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arning: Undefined variable $parentDirName in /home/idscorp/kankou.org/public_html/function01.php on line 1862
명산품:히로시마현관광 명소 목록 | 멋진 검색 일본

멋진 검색 일본

히로시마현:절

1.다이쇼인
다이쇼인(大聖院 (だいしょういん))은 일본 히로시마현 하쓰카이치시 이쓰쿠시마섬에 있는 진언종교실파 사원이다. 이쓰쿠시마섬에서 가장 오래된 역사를 가진 사원이며 이쓰쿠시마 신사의 별당사로서 제사를 맡아 승려를 통괄해 온 사원이다.
2.이쓰쿠시마 신사
이쓰쿠시마 신사(일본어: 厳島神社 이쓰쿠시마진자[*])는 히로시마현 하쓰카이치시의 이쓰쿠시마섬(미야지마섬)에 있는 신사이다. 바다 한가운데에 있는 도리이로 유명하다. 헤이안 시대 말에 다이라노 기요모리(平清盛)가 세운 1400년의 역사를 갖는 신사로 1996년에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신사가 있는 이쓰쿠시마섬은 "아키노 미야지마"(安芸の宮島)라고 불리며 일본 삼경(日本三景)의 하나이다. 이쓰쿠시마 신사는 일본에서 가장 유명한 관광지 중 하나이다. 신사의 정면에 세워져 있는 도리이의 극적인 모습, 미센 산의 성스러운 봉우리, 아름다운 바다 풍경 때문에 그 유명세가 더욱 커지기도 하였다. 신사 건물은 크게 2개로 나뉘는데, 첫 번째가 혼샤 신사이고 두 번째가 세샤 마로도 신사이다. 그 외에도 17개의 부속 건물들이 있어 이들을 구분짓거나 연결하는 역할들을 하고 있다.
3.후쿠야마성
후쿠야마성(일본어: 福山城 후쿠야마조[*])은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 마루노우치 1정목에 있는 윤곽식 평산성이다. 국가 사적으로 지정되어있으며, 몇몇 건조물이 중요문화재로 지정되어 있다. 히사마쓰성(久松城), 이요성(葦陽城)으로도 불린다. 일본의 근세 성곽을 대표하는 성 중 하나이다.
4.요시다 고리 산성
고리 산성(일본어: 郡山城)은 히로시마현 아키타카타시에 있는 산성이다. 센고쿠 시대 주고쿠 패자 모리 모토나리의 거성으로 유명하다. 지역의 명칭을 따 요시다성(吉田城) 혹은 요시다 고리 산성(吉田郡山城)으로 불린다.
5.히로시마성
히로시마성(일본어: 広島城 히로시마조[*])은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나카구 모토정에 있는 윤곽식 평성이다. 히로시마성 전역은 히로시마 성지공원으로 정비되어 있으며, 국가 지정 사적이다. 복원된 대천수는 역사박물관으로 사용되고 있다. 히로시마시 중앙공원과 인접해 있다. 히로시마성의 별명은 리조(鯉城: 잉어성)이다.
6.아키사이자키역
아키사이자키역(일본어: 安芸幸崎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미하라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구레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아키나가하마역
아키나가하마역(일본어: 安芸長浜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다케하라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구레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8.이토자키역
이토자키역(일본어: 糸崎駅 이토자키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미하라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 일본화물철도 산요 본선의 역이다.
9.우카이역 (히로시마현)
우카이역(일본어: 鵜飼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후추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후쿠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오타케역
오타케역(일본어: 大竹駅 오오타케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오타케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 일본화물철도 산요 본선의 역이다. 히로시마 현 내 최서단 및 최남단에 위치한 역이며, 단선과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다.
11.오노리역
오노리역(일본어: 大乗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다케하라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구레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2.가이타이치역
가이타이치역(일본어: 海田市駅 카이타이치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아키 군 가이타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의 역이다. 산요 본선과 구레선이 상호 운행하는 철도역이며, 단선과 섬식을 합친 형태로 3면 5선의 구조를 지닌 복합 철도 역사이다.
13.가와사역
가와사역(일본어: 河佐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후추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후쿠엔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4.구바역
구바역(일본어: 玖波駅 쿠바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오타케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며, 니시히로시마역 관리의 업무위탁역이다.
15.고타치역
고타치역(일본어: 甲立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아키타카타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게이비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6.고야우라역
고야우라역(일본어: 小屋浦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아키 군 사카정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구레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7.사카역
사카역(일본어: 坂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아키 군 사카정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구레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의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18.시모카와베역
시모카와베역(일본어: 下川辺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후추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후쿠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9.조게역
조게역(일본어: 上下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후추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후쿠엔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0.스나미역
스나미역(일본어: 須波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미하라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구레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1.다카기역 (히로시마현)
다카기역(일본어: 高木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후추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후쿠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2.다케하라역
다케하라역(일본어: 竹原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다케하라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구레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3.다다노우미역
다다노우미역(일본어: 忠海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다케하라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구레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4.나카하타역
나카하타역(일본어: 中畑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후추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후쿠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5.빈고미카와역
빈고미카와역(일본어: 備後三川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세라군 세라정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후쿠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입니다.
26.빈고야노역
빈고야노역(일본어: 備後矢野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후추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후쿠엔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7.후추역 (히로시마현)
후추역(일본어: 府中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후추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후쿠엔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28.혼고역 (히로시마현)
혼고역(일본어: 本郷駅 혼고우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미하라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가진 지상역이며, 반 교상역 형태의 철도 역사이다.
29.미즈시리역
미즈시리역(일본어: 水尻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아키 군 사카정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구레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30.미하라역
미하라역(일본어: 三原駅 미하라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미하라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소속의 철도역이며, 산요 신칸센, 산요 본선의 정차역이자, 구레선의 종착역이다.
31.무카이나다역
무카이나다역(일본어: 向洋駅 무카이나다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아키 군 후추정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32.무카이하라역
무카이하라역(일본어: 向原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아키타카타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게이비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33.요시다구치역
요시다구치역(일본어: 吉田口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아키타카타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게이비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34.요시나역
요시나역(일본어: 吉名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다케하라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구레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35.오노미치역
오노미치역(일본어: 尾道駅 오노미치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오노미치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의 역이다.
