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오카야마성 | ||||||
오카야마성(일본어: 岡山城)은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에 있는 평산성으로 국가지정 사적이다. 다른 이름으로 우성(烏城), 긴우성(金烏城)이다. 에도 시대에는 오카야마번의 번청으로 사용되었다. | ||||||
2.잘못된 제목 | ||||||
3.기노성 | ||||||
기노성(일본어: 鬼ノ城, きのじょう)은 일본 오카야마현 소자시에 있는 신농석식(神籠石) 산성이다. 1986년 국가 사적으로 등록되었다. 663년 백강 전투에서 일본-백제 연합군이 패한 후, 당, 신라의 침공에 대비해 축성했다고 여겨진다. 니혼쇼키(日本書紀) 등에는 서일본의 요충지에 오노성 등 12개의 백제식 산성을 축성했다는 기록이 있고, 기노 성도 이 방위시설 중 하나라고 추측된다.그러나 어느 역사서에도 일체 기록이 없고, 축성 시기가 백강 전투 시점하고는 부합되지 않는 등, 아직 명확하게 이렇다 저렇다고 말할 수 없는 미지의 산성이다. 사서에 기재가 없고, 상기에 말했던 12개의 백제식 산성에 해당되지 않는 것을 신농석식 산성이라고 부른다. | ||||||
4.쓰야마성 | ||||||
쓰야마성(일본어: 津山城 쓰야마조[*])은 일본 오카야마현 쓰야마시에 있는 평산성이다. 다른이름으로는 쓰루야마 성(鶴山城)이다. 1963년 국가 지정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 ||||||
5.덴진 산성 (오카야마현) | ||||||
덴진 산성(일본어: 天神山城 덴진야마조[*])은 오카야마현 와케군 와케정에 있는 산성이다. 오카야마 현 사적으로 지정되었다. | ||||||
6.아와쿠라온센역 | ||||||
아와쿠라온센역(일본어: あわくら温泉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미마사카시에 위치한 지즈 급행 지즈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우노역 | ||||||
우노역(일본어: 宇野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다마노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우노 선의 철도역이다. 이 노선의 종착역이며,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8.오도미역 | ||||||
오도미역(일본어: 大富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세토우치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아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9.오하라역 (오카야마현) | ||||||
오하라역(일본어: 大原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미마사카시에 위치한 지즈 급행 지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다. | ||||||
10.오쿠역 (오카야마현) | ||||||
오쿠역(일본어: 邑久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세토우치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아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오사후네역 | ||||||
오사후네역(일본어: 長船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세토우치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아코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오바라역 (오카야마현) | ||||||
오바라역(일본어: 小原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구메군 미사키정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쓰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3.가사오카역 | ||||||
가사오카역(일본어: 笠岡駅 카사오카에키[*])은 일본 오카야마현 가사오카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의 역이다. | ||||||
14.가쓰마다역 | ||||||
가쓰마다역(일본어: 勝間田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가쓰타군 쇼오정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기신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5.가메노코역 | ||||||
가메노코역(일본어: 亀甲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구메군 미사키정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쓰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6.가모가타역 | ||||||
가모가타역(일본어: 鴨方駅 카모가타에키[*])은 일본 오카야마현 아사쿠치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의 역이다. 아사쿠치 시의 중심역이다. | ||||||
17.기노야마역 | ||||||
기노야마역(일본어: 木野山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다카하시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하쿠비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8.기요네역 | ||||||
기요네역(일본어: 清音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소자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 이바라 철도의 철도역이다. 하쿠비 선과 이바라 철도 이바라 선의 2개 노선이 운행하고 있으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19.구구하라역 | ||||||
구구하라역(일본어: 久々原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쓰쿠보군 하야시마정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우노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0.구세역 | ||||||
구세역(일본어: 久世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마니와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기신 선의 철도역이다. 서일본 여객철도 기신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1.구마야마역 | ||||||
구마야마역(일본어: 熊山駅 구마야마에키[*])은 일본 오카야마현 아카이와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소속 철도역이며, 산요 본선의 정차역이다.서일본 여객철도 직영역이며, 아카이와시의 유일한 철도역이다. | ||||||
22.고케이역 | ||||||
고케이역(일본어: 豪渓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소자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하쿠비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23.고우메역 | ||||||
고우메역(일본어: 神目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구메군 구메난정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쓰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4.고미역 (오카야마현) | ||||||
고미역(일본어: 古見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마니와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기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5.곤코역 | ||||||
