멋진 검색 일본

나가사키현:명산품

1.참서대
참서대(Dover sole)는 가자미목 참서대과의 물고기이다. 몸길이는 30cm 정도이고 눈이 몹시 작다. 눈은 몸의 왼쪽에 몰려 있고 가슴지느러미가 없다. 비늘은 둥근 비늘이고, 왼쪽 뒤쪽에 빗비늘이 약간 있다. 몸빛깔은 오른쪽은 적갈색, 왼쪽은 흰색이다. 연안의 모래바닥에 산다. 산란기는 6-7월 무렵이며, 맛이 좋고 지방이 적어 미용 식품으로 좋다. 특히 여름철에 맛이 있다. 한반도 황해와 남해, 일본 중부 이남·타이완·중국 등지에 분포한다.
2.샛돔
샛돔은 농어목 샛돔과의 바닷물고기이다. 이 물고기는 30cm로 성장할 수 있고 일본 근처 서태평양, 대만 해협과 동중국해에서 발견된다. 샛돔은 열대 바다를 선호한다. 이것은 홍콩 근처의 바다에서 발견된적이 있다. 일반적으로 370m의 표층에서 서식한다. 성체는 주로 대륙붕에 살지만 밤에는 먹이를 찾기 위해 표층으로 이동한다.
3.가쿠니
가쿠니(Kakuni, 角煮)는 일본식 돼지고기 찜 요리로, 글자 그대로 "사각형 조림"을 의미한다.[1] 가쿠니는 규슈, 특히 나가사키의 인기 있는 지역 요리이다. 이 특별한 요리는 유명한 중국 요리인 동포 돼기고기에서 유래했을 가능성이 높으며. 육즙이 원래의 것보다는 덜하지만 일본식 중국 요리의 한 형태로 인정된다.[2] 명나라와 송나라 때 항저우와 규슈 사이에 주요 청일 교역로가 존재했다. 많은 중국인들이 나가사키와 같은 규슈의 주요 항구 도시들에 살았고, 마찬가지로 많은 일본인들이 항저우에 살았다. 그래서, 돼지고기는 규슈의 주요 도시에서 대중화되었다.
4.가라스미
가라스미(일본어: カラスミ)는 일본에서 숭어 등의 생선알을 소금을 절인 후 말려 건조시킨 것이다. 일본에서는 숭어를 이용하여 나가사키현에서 생산된 것이 유명하지만, 가가와현에서는 삼치나 고등어를 사용한다. 일본 이외에서도 타이완과 이탈리아의 사르데냐, 스페인, 이집트 (보타르가)에서도 만들어진다.
5.싯포쿠
싯포쿠(卓袱)는 중국 요리의 영향을 많이 받은 일본 요리 스타일이다. 유럽, 중국, 일본 요리의 요소를 결합한 퓨전 요리이자 '하이브리드 요리'로 설명되어 왔다. 싯포쿠 요리에 사용되는 고기에는 가금류, 생선, 수렵육이 포함된다. 사케는 일반적으로 싯포쿠 요리와 함께 제공된다. 싯포쿠 스타일의 서비스에는 일반적으로 전체 식사를 구성하는 여러 개의 작은 요리가 포함된다. 싯포쿠 요리는 1603년부터 1868년까지의 에도 시대에 일본 나가사키로 이주한 중국인으로부터 유래되었다. 나가사키는 '쇄국의 세기' 동안 외국인(포르투갈인, 네덜란드인, 중국인)이 거주하도록 허용된 일본 유일의 장소였다. 18세기 일본에서는 일본 지식인들 사이에서 중국 요리의 인기가 높아졌고, 중국 요리의 영향을 받은 채식 요리인 싯포쿠 요리와 후차 요리를 중심으로 한 음식점이 등장했다.
6.여주 (식물)
여주(문화어: 유자, 영어: momordica charantia) 또는 비터 멜론(영어: bitter melon, bitter gourd, bitter squash)은 박과에 딸린 한해살이풀, 또는 그 열매를 말한다. 고과(苦瓜)라고도 한다. 열대 아시아 원산이며 관상용으로 심어 기른다. 줄기는 덩굴손으로 물체를 감으며 잎은 5~7개로 크게 갈라진다. 덩굴손과 잎이 마주난다. 7~8월에 피는 꽃은 잎겨드랑이에서 하나씩 달리는데 노란색이다. 열매가 특이한데, 길이 7~9 센티미터 정도 되는 길둥근 모양으로 조그만 혹 모양 돌기가 열매 가득 돋아 있으며 익으면 갈라져 붉은색 육질에 싸여 있는 씨가 드러난다.