36.신오노미치역
신오노미치역(일본어: 新尾道駅, しんおのみちえき 신오노미치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오노미치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소속의 철도역으로, 산요 신칸센의 정차역이다. 승강장은 2면 2선의 구조이다.
37.히가시오노미치역
히가시오노미치역(일본어: 東尾道駅 히가시오노미치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오노미치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의 역이다.
38.아키아카역
아키아카역(일본어: 安芸阿賀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구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구레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39.아키카와지리역
아키카와지리역(일본어: 安芸川尻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구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구레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40.아토역
아토역(일본어: 安登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구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구레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41.가루가하마역
가루가하마역(일본어: かるが浜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구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구레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42.가와라이시역
가와라이시역(일본어: 川原石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구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구레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43.구레역
구레역(일본어: 呉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구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구레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44.구레 포트피어역
구레 포토피아 역(일본어: 呉ポートピア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구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구레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45.신히로역
신히로역(일본어: 新広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구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구레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46.덴노역 (히로시마현)
덴노역(일본어: 天応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구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구레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47.니가타역 (히로시마현)
니가타역(일본어: 仁方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구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구레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48.히로역
히로역(일본어: 広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구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구레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49.야스우라역
야스우라역(일본어: 安浦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구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구레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50.요시우라역
요시우라역(일본어: 吉浦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구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구레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51.우치나역
우치나역(일본어: 内名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쇼바라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게이비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52.오누카역
오누카역(일본어: 小奴可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쇼바라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게이비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53.다카역
다카역(일본어: 高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쇼바라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게이비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54.도고야마역
도고야마역(일본어: 道後山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쇼바라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게이비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55.도조역 (히로시마현)
도조역(일본어: 東城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쇼바라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게이비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56.나나쓰카역
나나쓰카역(일본어: 七塚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쇼바라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게이비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57.히바야마역
히바야마역(일본어: 比婆山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쇼바라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게이비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58.히라코역
히라코역(일본어: 平子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쇼바라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게이비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59.빈고오치아이역
빈고오치아이역(일본어: 備後落合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쇼바라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게이비 선의 소속역이며, 이 역을 기·종점으로 하는 기스키 선이 운행하는 등 2개의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60.빈고사이조역
빈고사이조역(일본어: 備後西城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쇼바라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게이비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61.빈고쇼바라역
빈고쇼바라역(일본어: 備後庄原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쇼바라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게이비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62.빈고밋카이치역
빈고밋카이치역(일본어: 備後三日市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쇼바라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게이비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63.빈고야와타역
빈고야와타역(일본어: 備後八幡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쇼바라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게이비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64.잘못된 제목
65.유키역 (히로시마현)
유키역(일본어: 油木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쇼바라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기스키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66.아지나역
아지나역(일본어: 阿品駅 아지나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하쓰카이치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 구조의 지상역이자 교상역이며, 니시히로시마역 소속의 관리역이다.
67.아지나히가시역
아지나히가시역(일본어: 阿品東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하쓰카이치시에 위치한 히로시마 전철 미야지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37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68.오노우라역
오노우라역(일본어: 大野浦駅 오오노우라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하쓰카이치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의 역이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며, 니시히로시마역이 관리하고 있다.
69.산요조시다이마에역
산요조시다이마에역 또는 산요여자대 앞 역(일본어: 山陽女子大前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하쓰카이치시에 위치한 히로시마 전철 미야지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31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0.JA히로시마뵤인마에역
JA히로시마뵤인마에역(일본어: JA広島病院前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하쓰카이치시에 위치한 히로시마 전철 미야지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35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1.지고젠역
지고젠역(일본어: 地御前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하쓰카이치시에 위치한 히로시마 전철 미야지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36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2.하쓰카이치역
하쓰카이치역(일본어: 廿日市駅 하츠카이치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하쓰카이치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가진 지상역이다. 니시히로시마역 산하의 관리역이다.
73.하쓰카이치시야쿠쇼마
74.히로덴아지나역
히로덴아지나역(일본어: 広電阿品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하쓰카이치시에 위치한 히로시마 전철 미야지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38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5.히로덴하쓰카이치역
히로덴하쓰카이치역(일본어: 広電廿日市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하쓰카이치시에 위치한 히로시마 전철 미야지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32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76.히로덴미야지마구치역
히로덴미야지마구치역(일본어: 広電宮島口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하쓰카이치시에 위치한 히로시마 전철 미야지마 선의 철도역이다. 이 노선의 종착역이자, 역 번호는 M 39이며,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77.마에조라역
마에조라역(일본어: 前空駅 마에조라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하쓰카이치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자 교상역이며, 니시히로시마역이 관리하고 있다.
78.미야우치쿠시도역
미야우치쿠시도역(일본어: 宮内串戸駅 미야우치쿠시도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하쓰카이치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자 교상역이며, 니시히로시마역 산하 소속역이다.
79.미야지마구치역
미야지마구치역(일본어: 宮島口駅 미야지마구치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하쓰카이치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 · JR 서일본 미야지마 페리 미야지마 연락선의 역이다. 단선 · 섬식의 구조를 합친 복합 철도 역사이다.
80.미야지마보트레이스조
81.아키쓰역 (히로시마현)
아키쓰역(일본어: 安芸津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히가시히로시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구레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82.가자하야역
가자하야역(일본어: 風早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히가시히로시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구레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83.고치역 (히로시마현)
고치역(일본어: 河内駅 코우치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히가시히로시마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과 단선 승강장이 아우른 복합 형태의 철도 역사이다.
84.사이조역
사이조역(일본어: 西条駅 사이죠우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히가시히로시마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의 역이다. 단선과 섬식이 합쳐진 형태의 복합 철도 역사이다.
85.시라이치역
시라이치역(일본어: 白市駅 시라이치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히가시히로시마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과 단선 승강장을 합친 형태의 복합 철도 역사이다.
86.니시타카야역
니시타카야역(일본어: 西高屋駅 니시타카야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히가시히로시마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가지는 지상역이다.
