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고카와데라 | ||||||
고카와데라(일본어: 粉河寺 고카와데라[*]→분하사)은 와카야마현 기노카와시에 위치한 절이다. | ||||||
2.세이간토지 | ||||||
세이간토지(일본어: 青岸渡寺)는 일본 와카야마현 히가시무로 군 나치카쓰우라 정에 있는 천태종 사찰이다. 2004년에 기이 산지의 영지와 참배도라는 이름으로 다른 유적들과 함께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선정되었다. 전설에 의하면 인도에서 건너온 승려 라교 소닌에 의하여 건립되었으며, 본디부터 자연 숭배의 중심지였던 나치 폭포 바로 곁에 건설되었다. 세이간토지는 불교와 신토가 조화롭게 어우러져 있는 사원으로 손꼽히는데, 이가 일본에서 특히 의미가 있는 이유는 메이지유신 이후 신불습합을 폐지함으로 인하여 신토의 신들과 부처를 동시에 모신 사원들이 크게 그 수가 감소하였기 때문이다. | ||||||
3.후다라쿠산지 | ||||||
후다라쿠산지(일본어: 補陀洛山寺 보타락산사[*]) 또는 후다라쿠산사(-寺), 후다라쿠산 사는 일본 천태종의 사찰로, 와카야마현 히가시무로군 나치카쓰우라정에 있다. "후다라쿠"는 관음정토를 의미하는 보타락(補陀落)의 일본어 발음이다. 2004년 7월, 유네스코가 정한 세계유산 《기이 산지의 영지와 침배길》의 일부로 지정되었다.[1] 1808년에 태풍으로 경내의 주요 시설이 피해를 입었으나, 1990년 무로마치 시대의 양식에 따라 복원했다. | ||||||
4.곤고부지 | ||||||
곤고부지(일본어: 金剛峰寺)는 일본 와카야마현 이토군 고야정 고야산에 위치한 사원으로 고야산 진언종의 총본산이다. 곤고부지는 메이지 시대 이후 하나의 사원의 명칭으로 되어있으나 곤고부지의 절에 붙이는 이름이 고야산인 것에서도 알 수 있듯이 고야산 전체와 동의어였다. 기이 산지의 영지와 참예도의 일부로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어있다. 절은 1593년에 도요토미 히데요시가 자신의 어머니가 사망한 후에 세운 세이간지(青巖寺)에서 시작된다. 이 절은 1861년에 재건되었고 1869년에 현재의 이름을 얻었다. 곤고부지에는 일본 최대의 석정(石庭)인 2,340 m2 넓이의 반류정(蟠龍庭)이 있다. 140개의 화강암의 배열은 구름으로부터 나타난 두 마리의 용이 절을 보호하고 있음을 나타낸다. | ||||||
5.스다하치만 신사 | ||||||
스다하치만 신사(일본어: 隅田八幡神社 스다하치만진쟈[*])는 와카야마현 하시모토시에 위치한 신사이다. 이 신사에서 전해지는 인물화상경은 금석문의 하나로서 국보로 지정되어 있다. | ||||||
6.아와시마 신사 | ||||||
아와시마 신사(淡嶋神社. 담도신사. 일본명 아와시마 진자. Awashima Shrine)는 일본 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 가다정(일본어판)에 있는 신사이다. 아와시마 신사 계통의 신사 중에서 총본사이다.인형을 흘려 보내는 '히나 나가시' 행사로 유명한 아와시마 신사 배례전에는 히나 인형이 가득히 장식되어 있으며 배례전 안에서는 환상적인 세계가 눈앞에 펼쳐지며 신비한 분위기에 휩싸일 것이다.여기는 약의 신인 '스쿠나히코나노미코토'를 모시고 있으며 부인병 치유 또는 건강 출산 기원 등 '여성을 위한 신'으로서 옛날부터 많은 신앙을 모아 왔다. | ||||||
7.다나베성 (와카야마현) | ||||||
다나베성(일본어: 田辺城 다나베조[*])은 와카야마현 다나베시에 있는 평성이다. 이명으로는 긴스이 성(錦水城), 미나토무라 성(湊村城), 미나토 성(湊城) 등이 있다. 현재 다나베 시가의 남서쪽에 위치해 있고, 아이즈 강의 하구 왼쪽 강변과 바다에 인접해 있다. | ||||||
8.와카야마성 | ||||||
와카야마성(일본어: 和歌山城 와카야마조[*])은 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 1번 정에 있는 평산성이다. 성이 도라후스 산(虎伏山)에 지어졌기 때문에 도라후스 성(虎伏城)이라는 이명을 가지고 있다. 또, 다케가키 성(竹垣城)이라는 이명도 가지고 있다. 에도 시대에는 와카야마 번의 번청으로 사용되었으며, 도쿠가와 고산케 중 기슈 도쿠가와가의 거성이기도 했다. 현재 성의 주요 건조물 중 몇동은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었으며, 성터는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어 있다. 와카야마 시 중앙에 위치한 높이 48.9m의 도라후스 산에 지어졌다. 덧붙여 도라후스 산은 “바다 쪽에서 보면, 산의 형상이 꼭 호랑이가 웅크린 모습을 하고 있다.” 하여 도라후스(虎伏)라는 이름이 붙여졌으며, 이 도라후스 산에 성을 조성했기 때문에 와카야마 성은 도라후스 성이라는 별칭이 생겼다. 성의 북쪽에 흐르는 기노강을 천연의 해자로 삼았고, 혼마루 중심으로 북쪽에는 니노마루와 니시노마루, 산노마루를, 남쪽에는 미나미노 마루를 두었으며, 서쪽에는 스나노마루를 둔 제곽식 평산성이다. 특이하게도 혼마루에는 덴슈쿠루와라는 별도의 공간이 있다. | ||||||
9.앗소역 | ||||||
앗소역(일본어: 朝来駅, あっそ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니시무로군 가미톤다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10.이나하라역 | ||||||
이나하라역(일본어: 稲原駅, いなはら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히다카군 이나미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11.이나미역 | ||||||
이나미역(일본어: 印南駅, いなみ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히다카군 이나미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이나미 정의 중심역이다. | ||||||
12.이와시로역 | ||||||
이와시로역(일본어: 岩代駅)은 일본 와카야마현 히다카군 미나베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13.이와데역 | ||||||
이와데역(일본어: 岩出駅, いわで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이와데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하루에 왕복 2편씩 운행하는 쾌속 열차가 정차하는 역이다. | ||||||
14.우쿠이역 | ||||||