곤코역(일본어: 金光駅 콘코우에키[*])은 일본 오카야마현 아사쿠치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의 역이다. | ||||||
26.사토쇼역 | ||||||
사토쇼역(일본어: 里庄駅 사토쇼우에키[*])은 일본 오카야마현 아사쿠치군 사토쇼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의 역이다. | ||||||
27.소자역 | ||||||
소자역(일본어: 総社駅, そうじゃえき)는 일본 오카야마현 소자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 이바라 철도의 철도역이다.JR 서일본 하쿠비 선의 소속역이며, 이 역을 기점으로 하는 기비 선과 그리고, 이바라 철도에서는 이 역을 시.종착으로 하는 이바라 철도 이바라 선 등의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 ||||||
28.단조지역 | ||||||
단조지역(일본어: 誕生寺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구메군 구메난정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쓰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29.주고쿠카쓰야마역 | ||||||
주고쿠카쓰야마역(일본어: 中国勝山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마니와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기신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0.쓰키다역 | ||||||
쓰키다역(일본어: 月田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마니와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기신 선의 철도역이다.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1.쓰네야마역 | ||||||
쓰네야마역(일본어: 常山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다마노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우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2.도미하라역 | ||||||
도미하라역(일본어: 富原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마니와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기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3.나라하라역 | ||||||
나라하라역(일본어: 楢原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미마사카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기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4.니시아와쿠라역 | ||||||
니시아와쿠라역(일본어: 西粟倉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아이다군 니시아와쿠라촌에 위치한 지즈 급행 지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5.니시카쓰마다역 | ||||||
니시카쓰마다역(일본어: 西勝間田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가쓰타군 쇼오정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기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6.하치하마역 | ||||||
하치하마역(일본어: 八浜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다마노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우노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7.핫토리역 (오카야마현) | ||||||
핫토리역(일본어: 服部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소자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기비 선의 철도역이다.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8.하야시노역 | ||||||
하야시노역(일본어: 林野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미마사카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기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39.하야시마역 | ||||||
하야시마역(일본어: 早島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쓰쿠보군 하야시마정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우노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0.히가시소자역 | ||||||
히가시소자역(일본어: 東総社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소자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기비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1.비젠타이역 | ||||||
비젠타이역(일본어: 備前田井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다마노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우노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2.빗추카와모역 | ||||||
빗추카와모역(일본어: 備中川面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다카하시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하쿠비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3.빗추타카하시역 | ||||||
빗추타카하시역(일본어: 備中高梁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다카하시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하쿠비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44.빗추히로세역 | ||||||
빗추히로세역(일본어: 備中広瀬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다카하시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하쿠비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5.히와역 | ||||||
히와역(일본어: 日羽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소자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하쿠비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6.호코쿠역 | ||||||
호코쿠역(일본어: 方谷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다카하시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하쿠비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7.미나기역 | ||||||