87.뉴노역
뉴노역(일본어: 入野駅 뉴우노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히가시히로시마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을 가진 지상역이다.
88.하치혼마쓰역
하치혼마쓰역(일본어: 八本松駅 하치혼마츠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히가시히로시마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의 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지닌 지상역이다.
89.히가시히로시마역
히가시히로시마역(일본어: 東広島駅, ひがしひろしまえき)은 일본 히로시마현 히가시히로시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소속의 철도역이며, 산요 신칸센의 정차역이다.
90.아키나카노역
아키나카노역(일본어: 安芸中野駅 아키나카노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아키구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2면 3선의 구조를 가진 지상역이다.
91.이시우치히가시역
이시우치히가시역(일본어: 石内東駅, いしうちひがしえき 이시우치히가시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사에키구에 있는 히로시마 신교통 1호선의 미개통 역이다. 히로시마 고속 교통의 이시우치히가시 역은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아스트램 라인의 현재 종점 역인 광역 공원 앞역에서 JR 니시히로시마 역 사이의 연신 계획에 따라 새롭게 설정된 6개 역 중 중간부에 있는 역. 명칭은 2019년에 히로시마시에서 발표된 가칭으로 정식이 아니다. 역은 아스트램 라인 이용 촉진에 기대가 있는 아울렛 몰 내에 배치되어 있다.주변은 사업비가 저렴해지도록 시유지를 활용한 설계가 되어 있어, 연신 구간은 전선 단선을 예정하고 있다. 또한 7.1km의 연신 계획은 난소로 여겨지는 기이 고이타케의 터널 앞인 당역까지를 먼저 개업시킬 예정이 되어 있어, 전선 개업이 2010년대 초에 대해, 당 역은 2018년 자릿수 연대 후반이 되고 있다.
92.이쓰카이치역
부기 역명인 일본 도쿄도에 있는 JR동일본 이쓰카이치선에 철도역에 대해서는 무사시이쓰카이치역 문서를 참고 히로시마 전철에 철도역에 대해서는 히로덴이쓰카이치역 문서를 참고 하십시오. 이쓰카이치역(일본어: 五日市駅 이츠카이치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사에키구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의 역이다. 단선 승강장 · 섬식 승강장을 합친 복합 구조의 철도 역사이자 교상역이다.
93.우시타역
우시타(히로신 빅 웨이브 · 히로시마시 종합 옥내 수영장 앞)역(일본어: 牛田(ひろしんビッグウェーブ・広島市総合屋内プール前)駅, うした(ひろしんびっぐうぇーぶ・ひろしましそうごうおくないぽーるえき 우시타(히로신빗구우에에부 · 히로시마시소오고오오쿠나이푸우루마에)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히가시구에 있는 히로시마 신교통 1호선의 역이다. 부역명은 "히로신 빅 웨이브 · 히로시마시 종합 옥내 수영장 앞(ひろしんビッグウェーブ・広島市総合屋内プール前)"이다.
94.사에키쿠야쿠쇼마에역
사에키쿠야쿠쇼마에역 또는 사에키 구청 앞 역(일본어: 佐伯区役所前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사에키구에 위치한 히로시마 전철 미야지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29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95.사쓰키가오카1역
사쓰키가오카1역(일본어: 五月が丘1駅 さつきがおか1えき 사쓰키가오카이치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사에키구에 있는 히로시마 신교통 1호선의 미개통 역이다. 히로시마 고속 교통의 사쓰키가오카1 역은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사쓰키가오카2 역과 마찬가지로 이용 촉진이나 지역의 활성화를 전망해, 단지내의 주요한 교차로에 배치하고 있다. 고이키코엔마에 역에서 세어 첫 번째 신역.
96.사쓰키가오카2역
사쓰키가오카2역(일본어: 五月が丘2駅, さつきがおか2えき 사쓰키가오카니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사에키구에 있는 히로시마 신교통 1호선의 미개통 역이다. 히로시마 고속 교통의 사쓰키가오카2 역은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아스트램 라인의 니시히로시마 역 연신에 따라 탄생할 예정인 신역. 신역 6 역 중 고이키코엔마에 역 측에서 세어 2 역째. 역은, 이웃 역의 사쓰키가오카1 역과 마찬가지로 5월이 언덕 단지 각부로부터 접근하기 쉽게 단지내의 주요 교차인, 5월이 언덕 1가 교차로에 배치된다. 역명은 가칭이다.
97.세노역
세노역(일본어: 瀬野駅 세노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아키구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가진 지상역이자 교상역이다.
98.나카노히가시역
나카노히가시역(일본어: 中野東駅 나카노히가시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아키구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의 역이다. 섬식 승강장 2면 4선의 구조를 가진 지상역이자 교상역이다.
99.히로덴이쓰카이치역
히로덴이쓰카이치역(일본어: 広電五日市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사에키구에 위치한 히로시마 전철 미야지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28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0.후도인마에역
후도인마에(히지야마 대학 앞)역(일본어: 不動院前(比治山大学前)駅, ふどういんまえ(ひじやまだいがくまえ)えき 후도오인마에(히지야마다이가쿠마에)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히가시구에 있는 히로시마 신교통 1호선의 역이다. 부역명은 "히지야마 대학 앞(比治山大学前)"이다. 히로시마 고속 교통의 후도인마에 역은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고가역이다.
101.헤사카역
헤사카역(일본어: 戸坂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히가시구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게이비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2.야가역 (히로시마현)
야가역(일본어: 矢賀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히가시구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게이비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3.야노역
야노역(일본어: 矢野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아키구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구레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4.라쿠라쿠엔역
라쿠라쿠엔역(일본어: 楽々園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사에키구에 위치한 히로시마 전철 미야지마 선의 철도역이다. 역 번호는 M 30이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5.에키야역
에키야역(일본어: 駅家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후쿠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6.가미토데역
가미토데역(일본어: 上戸手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후쿠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7.간나베역
간나베역(일본어: 神辺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 이바라 철도의 철도역이다. JR 서일본 후쿠엔 선의 소속역이며, 이바라 철도의 노선인 이바라 선이 이 역을 기.종점으로 하고 있다.[깨진 링크(과거 내용 찾기)] JR 서일본의 경우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췄으며, 이바라 철도는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8.신이치역
신이치역(일본어: 新市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후쿠엔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09.다이몬역 (히로시마현)
다이몬역(일본어: 大門駅 다이몬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의 역이다. 같은 이름의 역이 도쿄도와 아이치현에 있지만, 이 역이 최초로 개설되었다.