우쿠이역(일본어: 宇久井駅, うくいえき, Ukui-eki)은 일본 와카야마현 히가시무로군 나치카쓰우라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15.우치타역 | ||||||
우치타역(일본어: 打田駅, うちた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기노카와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16.에스미역 | ||||||
에스미역(일본어: 江住駅, えすみ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니시무로군 스사미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17.오타니역 (와카야마현) | ||||||
오타니역(일본어: 大谷駅, おおたに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이토군 가쓰라기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18.가쿠몬역 | ||||||
가쿠몬역(일본어: 学門駅[*])은 일본 와카야마 현 고보 시에 위치한 기슈 철도 기슈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9.가세다역 | ||||||
가세다역(일본어: 笠田駅, かせだ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이토군 가쓰라기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20.가미코사와역 | ||||||
가미코사와역(일본어: 上古沢駅)은 일본 와카야마현 이토군 구도야마정에 위치한 난카이 전기 철도 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NK 83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1.기이아리타역 | ||||||
기이아리타역(일본어: 紀伊有田駅, きいありた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히가시무로군 구시모토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22.기이우치하라역 | ||||||
기이우치하라역(일본어: 紀伊内原駅, きいうちはら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히다카군 히다카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23.기이우라가미역 | ||||||
기이우라가미역(일본어: 紀伊浦上駅, きいうらがみ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히가시무로군 나치카쓰우라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24.기이카쓰우라역 | ||||||
기이카쓰우라역(일본어: 紀伊勝浦駅, きいかつうらえき, Kii-katsuura-eki)은 일본 와카야마현 히가시무로군 나치카쓰우라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소토보 선의 가쓰우라역 (지바현 가쓰우라시)과 구분하기 위해 역명 앞에 "기이"를 붙였다. 나고아 역에서 온 특급 《와이드뷰 난키》, 덴노지역에서 온 특급 《구로시오》가 정차한다. | ||||||
25.기이카미야역 | ||||||
기이카미야역(일본어: 紀伊神谷駅)은 일본 와카야마현 이토군 고야정에 위치한 난카이 전기 철도 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NK 85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6.기이고보역 | ||||||
기이고보역(일본어: 紀伊御坊駅)은 일본 와카야마 현 고보 시에 위치한 기슈 철도 기슈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7.기이사노역 | ||||||
기이사노역(일본어: 紀伊佐野駅, きいさのえき, Kii-sano-eki)은 일본 와카야마현 신구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28.기이신조역 | ||||||
기이신조역(일본어: 紀伊新庄駅, きいしんじょう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다나베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29.기이타나베역 | ||||||
기이타나베역(일본어: 紀伊田辺駅, きいたなべ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다나베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다나베 시의 대표역으로, 특급 《구로시오》를 비롯한 모든 정기여객열차의 필수 정차역이다. 한와 선에서 직결 운행하는 열차들은 모두 이 역까지만 운행한다. 기세이 본선 (기노쿠니 선) 안에서도 보통 열차의 운행 계통이 나뉘는 역으로, 아침 시간대의 스사미발 와카야마행 1편을 제외하고는 모두 기이타나베 역에서 회차 운행을 한다. 기이타나베 역에서 와카야마역까지는 복선 구간이다. | ||||||
30.기이타하라역 | ||||||
기이타하라역(일본어: 紀伊田原駅, きいたはら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히가시무로군 구시모토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31.기이텐마역 | ||||||
기이텐마역(일본어: 紀伊天満駅, きいてんま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히가시무로군 나치카쓰우라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32.기이톤다역 | ||||||
기이톤다역(일본어: 紀伊富田駅, きいとんだ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니시무로군 시라하마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33.기이나가타역 | ||||||
기이나가타역(일본어: 紀伊長田駅, きいながた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기노카와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34.기이히키역 | ||||||
기이히키역(일본어: 紀伊日置駅, きいひき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니시무로군 시라하마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35.기이히메역 | ||||||