미나기역(일본어: 美袋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소자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하쿠비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48.미마사카에미역 | ||||||
미마사카에미역(일본어: 美作江見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미마사카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기신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49.미마사카오이와케역 | ||||||
미마사카오이와케역(일본어: 美作追分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마니와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기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50.미마사카오치아이역 | ||||||
미마사카오치아이역(일본어: 美作落合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마니와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기신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51.미마사카도이역 | ||||||
미마사카도이역(일본어: 美作土居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미마사카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기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52.미야모토무사시역 | ||||||
미야모토무사시역(일본어: 宮本武蔵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미마사카시에 위치한 지즈 급행 지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53.유게역 | ||||||
유게역(일본어: 弓削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구메군 구메난정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쓰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54.오다라역 | ||||||
오다라역(일본어: 大多羅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히가시구에 위치하는 서일본 여객철도 아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55.사이다이지역 | ||||||
사이다이지역(일본어: 西大寺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히가시구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아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56.조토역 (오카야마현) | ||||||
조토역(일본어: 上道駅 죠우토우에키[*])은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히가시구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소속 철도역이며, 산요 본선의 정차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구조의 2면 2선이며, 지상역 구조이다. 분기 혹은 신호기 역할을 하며, 정류소로 분류된다. 남쪽 양방향으로부터 출입이 가능하며, 개찰구는 1개밖에 없다. 플랫폼은 넓지 않은 편이다. | ||||||
57.세토역 | ||||||
세토역(일본어: 瀬戸駅 세토에키[*])는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히가시구에 있는 서일본여객철도 산요 본선의 철도역이다. | ||||||
58.다카시마역 | ||||||
다카시마역(일본어: 高島駅 타카시마에키[*])은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나카구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소속 철도역이며, 산요 본선의 정차역이다. 상대식 2면 2선의 홈을 가지는 지상역. 산요신칸센의 고가 사이에 있다. 역사는 히메지 방면 측에 있어, 반대측의 오카야마 방면에는 과선 사이 다리서 연락하고 있다. 구내에는 절대 신호기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정류소로 분류된다. | ||||||
59.니시가와라역 | ||||||
니시가와라역(일본어: 西川原駅 니시가와라에키[*])은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나카구 니시가와라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JR서일본) 산요 본선의 역이다. 이 역은 슈지쓰 대학, 슈지쓰 단기 대학을 운영하는 학교법인 슈지쓰(就実)학원이 역 설치 비용 전액을, 오카야마 시가 역의 주변 정비 비용을 각자 부담해서 설치하였다. 노선 명칭상으로는 산요본선 단독역이지만 운전계통상 아코 선 열차도 들어오며 당 역에 정차한다. 역명은 JR서일본측은 지명인 ‘니시가와라(西川原)’를, 니시가와라 지역 주민과 슈지쓰 학원측은 ‘슈지쓰 대학 앞(就実大前)’을 주장하였고, 역 설치 협의가 난항을 겪었던 점을 들어 시간표, 운임, 노선도에 표시되는 정식 명칭은 ‘니시가와라’로 같은 역의 역사나 홈 내에서의 역명표시, 열차 차내 방송에서는 ‘니시가와라·슈지쓰’로 나온다. | ||||||
60.히가시오카야마역 | ||||||
히가시오카야마역(일본어: 東岡山駅 히가시오카야마에키[*])는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나카구에 있는 역이다. | ||||||
61.만토미역 | ||||||
만토미역(일본어: 万富駅 만토미에키[*])은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소속 철도역이다. 산요 본선의 정차역이다. 단 · 섬식 구조를 가진 2면 3선의 복합 승강장 구조를 가진 지상역이다. | ||||||
62.아시모리역 | ||||||
아시모리역(일본어: 足守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기타구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기비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3.오모토역 | ||||||
오모토역(일본어: 大元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기타구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우노 선의 철도역이다. 우노 방면으로 향하는 우노미나토 선과, 혼시비산 선으로 직통하는 세토 대교선의, 양방향 애칭구간에 포함된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 ||||||
64.오카야마역 | ||||||
오카야마역(일본어: 岡山駅 오카야마에키[*])는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역이다. 오카야마 시내에 있는 역 중 가장 많은 노선이 접속하는 역으로, 도쿄역에서는 영업 거리로 732.9 km 떨어져 있다. 산요 신칸센의 모든 열차가 정차하며, 시코쿠, 산인 방면으로 운행하는 특급 열차들도 시종착한다. 역장이 배치된 직영역으로, 산요 본선의 니시가와라역, 기비 선의 비젠미카도역 ~ 비젠타카마쓰 역 구간의 모든 역, 쓰야마 선의 후쿠와타리역 ~ 호카이인역 구간의 모든 역을 관리하고 있다. | ||||||
65.니시오카야마역 | ||||||
니시오카야마역(일본어: 西岡山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기타구에 위치한 일본화물철도 소속 철도역이며, 산요 본선에 속한다. 산인 방면 과는 분기 지점이기도 하며, 미즈시마 임해 철도 고토 선 히가시미즈시마 역, 산요 본선의 히가시후쿠야마역과의 중계 역으로서 가능하다. 이를 위해 역 구내는 넓다. | ||||||
66.기타나가세역 | ||||||