110.지카타역
지카타역(일본어: 近田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후쿠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11.도데역
도데역(일본어: 戸手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후쿠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12.히가시후쿠야마역
히가시후쿠야마역(일본어: 東福山駅 히가시후쿠야마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 일본화물철도 산요 본선의 역이다.
113.빈고아카사카역
빈고아카사카역(일본어: 備後赤坂駅 빈고아카사카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의 역이다.
114.빈고혼조역
빈고혼조역(일본어: 備後本庄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후쿠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15.후쿠야마역
후쿠야마역(일본어: 福山駅 후쿠야마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소속의 철도역이며, 산요 본선, 산요 신칸센의 정차역이며, 후쿠엔 선의 종착역이다. 승강장 구조는 신칸센은 2면 2선, 재래선의 경우 3면 6선으로 되어 있다.
116.마쓰나가역
마쓰나가역(일본어: 松永駅 마쓰나가에키[*])은 일본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에 있는 서일본 여객철도 산요 본선의 역이다. 후쿠야마 대학 등의 학생 이용자가 많다.
117.마나구라역
마나구라역(일본어: 万能倉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후쿠엔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18.미치노우에역
미치노우에역(일본어: 道上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후쿠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19.유다무라역
유다무라역(일본어: 湯田村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후쿠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20.요코오역
요코오역(일본어: 横尾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후쿠엔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21.가지타역
가지타역(일본어: 梶田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미요시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후쿠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22.가미카와다치역
가미카와다치역(일본어: 上川立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미요시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게이비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23.기사역
기사역(일본어: 吉舎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미요시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후쿠엔 선의 철도역이다. 상대식 승강장 2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24.고누역
고누역(일본어: 甲奴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미요시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후쿠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25.시오마치역
시오마치역(일본어: 塩町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미요시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게이비 선의 소속역이며, 이 역을 기·종점으로 하는 후쿠엔 선 등 2개의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26.시모와치역
시모와치역(일본어: 下和知駅, しもわちえき)은 일본 히로시마현 미요시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게이비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27.시와치역
시와치역(일본어: 志和地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미요시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게이비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28.니시미요시역
니시미요시역(일본어: 西三次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미요시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게이비 선의 철도역이다. 섬식 승강장 1면 2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29.빈고야스다역
빈고야스다역(일본어: 備後安田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미요시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후쿠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30.미요시역 (히로시마현)
미요시역(일본어: 三次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미요시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의 철도역이다. 게이비 선의 소속역이며, 후쿠엔 선의 열차도 운행하여 2개의 노선이 운행되고 있다. 단선 · 섬식의 형태를 합친 2면 3선 구조의 복합 승강장을 갖춘 지상역이다.
131.미라사카역
미라사카역(일본어: 三良坂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미요시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후쿠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132.야쓰기역
야쓰기역(일본어: 八次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미요시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게이비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다. 또한, 게이비 선의 열차도 직통 운행하기 때문에 정차한다.
133.아와야역
아와야역(일본어: 粟屋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미요시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산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었다.
134.이카와시역
이카와시역(일본어: 伊賀和志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미요시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산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었다.
135.오제키야마역
오제키야마역(일본어: 尾関山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미요시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산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었다.
136.고요도역
고요도역(일본어: 香淀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미요시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산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었다.
137.나가타니역
나가타니역(일본어: 長谷駅)은 일본 히로시마현 미요시시에 위치한 서일본 여객철도 산코 선의 철도역이다. 단선 승강장 1면 1선의 구조를 갖춘 지상역이었다.
138.이쓰쿠시마섬
이쓰쿠시마(厳島)는 세토 내해 히로시마만 남서부에 위치한 섬이다. 통상적으로 미야지마(宮島)라고 불린다. 히로시마현 하쓰카이치시에 배속되어 있다. 일본 3대 절경중 하나이다. 섬에는 세계유산인 이쓰쿠시마 신사가 있다. 1952년 (쇼와 27년) 국가 특별사적 및 특별 명승지로 지정되었으며, 미센 산의 원시림은 천연기념물로 보호되고 있다. 또, 1934년 (쇼와 9년) 이 주변 해역은 세토 내해 국립공원으로 편입되어 자연보호법에 따라 특별보호구역이다.
139.이쓰쿠시마 신사
이쓰쿠시마 신사(일본어: 厳島神社 이쓰쿠시마진자[*])는 히로시마현 하쓰카이치시의 이쓰쿠시마섬(미야지마섬)에 있는 신사이다. 바다 한가운데에 있는 도리이로 유명하다. 헤이안 시대 말에 다이라노 기요모리(平清盛)가 세운 1400년의 역사를 갖는 신사로 1996년에는 세계유산으로 지정되었다. 신사가 있는 이쓰쿠시마섬은 "아키노 미야지마"(安芸の宮島)라고 불리며 일본 삼경(日本三景)의 하나이다. 이쓰쿠시마 신사는 일본에서 가장 유명한 관광지 중 하나이다. 신사의 정면에 세워져 있는 도리이의 극적인 모습, 미센 산의 성스러운 봉우리, 아름다운 바다 풍경 때문에 그 유명세가 더욱 커지기도 하였다. 신사 건물은 크게 2개로 나뉘는데, 첫 번째가 혼샤 신사이고 두 번째가 세샤 마로도 신사이다. 그 외에도 17개의 부속 건물들이 있어 이들을 구분짓거나 연결하는 역할들을 하고 있다.
140.미센산
미센산(弥山)은 일본 히로시마현 하쓰카이치시 이쓰쿠시마섬 중앙에 있는 산이다. 해발 535m로, 섬에서 제일 높은 산이다.[1] 옛부터의 신앙의 대상이 된 산이다. 주변 해역(세토 내해) 및 섬 전체가 세토나이카이 국립공원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산기슭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이쓰쿠시마 신사의 등록 구역의 일부이다. 산의 북쪽은 히로시마현이 보호하는 원시림으로 덮여 있으며, 산기슭에는 모미지다니 공원이 있다.