기이히메역(일본어: 紀伊姫駅, きいひめ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히가시무로군 구시모토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36.기이호소카와역 | ||||||
기이호소카와역(일본어: 紀伊細川駅)은 일본 와카야마현 이토군 고야정에 위치한 난카이 전기 철도 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NK 84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7.기이미야하라역 | ||||||
기이미야하라역(일본어: 紀伊宮原駅, きいみやはら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아리다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38.기이유라역 | ||||||
기이유라역(일본어: 紀伊由良駅, きいゆら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히다카군 유라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39.기리메역 | ||||||
기리메역(일본어: 切目駅, きりめ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히다카군 이나미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40.구시모토역 | ||||||
구시모토역(일본어: 串本駅, くしもと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히가시무로군 구시모토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특급 《구로시오》 호가 정차한다. 혼슈섬에서 좌표상 가장 남쪽에 있는 역이다. | ||||||
41.구도야마역 | ||||||
구도야마역(일본어: 九度山駅)은 일본 와카야마현 이토군 구도야마정에 위치한 난카이 전기 철도 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NK 80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2.고야산역 | ||||||
고야산역(일본어: 高野山駅)은 일본 와카야마현 이토군 고야정에 위치한 난카이 전기 철도 고사쿠 선의 철도역이자 종착역이다. 역 번호는 NK 87이며, 두단식 승강장 2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3.고야시타역 | ||||||
고야시타역(일본어: 高野下駅)은 일본 와카야마현 이토군 구도야마정에 위치한 난카이 전기 철도 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NK 81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4.고카와역 | ||||||
고카와역(일본어: 粉河駅, こかわ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기노카와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운행 지침 상의 경계역으로, 와카야마 방면에서 시발한 일부 열차가 회차한다. 또한, 하루에 왕복 2편만 운행하는 쾌속 열차가 정차하는 역으로, 고카와 역부터 하시모토 역까지는 각역에 정차한다. | ||||||
45.고쿠라쿠바시역 | ||||||
고쿠라쿠바시역(일본어: 極楽橋駅)은 일본 와카야마현 이토군 고야정에 위치한 난카이 전기 철도의 철도역이다. 난카이 고야 선과 고사쿠 선의 기.종착역 기능을 수행한다. 역 번호는 NK 86이며, 총 5면 5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46.고자역 | ||||||
고자역(일본어: 古座駅, Koza-Eki) 또는 코자역은 일본 와카야마현 히가시무로군 구시모토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한국어 뜻의 역의 이름으로 인해 고자라니 밈이나 고잔역과 엮이기도 한다. 특급 《구로시오》 호가 정차한다. | ||||||
47.고보역 | ||||||
고보역(일본어: 御坊駅, ごぼう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고보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와 기슈 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과 기슈 철도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기슈 철도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48.시모이사카역 | ||||||
시모이사카역(일본어: 下井阪駅, しもいさか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기노카와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49.시모코사와역 | ||||||
시모코사와역(일본어: 下古沢駅)은 일본 와카야마현 이토군 구도야마정에 위치한 난카이 전기 철도 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NK 82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50.시모사토역 | ||||||
시모사토역(일본어: 下里駅, しもさと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히가시무로군 나치카쓰우라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51.잘못된 제목 | ||||||
52.시라하마역 | ||||||
시라하마역(일본어: 白浜駅 시라하마에키[*])은 일본 와카야마현 니시무로군 시라하마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일본에서 가장 오래된 세 온천 중 하나인 난키시라하마 온천과 가깝다. 특급 《구로시오》 호가 필수 정차하며, 일부 구로시오 호는 이곳에서 오사카 방향으로 회차한다. 호쿠리쿠 본선 가가온센역과 자매결연했다. | ||||||
53.신구역 | ||||||
신구역(일본어: 新宮駅, Shingu-eki)은 일본 와카야마현 신구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역이다. JR 경계역의 하나로, 도카이 여객철도의 열차도 상호 운행한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다. | ||||||