기타나가세역(일본어: 北長瀬駅 키타나가세에키[*])은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기타구에 위치 한 서일본 여객철도 소속 철도역이며, 산요 본선의 정차역이다. 상대식 홈 2면 2선의 구조인 선상 역사. 분기기나 절대 신호기를 가지지 않기 때문에, 정류소로 분류된다. 구라시키역이 관리해, JR 서일본 오카야마 지사가 역 업무를 위탁하는 철도역이다. 발권 창구 설치역(영업 시간은7:00-20:00까지)에서, ICOCA 및 상호 이용 대상 IC카드도 이용 가능.개찰외에 ICOCA 입금기 설치. 자동 개찰기는 간이식 이므로, 하차객의 승차권은 역 계원이 집찰을 실시한다(창구 영업 시간외는 개찰기 뒤편의 집찰상자에 승차권을 투입한다). 또한 창구 영업 시간외의 경우에서도 특별 개찰로 역무원이 파견되어 집찰하는 일이 있다. | ||||||
67.기비쓰역 | ||||||
기비쓰역(일본어: 吉備津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기타구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기비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8.다이안지역 | ||||||
다이안지역(일본어: 大安寺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기타구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기비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69.다케베역 | ||||||
다케베역(일본어: 建部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기타구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쓰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0.다마가시역 | ||||||
다마가시역(일본어: 玉柏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기타구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쓰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1.니와세역 | ||||||
니와세역(일본어: 庭瀬駅 니와세에키[*])은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기타구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소속 철도역이며, 산요 본선의 정차역이다. 노선 명칭상으로 산요 본선 단독역이며, 운행 계통 상 하쿠비 선 열차도 통과 한다. 상대식 2면 2선의 홈을 가지는 지상역이며, 상하선의 사이에는 홈이 없는 대기선(중선)이 1개 존재하고 있다.구라시키역의 피관리격인 직영역으로, 2007년(헤이세이 19년)에 자동 개찰화되었다. 또, 2008년(헤이세이 20년) 12월 13일에 내리막 홈 측에도 개찰구(남쪽 출입구)가 설치된 이것에 의해, 니와세 역 남측으로부터 건널목을 건너지 않아도 당역에 왕래할 수 있다. 2008년(헤세이 20년) 3월의 다이어 개정에 맞추어 상행선 플랫폼 전체의 인상 공사를 했다. 또, 전철의 정차 위치가 이전보다 오카야마 역 가까이로 변경되었다. 덧붙여 건널목에는 엘리베이터가 설치되어 있다. ICOCA 이용 가능역. 자동 개찰기는 북쪽 출입구에서는 개·폐식이지만, 당역 개업 후에 설치된 남쪽 출입구에서는 간이식이 되고 있다. 보통 승차권으로 남쪽 출입구에서 출장하는 경우는 개찰기 뒤편의 집찰상자에 승차권을 투입한다. | ||||||
72.노노쿠치역 | ||||||
노노쿠치역(일본어: 野々口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기타구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쓰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3.비젠이치노미야역 | ||||||
비젠이치노미야역(일본어: 備前一宮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기타구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기비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4.비젠하라역 | ||||||
비젠하라역(일본어: 備前原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기타구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쓰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5.비젠미카도역 | ||||||
비젠미카도역(일본어: 備前三門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기타구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기비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6.빗추타카마쓰역 | ||||||
빗추타카마쓰역(일본어: 備中高松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기타구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기비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7.후쿠와타리역 | ||||||
후쿠와타리역(일본어: 福渡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기타구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쓰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1면 1선과 섬식 1면 2선의 구조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78.호카이인역 | ||||||
호카이인역(일본어: 法界院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기타구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쓰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79.마키야마역 | ||||||
마키야마역(일본어: 牧山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기타구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쓰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80.야나가와 정류장 | ||||||
니시카와 녹도 공원 정류장(柳川停留所)는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기타구에 있는 오카야마 전기 궤도 히가시야마 본선의 정류장. 역번호는 히가시야마 본선이 H03, 세이키바시 선이 S03. 섬식 홈 1면 2선. 당역에서 히가시야마 본선과 세이키바시 선이 나뉜다 | ||||||
81.우에마쓰역 | ||||||
우에마쓰역(일본어: 植松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미나미구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혼시비산 선 (세토 대교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 ||||||
82.세노오역 | ||||||
세노오역(일본어: 妹尾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미나미구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우노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83.하자카와역 | ||||||
하자카와역(일본어: 迫川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미나미구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우노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84.히코사키역 | ||||||
히코사키역(일본어: 彦崎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미나미구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우노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85.비젠카타오카역 | ||||||