141.모미지다니 공원
모미지다니 공원(紅葉谷公園)은 일본 히로시마현 하쓰카이치시 이쓰쿠시마섬에 있는 공원이다. 이쓰쿠시마 신사 뒤의 모미지다니강을 따라 미센산 기슭에 위치한다.
142.역사가 보이는 언덕
역사가 보이는 언덕(일본어: 歴史の見える丘)은 일본 히로시마현 구레시 미야하라에 있는 공원이다. 1982년, 국도 487호를 따라 구레시를 바라보는 작은 언덕에 길쭉한 부지에서 정비된 공원이다.
143.히로시마 미술관
히로시마 미술관(일본어: ひろしま美術館)은 일본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나카구 히로시마시 중앙공원 내에 있는 미술관이다. 1978년 11월 3일에 히로시마 은행 창립 100주년을 기념하여 개관했다.
144.히로시마 시민 구장 (1957년)
(구)히로시마 시민 구장(일본어: 旧広島市民球場)은 일본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나카구에 있는 야구장이다. 센트럴 리그인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홈구장이었으며, 1957년 2월에 착공하여 같은 해 7월 24일에 개장했다. 2008년 9월 28일에 히로시마 대 도쿄 야쿠르트 스왈로스의 정규 경기, 이듬해인 2009년 3월 마지막 시범경기를 끝으로 2010년 9월 경에 폐장되었고 2012년에 해체되었다. 현재 히로시마 시 미나미구에 히로시마 도요 카프의 새로운 홈구장인 MAZDA Zoom-Zoom 스타디움 히로시마(MAZDA Zoom-Zoom スタジアム広島, 약칭 마쓰다 스타디움)이 들어서게 되었다.
145.원폭 돔
원폭 돔(일본어: 原爆ドーム 겐바쿠도무[*])은 본래 1915년에 건설된 일본 히로시마시의 상업전시관으로, 1945년 8월 6일 제2차 세계 대전 중 미국이 히로시마에 투하한 원자폭탄의 피해로 반파되고 남아있는 전쟁유적 중 하나이며 1996년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으로 지정되었다.
146.원폭의 아이의 동상
원폭의 아이의 동상(일본어: 原爆の子の像 겐바쿠노코노조[*])은 일본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히로시마 평화기념공원 내에 있는 사사키 사다코의 친구에 의한 모금 운동에 의해 만들어진 동상이다. 제작자는 기쿠치 이치오로, 1958년 5월 5일 완성되었다.
147.단게 겐조
단게 겐조(일본어: 丹下健三 탄게 켄조[*], 1913년 9월 4일 ~ 2005년 3월 22일)는 일본의 건축가, 도시계획가이다. 일급건축사(등록번호 제15182호). 위계훈등은 종삼위훈일등서보장, 문화훈장 수훈. 프랑스 정부로부터 레지옹 도뇌르 훈장 수훈. 가톨릭 신도(세례명은 요셉). 일본에서는 '세계의 단게'로 불렸던 것처럼 일본인 건축가로서 가장 빠르게 일본 국외에서도 활약하여 세계적 인지도를 얻은 인물 가운데 하나. 제2차 세계대전 부흥 후부터 고도경제성장기에 걸쳐 수많은 국가 프로젝트에 손을 뻗쳤다. 일본의 근대건축은 제2차 세계대전 전에도 서양선진제국(西洋先進諸国)과 비교해도 손색이 없을 정도의 레벨에 도달하였으나, 단게의 도쿄 올림픽 국립옥내종합경기장(요요기 체육관)에 의해 처음으로, 명확하게 세계적 톱 레벨로 추어올려졌다고 말할 수 있다.[1] 그 이후 일본건축계가 비서양제국(非西洋諸国)의 테두리를 넘어 질과 양 모두에서 세계의 건축계 가운데서도 걸출한 지위를 구축할 길을 후진에 열어주었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제2차 세계대전 후의 일본건축계의 중진으로서 쇼와라는 시대의 국가적 프로젝트를 계속해서 짊어지고 간 건축가이며, 고도성장이 끝나고 개발이 일단락된 오사카 만박 이후, 그 활약의 장은 필연적으로 중동이나 아프리카, 또는 동남아시아의 개발도상국으로 옮아갔다. 유일한 예외라고 하면 이탈리아이다.
148.혼카와교
혼카와 교(일본어: 本川橋)는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의 규오오타가와(旧太田川)에 있는 트러스교형 다리이며, 도로교와 인도교의 역할을 모두 수행하도록 설계되었다.
149.히로시마현
히로시마현(일본어: 広島県)은 일본 혼슈섬 서남부의 주고쿠 지방에 있는 현이다. 현청 소재지는 히로시마시이다.
150.히로시마시
히로시마시(일본어: 広島市, 광도시)는 히로시마현의 현청 소재지이다. 일본 전국에서 11번째로 인구가 많은 도시이며, 1974년에는 인구가 80만 명을 넘어 정령지정도시 지정을 요구해 온 결과 1980년 4월 1일에 정령지정도시로 지정되었다. 히로시마 현 서부에 위치하며 주고쿠・시코쿠 지방에서 제일 큰 도시이다. 지리적으로는 산요 지방의 거의 중남부에 위치하고 있어서 히로시마 도시권의 중심이 되고 있다. 게이한신과 후쿠오카 도시권의 거의 중간정도에 위치하고 있기 때문에 주고쿠 지방 및 시코쿠 지방을 총괄하는 정부 기관이나 전국 규모 기업의 지방 거점도 많이 놓여 있다. 또 서일본 유수의 공업 도시이기도 해 연안부는 공업지대를 이룬다. 근래에는 인구의 교외로의 유출도 계속해서 볼 수 있는 반면에 나카구의 인구밀도가 높아지는 등 도심 회귀의 경향도 볼 수 있다.