54.스사미역 | ||||||
스사미역(일본어: 周参見駅, すさみ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니시무로군 스사미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55.다이지역 | ||||||
다이지역(일본어: 太地駅, 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56.다코역 | ||||||
다코역(일본어: 田子駅, たこ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히가시무로군 구시모토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57.다나미역 | ||||||
다나미역(일본어: 田並駅, たなみ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히가시무로군 구시모토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58.쓰바키역 | ||||||
쓰바키역(일본어: 椿駅, つばき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니시무로군 시라하마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59.도조지역 | ||||||
도조지역(일본어: 道成寺駅, どうじょうじ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고보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60.나카이부리역 | ||||||
나카이부리역(일본어: 中飯降駅, なかいぶり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이토군 가쓰라기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61.나치역 | ||||||
나치역(일본어: 那智駅, なち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히가시무로군 나치카쓰우라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특급 《구로시오》 호의 일부 임시열차가 정차한다.[1][2] | ||||||
62.나테역 | ||||||
나테역(일본어: 名手駅, なて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기노카와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63.니시카세다역 | ||||||
니시카세다역(일본어: 西笠田駅, にしかせだ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이토군 가쓰라기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64.니시고보역 | ||||||
니시고보역(일본어: 西御坊駅)은 일본 와카야마현 고보시에 위치한 기슈 철도 기슈 철도선의 철도역이다. 이 노선의 종착역이며,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5.하쓰시마역 | ||||||
하쓰시마역(일본어: 初島駅, はつしま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아리다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66.하야역 | ||||||
하야역(일본어: 芳養駅, はや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다나베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67.히로카와비치역 | ||||||
히로카와비치역(일본어: 広川ビーチ駅, ひろかわビーチ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아리다군 히로가와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68.후타고야마 신호장 | ||||||
후타고야마 신호장(일본어: 双子山信号場 후타고야마 신고조[*])은 일본 와카야마현 니시무로군 스사미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기세이 본선의 신호장이다. 열차의 교행을 위해 세워진 신호장이다. 1번선을 본선으로, 옆으로 꺾이는 2번선을 부본선으로 하며, 양쪽 선로에 쌍방향 출발신호기가 놓여있어 선로의 방향구분을 따로 하지 않는다. 덴노지 지령소에서 원격으로 조작하며, 매년 1번씩은 이곳에서 신구역과 시라하마역의 지령실이 합동으로 신호 조정 훈련을 한다. | ||||||
69.후나토역 | ||||||
후나토역(일본어: 船戸駅, ふなと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이와데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70.미나베역 | ||||||
미나베역(일본어: 南部駅, みなべ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히다카군 미나베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미나베 정의 중심역으로, 특급 《구로시오》 호의 일부 열차가 정차한다. | ||||||
71.미노시마역 | ||||||
미노시마역(일본어: 箕島駅, みのしま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아리다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아리다시의 대표역으로, 특급 《구로시오》 호의 일부가 정차한다. | ||||||
72.묘지역 | ||||||
묘지역(일본어: 妙寺駅, みょうじ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이토군 가쓰라기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73.미로즈역 | ||||||
미로즈역(일본어: 見老津駅, みろづ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니시무로군 스사미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74.미와사키역 | ||||||
미와사키역(일본어: 三輪崎駅, みわさきえき, Miwasaki-eki)은 일본 와카야마현 신구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75.유아사역 | ||||||