비젠카타오카역(일본어: 備前片岡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미나미구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우노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86.비젠니시이치역 | ||||||
비젠니시이치역(일본어: 備前西市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미나미구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우노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87.빗추미시마역 | ||||||
빗추미시마역(일본어: 備中箕島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오카야마시 미나미구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우노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88.가미노초역 | ||||||
가미노초역(일본어: 上の町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구라시키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혼시비산 선 (세토 대교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 ||||||
89.기미역 | ||||||
기미역(일본어: 木見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구라시키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혼시비산 선 (세토 대교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 ||||||
90.구라시키역 | ||||||
구라시키역(일본어: 倉敷駅)는 일본 오카야마현 구라시키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 ||||||
91.고지마역 | ||||||
고지마역(일본어: 児島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구라시키시에 위치한 역이다. 혼시비산 선의 역으로 서일본 여객철도과 관할하고 있다. 이 역의 다음역인 우타즈역은 세토 대교를 건너에 있으며, 시코쿠 여객철도가 관할하고 있다. | ||||||
92.신쿠라시키역 | ||||||
신쿠라시키역(일본어: 新倉敷駅 신쿠라시키에키[*])는 일본 오카야마현 구라시키시에 있는 역이다. | ||||||
93.자야마치역 | ||||||
자야마치역(일본어: 茶屋町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구라시키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우노 선의 소속역이며, 이 역을 기점으로 하는 혼시비산 선등 2개의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고가역이다. | ||||||
94.나카쇼역 | ||||||
나카쇼역(일본어: 中庄駅 나카쇼우에키[*])은 일본 오카야마현 구라시키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소속 철도역이며, 산요 본선의 정차역이다. 노선 명칭상으로는 산요 본선 단독 정차역이지만, 운행 계통상 하쿠비 선 열차도 정차한다. 단식 · 섬식의 복합형 2면 3선의 플랫폼을 가지는 선상 역사를 가진다. 1번 승강장이 단식, 2·3번 승강장이 섬식 홈이다. 상행선은 1번 승강장, 하행선은 3번 승강장이 되고 있어 중선인 2번 승강장은 정기 여객 열차는 정차하지 않고, 마스캇 스타디움에서의 이벤트시의 임시 열차용으로서 사용된다. | ||||||
95.니시아치역 | ||||||
니시아치역(일본어: 西阿知駅 니시아치에키[*])은 일본 오카야마현 구라시키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의 역이다. | ||||||
96.인노쇼역 | ||||||
인노쇼역(일본어: 院庄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쓰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기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97.사라야마역 | ||||||
사라야마역(일본어: 佐良山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쓰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쓰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98.다카노역 | ||||||
다카노역(일본어: 高野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쓰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인비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99.지와역 | ||||||
지와역(일본어: 知和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쓰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인비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0.쓰보이역 | ||||||
쓰보이역(일본어: 坪井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쓰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기신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1.쓰야마역 | ||||||
쓰야마역(일본어: 津山駅, つやまえき)는 일본 오카야마현 쓰야마시에 있는 역이다. | ||||||
102.쓰야마구치역 | ||||||
쓰야마구치역(일본어: 津山口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쓰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쓰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3.히가시쓰야마역 | ||||||
히가시쓰야마역(일본어: 東津山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쓰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기신 선 소속의 철도역이지만, 이 역을 기.종점으로 하는 인비 선까지 2개의 노선을 운행하고 있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104.미우라역 | ||||||
미우라역(일본어: 三浦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쓰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쓰야마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5.미마사카오사키역 | ||||||
미마사카오사키역(일본어: 美作大崎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쓰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기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6.미마사카카모역 | ||||||
미마사카카모역(일본어: 美作加茂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쓰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인비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7.미마사카카와이역 | ||||||
미마사카카와이역(일본어: 美作河井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쓰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인비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8.미마사카센다이역 | ||||||
