||||||
164.산고정 | ||||||
산고정(일본어: 三郷町)은 나라현 서부에 위치한 이코마군의 정이다. | ||||||
165.이카루가정 | ||||||
이카루가정(일본어: 斑鳩町)은 나라현 동남부의 이코마군의 정이다. 아스카 시대에 쇼토쿠 태자에 의해 호류사가 건립된 것 등으로 잘 알려진 유구한 역사를 가진 정이다. 호류사의 바로 서쪽으로 펼쳐진 니시사토의 취락은 근세 초기 일본에서 가장 조직적인 힘을 발휘한 대도편수(大工棟梁) 나카이 마사키요(일본어판)가 자란 취락이기도 하다. 그 이외에도 많은 오래된 거리가 존재하지만 고도 경제성장 이후 오사카의 주택 지역으로서 도시화가 진행되어 조용한 거리도 이미 예전의 일이 되고 있다. | ||||||
166.안도정 | ||||||
안도정(일본어: 安堵町)은 나라현 이코마군의 정이다. | ||||||
167.가와니시정 (나라현) | ||||||
가와니시정(일본어: 川西町)은 나라현 동남부의 시키군의 정이다. | ||||||
168.미야케정 | ||||||
미야케정(일본어: 三宅町)은 나라현 시키군의 정이다. | ||||||
169.다와라모토정 | ||||||
다와라모토정(일본어: 田原本町)은 일본 나라현 시키군 남단에 있는 정이다. | ||||||
170.소니촌 | ||||||
소니촌(일본어: 曽爾村)은 나라현 우다군의 촌이다. | ||||||
171.미쓰에촌 | ||||||
미쓰에촌(일본어: 御杖村)은 나라현 동쪽 끝에 있는 우다군의 촌이다. | ||||||
172.다카토리정 | ||||||
다카토리정(일본어: 高取町)은 나라현 중부에 있는 다카이치군의 정이다. | ||||||
173.아스카촌 | ||||||
아스카촌(일본어: 明日香村)은 나라현 중앙부에 위치하는 다카이치군의 촌이다. 중앙 집권 율령 국가의 탄생지로서 아스카 시대의 궁전이나 사적이 많이 발굴되고 있어서 "일본의 마음의 고향"으로도 소개된다. 일본에서 유일하게 전역이 고도 보존법 대상 지역인 자치체이다. 또 마을 전체를 세계 유산으로 등록하기위한 계획이 구체화되고 있다. 아스카 시대(飛鳥時代)의 중심지였으나 촌 이름을 飛鳥村이 아닌 동음이자인 明日香村이라고 표기한다. | ||||||
174.간마키정 | ||||||
간마키정(일본어: 上牧町)은 나라현 북서부에 위치하는 기타카쓰시카군의 정이다. | ||||||
175.오지정 | ||||||
오지정(일본어: 王寺町)은 나라현 기타카쓰시카군의 북쪽 끝에 있는 정이다. | ||||||
176.고료정 | ||||||
고료정(일본어: 広陵町)은 나라현 기타카쓰시카군의 위치하는 정이다. | ||||||
177.가와이정 | ||||||
가와이정(일본어: 河合町)은 나라현 북서부에 위치하는 기타카쓰시카군의 정이다. 나라 분지 서부에 위치한다. | ||||||
178.요시노정 | ||||||
요시노정(일본어: 吉野町)은 일본 나라현 중부에 있는 요시노군의 정이다. 고대에 미야타키에 별궁이 놓여 헤이안 시대 이후에는 벚꽃의 명소가 되었다. 예부터 주변의 산으로부터 재목의 집산지였으며, 2004년에 기이 산지의 영지와 참예도가 유네스코 세계유산(문화유산)에 등록되었다. | ||||||
179.오요도정 | ||||||
오요도정(일본어: 大淀町)은 나라현 중부, 요시노강 우안에 있는 요시노군의 정이다. 과소화에 의해 인구가 감소하고 있는 요시노 군에 있으면서 긴테쓰 오사카아베노바시 역까지 약 1시간 거리에 있어 자연이 풍부한 주택 지역의 모습을 가지고 있으며 택지 개발로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관공청이 모여있는 등 요시노 군의 핵심으로서의 존재를 부각하고 있다. | ||||||