유아사역(일본어: 湯浅駅, ゆあさ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아리다군 유아사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유아사 정 뿐만 아니라 근처의 히로가와정의 중심지와도 가깝다. 특급 《구로시오》 호의 일부가 정차하며, 유아사 역에서 시종착하여 와카야마 역까지 운행하는 열차도 있다. | ||||||
76.유카와역 | ||||||
유카와역(일본어: 湯川駅, ゆかわ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히가시무로군 나치카쓰우라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77.와사역 | ||||||
와사역(일본어: 和佐駅, わさ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히다카군 히다카가와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78.와부카역 | ||||||
와부카역(일본어: 和深駅, わぶか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히가시무로군 구시모토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79.가이난역 | ||||||
가이난역(일본어: 海南駅, かいなん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가이난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가이난시의 대표역으로, 특급 《구로시오》 호 이하 모든 정기 여객열차가 필수 정차하는 역이다. | ||||||
80.가모고역 | ||||||
가모고역(일본어: 加茂郷駅, かもごう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가이난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옛 가이소군 시모쓰 정의 대표역이었다. | ||||||
81.구로에역 | ||||||
구로에역(일본어: 黒江駅, くろえ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가이난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82.시미즈우라역 | ||||||
시미즈우라역(일본어: 冷水浦駅, しみずうら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가이난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83.시모쓰역 | ||||||
시모쓰역(일본어: 下津駅, しもつえき,shimotsu-eki)은 일본 와카야마현 가이난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84.가무로역 | ||||||
가무로역(일본어: 学文路駅)은 일본 와카야마현 하시모토시에 위치한 난카이 전기 철도 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NK 79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85.기이시미즈역 | ||||||
기이시미즈역(일본어: 紀伊清水駅)은 일본 와카야마현 하시모토시에 위치한 난카이 전기 철도 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NK 78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86.기이야마다역 | ||||||
기이야마다역(일본어: 紀伊山田駅, きいやまだ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하시모토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87.기미토게역 | ||||||
기미토게역(일본어: 紀見峠駅)은 일본 와카야마현 하시모토시에 위치한 난카이 전기 철도 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NK 74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88.고야구치역 | ||||||
고야구치역(일본어: 高野口駅, こうやぐち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하시모토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89.스다역 | ||||||
스다역(일본어: 隅田駅, すだ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하시모토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90.미유키쓰지역 | ||||||
미유키쓰지역(일본어: 御幸辻駅)은 일본 와카야마현 하시모토시에 위치한 난카이 전기 철도 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NK 76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 ||||||
91.린칸덴엔토시역 | ||||||
린칸덴엔토시역(일본어: 林間田園都市駅)은 일본 와카야마현 하시모토시에 위치한 난카이 전기 철도 고야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NK 75이며, 섬식 승강장 2면 3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92.이소노우라역 | ||||||
이소노우라역(일본어: 磯ノ浦駅, いそのうら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에 있는 난카이 전기철도 가다 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NK44-6이다. | ||||||
93.가다역 | ||||||
가다역(일본어: 加太駅, かだ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에 있는 난카이 전기철도 가다 선의 종착역이다[1]. 역 번호는 NK44-7이다. 야간 체박도 존재한다. 와카야마 현의 최서단 역으로 긴키 지방의 대규모 사철[2][3]로 최서단에 위치하는 역이다. | ||||||
94.간도리 신호소 | ||||||
간도리 신호소(일본어: 梶取信号所, かんどりしんごうじょ)은 일본 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에 있는 난카이 전기철도 가다 선의 신호장이다. | ||||||
95.기이역 | ||||||