미마사카센다이역(일본어: 美作千代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쓰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기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09.미마사카타키오역 | ||||||
미마사카타키오역(일본어: 美作滝尾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쓰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인비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0.아시다치역 | ||||||
아시다치역(일본어: 足立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니미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하쿠비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1.이쿠라역 | ||||||
이쿠라역(일본어: 井倉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니미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하쿠비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112.이시가역 | ||||||
이시가역(일본어: 石蟹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니미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하쿠비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113.이치오카역 | ||||||
이치오카역(일본어: 市岡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니미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게이비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4.이와야마역 | ||||||
이와야마역(일본어: 岩山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니미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기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5.오사카베역 | ||||||
오사카베역(일본어: 刑部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니미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기신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6.사카네역 | ||||||
사카네역(일본어: 坂根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니미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게이비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7.다지베역 | ||||||
다지베역(일본어: 丹治部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니미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기신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8.니자토역 | ||||||
니자토역(일본어: 新郷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니미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하쿠비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19.니미역 | ||||||
니미역(일본어: 新見駅, にいみえき)는 일본 오카야마현 니미시에 있는 철도역이다. | ||||||
120.누노하라역 | ||||||
누노하라역(일본어: 布原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니미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며, 선로 명칭 상, 하쿠비 선은 통과지만, 운행계통 상 게이비 선의 소속역으로서 취급하고 있다. | ||||||
121.노치역 | ||||||
노치역(일본어: 野馳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니미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게이비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2.빗추코지로역 | ||||||
빗추코지로역(일본어: 備中神代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니미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며, 하쿠비 선의 소속역이다. 이 역을 기점으로 하는 게이비 선의 열차도 노선 연장하고 있다. | ||||||
123.히로이시 신호장 | ||||||
히로이시 신호장(일본어: 広石信号場)은 일본 오카야마현 니미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하쿠비 선의 신호장이다. 호코쿠역 보다 이쿠라역 방향으로 약 3.4km에 있는 2개 선로의 신호장이다. 본선 · 부본선과도 양방향에 장내 · 출발신호기를 붙인 교착 구조로 되어 있다. | ||||||
124.야가미역 | ||||||
야가미역(일본어: 矢神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니미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게이비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5.이리역 (오카야마현) | ||||||
이리역(일본어: 伊里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비젠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아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6.인베역 | ||||||
인베역(일본어: 伊部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비젠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아코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7.가가토역 | ||||||
가가토역(일본어: 香登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비젠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아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8.소고역 | ||||||
소고역(일본어: 寒河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비젠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아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29.니시카타카미역 | ||||||
니시카타카미역(일본어: 西片上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비젠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아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 ||||||
130.비젠카타카미역 | ||||||
비젠카타카미역(일본어: 備前片上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비젠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아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131.히나세역 | ||||||