180.시모이치정 | ||||||
시모이치정(일본어: 下市町)은 나라현 중부에 위치하는 요시노군의 정이다. | ||||||
181.구로타키촌 | ||||||
구로타키촌(일본어: 黒滝村)은 나라현 중부에 위치하는 요시노군의 촌이다. | ||||||
182.덴카와촌 | ||||||
덴카와촌(일본어: 天川村)은 나라현 중부에 위치하는 요시노군의 촌이다. 세계 유산에 등록된 기이 산지의 영지와 참예도의 주요 부분 중 하나이다. | ||||||
183.노세가와촌 | ||||||
노세가와촌(일본어: 野迫川村)은 나라현 남서부의 요시노군의 촌이다. | ||||||
184.도쓰카와촌 | ||||||
도쓰카와촌(일본어: 十津川村)은 나라현 최남단의 요시노군의 촌이다. | ||||||
185.시모키타야마촌 | ||||||
시모키타야마촌(일본어: 下北山村)은 나라현의 최남단에 있는 요시노군의 촌이다. | ||||||
186.가미키타야마촌 | ||||||
가미키타야마촌(일본어: 上北山村)은 나라현 북남부의 요시노군의 촌이다. 나라 현에서 두 번째로 면적이 넓은 마을이다. 인구밀도는 나라 현내에서는 최저이고 일본 내에서는 후쿠시마현 히노에마타촌, 홋카이도 호로카나이정에 이어 3번째로 낮은 자치체이다. | ||||||
187.가와카미촌 (나라현) | ||||||
가와카미촌(일본어: 川上村)은 나라현 동남부 요시노군의 촌이다. | ||||||
188.히가시요시노촌 | ||||||
히가시요시노촌(일본어: 東吉野村)은 나라현 동부에 위치하는 요시노군의 촌이다. | ||||||
189.이코마산 | ||||||
이코마산(Mount Ikoma, 일본어: 生駒山)은 나라현 이코마시와 오사카부 히가시오사카시의 경계선을 사이에 두고 있는 산이다. 그래서 이 산이 오사카부의 진산으로 유명한 것으로 보이며, 대한민국의 황령산과 비슷하게 방송 전용 방송탑이 설치되어 있는 특이 사항을 둔다. 그래서 이코마산은 곤고-이코마-기센 국정공원의 일부분에 예속되어 있어, 긴키 지방에서 가장 유명한 명소로 손을 꼽히고 있다. 그리고 높이는 해발 641.99 m인 것으로 나타난다. 산계는 이코마 산지라는 산줄기로 이루어져 있다. 또한 이 산의 주변 지역에는 이코마산조 유원지가 위치하고 있다. | ||||||
190.오미네산 | ||||||
오미네산(大峰山)은 일본 나라현에 있는 산이며, 높이는 1천915m이다. 주변의 산들과 묶어 산조가다케 산(山上ヶ岳)으로 불리기도 하며, 요시노-구마노 국립공원 내에 위치해 있다. 슈겐도(修験道)의 본산 중 하나이다. | ||||||
191.가스가산 | ||||||
가스가산(春日山)은 일본 나라현 나라시, 가스가타이샤 동쪽에 있는 해발 497m의 花山과 서쪽 인근의 고도 283m의 御蓋山 (三笠山·三笠山)을 통칭하는 말이다. 御蓋山을 ‘(가스가) 앞산’, 花山을 ‘(가스가) 먼 산’으로 구별하기도 한다. 또한 두 산과 香山 (高山), 芳山 등의 이어진 봉우리들의 총칭으로도 사용된다. 옛부터 신이 깃들이 있는 산(神体山)으로 숭배의 대상이 되었고, 특히 헤이조쿄 천도 이후는 조정에서 존중되었다. 