기이역(일본어: 紀伊駅, きいえき 키이에키[*])은 일본 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의 역이다. | ||||||
96.기이오구라역 | ||||||
기이오구라역(일본어: 紀伊小倉駅, きいおぐら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97.기이나카노시마역 | ||||||
기이나카노시마역(일본어: 紀伊中ノ島駅, きいなかのしまえき 키이나카노시마에키[*])은 일본 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의 역이다. | ||||||
98.기노카와역 | ||||||
기노카와역(일본어: 紀ノ川駅, きのかわ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에 있는 난카이 전기철도의 역이다. 역 번호는 NK44이다. | ||||||
99.기미이데라역 | ||||||
기미이데라역(일본어: 紀三井寺駅, きみいでら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100.기와역 (와카야마현) | ||||||
기와역(일본어: 紀和駅, きわえき, Kiwa-eki)은 일본 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간다. | ||||||
101.센다역 | ||||||
센다역(일본어: 千旦駅, せんだ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102.다이노세역 | ||||||
다이노세역(일본어: 田井ノ瀬駅, たいのせ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예전에는 한와 선의 기이나카노시마역과 기와 역을 지나, 난카이 본선 와카야마시역까지 대부분의 열차가 직결 운행했으나, 1974년 이 노선은 폐지되었다. | ||||||
103.나카마쓰에역 | ||||||
나카마쓰에역(일본어: 中松江駅, なかまつえ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에 있는 난카이 전기철도 가다 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NK44-2이다. | ||||||
104.니시노쇼역 | ||||||
니시노쇼역(일본어: 西ノ庄駅, にしのしょう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에 있는 난카이 전기철도 가다 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NK44-4이다. | ||||||
105.니리가하마역 | ||||||
니리가하마역(일본어: 二里ヶ浜駅, にりがはま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에 있는 난카이 전기철도 가다 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NK44-5이다. | ||||||
106.호시야역 | ||||||
호시야역(일본어: 布施屋駅, ほしや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107.미야마에역 | ||||||
미야마에역(일본어: 宮前駅, みやまえ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세이 본선이 지나가며, 기노쿠니 선 소속 열차들을 이용할 수 있다. | ||||||
108.무소타역 | ||||||
무소타역(일본어: 六十谷駅, むそたえき 무소타에키[*])은 일본 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의 역이다. | ||||||
109.와카야마역 | ||||||
와카야마역(일본어: 和歌山駅, わかやま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및 와카야마 전철의 역이다. 기세이 본선에서는 중간역에 해당하지만 운행 계통으로서는 한와 선과 기노쿠니 선 (신구 역 ~ 와카야마 역 간의 애칭)이 직결 운행하고 있어 와카야마 역 ~ 와카야마시역 간은 기세이 본선의 지선으로서 분리되어 구간 운전이 이루어지고 있다. 따라서 와카야마 시 방면과 고보·신구 방면의 이용은 와카야마 역에서 환승해야만 한다. 기세이 본선 와카야마 시 방면은 서일본 여객철도 오데카케 넷에서 소속역을 검색하면 기세이 본선 (와카야마 지선)으로 표기되어 있어 기노쿠니 선 구간과 명확히 구분되어 있지만 와카야마 선과의 혼동을 피하기 위해 안내 상에서는 이 명칭을 쓰지 않고 단순히 '기세이 선'으로만 안내하거나 명칭을 사용하지 않고 '기와·와카야마 시 방면'으로 안내하고 있다. | ||||||
110.와카야마코역 | ||||||
와카야마코역(일본어: 和歌山港駅, わかやまこうえき)은 일본 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에 있는 난카이 전기철도 와카야마코 선의 역이다. 역 번호는 NK45-1이다. | ||||||
111.와카야마시역 | ||||||
와카야마시역(일본어: 和歌山市駅, わかやましえき, Wakayamashi-eki)은 일본 와카야마현 와카야마시에 있는, 난카이 전기 철도와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난카이 전기 철도의 난카이 본선·와카야마코 선, 기세이 본선(기노쿠니 선)이 지나가며, 세 노선의 열차들 뿐만 아니라 난카이 전기 철도 가다 선의 열차들도 이용할 수 있다. 난카이 본선과 기세이 본선, 와카야마코 선의 시종점이다. 세 노선의 모든 정기열차가 필수 정차한다. 또 난카이 본선의 대부분의 열차들은 난바 방면으로 회차하지만, 특급 《서던》 호의 일부는 와카야마코 역까지 직결 운행한다. | ||||||
112.와카야마다이가쿠마에 | ||||||
113.시마다섬 | ||||||
시마다섬(島田島)은 일본 시코쿠 도쿠시마현의 여러 섬들 중 하나이다. 이 섬은 오게섬, 시코쿠와 연결되어 있다. 이 섬은 오게섬의 북서쪽에 위치한다. | ||||||
114.도모노우라 | ||||||
도모노우라(일본어: 鞆の浦)는 일본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 누마쿠마 반도 남단에 있는 항구와 그 주변 해역을 말한다. 도모노우라 주변은 1925년에 국가 명승 도모 공원(鞆公園)으로 지정되었다. 또한 1934년 3월 16일에 국립 공원으로 최초의, 세토나이카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2008년 공개된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벼랑 위의 포뇨》에서 구상한 땅으로 유명해졌으며, 영화 · 드라마 등 영상 작품의 촬영장소로 잘 이용되고 있다.[1][2][3] 2017년 11월에는 후쿠야마시 도모초 전통적 건조물군 보존 지구의 명칭으로 8.6 헥타르의 지역이 중요 전통적 건조물 군 보존 지구로 선정되었다. | ||||||