히나세역(일본어: 日生駅)은 일본 오카야마현 비젠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아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 ||||||
132.요시나가역 | ||||||
요시나가역(일본어: 吉永駅 요시나가에키[*])은 일본 오카야마현 비젠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소속 철도역이며, 산요 본선의 정차역이다. 단 · 섬식 복합 승강장 2면 3선 구조이며, 승차권 종류는 POS단말기로, 정기권은 보통권으로 발매된다. 또한 이 역은 승차권 자동발매기가 없는 편이다. | ||||||
133.와케역 | ||||||
와케역(일본어: 和気駅 와케에키[*])는 일본 오카야마현 와케군 와케정에 있는 역이다. | ||||||
134.다이센오키 국립공원 | ||||||
다이센오키 국립공원(일본어: 大山隠岐国立公園)은 일본 돗토리현, 오카야마현, 시마네현에 있는 국립공원이다. 총 면적은 319.27 km2이고 국유지, 공유지가 반을 차지한다. 다이센산을 필두로 하여, 하루젠산, 산베산 등의 산악 경관과 시마네반도, 오키섬 등의 해안 경관이 조화를 이룬 공원으로 산인 중앙부를 대표하는 경승지가 집결되어 있다. 그래서 지역을 구분한다면 다이센하루젠 지역, 오키 지역, 시마네반도 지역 그리고 산베산 일대의 지역 등 4가지의 지역으로 구성된다. | ||||||
135.구라시키 티볼리 공원 | ||||||
구라시키 지보리 공원(일본어: 倉敷チボリ公園 구라시키치보리코엔[*])은 오카야마현 구라시키시 고토부키 정에 있던 공원이다. 1997년 구라시키 방적 구라시키 공장 터에 개원하여 2008년 12월 31일을 기해 폐원하였다. 공원은 덴마크의 수도 코펜하겐에 있는《티볼리 공원》을 모델로 조성했다. 공원의 면적은 약 12 ha이며, 2008년 11월 현재 20곳의 놀이시설 및 13곳의 매장, 14곳의 레스토랑이 자리잡고 있었다. 오카야마 현을 중심으로 출자한 티볼리 재팬 주식회사에서 운영했으며 경영난으로 인해 2009년 1월 1일 오전 1시부로 운영을 중단했다. | ||||||
136.오카야마현 | ||||||
오카야마현(일본어: 岡山県)은 일본 주고쿠 지방의 세토 내해 연안에 있는 현이다. 현청 소재지는 오카야마시이다. 1988년에는 시코쿠와 연결하는 철도가 개통되었고 돗토리현, 시마네현과 연결하는 간선 철도도 있으므로 주고쿠, 시코쿠 지방의 거점 도시로서의 성격이 강해지고 있다. | ||||||
137.오카야마시 | ||||||
오카야마시(일본어: 岡山市, 문화어: 오까야마 시)는 일본 오카야마현 남부에 위치하는 시이자 오카야마 현의 현청 소재지이다. 2009년에 정령지정도시로 지정되었고 오카야마현 남부 해안의 교통의 요지로서 이 현의 정치·경제·문화의 중심지이다. 공업으로는 식료품·기계·섬유·고무 등이 있고, 고난 공업 지역과 구메 공업 단지 등이 정비되어 있다. 고라쿠엔·오카야마성 등의 명승지와 이케다 동물원·오카야마 미술관 등의 문화시설, 그 밖에 역사적인 사찰·성지가 많다. | ||||||
138.구라시키시 | ||||||
구라시키시(일본어: 倉敷市)는 일본 오카야마현 남부에 있는 시 가운데 하나이다. 인구는 약 47만 명으로 오카야마시 다음으로 오카야마 현에서 두 번째로 크다. 구라시키 강 기슭의 시라카베의 거리가 "미관 지구"로서 유명한 관광지이고 제조품 출하액은 약 4조엔에 달해 오사카시에 이은 서일본을 대표하는 공업도시이다. 또 1967년의 3시 합병에 의해 발족했으며 행정과 관광의 구라시키(倉敷), 콤비나트(combinat)를 가지는 미즈시마(水島), 학생복·청바지의 메카 고지마(児島), 무역항과 신칸센 역이 있는 다마시마(玉島)의 지리나 역사가 다른 다양한 지역으로 이루어져 있다. | ||||||
139.쓰야마시 | ||||||
쓰야마시(일본어: 津山市)는 주고쿠 지방의 동부, 오카야마현 북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오카야마 현 북쪽의 미마사카 지방 및 쓰야마 도시권의 중심 도시이며 인구 11만명을 가지는 현내 제 3의 도시이다. 쓰야마번의 성시에서 발달한 도시로 시가지는 구 도마타군에 포함된다.시 전체는 가쓰타군·구메군·도마타 군의 3군에 걸친다. | ||||||
140.다마노시 | ||||||
다마노시(일본어: 玉野市)는 오카야마현의 남단, 세토 내해 연안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다. 항만 도시이며 우노 항에서 시코쿠 방면으로의 페리가 있다. 또 우다카 연락선(일본 국유철도→시코쿠 여객철도)이 다카마쓰시를 연결해 시코쿠로의 관문으로서 번창하였다. | ||||||
141.가사오카시 | ||||||
가사오카시(일본어: 笠岡市)는 오카야마현의 남서단에 위치하고 있는 시이다. 시의 인구 약 5만 5천명, 오카야마현 남서부의 세토 내해 연안의 항구 도시로 크고 작은 31개의 섬들로 이루어진 가사오카 제도를 포함한 이카사 지방의 핵심 도시이다. 가사오카만 간척지와 천연기념물 투구게의 생식지로서 유명하고 생식지의 보전 등을 통한 보호에 힘을 쓰고 있다. 구 빗추국에 포함되고 이전에는 무라카미 수군의 지배지였고 에도 시대에는 대관소가 놓인 막부의 직할지였다. 현재는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에 인접해 생활권으로서는 후쿠야마 도시권의 성격이 강하지만 2006년 10월 10일부터 구라시키시, 이바라시, 아사쿠치시 등과 함께 같은 자동차 번호를 사용한다. | ||||||
142.이바라시 | ||||||
이바라시(일본어: 井原市)는 오카야마현의 남서부, 히로시마현과의 현 경계에 위치하는 시이다. 주고쿠 지방의 자장가의 발상지로서 유명하다. | ||||||
143.소자시 | ||||||
소자시(일본어: 総社市)은 일본 오카야마현 중남부에 위치하는 시 가운데 하나이다. 한 때의 기비 국의 중심지역으로 기비 국이 분할된 후빗추국의 국부가 두어졌으며 국부가 쓸모없게 된 후에도 빗추 국의 총사(総社)[1]가 남았다. 소자 시 소자 지구는 빗추 국 소자 궁의 문전 마을·가도의 역참 마을·아사오 번의 병영 마을로서 번창해 소자 궁을 중심으로 마을이 이루어졌으므로 통칭 "소자"로 불리고 있었다. 이것이 오늘날의 소자라는 마을 이름의 기원이다. | ||||||
144.다카하시시 | ||||||
다카하시시(일본어: 高梁市)는 오카야마현의 시이다. 오카야마 현의 중서부에 위치하고 히로시마현과 경계를 접한다. | ||||||
145.니미시 | ||||||
니미시(일본어: 新見市)는 오카야마현 북서부, 기비 고원상에 위치하는 시이다. 북쪽은 주고쿠 산지를 사이에 두고 돗토리현에, 서쪽은 히로시마현에 접한다. 현행 니미시는 2005년에 구 니미시와 아테쓰군 오사정·신고정·뎃타정·뎃세이정의 1시 4정이 대등 합병해 신설된 것이다. 주고쿠 산지의 다카하시강의 상류에 위치하고 카르스트 지형에 의한 몇 개의 종유 동굴을 가진다. 매년 가을에는 후나카와 하치만 궁 추계 대제(10월 15일)의 행사로서 어신행무기 행렬을 한다. 다카하시강의 원류에 위치해 은어를 포함한 계류 낚시를 즐길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겨울의 기온이 낮고 산간부에서는 많은 눈이 쌓여 스키를 즐길 수 있다. 자연의 혜택 덕분에 지야 소, 피오네(포도), 백도, 모모타로우 토마토 등의 농산물이 명산품이다. | ||||||
146.비젠시 | ||||||
비젠시(일본어: 備前市)는 오카야마현 남동부에 있는 시이다. 동부는 효고현에 접한다. 비젠 도자기, 내화벽돌과 어업의 도시이다. 시의 중심부는 가타카미 지구로 여기에 행정 중심이 있다. 상업의 중심이었지만 최근에는 간선도로변에 큰 주차장을 갖춘 인베 지구의 점포에 손님을 빼앗길 기미가 보인다. 또 인베 지구에는 비젠 도자기의 작가·도예점이 집중하고 있다. | ||||||
147.세토우치시 | ||||||
세토우치시(일본어: 瀬戸内市)는 일본 오카야마현에 있는 도시이다. | ||||||
148.아카이와시 | ||||||
아카이와시(일본어: 赤磐市)는 일본 오카야마현의 중남부에 있는 시이다. 남부에는 주택 단지가 있어 오카야마시의 베드타운 역할을 한다. | ||||||
149.마니와시 | ||||||
마니와시(일본어: 真庭市)는 오카야마현의 북중부에 위치하고 돗토리현과 경계를 접하는 시이다. 면적은 현내 자치체 중 최대이다. | ||||||
150.미마사카시 | ||||||
미마사카시(일본어: 美作市)는 오카야마현의 북동부에 위치하고 효고현 및 돗토리현과 경계를 접하는 시이다. | ||||||
151.아사쿠치시 | ||||||