151.구레시
구레시(일본어: 呉市)는 일본 히로시마현의 도시이다. 히로시마 현의 남서부에 위치하고 세토 내해에 접한 기후가 온화하고 자연이 풍족한 임해 도시이다. 2000년에 특례시로 승격했다가 현재는 중핵시로 되어있다. 지형적으로 천연의 양항으로 여겨지며 옛날에는 무라카미 수군의 일파가 근거지로 하고 있었고 메이지 시대 이후에는 제국 해군·해상 자위대의 거점이 되고 있다. 제2차 세계 대전 중에는 제국 해군의 거점이었고 당시에는 일본 10대 도시에 꼽힐 정도의 실로 40만 명을 넘는 인구를 가지고 있었다. 2005년 3월 20일에 주변의 아키 군 온도 정·구라하시 정·가마가리 정, 도요타 군 야스우라 정·도요하마 정·유타카 정을 편입했다. 이것에 의해 구레 시는 혼슈에 있는 지역과 시모카마가리 섬, 나사케시마 섬에 남쪽의 구라하시 섬, 가미카마가리 섬, 도요시마 섬, 오사키시모 섬을 더해 인구 25만명 규모의 시가 되었다.
152.다케하라시
다케하라시(일본어: 竹原市)는 일본 히로시마현의 시이다. 예부터 세토우치의 교통의 요충지로서 발전했다. 무로마치 시대부터 항구도시로서 알려졌고 에도 시대 후기에는 제염업으로 번창하였다. 현재는 "아키의 소(小)교토"로 불리고 2000년에 국토 교통성에 의해서 마치나미 지구가 "도시 경관 100선"에 선정되었다.
153.미하라시
미하라시(일본어: 三原市)는 히로시마현 남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미하라 성(三原城)의 성시를 기원으로 하는 시이다. 세토 내해에 접하고 신칸센의 역과 고속도로의 인터체인지가 있을 뿐만 아니라 더욱 1993년에는 히로시마 공항이 미하라 시에 옮겼음으로써 교통 거점이 되었다. 2005년 3월 22일, 인접한 도요타군(豊田郡) 혼고 정(本郷町), 미쓰기 군(御調郡) 구이 정(久井町), 가모 군(賀茂郡) 다이와 정(大和町)와 통합하여 인구가 10만명을 넘었다.
154.오노미치시
오노미치시(일본어: 尾道市, おのみちし)는 히로시마현 남동부, 산요 지방의 중남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155.후쿠야마시
후쿠야마시(일본어: 福山市)는 히로시마현 남동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히로시마 현 동부 지역의 중심 도시이며 1998년 4월 1일에 중핵시로 지정되었다. 2003년 2월 3일에 인접한 누마쿠마 군(沼隈郡) 우쓰미 정(内海町)과 아시나 군(芦品郡) 신이치 정(新市町)을 편입했고, 2005년 2월 1일에는 누마쿠마 군 누마쿠마 정(沼隈町)도 편입했다. 이후 2006년 3월 1일에는 후카야스 군(深安郡) 간나베 정(神辺町)을 편입하여 인구는 46만명을 넘었다. 시내의 도모노우라에는 조선 통신사의 경유지 유적이 있으며, 시내에 대규모 제철소가 있다는 인연으로 대한민국의 포항시와 자매 결연을 맺고 있다.
156.후추시 (히로시마현)
후추시(일본어: 府中市)는 일본 주고쿠 지방, 히로시마현의 남동부에 위치하는 내륙 공업도시이다. 빈고 도시권의 일부이다.
157.미요시시 (히로시마현)
미요시시(일본어: 三次市)는 일본 히로시마현 북부에 위치하는 시로, 히로시마 현 북부의 중심 도시이다.
158.쇼바라시
쇼바라시(일본어: 庄原市)는 일본 주고쿠 지방의 중부, 히로시마현 북동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현재의 쇼바라시는 2005년 3월 31일에 구 쇼바라시를 비롯한 7시정이 신설 합병해 성립했고 이것에 의해 행정 구역의 면적은 주고쿠 지방 최대가 되었다. 2005년 10월 현재 일본의 시정촌 중에서 9위의 면적을 가지고 있다.
159.오타케시
오타케시(일본어: 大竹市)는 일본 히로시마현 남서부에 위치하는 시이다. 야마구치현과의 경계에 위치해 야마구치 현의 이와쿠니시·와키정과의 관계가 강하고 일체의 도시권을 형성하고 있다. 오제 강을 사이에 두고 오타케 시로부터 와키 정·이와쿠니 시에 걸친 연안부에 석유 콤비나트(combinat)·종이 펄프·화학 섬유 등의 기업이 입지해 세토내 공업지역의 하나의 거점으로서 발전하고 있다.
160.히가시히로시마시
히가시히로시마시(일본어: 東広島市)는 일본 히로시마현 중앙부, 히로시마시의 동쪽에 위치하는 시이다.
161.하쓰카이치시
하쓰카이치시(일본어: 廿日市市)는 히로시마현 서부에 있는 시이다. 사에키 군(佐伯郡)에 소속했던 하쓰카이치 정(廿日市町)이 히로시마시의 위성 도시로서 인구가 급증, 1988년 4월 1일 시로 승격했다. 2003년 3월 1일에는 인접하는 사에키 군 사에키 정(佐伯町)과 요시와 촌(吉和村)을 편입하여 면적이 약 8배로 늘어났다. 특히 요시와 촌은 2000년 현재의 인구가 853명인 과소 지역이었으며, 재정적인 어려움과 과소 대책을 위해 하쓰카이치 시로의 편입을 선택했다. 이어서 2005년 11월 3일에는 사에키 군의 미야지마 정(宮島町)와 오노 정(大野町)을 편입하여 인구가 10만명을 넘었다. 미야지마 정을 편입함으로써 일본 삼경(日本三景)의 하나인 "아키노 미야지마"(安芸の宮島)와 세계유산에 지정된 이쓰쿠시마 신사(厳島神社)를 행정 구역으로 포함하게 되었는데, 미야지마 정 역시 인구 과소와 재정적인 어려움에 직면해 주민 투표를 통해 히쓰카이치 시로 편입하기로 결정하였다.