115.와카야마현 | ||||||
와카야마현(일본어: 和歌山県, 문화어: 와까야마 현)은 일본 긴키 지방 남부에 있는 현이며 현청 소재지는 와카야마시이다. 2010년 8월에 100만 명 선이 붕괴된 이후 현재까지 긴키 지방에서 유일하게 인구 100만 명 미만인 현으로 남게 되었다. | ||||||
116.와카야마시 | ||||||
와카야마시(일본어: 和歌山市)는 와카야마현 북부에 위치하는 시이자 현청 소재지이다. 1997년에 중핵시로 지정되었다. 에도 시대에는 도쿠가와 이에야스의 아들을 시조로 한 와카야마 번(기이 번 또한 기슈 번이라고도 함)이 통치했고, 에도 막부 제8대 장군 도쿠가와 요시무네와 제14대 장군 도쿠가와 이에모치는 와카야마 번의 출신이다. 시의 면적은 와카야마 현 전체의 약 4%에 불과하지만 인구는 현 전체의 약 40%를 차지한다. 그러나 최근에는 중심 시가지가 쇠퇴하고 있으며 시의 총 인구도 감소하고 있다. | ||||||
117.가이난시 | ||||||
가이난시(일본어: 海南市)는 와카야마현 북부 연안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기슈 칠기의 산지로 알려져 있고, 가이소군 남부에 위치하는 것 때문에 1934년에 시가 성립되면서 이 명칭이 붙었다. 2005년 4월 1일에 기존의 가이난시가 시모쓰정이 합병해 탄생했고 새로운 시명도 가이난시가 성립되었다. | ||||||
118.하시모토시 | ||||||
하시모토시(일본어: 橋本市)는 와카야마현 북동부에 위치한 시이다. 기노강 중류역으로 이전에는 재목 운반과 고야산의 역참 마을로서 번창했고 현재는 오사카의 주택 지역으로서 인구가 증가하고 있다. 동서축의 게이나와 자동차도, 하시모토 도로 및 국도 24호선과 남북축의 국도 371호선, 하시모토 우회도로가 시내 중심부에서 교차해 교통의 요충지로서의 발전이 기대되고 있다. 매년 8월 15일에 열리는 "기노카와 잔치"에서는 불꽃이 밤하늘을 태워 많은 사람으로 떠들썩하다. 또 10월 중순에 행해지는 시내 3사의 가을 축제에서는 장식한 수레가 시내를 행진한다. 2006년 3월 1일에 하시모토 시와 고야구치 정이 합병해 탄생해 새로운 하시모토 시가 되었다. | ||||||
119.아리다시 | ||||||
아리다시(일본어: 有田市)는 와카야마현 중부에 위치한 시이다. 예전에는 아리다군에 속했다. | ||||||
120.고보시 | ||||||
고보시(일본어: 御坊市)는 와카야마현 중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와카야마 현 기추·히다카 지역의 핵심 도시이다. 또 구마노 고도에도 위치한다. | ||||||
121.다나베시 | ||||||
다나베시(일본어: 田辺市)는 긴키 지방의 남부, 와카야마현 중남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현재의 다나베 시는 2005년 5월 1일에 옛 다나베 시, 류진 촌, 나카헤치 정, 오토 촌, 혼구 정의 신설 합병에 의해서 성립해 긴키에서 최대 면적을 자랑하는 시이다. | ||||||
122.신구시 | ||||||
신구시(일본어: 新宮市)는 일본 와카야마현 남부, 구마노 강(일본어판) 하구에 있는 도시이다. 예전에는 히가시무로군에 속했다. 구마노 강의 하구의 서쪽에 있으며, 구마노 3산의 하나인 구마노하야타마타이샤의 몬젠 정으로 번성하였다. 또 구마노 본궁 타이샤의 입구로서 구마노 강의 배의 교통을 이용한 목재의 집산지이기도 했다. 현재에도 구마노 지방(옛 모루 군)의 중심적인 도시의 하나이다. 1942년에 시로 승격해 신구 시가 성립하였고 2005년에 실시된 히가시무로 군 구마노가와 정과의 합병에 의해 새로운 신구 시가 성립했다. | ||||||
123.기노카와시 | ||||||
기노카와시(일본어: 紀の川市)는 와카야마현 북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2005년 11월 7일, 나가군(那賀郡)의 우치타정(打田町), 고카와정(粉河町), 나가정(那賀町), 모모야마정(桃山町), 기시가와정(貴志川町)이 통합하여 인구 7만명의 시로서 탄생했다. 에도 시대에 세계에서 처음으로 전신 마취에 의한 수술에 성공한 의사 하나오카 세이슈(華岡青洲)의 출신지로서 알려지고 있다. | ||||||
124.이와데시 | ||||||
이와데시(일본어: 岩出市)는 와카야마현 북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2006년 4월 1일, 나가 군(那賀郡) 이와데 정(岩出町)이 일본 지방자치법의 시 승격 요건을 충족함으로써 시로 승격되었다. 원래 나가 군의 중심 지역이었으나 나가 군에 속해 있던 다른 5개 자치단체는 2005년 11월 7일에 통합하여 기노카와시가 되었다. 한편 이와데 정은 최근 와카야마시나 오사카시의 위성 도시로서 인구가 증가함으로써 통합하지 않고 단독으로 시 승격을 하게 되었다. | ||||||
125.기미노정 | ||||||
기미노정(일본어: 紀美野町)은 와카야마현 중부에 있는 가이소군의 정이다. 2006년 1월 1일에 노카미정과 미사토정이 합병해 탄생했다. | ||||||
126.가쓰라기정 | ||||||
가쓰라기정(일본어: かつらぎ町)은 와카야마현 이토군의 정이다. 이즈미 산맥에 접하는 하시모토시에서 와카야마시까지의 와카야마 현 북부 지역에서는 유일한 정이지만 농업 분야에서는 긴키 지방 전역에서도 유수한 규모이며 연중 여러 가지 과일이 재배되고 있다. 또 이즈미 산맥을 사이로 인접하는 오사카부 이즈미시의 우호 도시로서도 알려져 있다. | ||||||
127.구도야마정 | ||||||
구도야마정(일본어: 九度山町)은 와카야마현 북부에 있는 이토군의 정이다. | ||||||
128.고야정 | ||||||
고야정(일본어: 高野町)은 와카야마현 이토군의 정이다. 고야산 진언종의 성지 고야산을 중심으로 하는 정이다. 귀중한 문화재, 건조물, 명소가 많이 존재하며 2004년에는 기이 산지의 영지와 참예도로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록되어 일본 뿐만 아니라 전 세계로부터 많은 관광객이 방문하고 있다. | ||||||
129.유아사정 | ||||||
유아사정(일본어: 湯浅町)은 와카야마현 아리다군의 정이다. 간장이나 감귤류를 생산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 ||||||
130.히로가와정 | ||||||
히로가와정(일본어: 広川町)은 와카야마현 중북부에 있는 아리다군의 정이다. | ||||||
131.아리다가와정 | ||||||
아리다가와정(일본어: 有田川町)은 와카야마현 중앙부에 있는 아리다군의 정이다. 2006년 1월 1일, 가나야 정, 기비 정, 시미즈 정이 합병해 탄생했다. | ||||||