7.덴푸라
덴푸라(일본어: 天ぷら)는 일본의 튀김 요리이다. 해산물이나 채소 등에 밀가루 튀김옷을 입혀 기름에 튀겨 내는 음식으로, 16세기 후반 경 포르투갈 선교사에 의해 전해진 서양 요리의 영향을 받아 만들어졌다. 에도막부가 식용유 증산을 주도한 후 튀김요리가 널리 보급되면서 현대들어서는 일본의 국민 음식 가운데 하나로 자리잡게 되었다. 180도 정도의 고온으로 뜨거워진 기름에 단시간 내에 음식을 익힘으로 인해 영양가 손실이 적고 식재료 본연의 맛이 살아 있으며 기름으로 인해 고소한 맛을 더한다. 더운 날씨에 냉장 보관하지 않아도 쉽게 상하지 않는 특징이 있다. 튀김옷이나 식재료에 지방이 흡수되어 칼로리가 높은 음식으로 변한다.
8.도루코라이스
도루코라이스(일본어: トルコライス) 또는 도루코후 라이스(일본어: トルコ風ライス→터키풍 라이스)는 일본 나가사키현 요리로, 주로 나가사키를 중심으로 한 요리이다. 한 접시에 여러 가지 반찬이 담아진 서양식 퓨전 요리이다. 오사카시, 고베시에도 도루코라이스가 존재하지만 내용물은 지역마다 다르다. 또한 규슈에서는 나가사키현 이외에서는 거의 볼 수 없다. 가장 일반적인 것은 필라프, 나폴리탄, 드미글라스가 곁들어진 돈카쓰라는 조합이다.[1]
9.거북복과
거북복과(Ostraciidae)는 복어목에 속하는 조기어류 물고기과의 하나이다.[1] 참복류, 쥐치류와 밀접한 관련이 있으며, 8개의 현존 속에 약 24종으로 이루어져 있다. 뿔복, 거북복, 코거북복, 노랑거북복 등을 포함하고 있다.
10.참바리아과
참바리(grouper; groper [ɡruːpə][*])는 농어목 바리아목 바리과 참바리아과(Epinephelinae 에피네펠리나에[*])에 속하는 물고기들을 총칭이다.
11.멘보샤
멘보샤는 작은 정사각형 모양으로 자른 식빵 사이에 잘게 다진 새우를 넣어서 샌드위치나 토스트처럼 만든 다음에 기름에 튀겨서 만드는 중국 요리이다. 한국에서는 중국 산둥성 출신 화교들에 의해 처음 소개되었고 세계 각지에 위치한 중국 음식점에서도 가끔 만들기도 한다.
12.밀크셰이크
밀크셰이크(Milk Shake)는 우유와 아이스크림, 또는 얼린 우유로 만든 시원하고 달콤한 음식이다. 맛을 낼 때는 버터스카치, 캐러멜 소스, 과일 시럽이나 초콜릿 시럽을 사용한다. 밀크셰이크는 보통 긴 유리 잔에 빨대와 함께 나오며, 휩트 크림(생크림을 거품 낸 크림)을 곁들여 나오는 경우도 있다. 인기 있는 밀크셰이크 종류로는 바닐라, 초콜릿, 딸기, 바나나 등이 있다. 미국의 일부 뉴 잉글랜드 지방과 영국 연방 지역에서는 밀크셰이크를 아이스크림 없이 만든다. 음식점, 음료수 판매 코너, 간이식당 등에서는 퍼낸 아이스크림과 우유를 스테인리스강으로 된 컵에 담아 블렌더나 믹서를 사용하여 직접 섞는다. 대부분의 패스트 푸드 식당은 일부를 제외하고는 아이스크림을 직접 섞어서 만들지 않고, 대신에 자동 밀크셰이크 기계를 이용하여 우유와 감미료, 농후제를 혼합하여 미리 얼려 만든 밀크셰이크를 판매한다. 데어리 퀸과 같은 일부 패스트 푸드 식당에서는 소프트 아이스크림 (또는 얼린 우유)과 감미료, 초콜릿 시럽이나 과일 시럽, 우유를 섞은 밀크셰이크를 제공한다. 또한 운동을 목적으로 마실 때에는 저지방우유에 단백질 분말을 넣어서 단백질 셰이크로 먹기도 한다. 밀크셰이크는 음료보다는 후식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Back to TOP

회사소개/문의/회사/개인정보취급방침/면책조항