예를 들어, 견당사는 떠나기에 앞서 가스가 산 근처에서 천신과 토지신을 모시고 항해의 안전을 기원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 768년에 후지와라 노 나가테의 조부 후지와라노 후히토 등이 가스가 산의 산기슭에서 가스가타이샤(春日大社)를 건립했다. (그러나 최근에는 신사의 유적 발굴의 성과 등을 통해 건립 연도가 더 이전이라는 설이 유력하다). 후지와라 씨의 세력 신장과 함께 가스가 산 일대에 대한 후지와라 씨의 지배력이 강화되었고, 841년에는 가스가타이샤의 신역으로 사냥과 벌목이 금지되었다. 가스가 타이샤의 신체산으로 여겨진 가스가 산은 가스가 타이샤와 인근의 고후쿠지(興福寺)의 관리 하에, 가스가 산에 자생하는 비쭈기나무를 뿌리 채 뽑아 가스가 타이샤 신령의 깃든 ‘가스가 신목’이라고 칭하고, 고후 쿠지와 가스가 타이샤가 강소(強訴)를 할 때 신목을 내세웠다. | ||||||
192.곤고산 | ||||||
곤고산(일본어: 金剛山, こんごうさん/こんごうざん)은 일본 긴키 지방 오사카부의 센슈 지방에 있는 1125 m 높이의 산이다. 야마토 가쓰라기산 주변에 있다. 나라현 고세시와 오사카부 미나미카와치군 지하야아카사카촌과의 경계선에 위치한다. 곤고이코마기센 국정공원 내에 위치한다. 일본에서 유수한 등산자 수를 자랑해 그 등산자 수는 후지산과 맞설 정도이다. | ||||||
193.야마토 가쓰라기산 | ||||||
야마토 가쓰라기산(일본어: 大和葛城山 (やまとかつらぎさん) 야마토 카츠라기산[*])은 나라현 고세시와 오사카부 미나미카와치군 지하야아카사카촌 경계에 있는 표고 959.2 미터의 산이다. 야마토 가쓰라기산은 곤고 이코마 기센 국정공원 내에 있으며, 북쪽의 니조산, 남쪽의 곤고산으로 이어지는 곤고산지에 속한다. 예전에는 곤고산을 포함한 가쓰라기산맥을 총칭해 가쓰라기산이라 불렀고,[1] 야마토 가쓰라기산은 야마토국에서는 가이나산(戒那山), 천신산(天神山) 또는 가모산(鴨山)이라 불렀으며, 가와치국에서는 시노가봉(篠峰)이라 불렀다.[2] 야마토 가쓰라기산의 정상 부근을 가쓰라기고원(葛城高原)이라 하며, 진달래 개화 시기에 많은 관광객이 찾는다.[3] | ||||||
194.요시노산 | ||||||
요시노산(일본어: 吉野山)은 나라현 중앙부 요시노군 요시노정에 위치한 산이다. 사적(史蹟)과 벚꽃으로 유명하다. 아래 쪽에는 요시노 신궁·노이린사 등 명소·고적이 많아 남조 시대의 영화를 회상케 한다. 특히 벚꽃은 조오권현(藏王權現)의 신목(神木)으로 보호·식수된 것으로 만개 때에는 관광객으로 넘친다.[1] | ||||||
195.나라 국립박물관 | ||||||
나라 국립박물관(일본어: 奈良国立博物館 나라코쿠리쓰하쿠부쓰칸[*])은 일본 나라현 나라시에 있는 박물관이다. 르네상스 양식의 건물로 지어졌으며, 본관에는 일본의 역사적 유물들과 각 시대의 불상들을, 신과에는 회화, 서적 등 불교 관련 유물들이 전시하고 있다. 나라 공원과 인접해 있다. | ||||||
196.야마토강 | ||||||
야마토강(大和川 (やまとがわ) 야마토가와[*])은 나라현 및 오사카부 일대를 흘러가는 강이자 오사카만에 흘러가는 1급 수계의 본류이다. 그러나 이 강의 이름은 통상적으로 볼 때 야마토국, 야마토 분지 등을 통해 유래된 사실로 드러난다. | ||||||
197.다카토리강 | ||||||
다카토리강(일본어: 高取川 たかとりかわ[*])은 나라현에 흐르는 야마토강 수계의 하천이다. 옛날에는 히노쿠마강, 쿠메강이라고도 불렸다. 나라현 다카이치군 다카토리정의 남동부에 위치하는 다카토리성에서부터 북쪽으로 흐른다. 이 강은 오염이 심한 소가강(曽我川)과 합류하기 때문에 악취가 난다. 둑에는 벚꽃이 피어 있다. | ||||||