132.미하마정 (와카야마현) | ||||||
미하마정(일본어: 美浜町)은 와카야마현 히다카군의 정이다. 와카야마 현의 중부, 히다카 군의 서단에 위치해 기이 수도에 접하고 있다. 면적은 와카야마 현내에서 다이지정에 이어 좁은 정이다. 정의 동부는 히다카 평야의 일부로 중심가가 되고 있다. 서부는 엔쥬카이겐 현립 자연공원으로 지정되어 있다. | ||||||
133.히다카정 (와카야마현) | ||||||
히다카정(일본어: 日高町)은 와카야마현 히다카군의 정이다. | ||||||
134.유라정 | ||||||
유라정(일본어: 由良町)은 와카야마현 중앙부에 있는 히다카군의 정이다. | ||||||
135.이나미정 (와카야마현) | ||||||
이나미정(일본어: 印南町)은 와카야마현 히다카군의 정이다. | ||||||
136.미나베정 | ||||||
미나베정(일본어: みなべ町)은 와카야마현 히다카군의 정이다. 2004년 10월 1일 옛 미나베 정(南部町)과 미나베가와 촌이 합병해 와카야마 현내에서 제일 최근에 탄생한 정이 되었다. | ||||||
137.히다카가와정 | ||||||
히다카가와정(일본어: 日高川町)은 와카야마현 중부에 있는 히다카군의 정이다. 2005년 5월에 옛 가와베 정, 나카쓰 촌, 미야마 촌이 합병해 탄생했다. 히다카가와 정의 이름은 이들 정촌을 공통으로 흐르는 히다카 강에서 유래한다. 옛 가와베 정 지역에서는 귤을 비롯한 농업이 왕성하다. 옛 나카쓰 촌, 미야마 촌은 임업이 중심으로, 숯의 생산량은 일본 제일이다. | ||||||
138.시라하마정 | ||||||
시라하마정(일본어: 白浜町)은 와카야마현 니시무로군의 정이다. 지바현 등에도 시라하마라는 지명이 있어서 난키시라하마(南紀白浜)라고 불리기도 한다. 예부터 온천 마을로 유명했다. | ||||||
139.가미톤다정 | ||||||
가미톤다정(일본어: 上富田町)은 와카야마현 니시무로군의 정이다. | ||||||
140.스사미정 | ||||||
스사미정(일본어: すさみ町)은 와카야마현 니시무로군의 정이다. 가다랑어 고기잡이와 "겐켄 선"으로 알려져 있으며 근세에는 구마노 지역 일대의 중심부가 된 적도 있었다. | ||||||
141.나치카쓰우라정 | ||||||
나치카쓰우라정(일본어: 那智勝浦町)은 와카야마현 히가시무로군의 정이다. 유네스코 세계유산인 기이 산지의 영지와 참예도의 구마노 지역에 해당해 기이반도에서 유수한 관광지로서 많은 관광객이 방문한다. | ||||||
142.다이지정 | ||||||
다이지정(일본어: 太地町)은 와카야마현 히가시무로군의 정이다. 예부터 포경으로 전국적으로 알려진 마을로 일본의 전통 방식의 포경 발상지이다. 1889년에 성립된 이래 합병없이 그대로 남아있기 때문에 면적이 와카야마 현에서 제일 작고 그 전역이 바다와 나치카쓰우라정에 둘러싸여 있다. 그 때문에 "난키의 작은 어촌"의 분위기가 있다. | ||||||
143.고자가와정 | ||||||
고자가와정(일본어: 古座川町)은 와카야마현 히가시무로군의 정이다. 기이반도 남방의 산간부에 위치하는 정으로 고자가와재가 자라는 등 임업이 번성하고 있다. | ||||||
144.기타야마촌 | ||||||
기타야마촌(일본어: 北山村)은 와카야마현 중앙부에 있는 히가시무로군의 정이다. 와카야마 현에 속하면서 나라현과 미에현에 둘러싸여 있고, 와카야마 현 본토와는 접하지 않는 월경지이다. 일본에서 주위가 다른 도도부현으로 둘러싸인 월경지 자체가 하나의 시정촌급 자치단체를 형성한 경우는 이 곳이 유일하다.헤이세이의 대합병으로 다른 촌이 소멸한 결과 와카야마 현에서 유일한 촌이 되었다. | ||||||
145.구시모토정 | ||||||
구시모토정(일본어: 串本町)은 와카야마현 히가시무로군의 정이다. 2005년 4월 1일, 니시무로군 구시모토 정과 히가시무로 군 고자 정이 신설 합병하여 새로운 "구시모토 정"이 되었다. 옛 구시모토 정은 니시무로 군에 속하고 있었으나 광역 행정, 경제면 등에서 신구시·히가시무로 군과의 관계가 강했기 때문에 합병에 동시에 소속군이 히가시무로 군으로 바뀌었다. | ||||||
146.고야산 | ||||||
고야산(일본어: 高野山)은 와카야마현 이토군 고야정에 있는 높이 1000m 전후의 산들의 총칭이다. 헤이안 시대인 819년 경에 홍법대사 구카이의 수행 장소로서 시작된 고야 산 진언종의 본거지로 히에이 산과 함께 일본 불교의 성지이다. 현재는 "단상가람"(壇上伽藍)으로 불리는 근본 도장을 중심으로 하는 종교 도시를 형성하고 있다. 산내의 사원 수는 고야 산 진언종의 총본산인 곤고부지를 포함해 117개에 이르고 그 약 반수가 슈쿠보(宿坊, 수행 중인 승려가 숙박하는 건물)를 겸하고 있다. 2004년 7월 7일, 구마노, 요시노・오미네와 함께 기이 산지의 영지와 참예도로서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록되었다. | ||||||
147.터키 기념관 | ||||||
터키 기념관(일본어: トルコ記念館, 튀르키예어: Türk Müzesi)은 일본 와카야마현 구시모토정 기이오시마 섬에 위치한 박물관이다. 1890년 9월 16일에 기이오시마 섬 앞바다에서 조난한 오스만 제국의 에르튀그룰 호 모형과 승무원의 유품 외에도 터키 정부로부터 기증된 물건들을 전시하고 있다. | ||||||
148.기노카와강 | ||||||
기노카와강(紀の川)은 일본 나라현과 와카야마현을 흐르는 강이다. 나라현에서는 요시노강(吉野川)으로 불린다. 오다이가하라산에서 발원해 서쪽으로 흘러 와카야마시의 바다로 흘러든다. 나라현과 미에현의 경계는 수원으로 지정되어있다. 우기에는 충적 평야를 형성한다. 강은 종종 유로를 변경해 빈번한 홍수를 일으킨다. 풍부한 물은 인간 정착에 유리했다. 고야산 지역은 고카와 사, 미쓰이 사의 힘이 강력해 오다 노부나가가 등장할 때까지는 중앙 권력이 미치지 못했다. 기노가와강은 소설가 아리요시 사와코의 소설 제목이기도 하다. 서일본 여객철도 와카야마선이 강을 따라 달린다. | ||||||
149.자바리 | ||||||
자바리(영어: longtooth grouper, 일본어: 垢穢 쿠에[*], 학명: Epinephelus bruneus)는 농어목 바리과에 속하는 바닷물고기다. 자란고기의 몸길이는 60cm 정도지만 드물게 몸길이 1.3m에 몸무게 30kg에 달하는 대형개체가 잡힌다. 고급 식재로 취급돼 낚시 대상으로도 인기가 높다. 제주도 및 남해에 분포해있다.그 밖에도 일본남부, 중국, 필리핀에도 분포해 있다. 야행성이며 작은 어류,오징어를 먹고 산다. 산란기는 8~10월이다. 한반도생물자원포털 자바리 | ||||||
150.고마도후 | ||||||
고마도후(일본어: 胡麻豆腐→참깨두부)는 일본의 음식이다.[1] "두부"라 부르지만 콩 대신 참깨로 만든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