162.아키타카타시
아키타카타시(일본어: 安芸高田市)는 일본 주고쿠 지방의 북부, 히로시마현 북부에 있는 시이다. 주고쿠 지방의 센고쿠 다이묘인 모리 모토나리의 출생지로도 알려져 있으며 역사와 문화가 오래되고 자연이 풍부한 시이다. 2004년 3월 1일에 다카타 군 요시다 정, 야치요 정, 미도리 정, 다카미야 정, 고다 정, 무카이하라 정이 합병해 히로시마 현에서 14번째의 시로서 탄생했다.
163.에타지마시
에타지마시(일본어: 江田島市)는 일본 히로시마현에 있는 시이다. 해군병 학교가 있던 것으로 유명하다. 2004년 11월 1일에 아키군 에타지마 정 및 사에키 군 오가키 정·오키미 정·노미 정이 합병(신설 합병)해 에타지마 시가 되었다.
164.후추정
후추정(일본어: 府中町)은 히로시마현 남서부에 위치한 아키군의 정으로, 히로시마시에 둘러싸여 있는 월경지이다. 일본의 정·촌 중에서 인구밀도가 2번째로 높다.
165.가이타정
가이타정(일본어: 海田町)은 히로시마현 아키군의 정이다.
166.구마노정
구마노정(일본어: 熊野町)은 일본 히로시마현 아키군의 정이다. 일본 1위를 자랑하는 구마노 붓의 산지로 붓 제조가 번성함과 동시에 히로시마시와 구레시에 인접해 최근 양시의 주택 지역으로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167.사카정
사카정(일본어: 坂町)은 히로시마현 아키군의 정이다.
168.아키오타정
아키오타정(일본어: 安芸太田町)은 히로시마현 야마가타군의 정이다.
169.기타히로시마정
기타히로시마정(일본어: 北広島町)은 히로시마현 야마가타군의 정이다.
170.오사키카미지마정
오사키카미지마정(일본어: 大崎上島町)은 히로시마현 도요타군의 정이다. 기노에 정, 도노 정, 오사키 정의 섬내 3정이 합병해서 성립되었고 국립 히로시마 상선 고등전문학교와 주고쿠 전력 오사키 화력 발전소가 있다. 다케하라, 아키쓰로부터의 페리로 약 30분 거리의 게이요 제도의 중간 정도에 위치한다. 조선업이 번성하고 각지에 조선소가 있으며 귤 재배가 번창한다. 덧붙여 2006년의 도요타 군 세토다 정의 오노미치시로의 합병에 의해 도요타 군은 오사키카미시마 정만 남게 되었다.
171.세라정
세라정(일본어: 世羅町)은 히로시마현 세라군의 유일한 정이다. 배 등의 과일, 토마토 등 야채의 일대 생산지로 유명하다. 2만명에 못 미치는 인구이지만 대형 상점이 모여 있어 빈고 지방 중부의 상업 중심지이다.
172.진세키코겐정
진세키코겐정(일본어: 神石高原町)은 히로시마현 중동부에 위치하는 진세키군의 정이다. 2004년 11월 5일에 히로시마 현 진세키 군 4정촌(유키 정, 진세키 정, 도요마쓰 촌, 산와 정)의 신설 합병에 의해 탄생했다.
173.이쓰쿠시마섬
이쓰쿠시마(厳島)는 세토 내해 히로시마만 남서부에 위치한 섬이다. 통상적으로 미야지마(宮島)라고 불린다. 히로시마현 하쓰카이치시에 배속되어 있다. 일본 3대 절경중 하나이다. 섬에는 세계유산인 이쓰쿠시마 신사가 있다. 1952년 (쇼와 27년) 국가 특별사적 및 특별 명승지로 지정되었으며, 미센 산의 원시림은 천연기념물로 보호되고 있다. 또, 1934년 (쇼와 9년) 이 주변 해역은 세토 내해 국립공원으로 편입되어 자연보호법에 따라 특별보호구역이다.
174.도모노우라
도모노우라(일본어: 鞆の浦)는 일본 히로시마현 후쿠야마시 누마쿠마 반도 남단에 있는 항구와 그 주변 해역을 말한다. 도모노우라 주변은 1925년에 국가 명승 도모 공원(鞆公園)으로 지정되었다. 또한 1934년 3월 16일에 국립 공원으로 최초의, 세토나이카이 국립공원으로 지정되었다. 2008년 공개된 미야자키 하야오 감독의 《벼랑 위의 포뇨》에서 구상한 땅으로 유명해졌으며, 영화 · 드라마 등 영상 작품의 촬영장소로 잘 이용되고 있다.[1][2][3] 2017년 11월에는 후쿠야마시 도모초 전통적 건조물군 보존 지구의 명칭으로 8.6 헥타르의 지역이 중요 전통적 건조물 군 보존 지구로 선정되었다.
175.미센산
미센산(弥山 (みせん))은 일본 히로시마현 하쓰카이치시 이쓰쿠시마섬 중앙에 있는 산이다. 해발 535m로, 섬에서 제일 높은 산이다.[1] 옛부터의 신앙의 대상이 된 산이다. 주변 해역(세토 내해) 및 섬 전체가 세토나이카이 국립공원 내에 위치하고 있으며, 산기슭은 유네스코 세계유산 이쓰쿠시마 신사의 등록 구역의 일부이다. 산의 북쪽은 히로시마현이 보호하는 원시림으로 덮여 있으며, 산기슭에는 모미지다니 공원이 있다.
176.히로시마 현립 미술관
히로시마 현립 미술관(広島県立美術館)은 일본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나카구에 있는 현립 미술관이다. 1968년 9월 22일, 주고쿠 지역 최초의 공립 미술관으로서 개관하였다.[1] 현재의 건물은 구 박물관 옆에 있던 구 히로시마 현립 도서관의 부지에 확폭하여 1996년 10월 6일 신축하여 재개관한 것이다.[1] 슛케이엔에 인접하여 양쪽 모두 볼 수 있도록 고안되어 있다.
177.야마토 뮤지엄
구레시 해사역사과학관(呉市海事歴史科学館)은 히로시마현 구레시에 있는 과학관이다. 애칭은 야마토 뮤지엄(일본어: 大和ミュージアム)으로 정식 명칭보다 애칭이 널리 알려져 있다.