아사쿠치시(일본어: 浅口市)는 오카야마현의 남서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구라시키시와 가사오카시에 끼어 있어 구라시키 시,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의 주택 지역이 되고 있다. 시의 특색으로서 오카야마 현내의 시로서는 면적이 최소이지만 제면·주조·식목·제모·빨대 생산 등의 오래된 역사를 가진 전통 산업·지방특색산업의 중소기업이 많이 존재하는 것이 특징이다. 또 곤코 교의 발상지·본거지로도 유명하고 정월이나 제사 때 곤코 교 본부 주변은 많은 참배객으로 활기찬다. | ||||||
152.와케정 | ||||||
와케정(일본어: 和気町)은 오카야마현 남동부에 위치하는 와케군의 정이다. 2006년 3월 1일, 사이키 정과 대등 합병해 새로운 와케 정을 신설했다. | ||||||
153.하야시마정 | ||||||
하야시마정(일본어: 早島町)은 오카야마현 중앙부에 위치하는 쓰쿠보군의 정이다. 현청 소재지인 오카야마시와 현내 제 2위의 도시 구라시키시에 사방이 둘러싸여 있어 쌍방의 주택 지역이 되고 있다. 이전에는 섬으로 간척에 의해서 현재의 지형이 되었다. 정내에서는 특히 골풀의 재배와 다다미오모테의 제조가 번성했지만 현재는 쇠퇴하고 있다. | ||||||
154.사토쇼정 | ||||||
사토쇼정(일본어: 里庄町)은 오카야마현 남서부에 위치하는 아사쿠치군의 유일한 정이다. 구라시키시와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 근처의 주택 지역이 되고 있다. | ||||||
155.야카게정 | ||||||
야카게정(일본어: 矢掛町)은 오카야마현 남서부에 위치한 오다군의 정이다. 구 산요도의 역참 마을로 알려진 정이다. 최근에는 반딧불 마을로서 도쿄와 오사카의 백화점 등에 정내에서 사육된 반디를 반입해 "반딧불 전"을 실시하는 등 홍보 활동을 실시하고 있다. | ||||||
156.신조촌 | ||||||
신조촌(일본어: 新庄村)은 오카야마현 북서부에 위치하고 돗토리현과 경계를 접하는 마니와군의 촌이다. . 이즈모 가도의 혼진·역참 마을로서 번창했다. | ||||||
157.가가미노정 | ||||||
가가미노정(일본어: 鏡野町)은 오카야마현 북중부에 위치하고 돗토리현에 접하는 도마타군의 정이다. | ||||||
158.쇼오정 | ||||||
쇼오정(일본어: 勝央町)은 오카야마현 북동부에 위치하는 가쓰타군의 정이다. 사카타노 긴토키의 임종의 땅으로 알려져 있다. | ||||||
159.나기정 (오카야마현) | ||||||
나기정(일본어: 奈義町)은 오카야마현 북동부에 위치하고 돗토리현에 접하는 가쓰타군의 정이다. 정의 북부에는 정의 심볼이며 정명의 유래가 된 나기 산이 우뚝 솟아있다. | ||||||
160.니시아와쿠라촌 | ||||||
니시아와쿠라촌(일본어: 西粟倉村)은 오카야마현 아이다군의 촌이다. 현의 북동단에 위치해 효고현·돗토리현과 경계를 접한다. | ||||||
161.구메난정 | ||||||
구메난정(일본어: 久米南町)은 오카야마현 중앙부의 약간 동쪽에 위치한 구메군의 정이다. 정토종의 개조 호넨 고승의 탄생지로 알려진 정이다. | ||||||
162.미사키정 (오카야마현) | ||||||
미사키정(일본어: 美咲町)은 오카야마현 중앙부에 위치하는 구메군의 정이다. | ||||||
163.기비추오정 | ||||||
기비추오정(일본어: 吉備中央町)은 오카야마현 중앙부에 위치하는 가가군의 정이다. 정의 남부는 오카야마 현이 주도해 기비 고원 도시로 불리는 보건·복지·교육·문화·산업·레크리에이션의 조화를 도모한 도시를 개발하고 있다. | ||||||
164.세토 대교 | ||||||
세토 대교(일본어: 瀬戸大橋, せとおおはし 세토 오하시[*])는 세토 내해에 걸쳐 오카야마현 구라시키시(혼슈) - 가가와현 사카이데시(시코쿠)를 잇는 현수교다. 쇼와 53년(1978년) 9월에 착공하여 9년 6개월 만인 쇼와 63년(1988년) 4월 10일에 정식개통되었다. 시와쿠 제도의 5개 섬 사이에 걸친 6개의 교량과 그 사이를 잇는 고가교로 구성되며, 교량부 9,368 m, 고가부를 포함하면 13.1 km의 길이를 가진다. 이것은 철도·도로 병용교로서는 세계 최장으로, 서울시의 청담대교하고 같은 복층 교량이다. 교량은 현수교·트러스교·사장교의 3종류를 복합형태로 병설하여 요시마섬하고 히츠이시섬하고 연계되어 있으며, 거가대교, 청담대교, 서해대교, 이순신대교, 성산대교, 광안대교, 울산대교를 합쳐놓은 형태로 건설되었다. | ||||||
165.다카하시강 | ||||||
다카하시강(일본어: 高梁川 다카하시가와[*])은 일본 오카야마현 서부를 흐르는 다카하시강 수계의 주류로 요시이강(일본어판), 아사히가와강(일본어판)과 함께 오카야마 3대 하천의 하나이다. 다카하시강은 돗토리현의 아케치 고개 주변의 하나미산(花見山, 1,188 m)에서 발원한다. 강은 니미시, 소자시, 구라시키시를 통과해 세토 내해의 미즈시마나다로 빠져나간다. 하구는 구라시키의 미즈시마와 다마지마 지역 사이에 위치한다. 1907년 이후의 개수까지는 서 다카하시강과 동 다카하시강으로 나뉘어 있었다. | ||||||
166.마나베섬 | ||||||
마나베섬(真鍋島 마나베시마[*])은 일본 오카야마현 가사오카시 가사오카 제도에 속하는 섬이다. 인구보다 고양이의 개체수가 많다는 '고양이의 섬'으로도 알려져 있다.[1][2] | ||||||
167.참서대 | ||||||
참서대(Dover sole)는 가자미목 참서대과의 물고기이다. 몸길이는 30cm 정도이고 눈이 몹시 작다. 눈은 몸의 왼쪽에 몰려 있고 가슴지느러미가 없다. 비늘은 둥근 비늘이고, 왼쪽 뒤쪽에 빗비늘이 약간 있다. 몸빛깔은 오른쪽은 적갈색, 왼쪽은 흰색이다. 연안의 모래바닥에 산다. 산란기는 6-7월 무렵이며, 맛이 좋고 지방이 적어 미용 식품으로 좋다. 특히 여름철에 맛이 있다. 한반도 황해와 남해, 일본 중부 이남·타이완·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 ||||||
168.쏙 | ||||||
쏙(Upogebia major)은 쏙과에 속한 갑각류의 일종이다. 일본에서는 아나쟈코(アナジャコ→굴갯가재)라고 부른다. 외양이 갯가재와 비슷하지만 쏙은 십각목에 속하고, 갯가재는 구각목에 속하는 전혀 다른 동물이다. 대한민국에서는 쏙과 갯가재를 혼동해서 일컫기도 하고, 일본에서도 쏙(아나쟈코)과 갯가재(샤코)를 혼동하는 지역이 있다. 홋카이도부터 규슈, 타이완, 한반도, 황해 연안 일대에 분포한다. 진흙 간석지에 Y자 모양의 깊은 굴을 파고 복부의 부속지를 이용해 바닷물의 흐름을 일으켜, 입 부근의 빽빽한 수염으로 플랑크톤, 디트리터스를 걸러 먹고 사는 여과섭식성 동물이다.[2] | ||||||
169.삼치 | ||||||
삼치(영어: Scomberomorini, 일반 명칭은 영어: Spanish mackerels or seerfishes)는 고등어과의 물고기이다. | ||||||
170.갯가재 | ||||||
갯가재(영어: Japanese mantis shrimp, 학명: Oratosquilla oratoria 오라토스퀼라 오라토리아[*])는 구각목에 속하는 육식성 해양 갑각류로, 약 3억 4천만년 전 연갑류(학명: Malcostraca)로부터 분파되었다.[1] 갯가재과의 다른 동물들과 마찬가지로, 이 종 역시 강력한 힘을 가진 앞다리를 가지고 있으며 이것으로 먹이가 되는 무척추동물이나 작은 물고기를 잡아먹는다. 갯가재는 보통 10cm 정도까지 자라지만, 몇몇은 38cm까지 자라기도 한다.[2] 450종 이상의 갯가재가 알려져 있고, 이들은 얕은, 열대, 아열대 해양 서식지에서 가장 중요한 포식자 중 하나이다. 하지만 매우 흔한 종임에도 불구하고 갯가재들에 대해 알려진 것은 많지 않다. 마지막으로 갯가재는 집게 발의 형태에 따라 크게 펀치형과 스피어형으로 나뉜다. | ||||||
171.피오네 (포도) | ||||||
피오네(일본어: ピオーネ, Pione)는 열매가 크고 보라색 껍질을 지닌 테이블 및 로제 와인 포도 품종으로 1957년부터 일본에서 재배되었다. 이카와 히데오가 시즈오카현에서 처음 개발한 이 포도는 널리 재배되는 거봉 포도와 캐논 홀 머스캣(Cannon Hall Muscat) 포도의 잡종 4배체 품종이다. 거봉은 1937년 일본에서 개발된 붉은색 과일 잡종이다. 캐논 홀 머스캣은 원래 1813년 영국 사우스 요크셔 반슬리 근처 캐논 홀에 거주했던 존 스펜서 스탠호프(John Spencer Stanhope)가 그리스에서 가져온 씨앗에 연결된 커다란 흰색 테이블 포도이다. | ||||||
172.머스캣 (포도) | ||||||
머스캣(Muscat)은 포도(학명: Vitis vinifera)의 재배품종 가운데 하나이다. 전 세계적으로 포도주, 건포도, 생식용으로 널리 재배된다. 하얀색, 노란색, 분홍색, 검은색과 가까운 색 등 여러 가지 색을 띠고 있으며 포도와 포도주는 달콤한 꽃 향기를 낸다. 품종이 다양하기 때문에 가장 오래 재배된 포도 품종으로 여겨진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