198.타츠타강 | ||||||
타츠타강(일본어: 竜 (たつ)田 (た)川 (がわ) 타츠타가와[*])은 야마토강 수계의 지류료서, 나라현을 흐르는 일급하천이다. 상류를 이코마강(生駒川), 중류를 헤구리강(平群川), 하류를 타츠타강으로 따로 칭하기도 한다. 나라현 이코마시 이코마산(해발 642 m) 동쪽 자락을 수원지로 남쪽으로 흐르면서 유역에 이코마계곡과 헤구리계곡을 형성한다. 이코마군 이카루가정에서 야마토강에 합류한다. 고대로부터 단풍의 명소였다. | ||||||
199.구즈키리 | ||||||
구즈키리(葛切り)는 일본의 요리이다. 칡가루를 물에 녹여 틀에 담은 후 가열한 뒤, 다시 냉각하여 굳힌 것을 우동처럼 가늘고 길게 잘라 만드는 국수 모양이다.[1] 젤라틴이나 한천은 가열 후 냉각하면서 굳혀지지만 구즈키리는 전분 형태이기에 가열하면서 굳혀진다는 차이점이 있다. 다 만든 구즈키리는 차가운 꿀을 뿌려 먹거나, 말려서 나베 (찌개)요리에 재료로 넣기도 한다.[1] 칡가루는 몸을 따뜻하게 만들어 혈액순환을 좋게 하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일본에서는 예로부터 갈근탕 (칡뿌리탕)을 만들어 감기 치료에 쓰거나, 위장 불량 시 민간요법으로 이용되어 왔다.[1] 한편 칡가루가 비싸다는 이유로 칡 대신 감자 전분 등을 재료로 삼아 만든 것이 구즈키리 대용으로 널리 쓰이고도 있다. | ||||||
200.칡가루 | ||||||
칡가루 또는 갈분(葛粉)은 칡뿌리를 짓찧어 물에 담근 뒤 가라앉은 앙금을 말려 만든 녹말가루이다.[1][2] | ||||||
201.고마도후 | ||||||
고마도후(일본어: 胡麻豆腐→참깨두부)는 일본의 음식이다.[1] "두부"라 부르지만 콩 대신 참깨로 만든다. | ||||||
202.장두 | ||||||
장두(長豆) 또는 줄콩은 콩과의 한해살이 덩굴식물인 동부의 재배종이다. | ||||||
203.다누키지루 | ||||||
다누키지루(일본어: 狸汁)는 미소시루의 한 종류로, 너구리 고기에 무, 우엉 등을 넣은 것이다. | ||||||
204.나라즈케 | ||||||
나라즈케(일본어: 奈良漬け)는 월과, 오이, 수박, 생강 등의 채소를 사케카스(사케를 만들 때 나오는 술지게미)에 담가 절인 쓰케모노의 하나이다. 삼국 시대에 술지게미로 담가 먹던 장아찌가 일본으로 전파되어 나라 지방에서 발전했다.[1] 이후 일제강점기 때 역수입된 울외(월과) 나라즈케가 군산 지역에 "나나스끼" 또는 "울외장아찌" 불리며 남아있기도 하다.[1] | ||||||
205.당면 | ||||||
당면(唐麵, 문화어: 분탕) 또는 호면(胡麵)은 녹말을 원료로 하여 만든 마른 녹말국수이다. 고구마당면이 잡채의 주재료로 쓰인다. 본래 대한민국의 당면은 녹두로 만들었다.[1] | ||||||
206.소면 | ||||||
소면(素麵)은 밀가루 반죽을 길게 늘려서 막대기에 면을 감아 당긴 후 가늘게 만드는 국수이다.[1] 국수 반죽을 양쪽에서 당기고 늘려 만든 납면(拉麵), 국수 반죽을 구멍이 뚫린 틀에 넣고 밀어 끓는 물에 넣어 끓여 만든 압면(押麵), 밀대로 밀어 얇게 만든 반죽을 칼로 썰어 만든 절면(切麵) 등과 구분된다.[1] 한국, 중국, 일본의 국수이며, 다른 지역에서는 일본 이름인 "소멘(素麺)"이 잘 알려져 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