178.미야지마 수족관
미야지마 수족관(宮島水族館)은 일본 히로시마현 하쓰카이치시 미야지마정에 있는 수족관이다. 애칭은 미야지마린(みやじマリン)이다. 1959년 개관하였다. 2008년 12월부터 리뉴얼 공사로 휴관하였으며, 2009년 3월부터 PFI 사업으로 고요 건설 그룹이 재정비를 하였다.[1] 2011년 8월 1일에 리뉴얼 개관하였다.
179.오타강
오타강(일본어: 太田川 오타가와[*])은 일본 히로시마현을 흐르는 강이다. 총 길이는 103 km이고 유역 면적은 1,710 km2이다. 간무리산(冠山, 1339 m)에서 발원해 히로시마현을 통과해 세토 내해로 흘러든다. 험난한 지형을 흐르기 때문에 강을 따라 수력발전소가 많이 위치한다. 오타강의 상류에는 수많은 지류가 있으며, 히로시마시 아사키타구에서 도네강, 미사사강과 합류하고 이후 교바시강, 덴마강, 모토야스강으로 분류해 히로시마 삼각주를 형성한다. 오타강은 하쓰카이치시, 기타히로시마정, 아키오타정, 아키타카타시, 히가시히로시마시, 히로시마시를 통과한다.
180.에타지마섬
에타지마섬(江田島)은 일본 혼슈 히로시마현의 섬이다. 이 섬에는 에타지마시가 위치해 있다. 과거 일본해군의 해군사관양성학교가 있었으며 현재는 해상자위대 간부후보생학교가 있다. 이 섬은 구라하시섬(倉橋島)과 노미섬(能美島)으로 구분된다. 이 섬 주변에는 수 백개의 섬들이 펼쳐져 있다.
181.가나와섬
카나와섬(金輪島)은 일본 혼슈 히로시마현에 위치해 있는 섬이다. 히로시마항에서 동쪽으로 약 1km 떨어진 히로시마만에 있는 섬이다. 게이요제도에 속한다. 섬은 화강암질이며, 최고 고도는 카나와후지이다. 이 섬은 세토 내해에 떠 있는 섬이다. 히로시마에 원자폭탄이 떨어질 때 사람들이 이 섬으로 피난을 오기도 했다.
182.니노시마섬
니노시마섬(일본어: 似島)은 세토 내해(瀬戸内海)의 히로시마만(広島湾)에 있는 일본의 섬이다. 행정구역상으로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 미나미구 니노시마초에 속하며 시 영역의 최남단에 위치한다. 히로시마시에 속해 있는 섬으로서는 가장 크다. 섬의 북동쪽에는 최고점이 있는 아키노코후지산(安芸小富士, 278m)이 있다. 2006년 4월말 기준, 인구는 1,168명이며 가구수는 662세대이다.
183.오쿠노시마섬
오쿠노시마섬(일본어: 大久野島)은 세토 내해 게이요 제도의 하나이기도 하는 섬이면서, 히로시마현 다케하라시에 속하고 있는 무인도이다. 그러나 이 섬은 토끼의 섬이자 독가스의 섬으로 널리 알려져 왔다. 면적은 0.7 제곱킬로미터, 해안선 연장 4.3 킬로미터, 최고 고도는 약 108 미터인 것으로 나와 있다.
184.오코노미야키
오코노미야키(일본어: お好み焼き)는 밀가루 반죽과 다른 재료들로 만드는 뎃판야키의 일종이다. 일반적으로 양배추, 육류와 해산물이 사용되며 토핑으로 소스, 가쓰오부시, 마요네즈와 생강초절임 등이 쓰인다. 오코노미야키는 주로 히로시마나 간사이 지방과 연관되나 일본 전역에서 다양한 반죽과 토핑으로 만들어진다. 오코노미야키라는 명칭은 "(당신이) 좋아하는"이라는 뜻의 오코노미(일본어: お好み)와, 굽는 조리법을 뜻하는 야키(일본어: 焼き)에서 파생되었다. 오코노미야키와 유사하나 좀 더 액체처럼 만들어지는 몬자야키도 있으며, 오코노미야키는 일본 바깥에서도 길거리 음식으로 접할 수 있다.
185.오타후쿠소스
오타후쿠소스(일본어: オタフクソース, 영어: Otafuku Sauce)는 일본의 조미료 회사이다. 히로시마현 히로시마시에 본사가 있으며, 회사명이자 상품명인 오타후쿠소스는 오코노미야키용 우스터소스로서 잘 알려져 있다.
186.카키노도테나베
카키노도테나베(일본어: 牡蠣の土手鍋)는 냄비 주위에 미소(된장)를 발라 굴과 두부나 야채를 끓이면서 먹는 히로시마현의 향토 음식이며 나베 요리이다.[1] 조개류와 야채를 된장 맛으로 끓인 것이 일반적으로 '도테나베'나 '도테나베풍'으로 불리고 있지만 본래는 생굴을 이용해 후츄미소를 냄비 안쪽 주위에 발라 만드는 나베모노를 '카키노도테나베' 또는 '도테나베'라고 한다. 아이치현이나 시즈오카현의 엔슈 지구에서 먹는 도테야키와 닮았지만 도테야키는 곱창, 곤약, 야채를 사용한다. 카키나베의 일종으로 미장이(토수, 다테)가 무언가를 바르는 것처럼 미소를 냄비 주위에 바르기 때문에 이 이름이 붙었다는 것이 유력한 설이지만 유래에 대해서는 여러 설이 있다. 가령 오사카에서 토수로 일하던 '도테'라는 행상인이 고안하여 팔았다는 설도 있다. 도테나베는 먹는 방법이 독특한데 먹기 직전에 된장의 도테를 무너뜨리면서 된장을 좋아하는 만큼 더하거나 빼서 먹는다. 또한 냄비의 중앙에 된장을 넣은 경우에도 도테나베라고 부르기도 해서, 도테나베를 따로 "(카키노) 도테야키"라고 부르는 사람도 있다.[2]

Back to TOP

회사소개/문의/회사/개인정보취급방침/면책조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